KR100856669B1 -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669B1
KR100856669B1 KR1020060096394A KR20060096394A KR100856669B1 KR 100856669 B1 KR100856669 B1 KR 100856669B1 KR 1020060096394 A KR1020060096394 A KR 1020060096394A KR 20060096394 A KR20060096394 A KR 20060096394A KR 100856669 B1 KR100856669 B1 KR 100856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frame
cover
patie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9590A (ko
Inventor
장재호
Original Assignee
(주)리파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파인드 filed Critical (주)리파인드
Priority to KR1020060096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669B1/ko
Priority to PCT/KR2007/004804 priority patent/WO2008039044A1/en
Publication of KR2008002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7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specially adapted for aiding the prevention of ulcer or pressure sore development, i.e. before the ulcer or sore has develo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rsing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용 침대는 복수개의 다리를 가지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되며 용변구가 형성된 매트와,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되어 용변구를 개폐하는 커버에 결합 및 분리력을 제공하는 변기와, 상기 변기를 용변구 측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변기와 연결되어 변기내의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수단와, 상기 변기에 의해 용변구와 결합 및 분리되는 커버를 변기로부터 분리하는 커버 분리수단을 구비한다.
환자, 침대, 용변구, 변기

Description

환자용 침대{A bed for pati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변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커버분리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승강수단과 커버분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버 분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승강수단과 커버분리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환자의 배설물을 침대에서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받아 낼 수 있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에서 내려올 수 없는 환자가 배설하고자 할 때에는 간병인이나 간호원의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는 심리적으로 부담감이 커지게 되고, 보호자와 감병인 또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유럽 특허공개 제05580077호에는 환자의 스위치조작으로 시트의 각도가 전환된 상태에서 배설이 가능하도록 된 침대가 제안되었다. 이 구조에 의하면 환자 혼자서 배설작업이 가능한 효과는 있었으나, 그 구조 및 취급이 매우 복잡하여 전문지식이 없는 환자가 혼자서 취급하기 어려워 이용을 기피하고 있다.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9-121581호(1999.3.20 공고)에는 환자용 침대가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등록 제 20-0222921호에는 변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공개 제 2000-0058591호에는 환자용 침대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 0168326호에는 환자용 침대에 조립된 배설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 등록 제 0168326호에는 환자용 침대에 조립된 배설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배설장치는 환자용 침대에 조립되며, 비 사용시에는 침대의 바닥부분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고, 배설시에는 변기부를 하측에서 밀어 올려 변기의 사용 가능한 위치까지 상하이동 시키는 승강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변기의 정점에는 침대의 바닥면과 동일한 연결매트를 구비하고, 또한 변기를 덮는 덮개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설장치는 환자의 거동이 어려운 환자에게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인은 환자용 침대를 발명하여 특허등록 제 0256926호, 동 0256926호로 등록 받은 바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용 침대에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자신이 간단한 조작으로 대변 및 소변 등의 뒷일처리를 위생적으로 처리 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 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환자용 침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용변구가 설치되며 용변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구비된 매트와,
상기 커버를 용변구로부터 커버를 분리시키는 커버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된 용변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수단에 용변구의 하부측에 밀착되는 변기와, 상기 변기 내의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 수거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변기가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레일과,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며 대향되는 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레일을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하부 가이드 레일에 각각 양 단부가 지지되는 제1,2 펜터그래프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의 하단부를 접철시키기 위한 제 1액튜에이터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분리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용변구의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변기와 대응되는 측이 개방된 이송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프레임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진 시키는 제 2액튜에이터와, 상기 이송프레임에 결합수단에 의해 설치되며 이송 시 상기 변기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를 가지며 상면에 커버가 설치된 승강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눕거나 앉아서 용변을 처리 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환자용 