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264Y1 - 발판 내장형 좌변기 - Google Patents

발판 내장형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264Y1
KR200384264Y1 KR20-2005-0005036U KR20050005036U KR200384264Y1 KR 200384264 Y1 KR200384264 Y1 KR 200384264Y1 KR 20050005036 U KR20050005036 U KR 20050005036U KR 200384264 Y1 KR200384264 Y1 KR 200384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toilet seat
controller
scaffold
pin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혜경
Original Assignee
정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혜경 filed Critical 정혜경
Priority to KR20-2005-0005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2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판이 내장된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좌변기(40)의 전방하부에 서랍식으로 출입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발판본체(10)와 상기 발판 본체(10)의 전방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바퀴(11)와 상기 좌변기(40)의 측면에 부착되어 조작스위치(21)의 조작에 따라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20)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컨트롤러의 출력신호에 따라 회전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부착되어 감속기능을 가지는 기어박스(31)와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단에 부착된 피니언 기어(32)와 상기 피니언 기어(32)와 접촉하여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며, 상기 발판 본체(1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리니어 기어(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내장형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의 발판내장형 좌변기로, 변비나 배변장애 등을 방지하고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별도의 좌변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아동들의 배변연습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판 내장형 좌변기{Bedpan with embedded a foothold}
본 고안은 이동 가능한 발판이 내장된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40)의 전방하부에 서랍식으로 출입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발판본체(10)와 상기 발판 본체(10)의 전방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바퀴(11)와 상기 좌변기(40)의 측면에 부착되어 조작스위치(21)의 조작에 따라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20)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컨트롤러의 출력신호에 따라 회전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부착되어 감속기능을 가지는 기어박스(31)와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단에 부착된 피니언 기어(32)와 상기 피니언 기어(32)와 접촉하여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며, 상기 발판 본체(1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리니어 기어(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내장형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좌변기의 경우, 사용자가 좌변기 위에 앉아서 배변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일반인의 평균 신장이 증대하고, 이러한 평균신장에 기초하여 설계되고 시공되는 좌변기의 경우, 신장이 작은 사람이나 어린이 등이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사용자의 발이 바닥에 닿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자세는 대퇴부와 상체사이의 각도가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의 둔부근육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또한 다리를 지탱하고 균형을 잡기 위하여 둔부근육이 이완되지 못하고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배변장애나 변비 등을 가져오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동에게 좌변기를 이용한 배변연습을 하게 하는 경우, 기존의 방법으로는 별도의 모의 좌변기를 이용하여 배변 연습을 시키고, 사용 후에 모의좌변기에 담긴 대변 처리하고 세척해야 하는 등 의 불편함과 위생상의 문제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배변을 위해 좌변기에 앉는 경우 본 고안의 발판을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자동으로 전방으로 이동시켜 나오게 하여 이 발판을 밟고 앉음으로서 대퇴부와 상체사이의 각도를 줄어들게 하고 발이 바닥에 닿아 몸체를 편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변장애나 변비 등을 방지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치의 조작으로 자동으로 발판이 좌변기의 내부로 이동해 수납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발판 내장형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좌변기(40)의 전방하부에 서랍식으로 출입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발판본체(10)와 상기 발판 본체(10)의 전방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바퀴(11)와 상기 좌변기(40)의 측면에 부착되어 조작스위치(21)의 조작에 따라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20)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컨트롤러의 출력신호에 따라 회전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부착되어 감속기능을 가지는 기어박스(31)와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단에 부착된 피니언 기어(32)와 상기 피니언 기어(32)와 접촉하여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며, 상기 발판 본체(1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리니어 기어(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 내장형 좌변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발판본체(10), 바퀴(11), 모터(30), 감속용 기어박스(31), 피니언 기어(32)와 리니어기어(33), 좌변기(40)로 구성된다.
