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799B1 - 이동식 변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799B1
KR101837799B1 KR1020140024615A KR20140024615A KR101837799B1 KR 101837799 B1 KR101837799 B1 KR 101837799B1 KR 1020140024615 A KR1020140024615 A KR 1020140024615A KR 20140024615 A KR20140024615 A KR 20140024615A KR 101837799 B1 KR101837799 B1 KR 101837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bowl
seat
main body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731A (ko
Inventor
도모유키 아오야마
겐? 이시이
겐šœ 이시이
료타 하야시다
Original Assignee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4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05Auxiliary or portabl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변기 본체부에 팔걸이를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다음, 사용자의 발밑의 배치나 다리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높이고, 그리고 사용자가 작은 움직임으로 변기 시트의 후방에 깊이 걸터앉을 수 있도록 한 이동식 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식 변기의 평면 부분의 외형을 대략 사각형으로 하고, 이동식 변기의 전단부의 양측을 변기 시트의 개구부의 선단부보다 후방으로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켜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의 발밑의 배치나 다리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사용자가 작은 움직임으로 변기 시트의 후방에 깊이 걸터앉을 수 있도록 한 이동식 변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식 변기{PORTABLE TOILET}
본 발명은, 회동 가능한 변기 시트를 구비한 이동식 변기(이동식 간이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면 부분이 대략 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는 이동식 변기에 있어서, 이동식 변기의 전단부의 양측을 변기 시트의 개구부의 선단부보다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켜 후퇴시키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착석 위치의 자유도를 높인 이동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고령자 및 신체 장애인이 거실 등에서 배설하기 위해서, 이동식 변기(이동식 간이 변기)가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근래의 이동식 변기는, 고령자 및 신체 장애인의 사용을 고려하여 팔걸이나 등받이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변기 시트가 놓여지는 앉는 부분의 평면 부분은, 팔걸이나 등받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형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 많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은 평면 부분이 대략 사각형인 이동식 변기에 있어서, 변기 시트의 외형을 변기 시트의 개구부와 대략 유사한 형상의 O형상으로 해버리면, O형상의 변기 시트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부분과의 사이에 O형상의 변기 시트의 바깥가장자리를 따라 빈틈이나 단차가 생기고, 그리고 상기 빈틈이나 단차는, 착석한 사용자의 대퇴부의 뒤편을 경사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변기 시트의 외형을 O형상으로 한 이동식 변기에서는,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착석한 후, 다리를 움직이거나 하면, 대퇴부 뒤편의 피부가, 변기 시트와 변기 본체의 평면 부분과의 사이에 생긴 빈틈이나 단차에 끼워져 다칠 수 있다고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평면 부분이 대략 사각형인 이동식 변기에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000387호 공보(특허 문헌 1)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40165호 공보(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52256호 공보(특허 문헌 3) 중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변기 시트의 외형도 대략 사각형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변기 시트와 변기 본체의 평면 부분과의 사이에 생긴 빈틈이나 단차가 사용자의 대퇴부 뒤편을 경사 방향으로 횡단하지 않도록 한 변기 시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근래의 이동식 변기는, 평면 부분이 대략 사각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고, 대략 사각형의 변기 시트를 부착하고 있는 타입이 주류가 되고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것과 같은 평면 부분이 대략 사각형인 이동식 변기는, 평면 부분이 O형상인 붙박이식의 서양식 변기에 비하여 이동식 변기의 전단부의 양단이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동식 변기의 변기 시트의 후방에 걸터앉으려고 하면, 무릎의 뒤편이 상대적으로 전방 측에서 이동식 변기의 전단부에 접촉해버리므로, 깊게 걸터앉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식 변기에는 통상 팔걸이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무릎의 뒤편이 상대적으로 전방 측에서 이동식 변기의 전단부에 닿지 않도록 이동식 변기의 전단부의 양단을 변기 본체부의 후방으로 후퇴시키면, 이동식 변기의 평면부에서 팔걸이를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000387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40165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52256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평면 부분이 대략 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는 이동식 변기 에 있어서, 변기 본체부의 평면 부분에 팔걸이의 지지기둥를 부착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변기 본체부의 전단부가 착석한 사용자 다리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이, 동시에 사용자가 변기 시트의 후방에 깊이 앉을 수 있는 이동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변기 본체부의 표면으로부터 리브 등의 돌기물이나 단차를 없애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 다리가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발밑의 배치나 다리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높여 그 결과, 사용자기 작은 움직임으로 이동식 변기로부터 일어설 수 있고 이동식 변기에 착석할 수 있는 이동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회동 가능한 변기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평면 부분이 대략 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는 이동식 변기의 형상이나 배치에 관하여 열심히 검토를 거듭한 결과, 변기 본체부의 평면 부분의 외형을 대략 사각형으로 하고, 변기 본체부의 전단부 양측을 변기 시트의 개구부 선단부보다 후방으로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켜 후퇴시키는 것에 의하여, 팔걸이의 지지기둥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사용자가 변기 시트의 후방에 깊이 앉을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하면, 테두리벽에 의해서 구획된 제1 개구부를 가지는 상면부를 구비한 변기 본체부와, 주위가 닫힌 제2 개구부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상면부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변기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변기 본체부의 상면부는, 변기 시트를 변기 본체부의 상기 상면부에 얹어놓은 상태에 있어서,상면부의 외측에서, 변기 시트의 제2 개구부의 선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변기 본체 단부(端部)로부터 상면부의 뒷부분까지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된 제1 측단부와, 제1 측단부의 반대측으로서 상면부의 외측에서, 변기 시트의 제2 개구부의 선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변기 본체 단부로부터 상면부의 뒷부분까지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된 제2 측단부와, 변기 시트의 제2 개구부의 선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변기 본체 돌출부를 경유하여,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된 변기 본체 전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이동식 변기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는, 주위가 닫힌 개구부를 가지는 변기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의 변기 본체부는, 변기 시트를 변기 본체부의 상면부에 얹어놓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의 외측에서, 변기 시트의 개구부의 선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변기 본체 단부로부터 변기 본체부의 뒷부분까지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측단부를 가지고 있다. 또, 변기 본체부는, 제1 및 제2 측단부의 변기 본체 단부와는 반대로, 변기 시트의 개구부의 선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변기 본체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변기 본체부의 앞부분에는, 제1 변기 본체 단부로부터 상기 돌출부를 경유하여 제2 변기 본체 단부까지 연장된 변기 본체 전단부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이동식 변기란, 고령자 및 신체 장애인이 거실 등에서 배설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특허 문헌 1~3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이동식 간이 변기를 의미한다. 또, 이동식 변기의 개념에는, 주로 수지 재료로 제작되고 있는 이동식 변기 외, 예를 들면 이동식 변기의 변기 이외의 바깥 프레임이나 다리부, 팔걸이, 등받이 등이 목재 등의 재료로 제작되고 있는, 이른바 가구 타입의 이동식 변기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측단부」란, 평면도에서 표시되는 이동식 변기의 윤곽 및 상기 윤곽을 형성하는 단면(端面)을 의미한다. 또 「대략 직선상」이란, 떨어진 2점을 대략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선분을 의미하며, 거리적으로 직선과 대략 동일하다면 엄밀한 의미의 직선뿐만 아니라, 다소 "く"자 형상으로 구부러지거나 꺾인 선이나 큰 호를 그리도록 다소 구부러진 곡선도 포함된다. 이 때문에, 측단부는 그 대부분이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있으면 족하며, 측단부의 일부에, 예를 들면 이동식 변기 본체부의 다리부 지지기둥을 수용하기 위한 팽창부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앞부분」이란, 어른인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착석했을 때, 사용자의 배 측에 배치되는 변기 시트 및 이동식 변기의 전방 부근의 영역을 의미하며, 「뒷부분」이란, 어른인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착석했을 때, 사용자의 등 측에 배치되는 변기 시트 및 이동식 변기의 후방 부근의 영역을 의미한다. 