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811Y1 -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 - Google Patents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811Y1
KR200469811Y1 KR2020130005440U KR20130005440U KR200469811Y1 KR 200469811 Y1 KR200469811 Y1 KR 200469811Y1 KR 2020130005440 U KR2020130005440 U KR 2020130005440U KR 20130005440 U KR20130005440 U KR 20130005440U KR 200469811 Y1 KR200469811 Y1 KR 200469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toilet
seat
guide
u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영
Original Assignee
하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영 filed Critical 하태영
Priority to KR2020130005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8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8Covers with urine fun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7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toi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남성의 소변이 발산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유아가 사용 가능한 시트가 함께 구비되는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는, 변기몸체(100)와; 상기 변기몸체(100)의 내측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남성의 소변이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변가이드(200)와; 소변가이드(20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모터와; 상기 제어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되는 피니언(250)과; 상기 피니언(250)과 나사 결합하여 피니언(25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랙(260)과; 성인이 착석하는 자리를 제공하는 착석시트(300)와; 상기 착석시트(300)의 후반부를 감싸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유아시트(310)와; 상기 착석시트(300)와 유아시트(310)의 상측을 덮는 변기커버(320)와; 상기 변기몸체(10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아가 올라설 수 있는 유아발판(4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소변의 발산이 방지되고 유아의 좌변기 사용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Toilet-stool for man and child}
본 고안은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남성의 소변이 발산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유아가 사용 가능한 시트가 함께 구비되는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坐便器)는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보게 된 수세식 서양 변기를 일컫는 것으로 '양변기'라고도 한다.
이러한 좌변기는, 주로 성인을 위한 것으로 그 크기가 통일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유아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트의 크기가 커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6479호와 같은 유아용 좌판이 더 구비된 좌변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유아용 시트의 결합이 번거롭거나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정에서는 하나의 좌변기로 남성과 여성이 공용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남성이 소변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좌변기의 위치가 낮아 소변이 옆으로 발산되어 화장실 바닥이나 시트 등이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196479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가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남성이 서서 소변을 누는 경우에도 주변으로 소변이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는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는, 변기몸체와; 상기 변기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이 일시 저장되는 저수통과; 상기 변기몸체와 저수통을 연결하며, 저수통을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와; 상기 변기몸체의 내측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남성의 소변이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변가이드와; 상기 소변가이드의 후측에 구비되며, 소변가이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모터와; 상기 제어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되는 피니언과; 상기 소변가이드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과 나사 결합하여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랙과; 상기 연결지지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성인이 착석하는 자리를 제공하는 착석시트와; 상기 연결지지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착석시트의 후반부를 감싸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유아시트와; 상기 연결지지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착석시트와 유아시트의 상측을 덮는 변기커버와; 상기 변기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아가 올라설 수 있는 유아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소변가이드는,
상기 변기몸체의 내면 후반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몸체보다 상하의 높이가 작은 전방부재와; 상기 가이드몸체와 전방부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방부재가 상기 가이드몸체의 상하 유동에 대응하여 상하로 유동하도록 제어하는 유동턱 및 유동홈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상기 유아시트는,
상기 착석시트의 후반부를 덮는 지지부와, 상기 착석시트의 내측에 수용되어 유아의 엉덩이에 직접 닿아 지지하는 반원 형상의 탄성부와, 상기 지지부와 탄성부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발판은,
상기 변기몸체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 평판 형상의 발판몸체와, 상기 발판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발판몸체의 선단을 지지하는 'T'자 형상의 지지다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상기 발판몸체와 변기몸체의 일면에는, 상기 발판몸체가 상기 변기몸체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금속편 및 영구자석이 각각 대응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턱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전면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은, 상기 전방부재의 후단 외면에 형성되며, 상하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몸체를 따라 상기 전방부재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부재의 상단 높이가 상기 가이드몸체의 상단 높이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에 의하면, 일반 가정용 좌변기에서도 남성이 소변볼 때 오줌의 비산이 방지된다. 즉, 남성의 소변시에는 소변가이드가 상승하도록 하여 오줌이 좌우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줌의 비산을 막는 소변가이드는 가이드몸체와 전방부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전방부재는 후방에 위치된 가이드몸체보다 상승 높이가 낮다. 따라서, 소변가이드의 앞부분이 낮으므로 키가 작은 남성의 경우에도 오줌이 변기몸체의 내부로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는 어린이나 유아가 이용 가능하도록 별도의 유아시트가 구비되고, 변기몸체의 앞부분에는 유아가 발을 디딜 수 있는 유아발판이 구비된다. 