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502B1 -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502B1
KR102053502B1 KR1020170167128A KR20170167128A KR102053502B1 KR 102053502 B1 KR102053502 B1 KR 102053502B1 KR 1020170167128 A KR1020170167128 A KR 1020170167128A KR 20170167128 A KR20170167128 A KR 20170167128A KR 102053502 B1 KR102053502 B1 KR 102053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closing door
bed
b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7319A (ko
Inventor
지영도
Original Assignee
지앤씨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앤씨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지앤씨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5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2Dispensers of disposable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개시된 내용은, 침대에서 사용자들의 배변(대소변)처리에 제공되는 배변용기의 승강 작동 혹은 배변용기가 통과되는 도어의 개폐작동을 하나의 직선 구동 유니트에 의해서 실행하는 간결한 구성을 이루게 하고, 이로 인하여 안가로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한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이다.

Description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Bed-Type Feces and Urin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스스로 화장실에 가서 대소변을 볼 수 없어 침대에 누워서 배변(대소변)을 처리해야만 하는 환자들을 위한 침대형 배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드(Bed)부 하방으로부터의 배변용기의 올림 및 내림 작동과 아울러 배변용기가 통과하는 도어의 개폐 작동은 하나의 직선 구동 유니트 만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간결하게 구성한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생활 개선과 아울러 각 개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은 각 개인의 생존 수명을 늘어나게 하였으나, 수명 연장에 따른 노인성 환자들의 증가 폭 역시 커지고 있으며, 특히 노인성 환자중에는 질환 증가로 인해 자가 거동이 불가능한 중증 장애 환자들도 많이 생기고 있음이 현실정이다.
특히, 자가 거동이 불가능한 중증환자들의 경우 예컨데, 침대에 누운 상태를 벗어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인해, 배변을 볼때가 가장 큰 문제라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고 할 터인데, 예컨데 중증환자가 배변(대변 혹은 소변)을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호자가 부축해야 만하는 어려움이 있고, 특히 환자가 배설한 대변을 치울 때에는 악취 방지는 물론 옷이나 이불에 배변이 묻어 2차 질환이 발생되지 않게 위생적으로 처리해야만 하는 어려움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종래에도 침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침대에 누운체로 그대로 배변이 가능하고 이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배변 장치가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11074호에 공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에 의하면,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에 관한 것이라고 하여, 스위치 조작으로 실린더 모터가 작동하여 등판, 허벅지판이 둔부판에 대해 축봉을 기점으로 굴절되고 다리판이 허벅지판에 대해 축봉을 기점으로 굴절되면서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굴절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리스 프레임과, 상기 둔부판과 허벅지판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도어 매트리스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배변구와, 상기 매트리스 프레임을 굴절시 상기 도어 매트리스를 상기 다리판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변구를 개방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배변구의 하부로 배치되며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하며 상기 배변구에 배치되는 배변용기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전동침대의 굴절동작을 이용하여 최대한 앉는 자세와 유사한 자세로 침대에서 배변활동을 할 수 있으므로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청결한 배변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배변용기의 올림과 내림 작동 및 침대 베드부의 배변 용기의 도어를 별개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되게 하는 구성을 하고 있어, 구성 부품의 증가 요인되게 함은 물론 생산 가격을 상승 시키는 주 요인이 