또, 이동식 변기의 측단부의 「변기 본체 단부(端部)」란, 이동식 변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측 단부가, 이동식 변기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변기 본체 전단부로 실질적으로 방향 전환하는 코너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코너 부분은 각이 진 것뿐 아니라, 라운드진 모서리부라도 좋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동식 변기는, 변기 본체부의 평면 부분 위에 한 쌍의 대략 평행으로 배치된 팔걸이를 부착하는 공간을 확보한 후 컴팩트화를 꾀하고 있으므로, 변기 본체부의 제1 측단부는 실질적으로 제2 측단부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는, 제1 변기 본체 단부로부터 변기 본체 돌출부를 경유하여 제2 변기 본체 단부까지 연장된 변기 본체 전단부를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전단부는 제1 변기 본체 단부와 변기 본체 돌출부의 사이에 제1 변곡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제2 변기 본체 단부로부터 변기 본체 돌출부까지의 사이에 제2 변곡점을 가지고 있는 곡선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변곡점」은, 변기 본체 전단부가 변기 본체부의 후방으로 향해서 볼록한 상태로부터 변기 본체부의 전방을 향해서 볼록한 상태로 변화하는 부분이면 족하며, 상기 변화하는 부분은 점인 경우뿐만 아니라, 직선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는, 평면 부분이 사각형인 변기 본체부에 비해 변기 본체 전단부의 양단 구역이 변기 본체부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여 후퇴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동식 변기의 변기 시트의 후방에 앉으려고 해도, 변기 본체부의 전단부가 사용자의 무릎 뒤편에 닿아서 장애가 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 변기 시트의 후방에 깊이 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는, 변기 본체 전단부의 중앙 부분이 상기 전단부의 양단 구역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변기 시트의 후방에 깊이 걸터앉으면, 상기 전단부의 변기 본체 돌출부가 사용자의 양 무릎의 내측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양 다리를 벌리도록 유도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자연히 배설이 용이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남성 사용자의 경우 성기를 하방으로 용이하게 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배뇨가 변기 시트의 선단부나 변기 본체 전단부의 돌출부를 넘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에 부착되는 변기 시트는, 변기 시트가 변기 본체부의 상면부에 얹혀졌을 때, 변기 본체부의 전단부와 대략 병행으로 배치되는 앞테두리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의 앞부분 또는 일부가 변기 본체부의 전단부와 대략 동일 형상이라면, 사용자가 이동식 변기의 변기 시트의 후방에 앉으려고 해도, 종래의 앞테두리의 양단 구역이 후퇴하지 않은 변기 시트와 비교해서, 변기 본체부의 전단부와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가 사용자 무릎 뒤편에 닿아서 장애가 되는 일이 없고, 그리고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의 다리의 피트감도 높일 수 있다. 또,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의 앞부분 또는 일부가 변기 본체부의 전단부와 대략 동일 형상이면, 변기 본체 전단부의 변기 본체 돌출부와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의 돌출부는 협동하여 사용자의 양 무릎의 안쪽에 넓게 접촉하므로, 사용자의 양다리를 부드럽게 열리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양다리를 벌린 자세는, 배설 후, 사용자가 엉거주춤하게 선자세를 취하는 일 없이, 자력으로 앞쪽으로부터 배변을 닦아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사용자가 수발을 드는 사람이나 간병인이 배변을 닦아 내주지 않으면 안되는 고령자나 간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인 경우라 하더라도, 간병인 등은 사용자를 껴안는 일없이 사용자의 배변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간병인 등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기 본체 전단부의 곡선부는, 제1 변기 본체 단부와 제1 변곡점 사이에서 변기 본체부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한 제1 만곡부와, 제2 변기 본체 단부와 제2 변곡점의 사이에서 변기 본체부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한 제2 만곡부와, 그리고 제1 변곡점과 제2 변곡점의 사이에서 변기 본체부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한 제3 만곡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처럼, 변기 본체 전단부의 양단 구역의 곡선부가 변기 본체부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고, 또한 변기 본체 전단부의 중앙 부분의 곡선부가 변기 본체부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으면, 사용자가 변기 시트의 후방에 깊이 걸터앉았을 때, 변기 본체 전단부의 양단 구역의 형상은 사용자의 무릎의 뒤편에 꼭 맞게 되므로, 사용자의 양다리를 부드럽고 스무스하게 벌려지도록 유도한다. 게다가 상술한 변기 본체 전단부의 형상은,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앉을 때의 자기의 다리를 두는 위치의 표지(標識)가 되어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는 변기 본체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변기 본체부는, 상부가 개구한 박스부로서, 개구의 개구 테두리로부터 박스부의 하방으로 한 후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는 전면부를 가지고 있는 박스부와, 박스부의 개구 테두리로 접속되는 상면부로 분할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에 대한 변기 본체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는, 변기 본체부의 개구 테두리나 측면에 되접어 꺾은 형상의 리브나 보강 리브 등을 마련하는 방법이나, 혹은 변기 본체부의 각 면에 패널을 배치하여, 변기 본체부를 이른바 박스 구조로 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특히 개구 테두리의 되접어 꺾은 리브는, 구조상 변기 본체부에서 외부로 돌출한 돌기물이 되므로, 변기 본체부에 이러한 리브를 마련하면, 사용자가 이동식 변기에서 또는 이동식 변기 근방에서 다리를 움직일 때에 다리를 거는 장애물이 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리브 등의 돌기물을 없애는데 유리한 박스 구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특히 변기 본체부의 전면부로부터, 사용자의 다리 등이 걸릴 가능성이 있는 돌기물이나 단차를 없애서, 변기 본체부의 전면부를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 일반적으로 변기 본체부를 박스 구조로 하면, 변기 본체부의 성형성이나 메인터넌스성이 저하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른바 2피스 구조를 채용하여, 변기 본체부를, 상부가 개구된 박스부와 상기 개구의 개구 테두리에 비스 등에 의해 연결되는 상면부의 2개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박스부와 상면부는 모두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으로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 저비용으로 튼튼한 이동식 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는, 박스부의 전면부를, 개구의 테두리로부터 박스부의 하방으로 또한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기의 발 밑을 변기 본체부의 전단부 또는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의 바로 밑 또는 그 후방까지 끌어당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에서는, 사용자가 이동식 변기로부터 일어설 때 및/또는 이동식 변기에 착석할 때의 체중 이동은 주로 상하 방향의 이동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이동식 변기로부터의 일어섬 이동식 변기에의 착석이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는, 박스부의 외면을 상면부의 외면과 면이 일치되게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는, 상술한 것처럼 변기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의 양다리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변기 본체부의 전단부의 형상을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와 대략 동일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박스부의 외면을 상면부의 외면과 면이 일치되게 접속하면, 변기 본체부의 전단부로부터 변기 본체부의 하방에 향하여,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표면 형상을 가지는 전면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박스부의 외면을 상면부의 외면과 면이 일치되게 하면, 변기 본체부의 전면부로부터 돌기물이나 단차를 배제하여, 변기 본체부의 전면부를 한층 더 매끄러운 형상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의 중앙 부분의 돌출부를,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로부터 변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변기 시트의 후방에 깊게 앉았을 때 사용자의 양다리를 벌리도록 유도하는 것을 보다 유연하게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기 본체부의 상면부는, 프레임부와, 테두리벽에 의해서 구획된 제1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또한 프레임부의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이부로 분할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기 본체부의 상면부는, 팔걸이나 등받이를 지지하고, 그리고 박스부와 접속되는 것에 의해서 변기 본체부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변기 시트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또한 제1 개구부를 구획하는 테두리벽을 사이에 두고 제1 개구부의 안으로 통을 매달도록 지지하기 위해서도 기능한다. 이 때문에 변기 본체부의 상면부 안, 특히 제1 개구부나 그 주변부는 사용자의 배설물이나 먼지 등에 의해서 더러워지기 쉬워, 적절한 세정이나 닦아내는 등의 청소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변기 본체부의 상면부를 제1 개구부나 그 주변부 로 이루어지는 받이부와, 상기 받이부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부로 분할함으로써, 받이부를 변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식 변기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받이부가 변기 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구조라면, 변기 본체부는 반드시 프레임부(받이부를 제외한 상면부)와 박스부로 분리되고 있을 필요가 없고, 프레임부와 박스부가 일체로 된 이른바 1피스 구조라도 좋다.