따라서, 신체가 작은 어린이나 유아의 경우에도 좌변기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변가이드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변가이드가 상승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변가이드가 상승한 경우의 가이드몸체와 전방부재의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변가이드가 하강한 경우의 가이드몸체와 전방부재의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아발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의 일실시예가 측단면도 및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소변가이드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는, 변기몸체(100)와, 상기 변기몸체(100)의 후측에 구비되어 물이 일시 저장되도록 하는 저수통(110)과, 상기 변기몸체(100)와 저수통(110)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부(120)와, 상기 변기몸체(100)의 내측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소변가이드(200)와, 상기 소변가이드(200)의 후측에 구비되어 소변가이드(20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모터와, 외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되는 피니언(250)과, 상기 피니언(250)과 나사 결합하여 피니언(25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랙(260)과, 상기 연결지지부(1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성인이 착석하는 자리를 제공하는 착석시트(300)와, 상기 연결지지부(1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착석시트(300)의 후반부를 감싸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유아시트(310)와, 상기 연결지지부(1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착석시트(300)와 유아시트(310)의 상측을 덮는 변기커버(320)와, 상기 변기몸체(10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아가 올라설 수 있는 유아발판(4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변기몸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변과 대변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기몸체(100)의 후측(도 1에서는 우측)에는 물이 일시 저장되는 저수통(110)이 구비된다.
상기 변기몸체(100)의 후측과 저수통(110)의 하부는 연결지지부(120)에 의해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지지부(120)는 저수통(110)을 지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저수통(110)의 상측에는 저수커버(110')가 결합되며, 전면에는 물내림버튼(1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통(110)의 측면에는 상승버튼(114)과 하강버튼(116)이 더 구비된다. 상기 상승버튼(114)은 상기 소변가이드(200)가 상승하도록 하는 버튼이며, 상기 하강버튼(116)은 상기 소변가이드(200)가 하강하도록 하는 버튼이다.
예를 들어, 상기 상승버튼(114)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어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소변가이드(200)가 상승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하강버튼(116)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어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소변가이드(200)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키는 회로 구성은 알려진 구성이므로, 여기에서는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지지부(120)의 상단에는 시트지지대(122)와 유아지지대(124) 및 커버지지대(12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시트지지대(122)는, 상기 착석시트(300)의 후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유아지지대(124)는, 상기 유아시트(310)의 후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시트지지대(122)보다 상단이 더 높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버지지대(1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아지지대(124)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변기커버(320)의 후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유아지지대(124)의 상단 높이보다 더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변가이드(200)는, 남성이 서서 소변을 누는 경우에 상기 변기몸체(100)의 좌우로 오줌이 발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변기몸체(100)의 내측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변가이드(200)는,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상승버튼(114) 또는 하강버튼(116)을 누르는 것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변가이드(200)는, 상기 변기몸체(100)의 내면 후반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몸체(210)와,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부재(220)와, 상기 가이드몸체(210)와 전방부재(22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방부재(220)가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상하 유동에 대응하여 상하로 유동하도록 제어하는 유동턱(212) 및 유동홈(22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몸체(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전방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 형상의 전방부재(220)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몸체(210)와 전방부재(220)가 결합되면 하나의 원통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부재(220)는, 원호의 크기가 상기 가이드몸체(210)보다 작도록 형성되며, 상하의 높이도 상기 가이드몸체(210)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전방부재(220)의 상하 높이는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상하높이보다 작다. 이는 상대적으로 앞쪽에 설치되는 전방부재(220)의 높이를 낮추어, 키 작은 남성이나 어린이가 소변을 보는 경우에도 오줌이 상기 전방부재(220)에 부딪히지 않고, 상기 변기몸체(100)에 잘 들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전면에는 한 쌍의 유동턱(212)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유동턱(212)은,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2/3높이의 지점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유동홈(222)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방부재(220)의 후단에는 한 쌍의 유동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홈(222)은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유동홈(222)에 상기 유동턱(212)이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동턱(212)은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전면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222)은 상기 전방부재(220)의 후단 외면에 상하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몸체(210)를 따라 상기 전방부재(220)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부재(220)의 상단 높이가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상단 높이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소변가이드(200)의 후측에는 랙(260)이 상하로 설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후측에는 상기 랙(260)이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250)과 나사 결합하여 피니언(25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랙(260)의 후면에는 상기 피니언(25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와 대응되는 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몸체(210)와 상기 랙(260)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랙(260)의 상단과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후면 상단부는 연결부(27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랙(260)의 후면 하단에는 센서턱(262)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지지부(120)의 내부 선단(도 1에서는 좌측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에 소정 거리를 두고 센서(264,266)가 구비된다. 즉 상대적으로 상측에는 상단센서(264)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하단센서(266)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264,266)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랙(260)의 상하 이동 구간을 제어한다. 즉, 상기 랙(260)은 상기 센서턱(262)이 상기 상단센서(264)에 근접하면 상승을 멈추게 되고, 상기 센서턱(262)이 상기 하단센서(266)에 근접하면 하강을 멈추게 된다.
