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874B1 -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874B1
KR102335874B1 KR1020170051418A KR20170051418A KR102335874B1 KR 102335874 B1 KR102335874 B1 KR 102335874B1 KR 1020170051418 A KR1020170051418 A KR 1020170051418A KR 20170051418 A KR20170051418 A KR 20170051418A KR 102335874 B1 KR102335874 B1 KR 102335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oilet
closing
pai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301A (ko
Inventor
장재호
Original Assignee
장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호 filed Critical 장재호
Priority to KR102017005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87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용변구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로서, 용변구(15)가 형성된 매트(16)의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양측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은 측단면으로 보아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개폐문(200a, 200b)은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두께(a)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고, 그 하단 폭(c)은 상기 두께의 2~3배가 되고, 그 상단 폭(b)은 상기 폭(c) 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하며,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양측이 접합되는 개구부밀폐면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양측부에서 하향으로 경사면(214a, 214b)을 구비하고, 상기 용변구(5)의 직하부에는 변기(100)를 승강하는 승강수단(30)을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Patient bed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ratus}
본 발명은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환자의 배설물을 침대에서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받아 낼 수 있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에서 내려올 수 없는 환자가 배설하고자 할 때에는 간병인이나 간호원의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는 심리적으로 부담감이 커지게 되고, 보호자와 간병인 또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 10-0856669호에서, 아래와 같이 발명하였다.
종래 환자용 침대(10)는 복수개의 다리(11)를 가지는 프레임(12)과, 이 프레임(12)에 설치되며 용변구(15)가 형성된 매트(16)와, 상기 프레임(12)의 하면에 설치되어 용변구(15)의 하부측에 승강수단(30)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며 상기 용변구(15)를 개폐하는 커버(200)에 결합 및 분리력을 제공하는 변기(100)와, 상기 변기(100)와 연결되어 변기내의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수단(미도시)과, 상기 변기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커버(200)를 변기(100)로부터 분리하는 커버 분리수단(50)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환자용 침대를 구성요소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환자용 침대(10)의 프레임(12)은 다리(11)가 설치되는 격자상의 메인 프레임(12a)과, 상기 메인프레임(12a)에 지지되며 등받이부, 다리받이부, 변기설치부위등 세 개로 분리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2a)에 대해 다리받이부와 등받이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12b)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2a)에 대해 서브 프레임(12b) 즉, 등받이부와 다리 받이부의 각도 조정을 위한 장치는 통상적인 침대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매트(16)는 프레임(1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환자의 힙과 대응되는 영역에 용변구(15)가 형성되는데, 이 용변구는 환자의 배변 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원형,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기(100)를 승강시켜 매트(16)의 용변구(15)와 밀착 및 분리시키는 승강수단(30)은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며 대향되는 측에 각각 하부 가이드홈(31a)(31a)이 형성된 한 쌍의 하부가이드 레일(31)(31)을 가지는 베이스프레임(32)과, 상기 침대 프레임(12)하부측에 위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측에 상부 가이드홈(32a)(32a)이 형성되며 변기(100) 또는 변기를 지지하는 케이스(미도시)가 지지되는 상부 가이드레일(32)(32)과 각각 상하부의 단부가 상기 하부가이드홈(31a)(31a)과 상부 가이드 홈(32a)(32a)에 지지되는 제 1,2펜터그래프 부재(33)(34)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2팬터그래프 부재(33)(34)는 각각 한쌍의 플레이트 바의 중앙부가 힌지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34)의 후방에 위치된 단부는 상, 하부 가이드레일(31)(31),(32)(32)의 후단부측에 힌지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34)의 하부 가이드 레일(31)(31)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전방에 위치되는 단부는 연결봉(35)에 의해 연결되고, 이 연결봉(35)은 제 1액튜에이터(36)에 의해 상기 하부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전후진 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31)(31)에 대해 상부 가이드레일(32)(32)을 승강시켜 변기(100)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제 1액튜에이터(36)는 모터(36a)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36b)과 상기 회전축(36b)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6b)이 회전함에 따라 전,후진 되는 스크류(36c)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36a)로부터 회전축(36b)으로의 동력전달은 기어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 분리수단(50)은 변기(10)의 승강에 의해 커버(200)가 용변구(15)와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커버(200)를 용변구(15)에 대해 전,후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 분리수단(50)은 상기 프레임(12)에 지지되며 상기 용변구의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51)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변기(100)와 대응되는 측이 개방된 이송프레임(52)과, 상기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프레임(52)을 가이드 레일(51)을 따라 전, 후진시키는 제 2액튜에이터(53)와, 상기 이송프레임(52)에 결합수단(54)에 결합되며 이송 시 상기 변기(100)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플랜지(101)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55)를 가지며 상면에 커버(200)가 설치된 승강부재(5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56)는 상기 커버(200)가 설치되는 베이스부(56a)와 상기 베이스부(56a)의 양측이 절곡되어 상기 변기(100)의 