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누구든지 사용함이 쉬우면서도 적은 비용으로 안가(安價)로 생산할 수 있는 간결한 구성을 갖게 한 배변 처리기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공개특허 10-2016-001107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침대에서 사용자들의 배변(대소변) 처리에 제공되는 배변용기의 승강 작동 및 배변용기가 통과되는 도어의 개폐작동을 하나의 직선 구동 유니트 만으로 실행되는 간결한 구성으로 하고, 이로 인해 안가(安價)로 공급할 수 있게 한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는, 소정 각도로 절곡할 수 있게 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같이 소정각도로 절곡할 수 있게 분할체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위치되는 매트와 상기 매트와 같이 지지프레임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각들 이루어진 침대본체; 상기 지지프레임들의 양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입설되어 내부로 소정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지지판들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들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판들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게 설치되어 세정노즐과 세정된 배변을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배변용기의 사용여부에 따라 상기 매트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상기 개방부에 상응하는 크기를 이루어 상기 개방부를 상기 매트와 수평면 상태로 폐쇄할수 있게 한 장방형상의 도어몸체와 상기 도어몸체를 받치는 상태로 상기 도어몸체의 저면측에 설치되어 그 양측이 상기 지지판에 슬라이드되게 결합된 받침판부로 구성한 개폐도어; 상기 지지판들 각각의 상호 대향위치에서 양방향으로 상기 지지판들을 따라 홈을 이루며 레일 형태를 이루며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배변용기와 상기 개폐도어가 교대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와 아울러 상기 개방부를 통한 상기 배변용기의 출입이 교대로 진행할수 있게 하는, 상기 배변용기의 양측이 결합되게 상기 지지판들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지지판들의 외측을 향해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경사지게 설치된 제1경사 레일부들과 상기 제1경사 레일부들의 끝에서 상기 지지판의 외측으로 수평을 이루게 설치한 제1하부 수평레일부들로 구성된 제1안내 레일과, 상기 개폐도어의 양측이 결합되게 상기 지지판들의 상부에서 상기 제1안내 레일 보다는 높은 위치에서 상기 지지판들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경사지게 설치한 제2경사 레일부들과 상기 제2경사 레일부들에 연속하여 상기 지지판들의 외측 방향으로 수평을 이루게 설치된 제2하부 수평레일부들로 구성된 제2안내 레일; 상기 침대본체의 저부에서 상기 배변용기 및 상기 개폐도어가 연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와 상기 배변용기로 하여금 상기 제1,제2안내레일을 따라 교대로 상,하부로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개방부의 개폐와 아울러 상기 개방부를 통한 배변용기의 입출을 허용하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상기 제2안내레일의 일측에서 몸체는 상기 침대본체에 회동하게 지지되는 반면 롯드는 상기 개폐도어의 하측에 회동하게 결합된 구동실린더와 바(Bar)형상으로 구성되어 일단은 상기 개폐도어에 회동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배변용기의 가동판부에 회동되게 결합된 연동 링크바로 구성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침대에서 사용자들의 배변(대소변) 처리에 제공되는 배변용기의 승강 작동 및 배변용기가 통과되는 도어의 개폐작동을 하나의 직선 구동 유니트에 의해서 쉽게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간결한 구성으로 안가로 대량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부를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를 생락하고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1의 작동 상태를 저부에서 보아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으며,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100)는, 환자들의 사용 상태에 따라 소정각도로 절곡할수 있게 하며 위로는 매트(10)를 지지하는 장방형의 지지프레임(112)에 의해 침대본체(110)를 구성한다.
이 침대본체(11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는 소정 넓이의 지지판들(114-1,114-2)이(도2 참조) 설치되어 내부로는 필요한 설치 공간(116)을 제공한다.
상기 침대본체(110)에는 환자를 눕힌 상태로 자유자재로 편리한 이동을 위하여 바퀴가 달린 지지각(118)을 설치할 수 있고, 혹은 헤드판으로부터 지지되는 지지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도1로부터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매트(10)는 사용 환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12)과 같이 소정각도로 절곡할 수 있게 분할체들을 연결한 것인데, 이러한 구성은 상기 상기 지지프레임(112)과 같이 일반적인 구성이다.