상기 소변가이드(200)의 후측에는, 소변가이드(20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어모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피니언(25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어모터로부터 돌출된 모터축(252)에 상기 피니언(250)이 결합된다.
상기 피니언(250)은, 모터축(252)에 의해 상기 제어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상기 랙(260)에 형성된 기어와 대응되는 기어가 형성되어 랙(260)의 후면과 치차결합하게 된다.
상기 변기몸체(100)의 상측에는 상기 착석시트(300)가 덮게 된다. 상기 착석시트(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지지부(120)의 상단에 형성된 시트지지대(122)에 후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성인이 착석하는 자리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유아시트(310)는, 상기 연결지지부(1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유아지지대(12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착석시트(300)의 후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유아시트(310)는, 상기 착석시트(300)의 후반부를 덮는 지지부(312)와, 상기 착석시트(300)의 내측에 수용되어 유아의 엉덩이에 직접 닿아 지지하는 반원 형상의 탄성부(314)와, 상기 지지부(312)와 탄성부(314)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31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3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312)의 하면은, 상기 착석시트(300)의 후반부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착석시트(300)의 후반부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314)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석시트(300)의 선단부와 대칭되는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착석시트(300)의 선단부와 상기 탄성부(314)가 결합되면, 전체적으로 링(ring)형상이 되어 유아의 엉덩이 테두리부분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차폐부(316)는, 상기 탄성부(314)와 지지부(312)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유아가 변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틈새를 통해 장남감 등을 변기몸체(100) 내부에 빠트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유아가 공포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변기커버(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지지부(1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착석시트(300)와 유아시트(310)의 상측을 덮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아발판(400)은, 상기 변기몸체(10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아가 올라설 수 있는 디딤판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변기몸체(100)의 전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사각 형상의 부착면(102) 형성되고, 이러한 부착면(102)의 전면에 상기 유아발판(400)이 부착되어 보관된다.
상기 부착면(102)에는 상기 유아발판(400)이 하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부착면(102)의 하단부에는 좌우 양단에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힌지단(104)이 구비되어 상기 유아발판(40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힌지단(104)에는 결합힌지(104')가 삽입되어, 상기 유아발판(400)의 하단이 상기 힌지단(10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부착면(102)의 상단 부분에는 좌우로 한 쌍의 영구자석(106)이 설치된다. 상기 영구자석(106)은 아래에서 설명할 유아발판(400)의 금속편(412)을 자력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상기 유아발판(400)은, 상기 변기몸체(1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 평판 형상의 발판몸체(410)와, 상기 발판몸체(4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발판몸체(410)의 선단을 지지하는 'T'자 형상의 지지다이(420)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발판몸체(410)에는 T홈(420')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T홈(420')에 상기 지지다이(420)가 수용된다.
상기 지지다이(420)는, 상단(도 2에서)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다이(420)는 다이힌지(430)에 의해 상기 발판몸체(4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T홈(420')과 지지다이(42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다이홈(442')과 다이돌기(442)가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이(420)가 상기 T홈(42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발판몸체(410)의 상단 후면(도 2에서)에는 금속편(도 8의 412)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발판몸체(410)의 상단 좌우에는 상기 변기몸체(100)에 구비된 영구자석(106)과 대응되는 금속편(412)이 쌍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금속편(412)과 상기 변기몸체(100)의 영구자석(106)에 의해 상기 발판몸체(410)가 상기 변기몸체(1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에는 상기 소변가이드(200)가 상승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의 A-A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다이(420)의 내부에는 좌우 양단에 소정 돌기공간(440)이 형성되며, 이러한 돌기공간(440)에는 다이돌기(44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다이돌기(442)는 상기 지지다이(420)의 좌우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T홈(420')의 좌우 내면에 형성된 다이홈(442')에 수용된다.