플랜지(101)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슬라이딩 결합부(55)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5)는 상호 대향되는 면이 개방된 찬넬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54)은 이송프레임(52)에 대해 승강부재(56)의 소정거리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부재(56)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송프레임(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봉(54a)들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봉(54a)은 이송프레임(52)에 형성된 관통공(54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가이드봉(54a)의 단부에는 걸림턱(54c)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54b)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그런데, 종래 발명의 문제점으로서, 상기 커버 분리수단(50)은 그 구조가 복잡하기도 하려니와 상하 좌우로 이동시에 정확한 위치에 정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고장이 빈번하게 되고, 변기에 부딪혀 파손이 일어나기도 하였으므로, 이의 설계가 정확하지 않으면,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용 침대에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자신이 간단한 조작으로 대변 및 소변 등의 뒷일처리를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환자가 이를 사용시에 사용이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침대의 중앙부의 개구의 개폐문을 개조하여 용변기의 배치가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 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제1 액튜에이터(36)가 외부에 노출되어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변기(100)의 하부 내부공간에 배치하여 하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변구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로서, 용변구(15)가 형성된 매트(16)의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양측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은 측단면으로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두께(a)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고, 그 하단 폭(c)은 상기 두께의 2~3배가 되고, 그 상단 폭(b)은 상기 폭(c) 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하며,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양측이 접합되는 개구부밀폐면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양측부에서 하향으로 경사면(214a, 214b)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일측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회전힌지점에는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와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과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을 힌지결합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에 의하여 한 쪽면만이 구동되는 한 쌍의 경첩(114a, 114b)을 형성하며, 상기 용변구(15)의 직하부에는 변기(100)를 승강하는 승강수단을 가지되, 상기 승강수단의 상부에는 용변기받침대(310)가 형성되면서, 그 하부로 좌우측 상부잭바(330a)(330b)가 상기 용변기받침대(310)의 좌우측으로 힌지축(331a)(331b)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상부잭바(330a)(330b)는 힌지축(341a)(341b)으로 그 하부로 좌우측 하부잭바(340a)(340b)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 하부잭바(340a)(340b)는 잭받침대(320)의 양측부에 형성된 좌우측 힌지연결측부(325)에 형성된 힌지축(342a)(342b)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승강수단(300)의 중간부분에 일측 힌지축(341a)에 힌지축지지가이드(35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지지가이드(352)는 중심부에 나선을 구비한 통공을 형성하여, 일측 힌지축(341b)에 형성된 숫나사회전축(351)이 상기 통공에 끼워져 통공 내부의 나선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숫나사회전축(351)은 힌지축지지원통부(353)에 끼워져 모터(350)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잭받침대(320)의 일측에는 받침대본체(322)의 양측으로 받침대접이보강판(326)이 좁게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잭받침대(320)의 타측에는 받침대본체(322)의 양측으로 받침대확장보강판(327)이 넓게 형성되어 넓은 공간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자용 침대는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보호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자신이 대변 및 소변 등의 뒷일처리를 위생적으로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분리수단(50)을 양쪽으로 개폐하도록 하여 그 구조를 간편하게 하였고, 상하로 개폐시 정확한 위치에 정착되도록 하게 됨으로써 고장이 없고, 변기에 부딪혀 파손이 일어나는 일도 없는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개폐문을 별도로 사각틀에 형성하여 침대바에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설치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환자 자신이 대변 및 소변을 스스로 처리를 함으로서 환자의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 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용변구와 결합된 커버는 변기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커버가 용변구의 하부로 처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액튜에이터(36)가 변기(100)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하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인의 종래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본 출원인의 종래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변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커버분리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출원인의 종래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변기와 승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9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용변구의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의 개략 결합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용변구의 승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변기와 승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9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용변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1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리(11), 침대프레임(12), 매트(16), 승강수단(30), 자동개폐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침대프레임(12)은 다리(11)가 설치되는 격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등받이부, 변기설치부위 등이 형성된다.
