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543A -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543A
KR20190004543A KR1020170084908A KR20170084908A KR20190004543A KR 20190004543 A KR20190004543 A KR 20190004543A KR 1020170084908 A KR1020170084908 A KR 1020170084908A KR 20170084908 A KR20170084908 A KR 20170084908A KR 20190004543 A KR20190004543 A KR 20190004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tank
waist protection
protection cush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467B1 (ko
Inventor
조성태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4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는 물탱크(100) 및 변기본체(110)를 포함하는 변기 조립체로서, 상기 물탱크(100)에서 전방에 구비된 쿠션 재질의 허리보호쿠션(200) 그 일측이 상기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측이 상기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서 대각으로 가로질러 고정되는 상체용 벨트(230) 및 상기 변기본체(110)의 전방 상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α) 기울어져 형성된 발 지지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 지지부(400)의 높이는 상기 변기본체(110)의 전방으로 갈수록 높을 수 있다.

Description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TOILET ASSEMBLY FOR CORRECTION POSTURE FIXTAION}
본 출원은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변기 사용자의 몸체를 지지하여 배변 자세를 유지하는 동시에 신체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배변활동은, 횡경막을 닫고 복압을 올리는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은 장애나 중증 질환이 없는 일반인에게 어려운 과정은 아니지만, 특정 장애 내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고통을 수반한다.
중증의 비뇨기 환자는 복압을 많이 올려야만 배변활동이 이루어진다. 복압을 올리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환자는 복강의 벤딩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허리에 많은 고통이 수반된다.
또한, 척추 디스크와 같은 척추 질환 환자, 전반적으로 뼈가 약한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에도 배변 자세가 좋지 않을 수 있어서 역시 많은 고통이 수반된다.
이들 환자의 경우 배변활동의 고통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복강 벤딩이 없는 정자세를 강제로 잡아줄 것이 요구된다.
한편, 파킨슨 병과 같이 환자가 자신의 신체를 제어하지 못하는 환자의 경우, 배변활동 동안에도 손발에 끊임없는 떨림이나 움직임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고통의 문제에 추가하여 위생 상의 문제도 발생한다.
그러나 현재의 장애인 화장실의 경우, 변기 양측에 사용자가 손을 잡고 앉거나 일어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휠체어 등을 놓을 수 있는 공간만 확보되어 있을 뿐, 변기 자체는 일반적인 변기를 사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에, 중증의 비뇨기 환자, 척추 질환 환자, 골다공증 환자 및 파킨슨 병 환자 등은 장애인용 화장실의 경우에도 일반 화장실과 다름없이 배변활동이 큰 어려움이 있다.
환자를 위한 종래의 변기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77633호의 환자 이송용 탑승장치와 같이 제시되어 왔다.
종래 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77633호의 경우 일반 변기에 설치되는 것이 아닌 분리형 변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며, 특히 전후방이동바퀴가 마련되기 때문에 브레이크페달로 정지시킨다 하더라도 앞서 언급한 중증의 환자가 움직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원활한 배변이 수행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77633호의 경우 팔걸이 지지대가 마련되고는 있으나 환자의 몸체를 고정하는 벨트가 팔걸이 지지대의 단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실제로 환부의 복부를 고정하는 것에 그치게 되고 결국 환자의 몸통이 전방으로 굽혀지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77633호는 환자의 발 부위의 움직임은 전혀 억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앞서 언급된 중증의 환자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846,819호의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가 있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846,819호의 양변기 역시 중증 환자의 신체 움직임을 억제하는 마땅히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846,819호의 등받이는 환자의 허리부를 편안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 문제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11013호는 응급 상황 호출을 위해 화장실 벽면에 비상스위치가 부착된 기술을 개시하나, 응급상황 시 몸을 제대로 가눌 수 없다는 상황을 고려하면 효과적이지 못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177633호(2000.04.15) 한국등록특허문헌 제846819호(2008.07.16) 한국공개특허문헌 제2003-0011013호(2003.02.06)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증의 비뇨기 환자, 척추 질환 환자, 골다공증 환자 및 파킨슨 병 환자가 최대한 고통을 덜어가면서 배변활동을 할 수 있는 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배변활동 