침대(10)는 복수개의 다리(11)를 가지는 프레임(12)과, 이 프레임(12)에 설치되며 용변구(15)가 형성된 매트(16)와, 상기 프레임(12)의 하면에 설치되어 용변구(15)의 하부측에 승강수단(30)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며 상기 용변구(15)를 개폐하는 커버(200)에 결합 및 분리력을 제공하는 변기(100)와, 상기 변기(100)와 연결되어 변기내의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수단(미 도시)과, 상기 변기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커버(200)를 변기(100)로부터 분리하는 커버 분리수단(50)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환자용 침대를 구성요소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환자용 침대(10)의 프레임(12)은 다리(11)가 설치되는 격자상의 메인 프레임(12a)과, 상기 메인프레임(12a)에 지지되며 등받이부, 다리받이부, 변기설치부위등 세 개로 분리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2a)에 대해 다리받이부와 등받이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12b)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2a)에 대해 서브 프레임(12b) 즉, 등받이부와 다리 받이부의 각도 조정을 위한 장치는 통상적인 침대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매트(16)는 프레임(1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환자의 힙과 대응되는 영역에 용변구(15)가 형성되는데, 이 용변구는 환자의 배변 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원형,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기(100)를 승강시켜 매트(16)의 용변구(15)와 밀착 및 분리시키는 승강수단(30)은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며 대향되는 측에 각각 하부 가이드 홈(31a)(31a)이 형성된 한 쌍의 하부가이드 레일(31)(31)을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32)과, 상기 침대 프레임(12)하부측에 위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측에 상부 가이드홈(32a)(32a)이 형성되며 변기(100) 또는 변기를 지지하는 케이스(미도시)가 지지되는 상부 가이드레일(32)(32)과 각각 상하부의 단부가 상기 하부 가이드홈(31a)(31a)과 상부 가이드 홈(32a)(32a)에 지지되는 제 1,2펜터그래프 부재(33)(34)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2팬터그래프 부재(33)(34)는 각각 한쌍의 플레이트 바의 중앙부가 힌지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34)의 후방에 위치된 단부는 상, 하부 가이드레일(31)(31),(32)(32)의 후단부측에 힌지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34)의 하부 가이드 레일(31)(31)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전방에 위치되는 단부는 연결봉(35)에 의해 연결되고, 이 연결봉(35)은 제 1액튜에이터(36)에 의해 상기 하부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전후진 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31)(31)에 대해 상부 가이드레일(32)(32)을 승강시켜 변기(100)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제 1액튜에이터(36)는 모터(36a)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36b)과 상기 회전축(36b)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6b)이 회전함에 따라 전,후진 되는 스크류(36c)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36a)로부터 회전축(36b)으로의 동력전달은 기어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 분리수단(50)은 변기(10)의 승강에 의해 커버(200)가 용변구(15)와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커버(200)를 용변구(15)에 대해 전,후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 분리수단(50)은 상기 프레임(12)에 지지되며 상기 용변구의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51)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변기(100)와 대응되는 측이 개방된 이송프레임(52)과, 상기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프레임(52)을 가이드 레일(51)을 따라 전, 후진 시키는 제 2액튜에이터(53)와, 상기 이송프레임(52)에 결합수단(54)에 결합되며 이송 시 상기 변기(100)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플랜지(101)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55)를 가지며 상면에 커버(200)가 설치된 승강부재(56)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프레임(52)은 상기 승강부재(56)의 승강 시 간섭받지 않도록 상부가 개방된 단면이 L 자형상을 가지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56)는 상기 커버(200)가 설치되는 베이스부(56a)와 상기 베이스부(56a)의 양측이 절곡되어 상기 변기(100)의 플랜지(101)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슬라이딩 결합부(55)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5)는 상호 대향되는 면이 개방된 찬넬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54)은 이송프레임(52)에 대해 승강부재(56)의 소정거리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부재(56)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송프레임(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봉(54a)들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봉(54a)은 이송프레임(52)에 형성된 관통공(54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가이드봉(54a)의 단부에는 걸림턱(54c)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54b)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 2액튜에이터(53)는 상기 제1액튜에이터(36)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7과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변기 승강수단과 커버분리수단이 개선된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분리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또는 변기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변기의 상면과 측면사이에서 회동되며 커버가 설치되는 회동부재(71)와, 상기 회동부재(7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72)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부(72)는 회동부재(71)의 축에 설치되는 웜휠(72a)과, 상기 변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모터(72b)의해 정역회전되며 상기 웜휠(72a)과 치합되는 웜(72c)을 구비한다. 그리고 변기(10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다.
