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065B1 -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 Google Patents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065B1
KR102198065B1 KR1020200129561A KR20200129561A KR102198065B1 KR 102198065 B1 KR102198065 B1 KR 102198065B1 KR 1020200129561 A KR1020200129561 A KR 1020200129561A KR 20200129561 A KR20200129561 A KR 20200129561A KR 102198065 B1 KR102198065 B1 KR 102198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lower frame
pressing
toile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세권
양명진
Original Assignee
(주) 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폴리텍 filed Critical (주) 폴리텍
Priority to KR1020200129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4Buffers for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는 중앙부의 중심영역이 원형으로 삭제된 형태로 마련되고 중앙부의 둘레영역에 상방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일측이 하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변좌 및 상광하협한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되,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부프레임의 삭제영역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 안착되는 버킷을 포함하며, 하부프레임은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변좌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변좌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되되, 변좌의 회동 각도에 따라 가압부의 가압 세기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MOVABLE TOILET}
본 발명은, 이동식 변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가변 가압 구조를 통해 변좌의 낙하 충격을 감소시키는 이동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변기는 거동 등이 불편하여 일반적인 화장실 이용이 어려운 노약자, 장애인 등을 위한 것으로, 사용 인원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이용된다.
이러한, 별도의 배관 등이 연결되지 않은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수시로 내부의 배설물을 배출해야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이동식 변기는 이동식 변기는 이동성(Mobility)에 집중하여, 부속이 일체화되도록 제품이 설계됨에 따라, 사용인원의 보호자가 이동식 변기 전체를 들어 옮겨 배설물을 배출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단에 변좌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배설물이 담기는 버킷이 위치하여, 사용자가 변좌를 들어 올린 후 내부의 버킷만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이동식 변기의 사용이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동식 변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0408호(출원일: 2018.08.31., 공고일: 2019.11.04., 이하, ‘종래기술’이라함)에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버킷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변좌를 들어 올려야 하나, 변좌 부분이 들어 올려 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변좌 부분으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변좌 부분이 회전 낙하하여 그 외의 부속과 충돌함으로써 변좌 또는 그 외의 부속이 파손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변좌의 낙하 충돌에 의한 부품 파손 및 사용자의 부상 발생을 방지하는 이동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변기는, 중앙부의 중심영역이 원형으로 삭제된 형태로 마련되고 중앙부의 둘레영역에 상방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된 하부프레임; 일측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변좌; 및 상광하협한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되,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삭제영역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 안착되는 버킷;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변좌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력을 통해 상기 변좌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되되, 상기 가압부의 가압 세기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좌는 상기 버킷의 개방된 상면 형상에 대응되는 삭제영역을 가지는 링 형상의 변좌부와 상기 변좌부의 측방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프레임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를 통한 상기 변좌의 축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안내부에 결합된 상기 변좌의 연장부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장부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측면은 상기 변좌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가압부에 대향하는 영역의 측방 높이가 변하는 경사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변좌부의 하부가 상기 단턱부에 근접할수록 상기 연장부의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증가하여 상기 연장부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안내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안내부가 구비된 일면과 예각을 이루며 돌출된 돌기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안내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안내부가 구비된 일면과 예각을 이루며 돌출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부분의 돌출 각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며 절곡되어 상기 연장부의 측면과 접촉되는 제2 부분이 구비된 절곡 돌기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변기는, 하부프레임의 가압부가 변좌의 측면을 가압하되, 특히, 변좌가 하부프레임의 단턱부에 근접할수록 변좌의 측면 가압 세기가 증가하여 변좌의 회전 낙하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변좌의 회전 낙하 충격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의 변좌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의 하부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의 하부프레임의 가압부 형상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변좌의 회동 각도에 따른 가압부의 가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프레임의 가압부 형상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에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10)는 