중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인 배변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물탱크(100) 및 변기본체(110)를 포함하는 변기 조립체로서, 상기 물탱크(100)에서 전방에 구비된 쿠션 재질의 허리보호쿠션(200) 그 일측이 상기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측이 상기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서 대각으로 가로질러 고정되는 상체용 벨트(230) 및 상기 변기본체(110)의 전방 상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α) 기울어져 형성된 발 지지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발 지지부(400)의 높이는 상기 변기본체(110)의 전방으로 갈수록 높은,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부(400)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안착 홈(4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부(400)는 상기 소정 각도(α)가 증가하는 방향 및 감소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변기본체(1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10)의 상측에 시트부(12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100)에서 전방을 향하여 ㄱ자 형상인 한 쌍의 지지대(300)가 상기 변기본체(110)의 양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상에는 쿠션 재질의 팔꿈치 지지부(310)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10)의 양 측면에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0)가 상기 변기본체(110)의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말단에는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손 고정부(320)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 고정부(320) 내부에는 통신을 위한 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허리보호쿠션(200)은, 제1 허리보호쿠션(210) 및 상기 제1 허리보호쿠션(210) 하측에 상기 제1 허리보호쿠션(21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2 허리보호쿠션(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리보호쿠션(210)과 상기 제2 허리보호쿠션(220) 사이에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S)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체용 벨트(230)가 마련되기 때문에 변기에 착석한 자는 넘어지지 않고 착석된 자세를 유지하여 배변 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강점이 있다.
둘째,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상에는 쿠션 재질의 팔꿈치 지지부(310)가 각각 구비되므로 환자가 보다 안락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셋째,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말단에는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손 고정부(320)가 각각 구비되므로 환자의 움직임이 억제되어 배변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강점이 있다.
넷째, 손 고정부(320) 내에는 응급 상황 호출을 위한 벨이 구비되므로 배변 중 응급 상황에 처했을 경우 손쉽게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는 강점이 있다.
다섯째, 변기본체(110)의 전방에는 발이 고정될 수 있는 발 지지부(400)가 위치하므로 환자의 발 부위의 움직임이 억제되어 배변활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섯째, 손 고정부(320) 내측에 쿠션 재질의 안감이 위치하여 손과 접촉되는 부위를 보다 편안하게 감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환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S)가 구비되어 신체가 불편한 환자의 동작 없이도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덟째, 한 쌍의 지지대(30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환자의 체형에 맞게 한 쌍의 지지대(300)의 높이를 조절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초기 착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 및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출원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변기 조립체는 물탱크(100)와 변기본체(110)를 포함한다.
변기본체(110)는 바닥에서 지지된 채로 물탱크(100)의 측면에 연결되어 물탱크(100) 내부의 물이 제공된다.
물탱크(100)는 바닥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뻗어 연장된 형상을 하고 있다.
변기본체(110)의 상면은 물탱크(100)의 일측면 중간지점 근처의 위치인 제1위치 만큼의 높이를 갖는다.
허리보호쿠션(200)은 물탱크(100)에서 전방에 쿠션 재질로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보호쿠션(200)은 일단이 물탱크(10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물탱크(100)의 측면에 고정된다.
허리보호쿠션(200)의 일단은 물탱크(100)의 상면에 고정된 채로 물탱크(100)의 모서리부에 접촉하고, 물탱크(100)의 측면부에 접촉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는 형상을 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 때, 허리보호쿠션(200)이 물탱크(100)의 모서리부에 접촉한 부위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변기본체(110)에 착석한 자의 허리 곡선을 따라 유연하게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허리보호쿠션(200)의 곡선은 변기본체(110)의 착석자의 허리 곡선에 대응되는 형상을 하는 것도 바람직한 일이다.