또한 받이부는, 받이부의 제1 개구부 주위로 물받이 형상의 홈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의 배설물 등이 변기 본체부의 다른 부위로 늘어지거나 비산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변기 시트나 덮개부를 받이부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면, 받이부를 이용하여 한 번에 변기 시트와 덮개부를 변기 본체부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이동식 변기의 청소가 한층 더 용이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에 부착되는 변기 시트의 특징에 대해 서술한다.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에 부착되는 변기 시트는, 변기 시트를 변기 본체부의 상면부에 얹어놓았을 때, 변기 본체부의 제1 측단부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옆테두리와, 그리고 변기 본체부의 제2 측단부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옆테두리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기 시트의 제1 및 제2 옆테두리를, 각각 변기 본체부의 제1 및 제2 측단부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면, 변기 시트의 외형도 대략 사각형이 되어, 변기 시트와 변기 본체부의 상면부와의 사이에 생긴 빈틈이나 단차를 착석한 사용자의 대퇴부 외측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것과 같은 제1 및 제2 옆테두리를 가지는 변기 시트는, 변기 시트와 변기 본체부의 상면부와의 사이에 생긴 빈틈이나 단차가 착석한 사용자의 대퇴부의 뒤편을 경사 방향에 횡단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대퇴부 뒤편의 피부가, 변기 시트와 변기 본체부의 상면부와의 사이에 생긴 빈틈이나 단차에 끼워진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이동식 변기의 팔걸이도 변기 본체부의 측단부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변기 본체부의 측단부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옆테두리를 가지는 변기 시트를, 팔걸이나 팔걸이를 지지하는 지지기둥에 인접하게 배치해도, 변기 시트의 회동시, 변기 시트가 팔걸이나 팔걸이를 지지하는 지지기둥과 간섭하는 일이 없고, 그리고 그 결과 좌우 팔걸이의 사이에서 변기 시트의 시트면을 최대한으로 큰 크기로 할 수 있다.
만약, 변기 시트의 옆테두리를 변기 본체부의 측단부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지 않고, 예를 들면 「八자 모양」으로 배치하면, 변기 시트의 시트면을 필요한 충분한 크기로 했을 경우, 변기 시트의 폭이 최대가 되는 부분은 팔걸이나 팔걸이를 지지하는 지지기둥과 간섭하게 된다. 반대로, 변기 시트의 폭이 최대가 되는 부분을 팔걸이나 팔걸이를 지지하는 지지기둥과 간섭하지 않는 크기로 했을 경우, 허용되는 좌우 팔걸이 간의 최대 거리는 정해져 있으므로 변기 시트의 외형 폭은 상대적으로 작아져, 그 결과 변기 시트의 시트면을 필요한 충분한 크기로 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또한, 이동식 변기가 팔걸이 및 상기 팔걸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은 대략 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는 변기 시트는, 변기 시트의 앞쪽 양단부(코너 부분)를 팔걸이의 지지기둥보다 전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여기서 변기 시트의 「단부(端部)」란, 변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옆테두리가, 변기 시트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앞테두리로 실질적으로 방향 전환하는 코너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코너 부분은 각이 지게 한 부분뿐만 아니라, 라운드진 모서리부로 하여도 좋다.
변기 시트의 앞쪽의 양단부를 팔걸이의 지지기둥보다 전방으로 배치하면, 변기 본체부의 전단부의 형상을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와 대략 동일 형상으로 하면서도, 팔걸이의 지지기둥을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을 변기 본체부에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기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는, 자기의 양다리를, 특히 외측으로 향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에서 사용되는 변기 시트는, 제1 옆테두리의 접선과 직교하는 단면(端面)에 있어서 대략 직선상으로 나타나는 제1 시트면으로서, 수평면에 대해 개구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제1 시트면의 경사각도가 변기 시트의 뒷부분으로부터 앞부분으로 향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그 후 연속적으로 감소하여 대략 수평이 되도록 형성된 제1 시트면과, 제2 옆테두리의 접선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대략 직선상으로 나타나는 제2 시트면으로서, 수평면에 대해 개구부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제2 시트면의 경사각도가 변기 시트의 뒷부분으로부터 앞부분으로 향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며, 그 후 연속적으로 감소하여 대략 수평이 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2 시트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변기 시트는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제1 시트면과 제2 시트면을 가지고 있고, 제1 및 제2 시트면의 경사는, 모두 변기 시트의 뒷부분으로부터 앞부분으로 향함에 따라 개구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심해지며, 그 후 연속적으로 완만하게 되며, 그리고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 부근에서 대략 수평이 된다. 한편, 여기서 시트면의 「경사각도」란, 옆테두리의 접선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대략 직선상으로 나타나는 시트면의 대표적인 구배를 나타내는 선분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의미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및 제2 시트면은,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착석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둔부가 변기 시트의 개구부의 안으로 푹 들어가도록 유도한다. 그 결과, 제1 및 제2 시트면은 사용자의 둔부의 피부를 시트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들어올려 사용자의 항문을 열게 하므로, 사용자의 배설을 용이하게 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변기 시트의 단면에서 대략 직선상으로 나타나는 시트면은, 반드시 변기 시트의 단면이 직선으로 나타나는 평면만으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시트면의 경사에 따라서 상술한 깊숙이 들어가는 얻을 수 있는 것이면, 다소 하방으로 움푹 패인 곡면이나 상방으로 부풀어오른 곡면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시트면의 경사각도는, 제1 옆테두리의 접선과 직교하며 또한 개구부의 폭이 최대가 되는 치수선을 통과하는 변기 시트 단면에서 최대가 되며, 그리고 제2 시트면의 경사각도는, 제2 옆테두리의 접선과 직교하고 동시에 개구부의 폭이 최대가 되는 치수선을 통과하는 변기 시트 단면에서 최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시트면의 경사각도와 제2 시트면의 경사각도가, 변기 시트의 개구부의 폭이 최대가 되는 위치에서 최대가 되도록 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변기 시트에 착석했을 때, 사용자의 항문은, 제1 및 제2 시트면에 의해서 변기 시트의 개구부의 폭이 최대가 되는 치수선의 중점(中點) 부근으로 유도되므로, 사용자의 배변은 변기 시트의 하방에 설치된 통 안의 소정의 위치로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술한 제1 및 제2 시트면의 경사는, 사용자의 배변이 통의 주위에 비산하거나 또는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사용자의 배변을, 소정의 깊이로 통 안에 저장되고 있는 물속에 확실히 매몰시키므로, 변의 노출에 의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통상 제1 시트면의 경사각도와 제2 시트면의 경사각도는, 변기 시트의 개구부의 폭이 최대가 되는 위치 부근에서 최대이면, 사용자의 항문을, 변기 시트의 개구부의 폭이 최대가 되는 치수선의 중점 부근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제1 시트면의 경사각도와 제2 시트면의 경사각도는, 엄밀한 의미에서 변기 시트의 개구부의 폭이 최대가 되는 위치에서 최대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의 변기 본체 전단부는 양단 구역이 변기 본체부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고, 돌출부(중앙 구역)는 변기 본체부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변기 본체부 및 변기 시트의 후방에 깊이 걸터앉을 수 있게 된다. 