상기 매트(16)는 침대프레임(1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환자의 힙과 대응되는 영역에 용변구(15)가 형성되는데, 이 용변구는 환자의 배변 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형태는 원형,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변구(15) 위치의 매트(16)는 하부에 자동개폐장치(200)의 구성요소인 수평브라켓(112a,112b)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수단(30)은 변기(100)를 승강시켜 매트(16)의 용변구(15)와 밀착 및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침대 프레임(12)의 하부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고 변기(100) 또는 변기를 지지하는 케이스(미도시)가 지지되는 한 쌍의 상부 가이드레일(32)과,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32)의 하부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가이드 레일(31)과,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32)와 하부 가이드레일(31)을 연결하는 제 1,2펜터그래프 부재(33, 34),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32)과 하부 가이드레일(31)을 구동시키는 제 1액튜에이터(36)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상부 가이드레일(32)은 상호 대향되는 측에 상부 가이드홈(32a)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하부가이드 레일(31)은 상호 대향되는 측에 하부 가이드 홈(31a)이 형성된다.
상기 제 1,2펜터그래프 부재(33, 34)는 각각 상하부의 단부가 상기 상부가이드 홈(32b)과 하부 가이드홈(32a)에 지지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 바가 중앙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 34)의 후방에 위치된 단부는 상, 하부 가이드레일(31, 32)의 후단부측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제 1액튜에이터(36)는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32)과 하부 가이드레일(31)을 구동시키는 모터(36a)와 상기 모터(36a)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36b), 상기 회전축(36b)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6b)이 회전함에 따라 전,후진 되는 스크류(36c)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36a)로부터 회전축(36b)으로의 동력전달은 기어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액튜에이터(36)는 하부 가이드레일(31)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34)와 제1 액튜에이터(36)는 연결봉(35)에 의해 연결되어, 제1 액튜에이터(36)에 의해 상기 연결봉(35)을 상기 하부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전·후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가이드레일(31)에 대해 상부 가이드레일(32)을 승강시켜 변기(100)를 승강시킨다.
상기 자동개폐수단(200)은 상기 용변기(15)의 크기에 맞춰 형성되는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과 상기 매트(16)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과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중앙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하부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하며, 상기 매트(16)에 설치된 수평브라켓(112a, 112b)과 경첩(114a, 114b)과 작동축(211a, 211b)을 통해 연결 형성된다.
상기 개폐문(200a, 200b)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이에 따른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하부 일측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개폐시에 상기 작동축(211a, 211b)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시에 상호 모서리의 간섭 또는 개폐문 상호 회전과 변기 하강 타이밍의 차이에 의하여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변기(100)의 플렌지(101)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좌측에 있는 개폐문의 사이즈는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a)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그 상단 폭(b)은 상기 두께의 2~3배가 되고, 그 하단 폭(c)은 상기 두께(a)와 동일한 정도이거나 1.5배정도의 폭이 되되, 일측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개폐시에 좌측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회전힌지점(200aa)을 중심으로 우측상단모서리에 형성된 개폐문막음면(200ab)이 회전외곽점이 되어 작동축(211a, 211b)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시에 상호 모서리의 간섭 또는 개폐문 상호 회전과 변기 하강 타이밍의 차이에 의하여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변기(100)의 플렌지(101)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경사면의 경우에는 개폐문의 두께를 아주 얇게 설계가 정확할 경우에는 얇은 직사각 육면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은 상기 경첩(114a, 114b)과 작동축(211a, 211b)을 통해 상기 개폐문(200a, 200b)과 연결하는 기능과 함께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작동축(211a, 211b)은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설치되고, 일단에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와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는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여닫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써,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112b)에 연결된다.
상기 자동개폐수단(200)의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에서 발생한 동력이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을 통하여 개폐문(200a, 200b)으로 전달되면서 개폐된다. 이때 상기 개폐문(200a, 200b)은 경첩(114a, 114b)을 구비하고 있어, 안정적으로 다수의 횟수의 여닫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동개폐장치(200)과 변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은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변기를 용변구 측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트(16)에 형성된 용변구(15)와의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 변기는 오수 배출장치(수거수단)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오수배출장치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배설물 받이 탱크와, 물탱크 및 물을 변기에 펌핑하여 세척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의 개략 결합 사시도이다.