도 2는 도 1의 저부를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를 생락하고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 상태를 저부에서 보아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100)의 핵심 구성을 잘 보여주게 표시한 것으로,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 구성인 개폐도어(120), 제1,제2안내 레일(140,150), 및 구동수단(1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개폐도어(120)는 매트(10)의 중앙에 설치되어 배변용기(130)의 출입(혹은 입출)을 허용하는 대략 장방형의 개방부(12)(도1 참조)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침대본체(110)의 저부에서 상기 지지판들(114-1,114-2)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판들(114-1,114-2)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게 하면서 상기 개방부(12)의 개,폐작용을 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개폐도어(120)는 상기 매트(10)의 개방부(12)에 상응하는 크기를 이루어 상기 개방부(12)를 상기 매트(10)와 평탄한 상태로 막을수 있게 한 장방형 도어몸체(122)와 이 도어몸체(122)를 받치는 상태로 상기 도어몸체(122)의 저면측에 고정 설치되어 그 양측을 상기 지지판들(114-1,114-2)의 제2안내레일(150)에 슬라이딩 이동하게 결합된 받침판부(12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받침판부(124)는 상기 배변용기(130) 및 상기 구동수단(160)유닛과 연동되게 연결되게 하고 있다.
상기 배변용기(130)는 상기 개폐도어(120)에 의한 개방부(12)의 개방시 개방된 개방부(12)를 통하여 자유롭게 출입하도록 하고자, 상기 배변용기(130)역시 상기 제2안내레일(150)과 마주 보면서 상기 제2안내레일(150)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제1안내레일(140)에 슬라이드되게 결합된 가동판부(132)에 고정설치하여 상기 제1안내레일(14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게 하였다.
상기 개폐도어(120)와 상기 배변용기(130)를 상,하로 슬라이드되게 안내하는 상기 제1,제2안내 레일(140,150)은, 상기 지지판들(114-1,114-2)의 각각의 상호 대향위치에서 양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배변용기(130)와 상기 개폐판(120)이 교대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지지하여 상기 개폐도어(120)의 개폐와 아울러 상기 개방부(12)를 통한 상기 배변기(130)의 출입(입출)이 교대로 진행할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제1,제2안내레일들(140,50)은 모두 상기 지지판들(114-1,114-2)을 따라 홈을 이루며 레일 형태로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배변용기(130)가 결합되는 상기 제1안내레일(140)은, 도면에서 보아 상기 지지판들(114-1,114-2)의 오른쪽 위치에서 상기 지지판들(114-1,114-2)의 외측을 향해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경사지게 설치된 한쌍의 제1경사 레일부들(142)과 이 제1경사 레일부들(142)의 끝에서 상기 지지판들(114-1,114-2)의 외측으로 수평을 이루게 설치한 제1하부수평 레일부들(144)로 구성하여, 상기 배변용기(130)의 가동판부(132)의 양측 두개의 지점들을 상기 제1안내레일들(140)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였다.
또한, 상기 개페도어(120)가 결합되는 상기 제2안내 레일(150)은 상기 지지판들(114-1,114-2)의 상부에서 상기 제1안내 레일(140) 보다는 높은 위치에서 상기 지지판들(114-1,114-2)의 외측 방향을 향하여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경사지게 설치된 한쌍의 제2경사 레일부들(152)과 이 제2경사 레일부들(152)에 연속하여 상기 지지판들(114-1,114-2)의 외측 방향으로 수평을 이루게 설치된 제2하부 수평레일부들(154)로 구성되어, 상기 배변용기(130)와 마찬가지로 상기 개페도어(120)의 받침판부(124)의 양측 두개 지점들을 상기 제2안내레일들(150)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였다.
상기 제1,제2안내 레일(140,150)에 슬라이드되게 결합된 상기 개폐도어(120)와 배변용기(130)는 하나의 구동 유닛 즉, 상기 구동수단(160)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160)으로부터 부여되는 구동력으로 작용될 수 있게 하였다.