또, 사용자가 변기 시트의 후방에 깊이 걸터앉으면, 변기 본체 전단부의 돌출부가 사용자의 양 무릎의 안쪽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양다리를 벌리게 하므로, 사용자는 자연히 배설이 용이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용자가 양다리를 벌린 자세는, 배설 후, 사용자가 엉거주춤하게 선 자세를 취하는 일 없이, 자력으로 앞쪽으로부터 배변을 닦아내는 것을 가능하게 ㅎ하며, 더욱이 사용자가 간호가 필요한 사람 등인 경우에 있어서도, 간병인 등은 사용자를 껴안는 일 없이 사용자의 배변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간병인 등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는 이른바 박스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변기 본체부의 표면으로부터 사용자의 다리 등이 걸릴 가능성이 있는 리브 등의 돌기물이나 단차를 없애, 변기 본체부의 표면을 매끄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변기 본체부는, 박스부와 상면부로 분할된 이른바 2피스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부품도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으로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저비용이고 튼튼한 이동식 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는, 변기 본체부의 전면부를 개구의 개구 테두리로부터 박스부의 하방으로 또한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동식 변기로부터 일어설 때 및/또는 이동식 변기에 착석할 때, 사용자는 자기의 발 밑을 변기 본체부의 전단부 또는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의 바로 밑 또는 그 후방까지 끌어당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일어설 때 및/또는 착석시, 사용자의 체중 이동은 주로 상하 방향의 이동만으로 되어, 일어섬 및 착석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는, 변기 본체부의 상면부가, 사용자의 배설물이나 먼지 등에 의해서 더러워지기 쉽고 또한 적절한 세정이나 걸레질이 필요한 받이부와, 상기 받이부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부로 분할할 수 있으므로, 받이부를 이동식 변기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기 시트의 옆테두리를 변기 본체부의 측단부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면, 변기 시트의 회동시에 있어서의 변기 본체부의 팔걸이나 팔걸이를 지지하는 지지기둥과의 간섭이 방지된다. 또, 변기 시트와 변기 본체부의 상면부분과의 사이에 생기는 빈틈 등은 착석한 사용자의 대퇴부의 외측에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대퇴부 뒤편의 피부가 해 빈틈 등에 끼워지는 것도 방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기 시트의 시트면을, 시트면의 경사가 변기 시트의 뒷부분으로부터 앞부분으로 향함에 따라 개구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심해지게 하고, 그 후 연속적으로 완만하게 하여,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 부근에 있어서 대략 수평이 되는 형상으로 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변기 시트에 착석하면, 상기 사용자의 둔부는 변기 시트의 개구부의 안으로 푹 들어가도록 유도되어, 사용자의 둔부의 피부가 시트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항문이 열려 사용자의 배변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기 시트의 앞쪽의 양단부를 팔걸이의 지지기둥보다 전방으로 배치하면, 변기 본체부의 전단부의 형상을 변기 시트의 앞테두리와 대략 동일 형상으로 하면서도, 팔걸이의 지지기둥을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을 변기 본체부에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변기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의 양다리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덮개가 열린 상태의 본 발명의 변기 시트가 부착된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의 개요도이다.
도 2는, 통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덮개 및 변기 시트가 열린 상태의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의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의 조립 모식도이다.
도 4는, 통만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덮개 및 변기 시트가 열린 상태의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의 개요도이다.
도 5는, 변기 시트를 얹어놓은 상태의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의 변기 본체부의 조립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통이 매달려진 상태의 받이부의 개요도이다.
도 9는, 변기 시트의 개요도이다.
도 10은, 변기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나타나 있는 변기 시트의 A-A단면으로부터 D-D단면까지의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식 변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에는, 덮개(5)가 열린 상태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식 변기(1)의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통(6)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덮개(5) 및 변기 시트(4)가 열린 상태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식 변기(1)의 개요도가 나타나 있다. 또, 도 3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식 변기(1)의 조립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는, 도 3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부(2), 변기 본체부(2)의 상면을 구성하는 받이부(3), 변기 시트(4), 덮개부(5), 변기 본체부(2) 안에 장착되는 통(6) 및 통(6)의 보조덮개(7)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성요소는 서로 떼어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변기 본체부(2)에는, 팔걸이(20), 등받이(21) 및 다리부(22)가 포함되어 있다.
도 4에는, 통(6)만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덮개(5) 및 변기 시트(4)가 열린 상태의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의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 도 5에는, 팔걸이(20) 및 등받이(21)를 제거하고, 그리고 변기 시트(4)를 얹어놓은 상태의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의 평면도가 나타나고 있다.