도 8~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용변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침대 아래에 용변구가 그대로 개폐문을 받쳐 일상생활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먼저, 환자가 대변이나 소변을 보고자 할 때에 동작스위치부(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승강수단(30)의 제 1액튜에이터(36)가 작용하여 상기 제 1,2팬터그래프(33)(34)의 연결봉(35)을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펜터그래프부재(33)(34)의 하단부가 벌어지면서 변기가 지지된 상부가이드레일(32)이 하강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변기(100)가 하강하면, 상기 자동개폐장치(200)을 작동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양측 개폐문(200a,200b)을 상기 회전모터(210a, 210b))에 의하여 좌우로 180도로 개폐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상기 양측 개폐문(200a,200b)이 분리 개폐되면, 제 1액튜에이터(36)에 의해 제1,2팬터그래프 부재(33)(34)가 좁혀짐 즉, 제 1,2팬터그래프부재(33)(34)의 단부가 상기 상하부 가이드 레일(31)(31)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변기(100)가 상승하여 용변구(15)에 밀착된다.
따라서, 환자는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상기 변기(100)에 용변을 볼 수 있다. 변기(100)로 유입되는 용변 즉, 소변과 대변은 오물배출장치에 의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환자의 변이 완료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액튜에이터(36)와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34)에 의해 변기(100)가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역순으로 상기 양측 개폐문(200a,200b)을 상기 회전모터(210a, 210b))에 의하여 좌우로 180도로 회전시켜 상기 용변구(15)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변기와 상기 양측 개폐문(200a,200b)이 닫히게 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변기가 상승하여 용변구(15)를 닫고 있는 양측 개폐문(200a, 200b)을 받쳐주게 되어 환자는 평상시의 침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변기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승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기(100) 및 승강수단의 상하부가이드레일(31)(32)의 구조는 동일하나, 제 1액튜에이터(36)의 배치가 방향이 바뀌면서, 변기(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2펜터그래프 부재(33)(34)의 하부 가이드 레일(31)(31)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전방에 위치되는 단부는 연결봉(35)에 의해 연결되고, 이 연결봉(35)은 제 1액튜에이터(36)에 의해 상기 하부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전후진 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31)(31)에 대해 상부 가이드레일(32)(32)을 승강시켜 변기(100)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제 1액튜에이터(36)는 모터(36a)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36b)과 상기 회전축(36b)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6b)이 회전함에 따라 전, 후진되는 스크류(36c)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36a)로부터 회전축(36b)으로의 동력전달은 기어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 변기는 오수 배출장치(수거수단)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오수배출장치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배설물 받이 탱크와, 물탱크 및 물을 변기에 펌핑하여 세척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는 일반가정이나 병원의 병실에 설치되어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 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도 14,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고, 그 하부의 승강수단이 다른 상태임을 참조하면 된다.
자동개폐장치(200)에 설치된 개폐문(200a, 200b)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이에 따른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하부 일측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개폐시에 상기 작동축(211a, 211b)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시에 상호 모서리의 간섭 또는 개폐문 상호 회전과 변기 하강 타이밍의 차이에 의하여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변기(100)의 플렌지(101)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좌측에 있는 개폐문의 사이즈는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a)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그 상단 폭(b)은 상기 두께의 2~3배가 되고, 그 하단 폭(c)은 상기 두께(a)와 동일한 정도이거나 1.5배정도의 폭이 되되, 일측에 경사면(214a, 214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개폐시에 좌측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회전힌지점(200aa)을 중심으로 우측상단모서리에 형성된 개폐문막음면(200ab)이 회전외곽점이 되어 작동축(211a, 211b)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시에 상호 모서리의 간섭 또는 개폐문 상호 회전과 변기 하강 타이밍의 차이에 의하여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변기(100)의 플렌지(101)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경사면의 경우에는 개폐문의 두께를 아주 얇게 설계가 정확할 경우에는 얇은 직사각 육면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은 상기 경첩(114a, 114b)과 작동축(211a, 211b)을 통해 상기 개폐문(200a, 200b)과 연결하는 기능과 함께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작동축(211a, 211b)은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설치되고, 일단에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와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는 상기 개폐문(200a, 200b)을 여닫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써,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112b)에 연결된다.