허리보호쿠션(200)의 폭은 물탱크(100)의 상단 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쿠션(20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제1 허리보호쿠션(210)과 제2 허리보호쿠션(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허리보호쿠션(210)과 제2 허리보호쿠션(220)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허리보호쿠션(210)과 제2 허리보호쿠션(220) 사이의 공간에는 착석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S)가 구비된다. 센서(S)는 착석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후술하는 제어부(500)로 하여금 자동으로 물내림을 가능케한다. 센서(S)로 인하여 착석자가 손을 이용하여 버튼 등을 눌러 물을 내리지 않더라도 배변활동 후 자동으로 물내림이 가능하다.
상체용 벨트(230)은 일측이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서 대각으로 가로질러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체용 벨트(230)는 물탱크(100)에서 변기본체(110)가 설치된 측면에서 양단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며, 도 1과 같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일단은 물탱크(100)의 측면의 우측 상단에서 고정될 수 있고, 타단은 물탱크(100)의 좌측 하단 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물탱크(100)의 우측 상단 측벽에는 상체용 벨트(230)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물탱크(100)의 우측 상단 측벽에는 고정홈(미도시)이 마련되고 상체용 벨트(230)가 고정홈(미도시)에 걸려서 고정되거나, 고정홈(미도시)로부터 이탈되면서 해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체용 벨트(23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상체용 벨트(230)는 일단이 물탱크(100)의 측면부 일지점에 고정되는 고정단부를 갖고, 타단이 물탱크(100)의 측면부 일지점으로부터 이탈되거나 고정될 수 있는 자유단부를 갖는 것이다.
이 때, 상체용 벨트(230)의 자유단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전롤러(미도시)가 마련되어 상체용 벨트(230)가 물탱크(100)로부터 이탈될 때 상체용 벨트(230)의 밴드부분이 회전롤러(미도시)에 감겨 수납될 수 있으며, 반대로 변기본체(110)에 착석한 자의 몸체에 맞게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롤러(미도시)로부터 풀려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변기본체(110)에 착석한 자의 몸체에 맞게 길이조절된 상태에서 상체용 벨트(230)의 자유단부가 변기본체(110)에 고정된 경우, 착석한 자의 급격한 앞으로 쏠림 등 움직임이 있는 경우 상체용 벨트(230)의 자유단부에 감겨진 벨트는 풀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착석한 자는 넘어지지 않고 착석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차량의 안전벨트의 원리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작동원리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체용 벨트(230)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밴드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체용 벨트(230)의 자유단부가 물탱크(100)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홈(미도시)에는 물탱크(100)의 측면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시트부(120)는 변기본체(110)의 상측에 위치한다.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보다 안락한 착석이 가능하게 된다.
지지대(300)는 물탱크(100)에서 전방을 향하여 "ㄱ"자 형상으로 변기본체(110)의 양 측면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변기본체(110)의 양 측면에는 지지대(300)가 변기본체(110)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300)의 일단은 변기본체(11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고, 지지대(300)의 다른 일단은 고정봉(330)에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 되는 방식으로 지지대(33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조립체는 초기에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대(300)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여 있다. 환자가 변기에 착석하고 지지대(300)에 구비된 손잡이(미도시)를 파지한 상태로 지지대(300)를 내리면 착석자의 팔 높이에 맞게 지지대(300)가 위치하게 된다. 지지대(3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환자의 체형에 맞게 지지대(300)의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팔꿈치 지지부(310)는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상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착석자의 팔꿈치가 닿는 부위에 팔꿈치 지지부(310)가 마련되기 때문에 보다 안락한 착석이 가능하게 된다.