각 구성이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며, 변좌(100), 하부프레임(200), 버킷(300), 커버(400) 및 손잡이(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의 변좌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변좌(100)는 후술할 버킷(300)의 상면 형상에 대응되는 삭제영역을 가지는 링 형상의 변좌부(110)와 변좌부(110)의 측방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20) 및 연장부(120)의 측면에 위치하여 후술할 하부프레임(200)의 일 측과에 결합되는 결합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변좌부(110)는 용변을 보고자 하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영역으로 상면이 사용자의 둔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중앙의 삭제영역을 통해 배설물이 후술할 버킷(300)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연장부(120)는 변좌(100)가 후술할 하부프레임(200)의 일 측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영역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결합부(130)는 연장부(120)의 측면에 위치하여 후술할 하부프레임(200)의 안내부(220)와 결합되는 구성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결합부(130)는 연장부(120)의 측면에 형성된 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결합부(130)는 하부프레임(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돌기, 회전 부재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120)의 측면은, 후술할 하부프레임(200)의 가압부(230)가 연장부(120)의 측면을 가압할 때, 변좌(100)의 회동각도에 따라 가압부(230)가 연장부(120)의 측면을 가압하는 세기를 달리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이며, 좀 더 상세하게는, 연장부(120)의 측면이 경사면으로 마련되어 변좌(10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측방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연장부(120)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230)의 가압 세기 또한 달라진다. 이러한 연장부(120)의 구성은 변좌(100)의 특정 회동 범위에서 변좌(100)의 회동 자유도에 일부 제한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수직 상태에 놓인 변좌(100)를 하방으로 내릴 때, 낙하 속도가 저감되지 않은 채 회전 낙하하는 변좌(100)가 그 외의 구성과 충돌함으로 인해 구성의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연장부(120)의 측면은 변좌(100)의 하면이 하부프레임(200)에 가까워질수록 가압부(230)의 가압 세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가압부(230)의 위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연장부(120)의 측면은, 도 2의 연장부(120)의 돌출 방향에서 바라본 변좌(100)의 부분 확대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 연장부(12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비스듬한 하향경사면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할 가압부(230)의 형성 위치와 더불어 변좌(100)의 하면이 하부프레임(200)에 가까워질수록 가압부(230)의 가압 세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연장부(120)의 측면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비스듬한 하향경사면인 것에 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의 하부프레임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의 하부프레임의 가압부 형상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하부프레임(200)은 중앙부의 중심영역이 원형으로 삭제된 형태로 마련되고 중앙부의 둘레영역에 상방으로 돌출된 단턱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턱부(210)는 변좌(100)의 하면이 지지되는 영역이다. 또한, 하부프레임(200)의 일측에는 변좌(100)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내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안내부(220)는 변좌(100)의 연장부(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단턱부(2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 구조상에 마련되어, 변좌(100)가 결합부(13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부(130)와 결합되는 다양한 회전결합 수단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안내부(220)의 구성을 결합부(130)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마련된 결합수단(222)이 관통홀(A)에 결합된 형태에 한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가압부(230)는 관통홀(A)의 하방에서 변좌(100)의 연장부(120)의 측면 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며 돌출된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200)은 중앙부의 삭제영역에 후술할 버킷(300)이 삽입될 때, 버킷(300)의 상부가 걸림 안착되는 안착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단턱부(210)의 돌출 높이는 버킷(300)이 삭제영역에 삽입되어 상부가 안착부(240)에 안착될 때, 안착부(240)의 상면에 이상 높이에 해당하는 버킷(300)의 상부와, 버킷(300)의 상면에 안착되는 커버(400)의 높이를 합한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킷(300)은 상광하협한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되,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부프레임(200)의 삭제영역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버킷(300)이 상광하협한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었다 함은, 버킷(300)의 하부는 하부프레임(200)의 삭제영역을 통과하되, 상부는 하부프레임(200)의 삭제영역을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버킷(300)은 하부프레임(200)의 삭제영역에 삽입 안착되면, 상부의 일부가 하부프레임(200)의 안착부(240)에 접촉된 상태로 하부프레임(200)에 지지되어진다. 이때, 버킷(300)의 상부는 하부프레임(200)의 단턱부(210)의 돌출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어, 변좌(100)가 하부프레임(200)의 단턱부(210)에 지지되어질 때도, 변좌(10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버킷(300)의 상부는 버킷(300)이 하부프레임(200)의 안착부(240)에 안착될 때, 후술할 손잡이(500)가 안착부(240)의 상면 또는 단턱부(210)에 지지된 변좌(100)의 하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손잡이(500)와 일영역과 접촉되는 지지구조가 적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400)는 버킷(3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400)의 하면은 버킷(300)의 개방된 상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턱이 형성되어, 버킷(300)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버킷(3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한다.