상기 자동개폐수단(200)의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에서 발생한 동력이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을 통하여 개폐문(200a, 200b)으로 전달되면서 개폐된다. 이때 상기 개폐문(200a, 200b)은 경첩(114a, 114b)을 구비하고 있어, 안정적으로 다수의 횟수의 여닫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동개폐장치(200)과 변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은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변기를 용변구 측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트(16)에 형성된 용변구(15)와의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 변기는 오수 배출장치(수거수단)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오수배출장치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배설물 받이 탱크와, 물탱크 및 물을 변기에 펌핑하여 세척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은 하부의 승강수단(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승강수단(300)의 상부에는 용변기받침대(310)가 형성되면서, 그 하부로 좌우측 상부잭바(330a)(330b)가 상기 용변기받침대(310)의 좌우측으로 힌지축(331a)(331b)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상부잭바(330a)(330b)는 힌지축(341a)(341b)으로 그 하부로 좌우측 하부잭바(340a)(340b)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 하부잭바(340a)(340b)는 잭받침대(320)의 양측부에 형성된 좌우측 힌지연결측부(325)에 형성된 힌지축(342a)(342b)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승강수단(300)의 중간부분에 일측 힌지축(341a)에 힌지축지지가이드(35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지지가이드(352)는 중심부에 나선을 구비한 통공을 형성하여, 일측 힌지축(341b)에 형성된 숫나사회전축(351)이 상기 통공에 끼워져 통공 내부의 나선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숫나사회전축(351)은 힌지축지지원통부(353)에 끼워져 모터(350)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잭받침대(320)의 일측에는 받침대본체(322)의 양측으로 받침대접이보강판(326)이 좁게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잭받침대(320)의 타측에는 받침대본체(322)의 양측으로 받침대확장보강판(327)이 넓게 형성되어 넓은 공간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 실시예에 대한 작동관계를 살펴본다.
상기 승강수단(300)의 상부에 형성된 용변기받침대(310)는 모터(350)에 의해 상기 힌지축지지가이드(352)의 중심부에 나선을 구비한 통공과, 여기에 끼워진 통공 내부의 나선에 의하여 상기 숫나사회전축(351)이 회전되어 길이가 조절되면서, 결국 높이가 조절되어 변기(1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 변기는 오수 배출장치(수거수단)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오수배출장치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배설물 받이 탱크와, 물탱크 및 물을 변기에 펌핑하여 세척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는 일반가정이나 병원의 병실에 설치되어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 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등록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환자용 침대
11: 다리
12: 프레임
12a: 메인 프레임
12b: 서브 프레임
15: 용변구
16: 매트
30: 승강수단
31: 하부 가이드레일
31a: 하부 가이드홈
32: 상부 가이드레일
32a,32b: 상부 가이드홈
33,34: 제 1,2펜터그래프 부재
35: 연결봉
36: 제 1액튜에이터
36a: 모터
36b: 회전축
36c: 모터
100: 변기
101: 플랜지
112a,112b: 수평 브라켓
200: 자동개폐장치
200a,200b: 개폐문
210a,210b: 회전모터
211a,211b: 작동축
214a,214b: 경사면

Claims (2)

  1. 용변구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로서, 용변구(15)가 형성된 매트(16)의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양측 수평 브라켓(112a, 112b)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은 측단면으로 보아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두께(a)가 상기 매트(16)의 두께와 동일하고, 그 하단 폭(c)은 상기 두께의 2~3배가 되고, 그 상단 폭(b)은 상기 폭(c) 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하며, 상기 개폐문(200a, 200b)는 양측이 접합되는 개구부밀폐면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양측부에서 하향으로 경사면(214a, 214b)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문(200a, 200b)의 일측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회전힌지점에는 한 쌍의 회전모터(210a, 210b)와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수평 브라켓(112a, 112b)과 한 쌍의 개폐문(200a, 200b)을 힌지결합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작동축(211a, 211b)에 의하여 한 쪽면만이 구동되는 한 쌍의 경첩(114a, 114b)을 형성하며, 상기 용변구(15)의 직하부에는 변기(100)를 승강하는 승강수단을 가지되, 상기 승강수단의 상부에는 용변기받침대(310)가 형성되면서, 그 하부로 좌우측 상부잭바(330a)(330b)가 상기 용변기받침대(310)의 좌우측으로 힌지축(331a)(331b)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상부잭바(330a)(330b)는 힌지축(341a)(341b)으로 그 하부로 좌우측 하부잭바(340a)(340b)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 하부잭바(340a)(340b)는 잭받침대(320)의 양측부에 형성된 좌우측 힌지연결측부(325)에 형성된 