즉, 상기 구동수단(160)은 상기 침대본체(110)(도1 참조)의 저부에서 상기 배변용기(130) 및 상기 개폐도어(120)와 연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120)와 상기 배변용기(130)로 하여금 상기 제1,제2안내레일(140,150)을 따라 교대로 상,하부로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개방부(12)를 개폐함과 아울러 개방되는 상기 개방부(12)를 통하여 상기 배변용기(130)의 출입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제2안내레일(140)의 일측에서 상기 침대본체(110)에 회동하게 힌지(162)되어 상기 개폐도어(120)의 하측 고정바(165)에 롯드의 선단을 회동하게 결합된 구동실린더(164)와,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일단은 상기 개폐도어(120)의 일측에 회동되게 힌지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배변용기(130)의 가동판부(132)에 회동되게 힌지된 연동 링크바(166)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100)를 다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작용 일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100)는 보통시에는 도 1내지 도3의 표시와 같이, 배변용기(130)는 침대본체(110)의 하부에 위치되는 반면 상기 배변용기(130)를 매트(10)의 상,하부로 출입을 허용하는 개방부(12)는 개폐도어(120)에 의해 막혀진 폐쇄상태를 이루게 하여 매트(10)위에서 환자들이 편안히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개폐도어(120)가 매트(10)의 개방부(12)를 막게 되면 배변용기(130)는 자동적으로 침대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이러한 작용 상태는 도2 및 도 3의 표시와 같이, 상기 구동 실린더(164)의 전진작동으로 상기 개폐도어(120)를 지지판들(114-1,114-2)의 제2안내레일(150)의 최고 상부 쪽으로 밀게 되면, 상기 개폐도어(120)는 상기 제2안내레일(150)의 최 상부로 위치하는 상태를 이루게 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도어(120)의 장방형 몸체부(122)가 이 장방형 몸체부(122)와 대응 위치에 형성된 개방부(12)의 내부로 삽입되어 개방부(12)를 막음에 의해, 매트(10)의 개방부(12)는 닫혀지게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개폐도어(120)가 개방부(12)를 막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개폐도어(120)와 연동 링크바(166)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있는 배변용기(130)는 상기 연동 링크바(166)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로 밀려서 상기 제1안내레일(140)의 제1하부수평 레일부들(144)에 상기 배변용기(130)를 받치고 있는 가동판부(132)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환자가 배변용기(130)를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 상기 개폐도어(120)에 의해 폐쇄된 개방부(12)의 개방과 아울러 침대본체(1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던 배변용기(130)를 개방된 개방부(12)를 통해 환자가 위치하고 있는 매트(10) 상부로 돌출되게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개방부(12)를 통한 배변용기(130)의 매트(10)상부로의 노출 이동은, 도2 및 도3과 같이, 신장 상태를 이루고 있던 구동실린더(164)의 후진 작동으로 실행된다. 상기 구동실린더(164)의 후퇴 이동은, 도4 및 도5의 표시와 같이, 양측 지지판들(114-1,114-2)의 제2안내레일들(150)의 제2경사레일부들(152)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2경사레일부들(152)의 정상에 위치하여 있던 개폐도어(120)의 받침판부(124)를 지지판들(114-1,114-2)의 하방을 향해 경사진 상기 제2경사레일부들(152)쪽으로 당기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개방부(12)내부로 헐겁게 삽입되어 개방부(12)를 막고 있던 개폐도어(120)는 상기 매트(10)의 개방부(12)로부터 이탈되면서 제2경사레일부들(152)을 타고 제2경사레일부들(152)의 하방으로 신속히 슬라이드되게 한 후 연속하여 제2경사 레일부들(152)의 하단에 연장 설치된 제2하부 수평레일부들(154)을 따라 슬라이드되게 하여 매트(10)하부로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침대본체(110)의 제1하부 수평 레일부들(144)에 위치하여 있던 상기 배변용기(130)는, 상기 개폐도어(120)의 슬라이드시 그 개폐도어(120)에 연결된 연동 링크바(166)가 배변용기(130)를 당기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배변용기(130)는 자동적으로 도 4 및 도5의 표시와 같이, 제1하부 수평 레일부들(144)로부터 이에 연속되는 상기 제1경사 안내레일(142)를 따라 매트(10)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개폐도어(120)의 이동으로 개방되어진 상태를 이루는 개방부(12)를 통하여 매트(10)위로 노출되어져서 매트(10)에 위치하여 있던 환자로 하여금 상기 배변용기(130)를 통하여 배변을 볼수 있게 한다.