도 4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부(2)는, 테두리벽(31)에 의해서 구획된 제1 개구부(30)를 가지는 상면부(28)를 구비하고 있고,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에는, 주위가 닫혀진 제2 개구부(40)를 가지는 변기 시트(4)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는, 변기 시트(4)를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에 얹어놓은 상태에 있어서, 상면부(28)의 외측에서, 변기 시트(4)의 제2 개구부(40)의 선단부(400)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변기 본체 단부(250)로부터 상면부(28)의 뒷부분까지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된 제1 측단부(25)와, 제1 측단부(25)의 반대측이며 상면부(28)의 외측에서, 변기 시트(4)의 제2 개구부(40)의 선단부(400)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변기 본체 단부(260)로부터 상면부(28)의 뒷부분까지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된 제2 측단부(2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는, 제1 및 제2 측단부(25, 26)의 변기 본체 단부(250, 260)와는 반대로, 변기 시트(4)의 제2 개구부(40)의 선단부(400)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변기 본체 돌출부(270)을 가지고 있고, 변기 본체부(2)의 앞부분에는, 변기 시트(4)의 제2 개구부(40)의 선단부(400)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변기 본체 돌출부(270)을 경유하여, 제1 변기 본체 단부(250)로부터 제2 변기 본체 단부(260)까지 연장된 변기 본체 전단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변기 본체부(2)의 평면은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제1 측단부(25)는 실질적으로 제2 측단부(26)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단부」란, 평면도서 나타나는 이동식 변기(1)의 윤곽 및 상기 윤곽을 형성하는 끝단면을 의미한다. 또 「대략 직선상」이란, 떨어진 2점을 대략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선분을 의미하며, 거리적으로 직선과 대략 같으면, 엄밀한 의미의 직선뿐만 아니라, 다소 "く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꺾인 선이나 큰 호를 그리도록 다소 구부러진 곡선도 포함된다. 이 때문에, 측단부(25, 26)는 그 대부분이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족하고, 측단부(25, 26)의 일부에, 예를 들면 이동식 변기 본체부(2)의 다리부의 지지기둥을 수용하기 위한 팽창부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부분」이란, 어른인 사용자가 변기 시트(4)에 착석했을 때, 사용자의 배 쪽에 배치되는 변기 시트(4) 및 이동식 변기(1)의 전방 부근의 영역을 의미하며, 그리고 「뒷부분」이란, 어른인 사용자가 변기 시트(4)에 착석했을 때, 사용자의 등 쪽에 배치되는 변기 시트(4) 및 이동식 변기(1)의 후방 부근의 영역을 의미한다. 또, 이동식 변기(1)의 측단부(25, 26)의 「변기 본체 단부(250, 260)」란, 이동식 변기(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측단부(25, 26)가 이동식 변기(1)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변기 본체 전단부(27)로 실질적으로 방향 전환하는 코너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코너 부분은 각이 진 것뿐만 아니라, 라운드진 모서리부분이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의 변기 본체의 제1의 변기 본체 단부(270)는, 제1 변기 본체 단부(250)와 변기 본체 돌출부(270)의 사이에 제1 변곡점(271)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제2 변기 본체 단부(260)로부터 변기 본체 돌출부(270)까지의 사이에 제2 변곡점(272)을 포함하고 있는 곡선부(273)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변곡점」은, 변기 본체 전단부(27)가 변기 본체부(2)의 후방으로 향해서 볼록한 상태로부터 변기 본체부(2)의 전방으로 향해서 볼록한 상태로 변화하는 부분이면 족하고, 상기 변화하는 부분은 점인 경우뿐만 아니라, 직선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는, 평면 부분이 사각형인 변기 본체부에 비해 변기 본체 전단부(27)의 양단 구역이 변기 본체부(2)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여 후퇴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동식 변기(1)의 변기 시트(4)의 후방에 걸터앉으려고 해도, 종래의 앞테두리의 양단 구역이 후퇴하지 않은 변기 시트와 비교해서, 변기 본체부(2)의 전단부(27)가 사용자의 무릎 뒤편에 접촉하여 장애가 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의 변기 시트(4)의 후방에 깊이 걸터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는, 변기 본체 전단부(27)의 중앙 부분이 상기 전단부(27)의 양단 구역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변기 시트(4)의 후방에 깊이 걸터앉으면, 상기 전단부(27)의 변기 본체 돌출부(270)가 사용자의 양 무릎의 안쪽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양다리를 벌리도록 유도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자연히 배설이 용이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되어, 특히 남성 사용자의 경우, 성기를 하방으로 용이하게 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배뇨가 변기 시트(4)의 선단부(400)나 변기 본체 전단부(27)의 돌출부(270)를 넘어 비산하는 것을 없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에서는, 변기 본체부(2)에 부착되는 변기 시트(4)는, 변기 시트(4)를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에 얹어놓았을 때, 변기 본체부(2)의 전단부(27)와 대략 병행으로 배치되는 앞테두리(45)를 갖추고 있다.
즉, 변기 시트(4)의 앞테두리(45)의 앞부분 또는 일부가 변기 본체부(2)의 전단부(27)와 대략 동일 형상이면, 사용자가 이동식 변기(1)의 변기 시트(4)의 후방에 걸터앉으려고 해도, 종래의 앞테두리의 양단 구역이 후퇴하지 않은 변기 시트와 비교해서, 변기 본체부(2)의 전단부(27)와 변기 시트(4)의 앞테두리(45)가 사용자의 무릎의 뒤편에 닿아서 장애가 되는 일이 없고, 그리고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의 다리의 피트감도 높일 수 있다. 또, 변기 시트(4)의 앞테두리(45)의 앞부분 또는 일부가 변기 본체부(2)의 전단부(27)와 대략 동일 형상이면, 변기 본체 전단부(27)의 변기 본체 돌출부(270)와 변기 시트(4)의 앞테두리(45)의 돌출부(450)은 협동하여 사용자의 양 무릎의 안쪽에 넓게 접촉하므로, 사용자의 양다리가 유연하게 벌려지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양다리를 벌린 자세는, 배설 후, 사용자가 엉거주춤하게 선 자세를 취하는 일 없이, 자력으로 전방으로부터 배변을 닦아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사용자가 수발을 드는 사람이나 간병인이 닦아내 주지 않으면 안 되는 고령자나 피간호자인 경우에도, 간병인 등은 사용자를 껴안는 일 없이 사용자의 배변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간병인 등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변기 본체 전단부(27)의 곡선부(273)는, 제1 변기 본체 단부(250)와 제1 변곡점(271)의 사이에서 변기 본체부(2)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한 제1 만곡부(274)와, 제2 변기 본체 단부(260)와 제2 변곡점(272)의 사이에서 변기 본체부(2)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한 제2 만곡부(275)와, 그리고 제1 변곡점(271)과 제2 변곡점(272)의 사이에서 변기 본체부(2)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한 제3 만곡부(276)를 포함하고 있다(도 4, 5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변기 본체 전단부(27)의 양단 구역의 곡선부(273)가 변기 본체부(2)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고, 또한 변기 본체 전단부(27)의 중앙 부분의 곡선부(273)가 변기 본체부(2)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으면, 사용자가 변기 시트(4)의 후방에 깊이 걸터앉았을 때, 변기 본체 전단부(27)의 양단 구역의 형상은 사용자의 무릎의 뒤편에 꼭 맞게 되므로, 사용자의 양다리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벌려지도록 유도한다. 게다가 상술한 변기 본체 전단부(27)의 형상은, 사용자가 변기 시트(4)에 걸터앉을 때의 자기의 다리를 두는 위치의 표지가 되어 편리하다.