힌지축(342a)(342b)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승강수단(300)의 중간부분에 일측 힌지축(341a)에 힌지축지지가이드(35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지지가이드(352)는 중심부에 나선을 구비한 통공을 형성하여, 일측 힌지축(341b)에 형성된 숫나사회전축(351)이 상기 통공에 끼워져 통공 내부의 나선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숫나사회전축(351)은 힌지축지지원통부(353)에 끼워져 모터(350)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잭받침대(320)의 일측에는 받침대본체(322)의 양측으로 받침대접이보강판(326)이 좁게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잭받침대(320)의 타측에는 받침대본체(322)의 양측으로 받침대확장보강판(327)이 넓게 형성되어 넓은 공간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0170051418A 2017-04-21 2017-04-21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335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418A KR102335874B1 (ko) 2017-04-21 2017-04-21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418A KR102335874B1 (ko) 2017-04-21 2017-04-21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301A KR20180118301A (ko) 2018-10-31
KR102335874B1 true KR102335874B1 (ko) 2021-12-06

Family

ID=6409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418A KR102335874B1 (ko) 2017-04-21 2017-04-21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8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0831B2 (en) * 2017-03-31 2022-11-29 Portia Refilwe Mavhungu Seat arrangement for a wheelchair and a wheelchair including such a seat arrangement
KR102668266B1 (ko) * 2018-10-16 2024-05-23 장재호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117875B1 (ko) * 2019-07-08 2020-06-02 주식회사 일우텍 용변 자동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261A (ja) 2002-02-04 2003-08-12 Yoshio Yokota トイレを有するベッド
KR200343449Y1 (ko) 2003-11-25 2004-03-04 강호철 환자용 침대
KR100844442B1 (ko) 2007-04-27 2008-07-07 주식회사 해피베드 수거식 변기용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환자용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3A (ja) * 1974-06-24 1976-01-06 Yoshio Sugo Betsudo
JPS5623951A (en) * 1979-08-01 1981-03-06 Takuzou Teramae Bed for patient available in urine and excrement exhausion
JPH11239591A (ja) * 1998-02-24 1999-09-07 Akira Harada 便器付き療養ベッド
KR20000058591A (ko) * 2000-06-17 2000-10-05 홍길영 환자용 침대
KR100856669B1 (ko) * 2006-09-29 2008-09-26 (주)리파인드 환자용 침대
KR101254199B1 (ko) * 2010-12-30 2013-04-30 이앤에이웰(주) 환자용 기능성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261A (ja) 2002-02-04 2003-08-12 Yoshio Yokota トイレを有するベッド
KR200343449Y1 (ko) 2003-11-25 2004-03-04 강호철 환자용 침대
KR100844442B1 (ko) 2007-04-27 2008-07-07 주식회사 해피베드 수거식 변기용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환자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301A (ko)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876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하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0856669B1 (ko) 환자용 침대
KR102335874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CN107595512B (zh) 一种带大小便处理系统的护理床
WO2016150199A1 (zh) 一种护理床
KR101282765B1 (ko) 간병 침대
KR20050109396A (ko) 환자용 침대
KR102335877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하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200401864Y1 (ko)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
KR20190132758A (ko) 환자용 전동침대
CN211356364U (zh) 看护床
KR100671409B1 (ko)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KR102335875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US6976278B2 (en) Commode for wheelchair
KR102053502B1 (ko)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KR102668266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CN208958571U (zh) 一种护理床坐便器的翻转机构
CN110897802A (zh) 多功能组合式轮椅床护理系统
KR200362236Y1 (ko)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승강 개폐구조
CN108338876B (zh) 便捷式排便器
JP4123484B2 (ja) 患者用ベッド
KR200382227Y1 (ko)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CN110893138A (zh) 看护床
KR20060000227A (ko)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승강 개폐구조
KR200313185Y1 (ko) 환자용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