한편,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커버분리수단(81)과 변기를 용변구(15) 측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82)은 독립적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분리수단(81)은 침대의 프레임(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힌지축(81a)이 설치되고 이 힌지축에 설치되어 커버(200)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브라켓(81b)과, 상기 제 1힌지축(81a)을 회동시키는 제 3액튜에이터(8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기(10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82)은 용변구(15)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힌지축(81b)가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제 2힌지축(82a)과, 상기 제 2힌지축(82a)로부터 연장되는 변기(100)을 지지하여 용변구(15) 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지지브라켓(82b)과 상기 제 2힌지축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제 4액튜에이터(82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3,4액튜에이터는 상기 제 1액튜에이터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커버분리수단과 변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변기를 용변구측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트(16)에 형성된 용변구(15)와 결합된 커버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변기는 오수 배출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오수배출장치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배설물 받이 탱크와, 물탱크 및 물을 변기에 펌핑하여 세척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환자용 침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자용 침대는 일반가정이나 병원의 병실에 설치되어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그 작용을 도 1,2 및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가 대변이나 소변을 보고자 할 때에 동작스위치부(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승강수단(30)의 제 1액튜에이터(36)가 작용하여 상기 제 1,2팬터그래프 부재(33)(34)의 연결봉(35)을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펜터그래프부재(33)(34)의 하단부가 벌어지면서 변기가 지지된 상부 가이드레일(32)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변기(100)의 플랜지(101)에는 커버(200)가 설치된 승강부재(56)의 슬라이딩 결합부(55)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변기(100)의 하강으로 인하여 용변구(15)로부터 커버(200)가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변기(100)가 하강하여 커버(200)가 분리되며, 상기 제 2액튜에이터(53)가 작동되어 이송프레임(52)을 후퇴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이송프레임(52)과 결합수단(54)의 가이드봉(54a)에 의해 결합된 승강부재(56)가 후퇴되면서 변기(100)의 플린지(101)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분리되면 제 1액튜에이터(36)에 의해 제1,2팬터그래프 부재(33)(34)가 좁혀짐 즉, 제 1,2팬터그래프 부재(33)(34)의 단부가 상기 상하부 가이드 레일(32)(31)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변기(100)가 상승하여 용변구(15)에 밀착된다.
따라서 환자는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상기 변기(100)에 용변을 볼 수 있다. 변기(100)로 유입되는 용변 즉, 소변과 대변은 오물배출장치에 의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환자의 변이 완료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액튜에이터(36)와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34)에 의해 변기(100)가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액튜에이터(53)가 작동되어 이송프레임(52)이 가이드레일(51)을 따라 전진하게 되고, 이에 지지된 승강부재(56)의 슬라이딩 결합부(55)가 변기(100)의 플랜지(101)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변기와 승강부재(56)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변기가 상승하여 커버(200)를 용변구(15)와 결합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결합수단(54)의 가이드봉(54a)은 이송프레임(52)의 관통공(54b)에 안내되면서 상승하게 되는데, 이의 단부에는 걸림턱(54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송프레임(52)의 관통공(54b)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자용 침대는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보호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자신이 대변 및 소변 등의 뒷일처리를 위생적으로 처리를 할 수 있으며, 환자 자신이 대변 및 소변을 스스로 처리를 함으로서 환자의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 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용변구와 결합된 커버는 변기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커버가 용변구의 하부로 처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용변구가 형성되며 용변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구비된 매트와,
    상기 커버를 용변구로부터 분리시키는 커버 분리수단과,
    상기 커버분리수단에 의해 커버가 분리된 용변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용변구의 하부측에 밀착 또는 분리되는 변기와, 상기 변기 내의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 수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용변구에 결합된 커버가 변기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3. 