팔꿈치 지지부(310)는 지지대(300)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이는 착석자의 신체 구조에 맞게 팔꿈치 지지부(310)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손 고정부(320)는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말단에서 착석자의 손이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파킨슨 병과 같이 자신의 신체를 제어하지 못하는 환자가 착석한 경우, 배변활동 동안에도 손발에 끊임없는 떨림이나 움직임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손 고정부(320)는 지지대(300)에 힌지 결합되어 위치 이동은 제한되지만 회전운동은 가능케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착석자의 손목 부상 등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손 고정부(320)의 내측에는 쿠션 재질의 안감이 형성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손 고정부(320) 내에는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벨(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배변 중 응급 상황에 처했을 경우 손쉽게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발 지지부(400)는 지지대(300)의 전방에서 착석자의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전방 상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α)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발 지지부(400)의 높이는 변기본체(110)의 전방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변기 착석자의 배변자세 고정을 위함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조립체를 이용할 경우, 착석자의 상체는 변기에 착석한 채로 허리보호쿠션(200)에 고정된다. 즉, 착석자의 허리가 허리보호쿠션(200)에 맞닿은 상태로 배변활동을 하는 것이다.
상술한 자세에서 상체와 하체에 동시에 힘을 주어 복압을 올리면 원활한 배변활동이 가능하다. 다만, 상체가 허리보호쿠션(400)에 고정되어 있는 자세이기 때문에 발 지지부(400)가 구비되지 않거나 소정 높이의 단지 평평한 발 지지부(400)만이 구비되는 경우 하체에 힘을 주어 복압을 제대로 올릴 수 없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발 지지부(400)는 변기본체(110)의 전방 상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α) 기울어지고,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배변자세에서 착석자의 하체를 단단히 지지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배변활동이 가능케 한다.
여기서 소정 각도(α)는 45도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 지지부(400)는 상기 소정 각도(α)가 증가하는 방향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변기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착석자의 신체에 맞게 발 지지부(400)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발 지지부(400)에는 착석자의 발이 안착되는 안착 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410)은 2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착석자의 발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석자의 양 발을 발 지지부(400)에 보다 단단히 고정하기 위함이다.
한편, 지지대(300)에는 용변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변기본체(110)에 착석한 자는 제어부(500)를 조작함으로써 지지대의 높이, 변좌의 온도, 비데의 사용과 관련된 수온, 수압 등의 조절, 물탱크(100)의 물내림 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 센서
100: 물탱크
101: 가이드 레일
110: 변기본체
120: 시트부
200: 허리보호쿠션
210: 제1 허리보호쿠션
220: 제2 허리보호쿠션
230: 상체용 벨트
300: 지지대
310: 팔꿈치 지지부
320: 손 고정부
330: 고정봉
400: 발 지지부
410: 안착 홈
500: 제어부

Claims (9)

  1. 물탱크(100) 및 변기본체(110)를 포함하는 변기 조립체로서,
    상기 물탱크(100)에서 전방에 구비된 탄성 재질의 허리보호쿠션(200);
    그 일측이 상기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측이 상기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서 대각으로 가로질러 고정되는 상체용 벨트(230); 및
    상기 변기본체(110)의 전방 상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α) 기울어져 형성된 발 지지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발 지지부(400)의 높이는 상기 변기본체(110)의 전방으로 갈수록 높은,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부(400)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안착 홈(410)이 형성된,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부(400)는 상기 소정 각도(α)가 증가하는 방향 및 감소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변기본체(1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10)의 상측에 시트부(120)가 위치하는,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100)에서 전방을 향하여 ㄱ자 형상인 한 쌍의 지지대(300)가 상기 변기본체(110)의 양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상에는 쿠션 재질의 팔꿈치 지지부(310)가 각각 구비되는,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10)의 양 측면에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0)가 상기 변기본체(110)의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1)이 구비되는,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말단에는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손 고정부(320)가 각각 구비되는,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 고정부(320) 내부에는 통신을 위한 벨이 구비되는,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보호쿠션(200)은,
