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333B1 - 배설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배설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333B1
KR101288333B1 KR1020110019485A KR20110019485A KR101288333B1 KR 101288333 B1 KR101288333 B1 KR 101288333B1 KR 1020110019485 A KR1020110019485 A KR 1020110019485A KR 20110019485 A KR20110019485 A KR 20110019485A KR 101288333 B1 KR101288333 B1 KR 101288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atient
tube
closing
cu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518A (ko
Inventor
주현용
주국배
주국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엠
Priority to KR1020110019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333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간병인의 도움 없이 배변시에 자동으로 장착되어 환자의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모든 사용자들에게 쾌적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한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환자의 대소변을 받아내고 세정노즐을 통해 살수되는 물로 항문 및 국부를 세정함과 아울러 배설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환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게 침대 혹은 방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대 혹은 방석에 환자가 눕거나 앉았을 경우 환자의 엉덩이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엉덩이 외곽을 받혀준 상태로 팽창되면서 엉덩이를 벌려주어 상기 세정노즐을 통해 살수되는 물로 하여금 항문을 보다 청결하게 세정할 수 있게 항문을 벌려주기 위한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안쪽으로 위치하게 상부가 개구되는 수용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수용홈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된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수용홈을 통해 승강되도록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어 환자의 대소변을 받아낼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배설물을 처리 할 수 있는 배설물 배출용 호스가 연락되게 설치된 컵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컵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한 승강부; 및 상기 각 부들의 동작 완료 시점에 따라 상기 각 부들이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설물 처리장치{disposing excreta}
본 발명은 환자 혹은 장애인들(이하, 단지 "환자"라 칭한다.)에게 사용되는 대소변 등의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와병환자들)이거나 혹은 휠체어 등에 앉아있는 상태(좌변형)에서 간병인 혹은 보호자의 도움 없이 배변시에 자동으로 장착되어 환자의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모든 사용자들에게 쾌적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한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들은 거동이 불편하기 때문에 누워서 대소변을 보고 있는데, 특히 와병환자들의 경우에는 대소변 등을 처리하기 위한 배설물 처리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배설물 처리장치는 누워서 사용하기 때문에 엉덩이가 오물어 들어 항문이 닫혀있기 때문에 항문의 세정을 완벽하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또 항시 착용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이로 인한 피부 트러블이 생길 가능성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설물 처리장치를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사용할 경우 거의 실효성이 없다. 즉, 의식이 없는 환자는 음식 섭취가 적어서 배변량이 아주 적거나 배변이 건조하고 덩어리 져서 간병인이 직접 처리하여야 하는 것이 실상이며, 관장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배설물 처리장치를 잘 사용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배설물 처리장치는 의식이 있는 환자에게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별다른 실효성이 없다. 즉, 의식이 있는 환자에게 배설물 처리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간병인이 환자의 옷을 벗기고 환장의 엉덩이를 들은 상태에서 배설물 처리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인력이 소요됨은 당연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비용만 증대시키기 때문에 이로 인한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설물 처리장치는 와변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고, 좌변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병인 혹은 보호자의 도움 없이 배변시에 자동으로 장착되어 환자의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모든 사용자들에게 쾌적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한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의 대소변을 받아내고 세정노즐을 통해 살수되는 물로 항문 및 국부를 세정함과 아울러 배설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환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게 침대 혹은 방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대 혹은 방석에 환자가 눕거나 앉았을 경우 환자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위에 "C"형상을 이루게 형성된 제1튜브를 설치하여 컴프레서에 의해 상기 제1튜브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함으로서 환자의 엉덩이 외곽을 받혀준 상태로 상기 제1튜브가 팽창되게 하여 환자의 엉덩이를 벌려주어 상기 세정노즐을 통해 살수되는 물로 하여금 항문을 보다 청결하게 세정할 수 있게 항문을 벌려주기 위한 시트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는 제1튜브의 안쪽으로 위치하게 상부가 개구되는 수용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수용홈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된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수용홈을 통해 승강되도록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어 환자의 대소변을 받아낼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배설물을 처리 할 수 있는 배설물 배출용 호스가 연락되게 설치된 컵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컵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한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컵부재를 승강되게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개폐부의 수용홈을 개폐할 수 있게 제어하고, 상기 시트부의 제1튜브가 팽창 및 수축되게 컴프레서를 제어할 수 있게 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시트부에는 침대 혹은 방석에 환자가 눕거나 앉았을 경우 환자의 사타구니가 위치하는 제1튜브의 일측으로 위치되게 제5튜브를 설치하여 컴프레서에 의해 상기 제5튜브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함으로서 상기 제5튜브가 팽창되게 하여 환자의 사타구니 부위를 지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는 개구를 