상기 돌기공간(440)의 내부에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돌기스프링(444)이 더 구비되어, 상기 다이돌기(442)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밀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고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소변가이드(200)는 상기 변기몸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가이드몸체(210)와 전방부재(220)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유동턱(212)은 유동홈(222)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남성이 소변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기커버(320)와 착석시트(300) 등을 모두 들어올린다. 그런 다음, 상기 상승버튼(114)을 누른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어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니언(250)의 회전에 따라 랙(260)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변가이드(200)가 상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랙(260)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몸체(210)가 상승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유동턱(212)은 도 7과 같이 유동홈(222)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점차 상측으로 이동하여 도 6과 같이 유동홈(222)의 상단으로 이동한다.
도 6과 같이 상기 유동턱(212)이 유동홈(222)의 상단에 닿게 되면, 이때부터는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상승에 따라 상기 전방부재(220)도 상승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랙(260)의 상승은 상기 센서턱(262)이 상기 상단센서(264)에 이르면 정지하게 되어, 좌변기는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처럼 도 4와 같이 되면, 상기 전방부재(220)는 가이드몸체(210)보다 상단 높이가 낮게 되고, 상기 변기몸체(100)의 상측은 소변가이드(200)에 의해 감싸지게 되므로, 남성이 서서 소변을 보는 경우에도 오줌의 좌우 발산이 방지된다.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강버튼(116)을 누르면, 상기 제어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랙(260)은 가이드몸체(210)와 함께 하강하게 되고, 이때에는 상기 전방부재(220)는 자체 무게에 의해 상기 가이드몸체(210)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랙(260)의 하강은 상기 센서턱(262)이 하단센서(266)에 닿게 되면 정지하며, 이때에는 상기 가이드몸체(210)와 전방부재(220)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유아가 변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변기커버(320)를 들어올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유아시트(310)는 상기 착석시트(300)의 후반부를 덮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금속편(412)과 영구자석(106)의 결합력 이상의 힘으로, 상기 유아발판(400)의 상단을 앞으로(도 1에서는 좌측으로) 당기면, 상기 유아발판(400)은 하단의 결합힌지(104')를 축으로 회전하여 펼쳐져 수평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다이(420)의 다이돌기(442) 있는 부분을 하측으로 손으로 밀게 되면, 상기 지지다이(420)는 상기 다이힌지(430)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발판몸체(410)와 수직을 유지하게 되어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처럼 도 8과 같이 되면, 상기 지지다이(420)에 의해 상기 발판몸체(410)가 수평을 유지하게 되므로, 유아나 어린이는 발판몸체(410)를 발로 디딘 상태에서 상기 유아시트(310) 및 착석시트(300)의 전반부에 엉덩이를 대고 앉아서 용변을 보면 된다.
유아의 사용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의 역순에 의해 유아발판(400)을 원위치시킨다. 즉, 먼저 지지다이(420)를 상기 T홈(420')에 밀어넣게 되면, 상기 다이돌기(442)가 다이홈(442')에 수용되므로 지지다이(420)는 T홈(420') 내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몸체(410)를 들어올려 상기 부착면(102)에 밀착시키면, 상기 발판몸체(410)의 금속편(412)이 영구자석(106)에 의해 끌리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발판몸체(410)가 변기몸체(100)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변기몸체 110. 저수통
120. 연결지지부 200. 소변가이드
210. 가이드몸체 220. 전방부재
250. 피니언 260. 랙
300. 착석시트 310. 유아시트
320. 변기커버 400. 유아발판
410. 발판몸체 420. 지지다이

Claims (2)

  1. 변기몸체(100)와;
    상기 변기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물이 일시 저장되는 저수통(110)과;
    상기 변기몸체(100)와 저수통(110)을 연결하며, 저수통(110)을 지지하는 연결지지부(120)와;
    상기 변기몸체(100)의 내측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남성의 소변이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변가이드(200)와;
    상기 소변가이드(200)의 후측에 구비되며, 소변가이드(20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모터와;
    상기 제어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되는 피니언(250)과;
    상기 소변가이드(200)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250)과 나사 결합하여 피니언(25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랙(260)과;
    상기 연결지지부(1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성인이 착석하는 자리를 제공하는 착석시트(300)와;
    상기 연결지지부(1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착석시트(300)의 후반부를 감싸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유아시트(310)와;
    상기 연결지지부(1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착석시트(300)와 유아시트(310)의 상측을 덮는 변기커버(320)와;