다음에, 도 6, 7을 이용하여, 주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이동식 변기(1)의 구조상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의 변기 본체부(2)의 조립 모식도가 나타나있다. 도 7에는,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의 측면도가 나타나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는, 팔걸이(20), 등받이(21) 및 다리부(22)를 포함하고 있는 변기 본체부(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변기 본체부(2)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박스부(23)와, 박스부(23)의 개구의 개구 테두리(230)에 접속되는 상면부(28)로 분할되어 있다. 또, 박스부(23)는, 개구의 개구 테두리(230)로부터 박스부(23)의 하방으로 동시에 후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는 전면부(231)을 가지고 있다. 또, 상면부(28)는 후술하는 받이부(3)와 프레임부(24)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는, 특히 개구 테두리(230)의 되접어꺾인 리브 등의 돌기물을 없애기에 유리한 이른바 박스 구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특히 변기 본체부(2)의 전면부(231)로부터, 사용자의 다리 등이 걸릴 가능성이 있는 돌기물이나 단차를 없애어, 변기 본체부(2)의 전면부(231)를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는 이른바 2피스 구조를 채용하여, 변기 본체부(2)를, 상부가 개구된 박스부(23)와 상기 개구의 개구 테두리(230)에 비스 등에 의해 연결되는 상면부(28)의 2개의 부품으로 분할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의 박스부(23) 및 상면부(28)는 모두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으로서 성형되고 있어,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는 저비용으로 동시에 튼튼하게 제작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박스부(23)의 전면부(231)를 개구의 개구 테두리(230)로부터 박스부(23)의 하방으로 동시에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기의 발 밑을 변기 본체부(2)의 전단부(27) 또는 변기 시트(4)의 앞테두리(45)의 바로 밑 또는 그 후방까지 끌어당기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1 참조).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에서는, 사용자가 이동식 변기(1)로부터 일어설 때 및/또는 이동식 변기(1)에 착석할 때의 체중 이동은 주로 상하 방향의 이동만으로 되므로, 사용자의 이동식 변기(1)로부터의 일어섬 및 이동식 변기(1)에의 착석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는, 박스부(23)의 외면이 상면부(28)의 외면과 면이 일치되게 접속되고 있다(도 1, 2 참조).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는, 변기 시트(4)에 착석한 사용자의 양다리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변기 본체부(2)의 전단부(27)의 형상을 변기 시트(4)의 앞테두리(45)와 대략 동일 형상으로 하고 있다(도 1 참조). 이 때문에, 박스부(23)의 외면을 상면부(28)의 외면과 면이 일치하도록 접속하면, 변기 본체부(2)의 전단부(27)로부터 변기 본체부(2)의 하방을 향하여, 변기 시트(4)의 앞테두리(45)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표면 형상을 가지는 전면부(231)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는, 변기 본체부(2)의 전면부(231)로부터 돌기물이나 단차를 배제하여, 변기 본체부(2)의 전면부(231)를 한층 더 매끄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변기 시트(4)의 앞테두리(45)의 중앙 부분의 돌출부(450)를, 변기 시트(4)의 앞테두리(45)로부터 변기 본체부(2)의 전면부(231)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변기 시트(4)의 후방에 깊이 걸터앉았을 때의 사용자가 양다리를 벌리도록 유도하는 것을 보다 부드럽게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에는,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로부터 분리한, 통(6)이 걸쳐진 상태의 받이부(3)의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4, 8을 참조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에 있어서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는, 프레임부(24)와, 테두리벽(31)에 의해서 구획된 제1 개구부(30)를 가지고 있고 또한 프레임부(24)의 안쪽에서 상기 프레임부(24)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이부(3)로 분할되어 있다.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는, 팔걸이(20)이나 등받이(21)를 지지하며, 그리고 박스부(23)와 접속되는 것에 의해서 변기 본체부(2)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변기 시트(4)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며, 또한 제1 개구부(30)를 구획하는 테두리벽(31)을 사이에 두고 제1 개구부(30) 안에 통(6)을 매달아 지지하기 위해서도 기능한다. 이 때문에,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 안, 특히 제1 개구부(30)나 그 주변부는 사용자의 배설물이나 먼지 등에 의해서 더러워지기 쉬워 적절한 세정이나 닦아내기 등의 청소를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를 제1 개구부(30)나 그 주변부로 이루어지는 받이부(3)와, 상기 받이부(3)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부(24)로 분할하여, 받이부(3)를 변기 본체부(2)로부터 분리해 이동식 변기(1)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받이부(3)를 변기 본체부(2)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구조이면, 변기 본체부(2)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프레임부(24)(받이부(3)를 제외한 상면부(28))와 박스부(23)로 분리되고 있을 필요가 없고, 프레임부(24)와 박스부(23)가 일체가 된 이른바 1피스 구조이더라도 좋다.
또한, 받이부(3)는, 받이부(3)의 제1 개구부(30)의 주위에 물받이 형상의 홈부(3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의 배설물 등이 변기 본체부(2)의 다른 부위로 늘어지거나 비산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기 시트(4)나 덮개부(5) 받이부(3)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며, 받이부(3)를 이용하여, 한 번에 변기 시트(4)로 덮개부(5)를 변기 본체부(2)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이동식 변기(1)의 청소가 한층 더 용이해진다(도 3, 8 참조).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에 부착되는 변기 시트(4)의 특징에 대해 서술한다. 도 9에는 본 실시형태의 변기 시트(4)의 개요도가 나타나 있고, 도 10에는 본 실시형태의 변기 시트(4)의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에 부착되는 변기 시트(4)는, 도 1과 도 2를 대비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부(2)의 받이부(5)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변기 시트(4)는, 변기 시트(4)를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에 얹어놓았을 때, 변기 본체부(2)의 제1 측단부(25)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옆테두리(43)와, 그리고 변기 본체부의 제2 측단부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옆테두리(44)를 갖추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변기 시트의 제1 및 제2 옆테두리(43, 44)를, 각각 변기 본체부(2)의 제1 및 제2 측단부(25, 26)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면, 변기 시트(4)의 외형도 대략 사각형이 되며, 그리고 변기 시트(4)와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와의 사이에 생긴 빈틈이나 단차를 착석한 사용자의 대퇴부의 외측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것과 같은 제1 및 제2 옆테두리(43, 44)를 가지는 변기 시트(4)는, 변기 시트(4)와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와의 사이에 생긴 빈틈이나 단차가 착석한 사용자의 대퇴부의 뒤편을 경사 방향으로 횡단하는 것을 없앨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대퇴부 뒤편의 피부가, 변기 시트(4)와 변기 본체부(2)의 상면부(28)과의 사이에 생긴 빈틈이나 단차에 끼워진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에서는, 팔걸이(20)가 변기 본체부(2)의 측단부(25,26)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변기 본체부(2)의 측단부(25, 26)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옆테두리(43, 44)를 가지는 변기 시트(4)를, 팔걸이(20)나 팔걸이를 지지하는 지지기둥(200)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있지만, 변기 시트(4)의 회동시, 변기 시트(4)가 팔걸이(20)나 팔걸이를 지지하는 지지기둥(200)과 간섭하는 일이 없고, 그리고 그 결과, 좌우 팔걸이(20)의 사이에서, 변기 시트(4)의 시트면을 최대한으로 큰 크기로 할 수 있다.