먼저 발판본체(10)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발판 본체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도면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좌변기(40)의 전방 하부에 서랍식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판본체(10)의 높이는 사용자의 대퇴부와 상체사이의 각도가 직각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판본체(10)의 전방 하부에는 도면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바퀴(11)는 상기 발판 본체10)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하여 상기 발판 본체(10)와 좌변기(40)사이의 접촉부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발판 본체(10)의 손쉬운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바퀴(11)는 상기 발판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만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퀴(11)의 회전축이 상기 발판본체(10)의 좌우 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사용상의 안전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발판본체(10)는 후술할 좌변기(40)의 하부전방에 가이드 및 가이드레일(12)에 의해 좌우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되게 된다. 이 경우 발판의 형상은 도면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채꼴에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컨트롤러(20)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컨트롤러(20)는 후술할 좌변기(4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조작스위치(21)의 조작에 따라 후술할 모터(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과 정지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발판이 이동범위의 최전방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발판이 완전히 좌변기 안으로 수납되는 것을 센서 등을 이용하여 검출하여 적절한 위치에서 상기 모터(30)에 출력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0)는 본 고안이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고려 할 때 일반 가정용 전원 등으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얻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컨트롤러(20)를 구현하는 방법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주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모터(30)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모터(30)는 후술할 좌변기(4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20)의 출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20)의 전기적 출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발판본체(10)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모터(30)는 도면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용 기어박스(32)에 연결되어 상기 발판(10)을 구동하는데 적합한 속도와 힘을 갖도록 감속된다. 상기 감속용 기어박스(32)의 출력은 도면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32)를 통해 리니어 기어(33)로 전달되면서,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 리니어 기어(33)는 상기 발판 본체(10)의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리니어 기어(33)에 전달된 직선 운동 구동력이 상기 발판 본체(10)를 전후방향으로 출입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좌변기(40)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좌변기(40)는 도면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 내부에 상기 발판 본체(10)가 출입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발판 본체(10)가 그 내부에 수납될 수 있고, 이 형상의 공간은 상기 발판 본체(10)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발판 본체(10)를 지탱하여 주는 가이드의 기능도 함께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이 내장된 좌변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본 고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조작스위치를 눌러 그에 의해 컨트롤러에서 발생시킨 전기신호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며 그에 의해 발판본체가 도면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변기로부터 사용하기에 적절한 위치로 나오게 된다. 그 후 사용자는 본 발판을 밟고 좌변기에 앉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자세는 도면 4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이 없는 경우에 비해 대퇴부와 상체 사이의 각도가 줄어들게 되고 발이 바닥에서 떨어져 있거나 하지 않고 발전체가 발판에 닿아 안정적으로 신체를 지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사용이 끝난 후에는 사용자는 조작스위치를 눌러 발판본체를 좌변기 내에 수납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발판 본체가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발판본체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수납위치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사용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그 이후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그 발판을 이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는 경우 조작스위치(21)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발판 본체(10)가 좌변기(40)의 내부에서 나오거나 수납되게 되며,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는 경우 발판이 없는 경우에 비해 대퇴부와 상체 사이의 각도가 줄어들게 되고, 발이 바닥에서 떨어져 있거나 하지 않고 발전체가 발판에 닿아 안정적으로 신체를 지탱할 수 있게 되므로 배변장애나 변비를 방지하고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아동들의 좌변기를 이용한 배변연습을 하게 하는 경우, 기존의 모의 좌변기를 이용하는 방법에서의 세척의 불편함과 위생상의 문제 등을 겪지 않고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배변연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1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이 부착된 좌변기의 구조도
도2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판이 부착된 좌변기의 구조사시도
도3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판이 부착된 좌변기의 상면구조도
도4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이 부착된 좌변기의 사용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 발판본체 11: 바퀴
12: 가이드 및 가이드레일 20: 컨트롤러
21: 조작스위치 30: 모터
31: 감속용 기어박스 32: 피니언 기어
33: 리니어 기어