상기 배변용기(130)에 배변을 보고 환자의 뒷처리를 완료 후, 다시 구동실린더(164)의 롯드가 신장되게 전진 작동시키게 되면, 다시 도 2 및 도3의 표시와 같이, 배변용기(130)는 원래 위치인 제1안내레일(140)의 최하부에 위치하게 하는 반면, 상기 개폐도어(120)는 배변용기(130)가 위치하여 있던 매트(10)의 개방부(12)로 올라가서 개방부(12)를 막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개폐도어(120)와 배변기(130)가 교대로 상,하로 이동하면서 개방부(12)를 막거나 혹은 배변기(130)가 개방된 개방부(12)를 통하여 매트(10)상부로 돌출되게 하는 작용은, 기존(상기 특허문헌들 참조)의 여러 구동유닛에 의해서 실행되게 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구동유닛만으로 실행되게 한 점에서 기존의 장치에 비하여 구동 구성이 간결하게 되는 유리한 점이 있다.
상기 배변용기(130)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환자의 항문을 세정하는 세정노즐과 아울러 세정된 배변을 강제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배출관이 연결되는 배출구(134)가 설치될수 있다.
또, 상기 개폐도어(120)와 배변용기(130)의 제1,제2안내레일(140,150)로부터의 슬라이드되게 이동을 시킴에 있어 마찰이적고 소음 없이 부드럽게 이동 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폐도어(120)와 배변용기(130)에는 안내롤러 혹은 구름 베어링 등을 채용할 수 있음을 상기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부터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표시나 설명은 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작동에 얼마든지 원격 혹은 자동 제어수단을 채용하여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음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매트
12 : 개방부
100 :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110 : 침대본체
120 : 개폐도어
122 : 장방형 도어몸체
124 : 받침판부(124)
130 : 배변용기
132 : 가동판부
140,150 : 제1,제2안내 레일
142,152 : 제1,제2경사레일부
144,154 : 제1,제2하부 수평레일부
160 : 구동수단
162 : 힌지
164 : 구동실린더
165: 고정바
166 : 연동 링크바

Claims (6)

  1. 소정 각도로 절곡할 수 있게 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같이 소정각도로 절곡할 수 있게 분할체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에 올려 놓을 수 있게 하는 매트와 상기 매트와 같이 지지프레임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각들 이루어진 침대본체;
    상기 지지프레임들의 양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입설되어 내부로 소정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지지판들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들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판들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게 설치되어 세정노즐과 세정된 배변을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배변용기의 사용여부에 따라 상기 매트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상기 개방부에 상응하는 크기를 이루어 상기 개방부를 상기 매트와 수평면 상태로 폐쇄할수 있게 한 장방형상의 도어몸체와 상기 도어몸체를 받치는 상태로 상기 도어몸체의 저면측에 설치되어 그 양측이 상기 지지판에 슬라이드되게 결합된 받침판부로 구성한 개폐도어;
    상기 지지판들 각각의 상호 대향위치에서 양방향으로 상기 지지판들을 따라 홈을 이루며 레일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배변용기와 상기 개폐도어가 교대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와 아울러 상기 개방부를 통한 상기 배변용기의 출입이 교대로 진행할수 있게 하는, 상기 배변용기의 양측이 결합되게 상기 지지판들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지지판들의 외측을 향해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경사지게 설치된 제1경사 레일부들과 상기 제1경사 레일부들의 끝에서 상기 지지판의 외측으로 수평을 이루게 설치한 제1하부 수평레일부들로 구성된 제1안내 레일과, 상기 개폐도어의 양측이 결합되게 상기 지지판들의 상부에서 상기 제1안내 레일 보다는 높은 위치에서 상기 지지판들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경사지게 설치한 제2경사 레일부들과 상기 제2경사 레일부들에 연속하여 상기 지지판들의 외측 방향으로 수평을 이루게 설치된 제2하부 수평레일부들로 구성된 제2안내 레일; 및