만약, 변기 시트(4)의 옆테두리(43, 44)를 변기 본체부(2)의 측단부(25, 26)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지 않고, 예를 들면 「八자 모양」으로 배치하면, 변기 시트(4)의 시트면(41,42)을 필요하고 충분한 크기로 했을 경우, 변기 시트(4)의 폭이 최대가 되는 부분은 팔걸이(20)나 팔걸이를 지지하는 지지기둥(200)과 간섭하게 된다. 반대로, 변기 시트(4)의 폭이 최대가 되는 부분을 팔걸이(20)나 팔걸이를 지지하는 지지기둥(200)과 간섭하지 않는 크기로 했을 경우, 허용되는 좌우 팔걸이(20) 간의 최대 거리는 정해져 있으므로 변기 시트(4)의 외형 폭은 상대적으로 작아지고, 그 결과, 변기 시트(4)의 시트면(41,42)를 필요하고 충분한 크기로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는, 이동식 변기(1)의 상면부(28)에서 팔걸이(20) 및 상기 팔걸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기둥(200)을 지지하고 있고, 그리고 대략 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는 변기 시트(4)의 앞쪽의 양단부(코너 부분)는, 팔걸이의 지지기둥(200)보다 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여기서 변기 시트(4)의 「단부(端部)」란, 변기 시트(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옆테두리(43, 44)가, 변기 시트(4)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앞테두리(45)로 실질적으로 방향 전환하는 코너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코너 부분은 각이 진 것뿐만 아니라, 라운드가 형성된 모서리부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기 시트(4)의 앞쪽의 양단부(430, 440)를 팔걸이의 지지기둥(200)보다 전방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변기 본체부(2)의 전단부(27)의 형상을 변기 시트(4)의 앞테두리(45)와 대략 동일 형상으로 하면서도, 팔걸이의 지지기둥(200)을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을 변기 본체부(2)에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기 시트(4)에 착석한 사용자는, 자기의 양다리를, 특히 외측을 향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변기 시트(4)로서, 제1 옆테두리(43) 및 제2 옆테두리(44)와 직교하는 A-A단면으로부터 D-D단면까지의 단면도와, 변기 시트(4)의 정면도가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이동식 변기(1)에서 사용되는 변기 시트(4)는, 개구부(40)를 사이에 두고 제1 시트면(41)과 제2 시트면(42)을 가지고 있다(도 9, 10 참조). 그리고, 도 11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제1 옆테두리(43)의 접선과 직교하는 단면 에 있어서 대략 직선상으로 나타나는 제1 시트면(41)은, 수평면에 대해 개구부(40)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제1 시트면(41)의 경사각도 α가 변기 시트(4)의 뒷부분으로부터 앞부분으로 향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며, 그리고 그 후 연속적으로 감소하여 대략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옆테두리(44)의 접선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대략 직선상으로 나타나는 제2 시트면(42)은, 수평면에 대해 개구부(40)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제2 시트면(42)의 경사각도 α가 변기 시트(4)의 뒷부분으로부터 앞부분으로 향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며, 그리고 그 후 연속적으로 감소하여 대략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시트면(41, 42)의 경사는, 모두 변기 시트(4)의 뒷부분으로부터 앞부분으로 향함에 따라 개구부(40)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심해지고, 그 후 연속적으로 완만하게 되며, 그리고 변기 시트(4)의 앞테두리(45) 부근에서 대략 수평이 된다. 덧붙여 여기서 시트면(41,42)의 「경사각도」란, 옆테두리(43, 44)의 접선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대략 직선상으로 나타나는 시트면(41, 42)의 대표적인 구배를 나타내는 선분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의미하고 있다(도 11).
그 때문에, 제1 및 제2 시트면(41, 42)은, 사용자가 변기 시트(4)에 착석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변기 시트(4)의 개구부(40) 안으로 푹 들어가게 유도한다. 그 결과, 제1 및 제2 시트면(41, 42)은 사용자의 둔부의 피부를 시트면(41, 42)에 대해 상대적으로 들어올려 사용자의 항문을 열게 하므로, 사용자의 배설을 용이하게 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덧붙여 변기 시트(4)의 단면에 있어서 대략 직선상으로 나타나는 시트면(41, 42)은, 시트면(41, 42)의 경사에 의해서 푹 들어가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면, 반드시 변기 시트(4)의 단면이 직선으로 나타나는 평면만으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도 11(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소 하방으로 오목한 곡면을 포함한 것이라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시트면(41)의 경사각도 α는, 제1 옆테두리(43)의 접선과 직교하고 또한 개구부(40)의 폭이 최대가 되는 치수선(401)(도 11)을 통과하는 변기 시트 단면에서 최대가 되고 있다. 또, 제2 시트면(42)의 경사각도 α는 제2 옆테두리(44)의 접선과 직교하고 또한 개구부(40)의 폭이 최대가 되는 치수선(401)(도 11)을 통과하는 변기 시트 단면에서 최대가 되고 있다.
제1 시트면(41)의 경사각도 α와 제2 시트면(42)의 경사각도 α가 변기 시트(4)의 개구부(40)의 폭이 최대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최대가 되도록 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변기 시트(4)에 착석했을 때, 사용자의 항문은, 제1 및 제2 시트면(41, 42)에 의해서 변기 시트(4)의 개구부(40)의 폭이 최대가 되는 치수선(401)의 중점 부근에 유도되므로, 사용자의 배변은 변기 시트(4)의 하방에 설치된 통(6) 안의 소정의 위치에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1 참조). 그 때문에, 제1 및 제2 시트면(41,42)의 경사는, 사용자의 배변이 통(6) 주위로 비산하거나 또는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사용자의 배변을 소정의 깊이로 통(6) 안에 저장되어 있는 물속에 확실히 매몰시키므로, 변의 노출에 의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시트면(41)의 경사각도 α와 제2 시트면(42)의 경사각도 α는, 변기 시트(4)의 개구부(40)의 폭이 최대가 되는 위치 부근에서 최대이면, 사용자의 항문을, 변기 시트(4)의 개구부(40)의 폭이 최대가 되는 치수선(401)의 중점 부근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제1 시트면(41)의 경사각도 α와 제2 시트면(42)의 경사각도 α는 엄밀한 의미에서 변기 시트(4)의 개구부(40)의 폭이 최대가 되는 위치에서 최대가 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1… 이동식 변기   2… 변기 본체부 20… 팔걸이
 200… 지지기둥  21… 등받이 22… 다리부
 23… 박스부 230…개구 테두리 231… 전면부
 24… 프레임부  25… 제1 측단부 250… 제1 변기 본체 단부
 26… 제2 측단부   260…제2 변기 본체 단부 27…변기 본체 전단부
 270… 변기 본체 돌출부 271…제1 변곡점  272… 제2 변곡점
 273… 곡선부  274… 제1 만곡부 275… 제2 만곡부 
276… 제3 만곡부  28… 상면부 3… 받이부
 30…제1 개구부   31…테두리벽 32…홈부
 4… 변기 시트  40…제2 개구부 400… 선단부
 401… 최대 개구폭의 치수선  41… 제1 시트면  42… 제2 시트면
 43…제1 옆테두리  430… 제1 단부   44…제2 옆테두리
 440… 제2 단부  45… 앞테두리 450… 돌출부
5… 덮개부  6… 통 7… 보조 덮개

Claims (15)

  1. 테두리벽에 의해서 구획된 제1 개구부를 가지는 상면부를 구비한 변기 본체부와,
    상기 변기 본체부에 부착된 2개의 지지기둥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팔걸이와,
    주위가 닫힌 제2 개구부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상면부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변기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변기 본체부의 상기 상면부는, 상기 변기 시트를 상기 변기 본체부의 상기 상면부에 얹어놓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의 외측에서, 상기 2개의 지지기둥을 최단 거리로 연결한 선분과 평행한 직선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변기 시트의 상기 제2 개구부의 선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변기 본체 단부(端部)로부터 상기 상면부의 뒷부분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 제1 측단부와,
    상기 제1 측단부의 반대측이며 상기 상면부의 외측에서, 상기 2개의 지지기둥을 최단 거리로 연결한 선분과 평행한 직선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변기 시트의 상기 제2 개구부의 선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변기 본체 단부로부터 상기 상면부의 뒷부분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 제2 측단부와,
    상기 변기 시트의 상기 제2 개구부의 상기 선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변기 본체 돌출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변기 본체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변기 본체 단부까지 연장된 변기 본체 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기 시트는, 상기 변기 시트를 상기 변기 본체부의 상기 상면부에 얹어놓았을 때,