Claims (2)

  1. 좌변기(40)의 전방하부에 서랍식으로 출입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발판본체(10);
    상기 발판 본체(10)의 전방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바퀴(11);
    상기 좌변기(4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조작스위치(21)의 조작에 따라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20);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컨트롤러의 출력신호에 따라 회전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모터(30);
    상기 모터(30)에 부착되어 감속기능을 가지는 기어박스(31);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단에 부착된 피니언 기어(32);
    상기 피니언 기어(32)와 접촉하여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며, 상기 발판 본체(1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리니어 기어(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내장형 좌변기.
  2. 좌변기(40)의 하부전방에 가이드 및 가이드레일(12)에 의해 좌우로 회전이동 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는 부채꼴 형상의 발판본체(10);
    상기 발판 본체(10)의 전방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바퀴(11);
    상기 좌변기(4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조작스위치(21)의 조작에 따라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20);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컨트롤러의 출력신호에 따라 회전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모터(30);
    상기 모터(30)에 부착되어 감속기능을 가지는 기어박스(31);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단에 부착된 피니언 기어(32);
    상기 피니언 기어(32)와 접촉하여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며, 상기 발판 본체(1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리니어 기어(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내장형 좌변기.
KR20-2005-0005036U 2005-02-24 2005-02-24 발판 내장형 좌변기 KR200384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036U KR200384264Y1 (ko) 2005-02-24 2005-02-24 발판 내장형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036U KR200384264Y1 (ko) 2005-02-24 2005-02-24 발판 내장형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264Y1 true KR200384264Y1 (ko) 2005-05-12

Family

ID=4368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036U KR200384264Y1 (ko) 2005-02-24 2005-02-24 발판 내장형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26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965B1 (ko) 2014-06-13 2015-12-16 주식회사 미르니 쾌변기
CN107893462A (zh) * 2017-10-30 2018-04-10 平湖市中天卫厨设备厂 一种马桶
CN108867791A (zh) * 2018-09-04 2018-11-23 宫振聪 一种具有隐藏式脚踩凳的坐便器及隐藏式脚踩凳
KR20190004543A (ko) * 2017-07-04 2019-01-1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CN109457777A (zh) * 2018-12-06 2019-03-12 张学乾 一种智能监测猴脸形马桶
WO2022050573A1 (ko) * 2020-09-02 2022-03-10 김덕우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965B1 (ko) 2014-06-13 2015-12-16 주식회사 미르니 쾌변기
KR20190004543A (ko) * 2017-07-04 2019-01-1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KR101953467B1 (ko) * 2017-07-04 2019-02-2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CN107893462A (zh) * 2017-10-30 2018-04-10 平湖市中天卫厨设备厂 一种马桶
CN108867791A (zh) * 2018-09-04 2018-11-23 宫振聪 一种具有隐藏式脚踩凳的坐便器及隐藏式脚踩凳
CN109457777A (zh) * 2018-12-06 2019-03-12 张学乾 一种智能监测猴脸形马桶
WO2022050573A1 (ko) * 2020-09-02 2022-03-10 김덕우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4264Y1 (ko) 발판 내장형 좌변기
US20070209111A1 (en) Portable lift
US20040227331A1 (en) Multi-functional wheelchair
CN108118767B (zh) 一种智能升降清洁马桶
CN211093699U (zh) 坐便辅助起立装置
CN113040551B (zh) 一种多功能椅
CN111135025A (zh) 智能语音交互的多功能助老助行机器人
CN111772959A (zh) 一种智能助老如厕代步装置
KR20130139470A (ko) 다기능 전동식 승강기
JP4410845B2 (ja) ポ−タブルトイレ用フレ−ム
KR20110121168A (ko) 재활치료 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식 보행기
JP3166569U (ja) 便器からの立ち上がりを補助する電動椅子
JP4498980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CN204781239U (zh) 蹲坐两用式坐便器
CN2352155Y (zh) 全自动多功能自理病床
JP2009297445A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200469811Y1 (ko)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
CN104988977A (zh) 蹲坐两用式坐便器
KR102002423B1 (ko) 거꾸리 의자
CN212879114U (zh) 一种助力坐便器
JP2765106B2 (ja) 便器ユニット
CN108741922B (zh) 一种儿童专用餐桌
JP3224115U (ja) 立ち上がり介助椅子
KR20160145346A (ko)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
KR200384263Y1 (ko) 좌변기용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