    상기 침대본체의 저부에서 상기 배변용기 및 상기 개폐도어가 연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와 상기 배변용기로 하여금 상기 제1,제2안내레일을 따라 교대로 상,하부로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개방부의 개폐와 아울러 상기 개방부를 통한 배변용기의 입출을 허용하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상기 제2안내레일의 일측에서 몸체는 상기 침대본체에 회동하게 지지되는 반면 로드는 상기 개폐도어의 하측에 회동하게 결합된 구동실린더와 바(Bar)형상으로 구성되어 일단은 상기 개폐도어에 회동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배변용기의 가동판부에 회동되게 결합된 연동 링크바로 구성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67128A 2017-12-07 2017-12-07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KR102053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28A KR102053502B1 (ko) 2017-12-07 2017-12-07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28A KR102053502B1 (ko) 2017-12-07 2017-12-07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319A KR20190067319A (ko) 2019-06-17
KR102053502B1 true KR102053502B1 (ko) 2019-12-09

Family

ID=6706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128A KR102053502B1 (ko) 2017-12-07 2017-12-07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535A (ko) 2021-02-04 2022-08-11 박찬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변처리 환자용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2515B (zh) * 2020-09-11 2022-04-19 南通市第一人民医院 一种用于重症监护室患者用转运床垫
CN114469569B (zh) * 2022-01-13 2024-01-12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便盆可自动收放的病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5870A1 (en) 2010-10-26 2013-07-25 Takayuki Ishida Bed for nursing care
WO2016013805A1 (ko) * 2014-07-21 2016-01-28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켄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322A (ja) * 1993-08-18 1995-02-28 Kimura Giken:Kk トイレ付きベッドシステムのカバー構造
KR101254199B1 (ko) * 2010-12-30 2013-04-30 이앤에이웰(주) 환자용 기능성 침대
KR101282765B1 (ko) * 2011-10-13 2013-07-05 김길섭 간병 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5870A1 (en) 2010-10-26 2013-07-25 Takayuki Ishida Bed for nursing care
WO2016013805A1 (ko) * 2014-07-21 2016-01-28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켄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535A (ko) 2021-02-04 2022-08-11 박찬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변처리 환자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319A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502B1 (ko)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US8510881B1 (en) Hospital bed with retractable mattress section and removable bed pan
US10292549B2 (en) Flush toilet capable of correcting defecation posture
KR100842565B1 (ko)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
CN106214396B (zh) 一种辅助床上排便护理床
EP2338457A2 (en) Medical bed
KR101067983B1 (ko) 거동불편자의 목욕과 이동을 돕기 위한 목욕의자
KR102335876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하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1282765B1 (ko) 간병 침대
KR20080029590A (ko) 환자용 침대
KR101837799B1 (ko) 이동식 변기
CN113057814B (zh) 一种可智能控制的康复理疗护理装置
US3503083A (en) Invalid's bed adjustable to sitting up position and having toilet facilities
CN211356364U (zh) 看护床
CN2362476Y (zh) 多功能自动护理床
KR102335874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CN203341952U (zh) 一种便于便后清理的护理轮椅
KR102335877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하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335875B1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CN110893138A (zh) 看护床
JP2001212185A (ja) 排便装置付ベッド
KR200362236Y1 (ko)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승강 개폐구조
CN200991372Y (zh) 一种轮椅座便器
KR20060000227A (ko)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승강 개폐구조
CN213911131U (zh) 一种按摩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