    상기 상면부의 상기 제1 측단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옆테두리와,
    상기 상면부의 상기 제2 측단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옆테두리를 구비하며,
    상기 변기 시트는,
    상기 제1 옆테두리의 접선과 직교하는 단면(斷面)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표시되는 제1 시트면으로서,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상기 제1 시트면의 경사각도가, 상기 변기 시트의 뒷부분으로부터 앞부분으로 향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며, 그 후 연속적으로 감소하여 수평이 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1 시트면과,
    상기 제2 옆테두리의 접선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표시되는 제2 시트면으로서,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상기 제2 시트면의 경사각도가, 상기 변기 시트의 뒷부분으로부터 앞부분으로 향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그 후 연속적으로 감소하여 수평이 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2 시트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는, 상기 변기 시트를 상기 변기 본체부의 상기 상면부에 얹어놓았을 때, 상기 상면부의 상기 변기 본체 전단부와 병행되게 배치되는 앞테두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 전단부는, 상기 제1 변기 본체 단부와 상기 변기 본체 돌출부의 사이에 제1 변곡점을 가지며, 상기 제2 변기 본체 단부로부터 상기 변기 본체 돌출부까지의 사이에 제2 변곡점을 구비한 곡선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상기 제1 변기 본체 단부와 상기 제1 변곡점 사이에서 상기 변기 본체부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한 제1 만곡부와,
    상기 제2 변기 본체 단부와 상기 제2 변곡점 사이에서 상기 변기 본체부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한 제2 만곡부와 ,
    상기 제1 변곡점과 제2 변곡점 사이에서 상기 변기 본체부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한 제3 만곡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부는, 상기 상면부의 상기 변기 본체 전단부로부터 상기 변기 본체부의 하방으로 또한 후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는 전면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부는,
    상기 상면부와,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상면부와 접속되는 박스부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의 외면은, 상기 상면부의 외면과 면이 일치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프레임부와, 상기 제1 개구부를 구비하며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이부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면의 상기 경사각도는, 상기 제1 옆테두리의 접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변기 시트의 상기 제2 개구부의 폭이 최대가 되는 치수선을 통과하는 상기 변기 시트 단면에서 최대가 되며,
    상기 제2 시트면의 상기 경사각도는, 상기 제2 옆테두리의 접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변기 시트의 상기 제2 개구부의 폭이 최대가 되는 치수선을 통과하는 상기 변기 시트 단면에서 최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부의 상기 상면부의 상기 테두리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개구부의 안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통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부의 상기 상면부의 상기 제1 측단부는, 상기 제2 측단부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부의 상기 상면부 및 상기 박스부는, 모두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변기는 팔걸이 및 상기 팔걸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변기 시트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팔걸이의 상기 지지기둥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KR1020140024615A 2013-07-03 2014-02-28 이동식 변기 KR101837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9597A JP6198488B2 (ja) 2013-07-03 2013-07-03 ポータブルトイレ
JPJP-P-2013-139597 2013-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731A KR20150004731A (ko) 2015-01-13
KR101837799B1 true KR101837799B1 (ko) 2018-03-12

Family

ID=5224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615A KR101837799B1 (ko) 2013-07-03 2014-02-28 이동식 변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98488B2 (ko)
KR (1) KR101837799B1 (ko)
CN (1) CN104274114B (ko)
TW (1) TWI6048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5379B2 (ja) * 2017-05-30 2022-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トレイ
JP6296408B1 (ja) * 2017-06-07 2018-03-20 有限会社でーた工房 非常用洋式便器排泄キット
CN109770772A (zh) * 2018-12-12 2019-05-21 浙江省桐庐莪山工业总公司 一种飞机、火车、汽车及公共厕所用马桶垫
KR102198065B1 (ko) * 2020-10-07 2021-01-04 (주) 폴리텍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KR102198067B1 (ko) * 2020-10-07 2021-01-04 (주) 폴리텍 변좌의 하중을 이용한 변좌의 회전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KR102198066B1 (ko) * 2020-10-07 2021-01-04 (주) 폴리텍 변위접촉 방식을 통한 변좌의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2256A (ja) * 2011-01-24 2012-08-16 Panasonic Age-Free Life Tech Co Ltd 可搬便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274Y2 (ko) * 1988-10-28 1993-11-18
JP3080133B2 (ja) * 1994-12-01 2000-08-2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便 器
JP3452346B2 (ja) * 1998-07-27 2003-09-2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携帯用便器
JP4344578B2 (ja) * 2003-10-03 2009-10-14 アロン化成株式会社 簡易便器の肘掛け構造
WO2006002256A2 (en) * 2004-06-23 2006-01-05 Thetford Corporation Self-contained sanitary system
JP2006109955A (ja) * 2004-10-12 2006-04-27 Sekisui Life-Tec Co Ltd ポータブルトイレ
JP5537449B2 (ja) * 2011-01-24 2014-07-02 パナソニックエイジフリーライフテック株式会社 可搬便器
JP6012157B2 (ja) * 2011-10-28 2016-10-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トイ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2256A (ja) * 2011-01-24 2012-08-16 Panasonic Age-Free Life Tech Co Ltd 可搬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4815B (zh) 2017-11-11
JP2015012900A (ja) 2015-01-22
CN104274114B (zh) 2018-11-23
TW201501678A (zh) 2015-01-16
KR20150004731A (ko) 2015-01-13
CN104274114A (zh) 2015-01-14
JP6198488B2 (ja)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799B1 (ko) 이동식 변기
US3959833A (en) Combination mattress, mattress insert, and commode
CN105768982B (zh) 折叠式幼儿清洗辅助用具
KR101807347B1 (ko) 변기 시트 및 그 변기 시트를 갖춘 이동식 변기
JP6161976B2 (ja) 便座及びその便座を備えたポータブルトイレ
KR101556408B1 (ko) 상하 위치조절형 좌대
KR101753760B1 (ko) 환자용 변기 조립체
KR20180110945A (ko)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JP2013236907A (ja) 男性の座り小便用の尻載せ台及び便座
KR200491817Y1 (ko)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이동식 배변유도 변기
US4007501A (en) Bed having a bed pan
KR20190004543A (ko)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JP5105129B2 (ja) 介護用車椅子
JP2018174970A (ja) チェアガード及び乳幼児用いす
JP2005013674A (ja) 療養ベッド
KR101954219B1 (ko) 리프팅 및 틸팅 회전이 가능한 좌변기
JP2008138453A (ja) 棚付き水栓
TWM547359U (zh) 傾斜式馬桶蓋
JP2006043374A (ja) 立ち上り抑制椅子
JP4368099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の肘掛け構造
JP2018186965A (ja) 浴室ユニット
KR200462900Y1 (ko) 양변기 커버
KR200456744Y1 (ko) 입식 좌변기
JP5537452B2 (ja) 可搬便器装置
JP5735167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