    제1 허리보호쿠션(210); 및
    상기 제1 허리보호쿠션(210) 하측에 상기 제1 허리보호쿠션(21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2 허리보호쿠션(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리보호쿠션(210)과 상기 제2 허리보호쿠션(220) 사이에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S)가 구비되는,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KR1020170084908A 2017-07-04 2017-07-04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KR101953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08A KR101953467B1 (ko) 2017-07-04 2017-07-04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08A KR101953467B1 (ko) 2017-07-04 2017-07-04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543A true KR20190004543A (ko) 2019-01-14
KR101953467B1 KR101953467B1 (ko) 2019-02-28

Family

ID=6502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908A KR101953467B1 (ko) 2017-07-04 2017-07-04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559B1 (ko) * 2021-11-01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화장실 대변기용 스마트 덮개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886B1 (ko) * 2020-12-09 2023-08-09 양우현 쾌변 유도용 발판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633Y1 (ko) 1999-10-23 2000-04-15 정호 환자 이송용 탑승장치
KR20030011013A (ko) 2002-09-04 2003-02-06 이영호 화장실의 종합관리 시스템
KR200384264Y1 (ko) * 2005-02-24 2005-05-12 정혜경 발판 내장형 좌변기
KR100846819B1 (ko) 2007-02-23 2008-07-16 하호윤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KR100942312B1 (ko) * 2009-08-31 2010-02-16 박성수 장애인용 화장실 종합시스템
KR20100007765U (ko) * 2009-01-23 2010-08-02 김재용 쾌변을 위한 좌변기용 발판
JP2015073582A (ja) * 2013-10-07 2015-04-20 ナカ工業株式会社 洋式トイレ用手摺
KR20170003243A (ko) * 2015-06-30 2017-01-09 (의료)길의료재단 환자용 변기 조립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633Y1 (ko) 1999-10-23 2000-04-15 정호 환자 이송용 탑승장치
KR20030011013A (ko) 2002-09-04 2003-02-06 이영호 화장실의 종합관리 시스템
KR200384264Y1 (ko) * 2005-02-24 2005-05-12 정혜경 발판 내장형 좌변기
KR100846819B1 (ko) 2007-02-23 2008-07-16 하호윤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KR20100007765U (ko) * 2009-01-23 2010-08-02 김재용 쾌변을 위한 좌변기용 발판
KR100942312B1 (ko) * 2009-08-31 2010-02-16 박성수 장애인용 화장실 종합시스템
JP2015073582A (ja) * 2013-10-07 2015-04-20 ナカ工業株式会社 洋式トイレ用手摺
KR20170003243A (ko) * 2015-06-30 2017-01-09 (의료)길의료재단 환자용 변기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559B1 (ko) * 2021-11-01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화장실 대변기용 스마트 덮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467B1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6369B2 (ja) 介護補助装置
US3788695A (en) Sitting/standing table/walker combination
US20070085405A1 (en) Device for assisting disabled persons
CN110662520B (zh) 柔性腿部支撑膜、腿部支撑框架及移动式患者站立和起身辅助器
US20080022448A1 (en) Bathing aid
US9226864B2 (en) Orthopedic rehab toilet seat
KR20190004543A (ko)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US9795260B2 (en) Axillary support device for shower stalls
KR101753760B1 (ko) 환자용 변기 조립체
JP7040789B2 (ja) 肢体不自由者用の用便介助トイレ
US20210282994A1 (en) Assistant for stabilizing, mobilizing and securing a patient
JP7333899B2 (ja) 手すり装置
US9233035B2 (en) Support chair for body cast patients
JP3210873U (ja) 沐浴補助具
JP2011217788A (ja) 排便補助機器
JP4392648B2 (ja) シャワー用車椅子
JP2014176542A (ja) 排泄補助具
KR20140065885A (ko) 좌변기
KR102505407B1 (ko) 용변 가능한 목욕용 접이식 의자
JPH11342157A (ja) 車椅子から便器間の移動補助器具
US20240074932A1 (en) Buttock support for at least partial load-relief of the body weight of a person, and load-relief system comprising such a buttock support
JP2017086795A (ja) 椅子
KR102152141B1 (ko) 착탈식 가슴받침대를 포함하는 목욕의자
JP2004105396A (ja) サドルつき歩行器
KR200208073Y1 (ko) 휠체어의 보조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