    상기 변기몸체(10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아가 올라설 수 있는 유아발판(400)을 포함하며;
    상기 소변가이드(200)는,
    상기 변기몸체(100)의 내면 후반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몸체(210)와;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몸체(210)보다 상하의 높이가 작은 전방부재(220)와;
    상기 가이드몸체(210)와 전방부재(22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방부재(220)가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상하 유동에 대응하여 상하로 유동하도록 제어하는 유동턱(212) 및 유동홈(22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상기 유아시트(310)는,
    상기 착석시트(300)의 후반부를 덮는 지지부(312)와, 상기 착석시트(300)의 내측에 수용되어 유아의 엉덩이에 직접 닿아 지지하는 반원 형상의 탄성부(314)와, 상기 지지부(312)와 탄성부(314)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316)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발판(400)은,
    상기 변기몸체(1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 평판 형상의 발판몸체(410)와, 상기 발판몸체(4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발판몸체(410)의 선단을 지지하는 'T'자 형상의 지지다이(4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상기 발판몸체(410)와 변기몸체(100)의 일면에는, 상기 발판몸체(410)가 상기 변기몸체(1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금속편(412) 및 영구자석(106)이 각각 대응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턱(212)은,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전면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222)은, 상기 전방부재(220)의 후단 외면에 형성되며, 상하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몸체(210)를 따라 상기 전방부재(220)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부재(220)의 상단 높이가 상기 가이드몸체(210)의 상단 높이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
KR2020130005440U 2013-07-03 2013-07-03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 KR200469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440U KR200469811Y1 (ko) 2013-07-03 2013-07-03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440U KR200469811Y1 (ko) 2013-07-03 2013-07-03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811Y1 true KR200469811Y1 (ko) 2013-11-11

Family

ID=5074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440U KR200469811Y1 (ko) 2013-07-03 2013-07-03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8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708B1 (ko) * 2013-01-30 2015-03-05 장경원 기능성 소변기의 제조 방법
KR101499107B1 (ko) * 2014-10-02 2015-03-06 (주)대영폴리머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CN110528653A (zh) * 2019-09-05 2019-12-03 杭州优固光电有限公司 一种消毒马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962B1 (ko) * 1995-12-29 1999-03-30 김태구 시트 위치조절장치
KR20100004519U (ko) * 2008-10-23 2010-05-03 우태욱 유아용 변기
KR200462674Y1 (ko) 2010-12-31 2012-09-26 안재철 유아용 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962B1 (ko) * 1995-12-29 1999-03-30 김태구 시트 위치조절장치
KR20100004519U (ko) * 2008-10-23 2010-05-03 우태욱 유아용 변기
KR200462674Y1 (ko) 2010-12-31 2012-09-26 안재철 유아용 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708B1 (ko) * 2013-01-30 2015-03-05 장경원 기능성 소변기의 제조 방법
KR101499107B1 (ko) * 2014-10-02 2015-03-06 (주)대영폴리머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CN110528653A (zh) * 2019-09-05 2019-12-03 杭州优固光电有限公司 一种消毒马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811Y1 (ko) 남성 및 유아 겸용 좌변기
US201100476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ygienic Toilet Seat
KR101205134B1 (ko) 남아용 소변기
JP2015012900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384264Y1 (ko) 발판 내장형 좌변기
KR101229955B1 (ko) 자동으로 회전되는 남성용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
CN209032100U (zh) 一种蹲坐两用马桶
JP6338888B2 (ja) 補助便座
JP4995979B1 (ja) 便器
US20140208494A1 (en) Portable Toilet Seat for Children
JP2006271746A (ja) 男子用小便器
CN202908602U (zh) 多功能坐便椅
CN210989948U (zh) 一种组合式座便器
KR200399753Y1 (ko) 휴대용 좌변기
CN207700317U (zh) 一种带盖男士小便器
KR102627071B1 (ko) 기능성 건강 쾌변기
CN211657813U (zh) 一种宝宝用一体化盆桌桶装置
KR20150097979A (ko) 크기 조절 가능한 고무로 만든 변기시트
KR101219246B1 (ko) 유아용 변기 겸용 샤워기
JP2013074954A (ja) 昇降折りたたみフットレスト装置とこれを用いた車椅子
CN204500512U (zh) 一种智能儿童坐便器
KR200452462Y1 (ko) 유아용 카시트
CN207679374U (zh) 一种新型马桶
KR102481731B1 (ko) 간이 화장실용 이동식 좌변기
JP2010069266A (ja) 背もたれ付き便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