복수개의 다리를 가지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되며 용변구가 형성된 매트와,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되어 용변구의 하부측에 승강수단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며 상기 용변구를 개폐하는 커버에 결합 및 분리력을 제공하는 변기와, 상기 변기와 연결되어 변기내의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수단와, 상기 변기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커버를 변기로부터 분리하는 커버 분리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변기가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레일과,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의 하부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며 대향되는 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레일을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하부 가이드 레일에 각각 양 단부가 지지되는 제1,2 펜터그래프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의 하단부를 접철시키기 위한 제 1액튜에이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분리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용하부의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변기와 대응되는 측이 개방된 이송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프레임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진 시키는 제 2액튜에이터와, 상기 이송프레임에 결합수단에 의해 설치되며 이송시 상기 변기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를 가지며 상면에 커버가 설치된 승강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KR1020060096394A 2006-09-29 2006-09-29 환자용 침대 KR100856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394A KR100856669B1 (ko) 2006-09-29 2006-09-29 환자용 침대
PCT/KR2007/004804 WO2008039044A1 (en) 2006-09-29 2007-10-01 Medical treatment bed and monitoring system of patien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394A KR100856669B1 (ko) 2006-09-29 2006-09-29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590A KR20080029590A (ko) 2008-04-03
KR100856669B1 true KR100856669B1 (ko) 2008-09-26

Family

ID=3953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394A KR100856669B1 (ko) 2006-09-29 2006-09-29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6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33B1 (ko) 2011-03-04 2013-07-19 주식회사 에이엠 배설물 처리장치
WO2016163681A3 (ko) * 2015-04-09 2017-01-05 김진일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765B1 (ko) * 2011-10-13 2013-07-05 김길섭 간병 침대
KR101949268B1 (ko) * 2017-03-09 2019-04-29 주식회사 마더스핸즈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KR102335874B1 (ko) * 2017-04-21 2021-12-06 장재호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335875B1 (ko) * 2017-04-21 2021-12-06 장재호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335877B1 (ko) * 2017-04-21 2021-12-06 장재호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하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335876B1 (ko) * 2017-04-21 2021-12-06 장재호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하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430715B1 (ko) * 2018-02-22 2022-08-16 장재호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CN109044682A (zh) * 2018-08-17 2018-12-21 深圳盛航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对卧床者进行护理的护理系统
KR102383083B1 (ko) * 2020-07-06 2022-04-06 (주)엘티 환자용 비데침대
KR20220150793A (ko) 2021-05-04 2022-11-11 김용록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3A (ja) 1974-06-24 1976-01-06 Yoshio Sugo Betsudo
JPS5623951A (en) 1979-08-01 1981-03-06 Takuzou Teramae Bed for patient available in urine and excrement exhausion
KR840000761B1 (ko) * 1981-08-13 1984-06-08 히사오 가또 환자용 침대
KR20000058591A (ko) * 2000-06-17 2000-10-05 홍길영 환자용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3A (ja) 1974-06-24 1976-01-06 Yoshio Sugo Betsudo
JPS5623951A (en) 1979-08-01 1981-03-06 Takuzou Teramae Bed for patient available in urine and excrement exhausion
KR840000761B1 (ko) * 1981-08-13 1984-06-08 히사오 가또 환자용 침대
KR20000058591A (ko) * 2000-06-17 2000-10-05 홍길영 환자용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33B1 (ko) 2011-03-04 2013-07-19 주식회사 에이엠 배설물 처리장치
WO2016163681A3 (ko) * 2015-04-09 2017-01-05 김진일 변기 인출이 용이한 의료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590A (ko)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669B1 (ko) 환자용 침대
JP3097029B2 (ja) 水洗便器付き介護用ベッド
KR102335876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하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1254199B1 (ko) 환자용 기능성 침대
CN209751442U (zh) 一种排便护理床
KR100842565B1 (ko)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
CN104434439A (zh) 一种护理轮椅床
KR101364405B1 (ko)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
KR20190067319A (ko)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KR102335874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CN114469569B (zh) 一种便盆可自动收放的病床
KR102335877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하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335875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CN114587831A (zh) 一种护理床
CN211723744U (zh) 一种重症监护室护理床
CN211797345U (zh) 多功能组合式轮椅床护理系统
KR200251954Y1 (ko) 환자용 침대
CN211095445U (zh) 一种医疗床
JP5688498B2 (ja) 座部敷具差替えベッド等
KR102640421B1 (ko) 이동 및 높이조절 리프트 의자
US20180353363A1 (en) Maryed healthcare solution bed
CN110897802A (zh) 多功能组合式轮椅床护理系统
JP2006212377A (ja) 洗浄機能を備えたトイレ付介護用ベッド
KR102668266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20060000227A (ko)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승강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