손잡이(500)는 호 형상의 띠 형태로 마련되고, 양단이 버킷(30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킷(300)은 상부 양측에 홀(미도시)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되고, 손잡이(500)의 양단은 버킷(300)의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버킷(300)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500)의 일영역은 버킷(300)에 형성된 지지구조에 의해, 버킷(300)이 하부프레임(200)의 안착부(240)에 안착될 때, 손잡이(500)가 안착부(240)의 상면과 단턱부(210)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도록 위치한 채로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10)의 하부프레임(200)에 결합된 변좌(100)의 회동 각도에 따른 가압부(230)의 가압 상태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변좌의 회동 각도에 따른 가압부의 가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변좌(100)가 하부프레임(200)과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의 가압부(230)와 연장부(120)의 측면 형상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10)는 버킷(300)을 하부프레임(200)에 안착시키거나, 하부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우선적으로 하부프레임(200)의 단턱부(210)에 지지된 변좌(100)를 하부프레임(200)과 거의 수직을 이루는 구간까지 회전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가압부(230)와 마주하는 연장부(120)의 측면 높이는 변좌(100)의 하면이 단턱부(210)에 지지되고 있을 때보다 낮아짐에 따라 가압 세기가 줄어들게 된다. 다시 말해, 변좌(100)를 하부프레임(200)과 거의 수직을 이루는 구간까지 회전 이동시키게 되면, 가압부(230)가 연장부(120)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 세기는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도 6은 하부프레임(200)과 수직을 이루던 변좌(100)가 회전 이동되어 변좌(100)의 하면이 하부프레임(200)의 단턱부(210)에 지지되고 있을 때의 가압부(230)와 연장부(120)의 측면 형상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것이다. 이때. 가압부(230)와 마주하는 연장부(120)의 측면 높이는 변좌(100)가 하부프레임(200)과 수직을 이루고 있을 때보다 높아짐에 따라, 연장부(120)의 측면이 가압부(230)를 가압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가압부(23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연장부(120)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힘이 증가하게 되며, 그에 따라 연장부(120)를 가압하는 가압부(230)의 가압 세기 또한 증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 변좌(100)를 하부프레임(200)과 거의 수직을 이루는 지점에서 변좌(100)의 하면이 하부프레임(200)의 단턱부(210)와 맞닿도록 회전 낙하시킨다 하더라도, 변좌(100)가 회전 낙하하는 과정에서 가압부(230)가 연장부(120)의 측면을 가압하는 세기 또한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변좌(100)의 회전 낙하 속도가 감소하게 되어 변좌(100)에 가해지는 낙하 충격 또한 줄어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프레임의 가압부 형상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프레임(200`)의 가압부(230`)는 관통홀(A`)이 형성된 일면으로부터 예각을 이루며 돌출되는 제1 부분(232`) 및 제1 부분(232`)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 부분(232`)의 돌출 각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며 절곡되어 연장부(120)의 측면과 접촉되는 제2 부분(234`)이 구비된 절곡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부분(234`)의 절곡 각도가 제1 부분(232`)의 돌출 각도에 비해 작은 이유는, 연장부(120)의 측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며, 이와 반대로 제1 부분의 돌출 각도가 제2 부분(234`)의 절곡 각도에 비해 큰 이유는 연장부(120)의 측면을 가압하는 탄성복원력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변기는, 하부프레임의 가압부가 변좌의 측면을 가압하되, 특히, 변좌가 하부프레임의 단턱부에 근접할수록 변좌의 측면 가압 세기가 증가하여 변좌의 회전 낙하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변좌의 회전 낙하 충격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이동식 변기
100: 변좌
110: 변좌부
120: 연장부
130: 결합부
200, 200`: 하부프레임
210: 단턱부
220: 안내부
222: 결합수단
230, 230`: 가압부
232`: 제1 부분
234`: 제2 부분
240: 안착부
300: 버킷
400: 손잡이
500: 커버
A, A`: 관통홀

Claims (7)

  1. 중앙부의 중심영역이 원형으로 삭제된 형태로 마련되고 중앙부의 둘레영역에 상방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된 하부프레임;
    일측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변좌; 및
    상광하협한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되,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삭제영역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 안착되는 버킷;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변좌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되되, 상기 변좌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가압부의 가압 세기가 변하고,
    상기 변좌는 상기 버킷의 개방된 상면 형상에 대응되는 삭제영역을 가지는 링 형상의 변좌부와 상기 변좌부의 측방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프레임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를 통한 상기 변좌의 축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안내부에 결합된 상기 변좌의 연장부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장부의 측면을 가압하며,
    상기 연장부의 측면은 상기 변좌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가압부에 대향하는 영역의 측방 높이가 변하는 경사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변좌부의 하부가 상기 단턱부에 근접할수록 상기 연장부의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증가하여, 상기 연장부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안내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안내부가 구비된 일면과 예각을 이루며 돌출된 돌기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안내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안내부가 구비된 일면과 예각을 이루며 돌출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부분의 돌출 각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며 절곡되어 상기 연장부의 측면과 접촉되는 제2 부분이 구비된 절곡 돌기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KR1020200129561A 2020-10-07 2020-10-07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KR102198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561A KR102198065B1 (ko) 2020-10-07 2020-10-07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561A KR102198065B1 (ko) 2020-10-07 2020-10-07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065B1 true KR102198065B1 (ko) 2021-01-04

Family

ID=7412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561A KR102198065B1 (ko) 2020-10-07 2020-10-07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0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839A (ko) * 2006-07-31 2008-02-11 강재원 양변기 좌대의 힌지 결합구조
KR20140063424A (ko) * 2012-11-15 2014-05-27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영유아용 변기
KR20150004731A (ko) * 2013-07-03 2015-01-13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식 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839A (ko) * 2006-07-31 2008-02-11 강재원 양변기 좌대의 힌지 결합구조
KR20140063424A (ko) * 2012-11-15 2014-05-27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영유아용 변기
KR20150004731A (ko) * 2013-07-03 2015-01-13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식 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14570S1 (en) Region of a fingerprint scanning device with an illuminated ring
US6230923B1 (en) Drinking bottle provided with a flexible liquid-sucking member adapted to serve as a drinking straw
KR102207595B1 (ko)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CA2451527A1 (en) Juicer
KR102198065B1 (ko) 가변가압 방식을 통한 변좌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JP2010005190A (ja) 回転式電気かみそり
JP2015516190A (ja) 真空ポンプが具備されたクリームタイプ化粧品容器
KR950013560B1 (ko) 캔 오프너
EP3946202A1 (en) Strength-reinforced single use bedpan
JP5653601B2 (ja) 肘掛け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
CN1496700A (zh) 带有筛板的食品压榨器
KR100886608B1 (ko) 쓰레기통
KR102198067B1 (ko) 변좌의 하중을 이용한 변좌의 회전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US5860170A (en) Toilet plunging shield
KR102198063B1 (ko) 소변 튐 방지형 이동식 변기
KR102198066B1 (ko) 변위접촉 방식을 통한 변좌의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KR20030017579A (ko) 수화기
JP6684196B2 (ja) 注出キャップ
US6904623B2 (en) Drain plug structure for bath tub
KR102055358B1 (ko) 변기 시트
TW200614305A (en) Switch device
KR200319259Y1 (ko) 파우더 용기
WO2003008300A3 (en) Wipe refill kit
JP4421821B2 (ja) ファイル用レバークリップ
TWM614080U (zh) 牙線棒收納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