막도록 제2~제3튜브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2~제3튜브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수축될 수 있게 고무줄을 설치하여 컴프레서에 의해 상기 제2~제3튜브의 내부에 충진된 에어를 배출시킴으로서 상기 고무줄에 의해 제2~제3튜브가 양측으로 당겨지면서 수축되어 상기 개구를 개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는 컵부재의 하부에 제4튜브를 설치하여 컴프레서에 의해 상기 제4튜브의 내부로 에어를 충진함으로서 상기 제4튜브가 팽창되게 하여 상기 컵부재를 상승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부는 환자의 엉덩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침대 혹은 방석으로부터 승강되어 상기 환자의 사타구니가 정위치로 고정되게 한 돌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는 개구를 막도록 개폐판을 설치하여 실린더 혹은 모터에 의해 상기 개폐판이 슬라이딩되게 하여 개구를 개폐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부는 컵부재를 실린더 혹은 모터에 의해 승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병인 혹은 보호자의 도움 없이 배변시에 자동으로 장착되어 환자의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게 하여 쾌적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배설물 처리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변시에만 자동으로 착용되게 함으로서 환자의 피부 트러블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와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휠체어 등에 앉은 상태에서 좌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경제성을 갖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를 와변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환자가 입는 바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에 대한 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를 와변용으로 사용시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가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의 요부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를 좌변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a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를 좌변용으로 사용시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를 와변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를 좌변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는 환자의 대소변을 받아내고 세정노즐(미도시)을 통해 살수되는 물로 하여금 항문 및 국부를 세정함과 아울러 배설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시트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시트부(110)는 환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게 침대(12) 혹은 방석(14)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대(12) 혹은 방석(14)에 환자가 눕거나 앉았을 경우 환자의 엉덩이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엉덩이 외곽을 받혀준 상태로 팽창되면서 엉덩이를 벌려주어 상기 세정노즐을 통해 살수되는 물로 하여금 항문을 보다 청결하게 세정할 수 있게 항문을 벌려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시트부(110)는 환자의 엉덩이에 대응하는 부위에 제1튜브(112)를 설치하여 컴프레서(142)에 의해 상기 제1튜브(1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함으로서 상기 제1튜브(112)가 팽창되게 하여 환자의 엉덩이 외곽을 벌려줄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튜브(112)의 형상은 "C"형상을 이루게 형성됨이 좋은데, 이는 통상의 양변기에 구비되는 좌판의 형상으로 형성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는 개폐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폐부(120)는 상기 시트부(110)에 설치되는 제1튜브(112)의 안쪽으로 위치하게 상부가 개구되는 수용홈(121)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수용홈(121)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부(120)는 상기 개구를 막도록 제2~제3튜브(122a~122b)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2~제3튜브(122a~122b)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수축될 수 있게 고무줄(124a~124b)을 설치하여 컴프레서(142)에 의해 상기 제2~제3튜브(122a~122b)의 내부에 충진된 에어를 배출시킴으로서 상기 고무줄(124a~124b)에 의해 제2~제3튜브(122a~122b)가 양측으로 당겨지면서 수축되어 상기 개구를 개방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는 승강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승강부(130)는 상기 개폐부(120)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수용홈(121)을 통해 승강되도록 상기 수용홈(121)에 설치되어 환자의 대소변을 받아낼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배설물을 처리 할 수 있는 배설물 배출용 호스가 연락되게 설치된 컵부재(134)를 구비하며, 상기 컵부재(134)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승강부(130)는 상기 컵부재(134)의 하부에 제4튜브(132)를 설치하여 컴프레서(142)에 의해 상기 제4튜브(132)의 내부로 에어를 충진함으로서 상기 제4튜브(132)가 팽창되게 하여 상기 제4튜브(132)의 팽창력으로 상기 컵부재(134)를 상승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대(12) 혹은 방석(14)에 환자가 눕거나 앉았을 경우 환자의 사타구니가 위치하는 제1튜브(112)의 일측으로 위치되게 제5튜브(114)를 설치하여 컴프레서(142)에 의해 상기 제5튜브(114)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함으로서 상기 제5튜브(114)가 팽창되게 하여 환자의 사타구니 부위를 지지할 수 있게 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는 제어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부(140)는 상기 승강부(130)의 컵부재(134)를 승강되게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개폐부(120)의 수용홈(121)을 개폐할 수 있게 제어하고, 상기 시트부(110)의 제1튜브(112)가 팽창 및 수축되게 컴프레서(142)를 제어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 개폐부(120)와 시트부(110) 및 승강부(130)의 동작 완료 시점에 따라 상기 개폐부(120)와 시트부(110) 및 승강부(130)들이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컴프레서(142)에 의해 상기 각 튜브들의 내부로 에어가 주입되는 시간과 에어가 배출되는 시간을 미리 계산하여 각 튜브들이 순차적으로 작동되게 할 수 있고, 또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튜브들의 작동 완료 시점을 감지함으로서 각 부들이 순차적으로 작동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는 환자의 엉덩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침대(12) 혹은 방석(14)으로부터 승강되도록 돌출핀(152)들을 설치하여 상기 침대 혹은 방석에 위치하는 환자의 사타구니가 정위치로 고정되게 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는 튜브들을 이용하지 않고 기계적인 동작으로 작동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개구를 막도록 개폐판(161a,162b)을 설치하여 실린더(164) 혹은 모터에 의해 상기 개폐판(161a,162b)이 슬라이딩되게 하여 개구를 개폐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컵부재(134)를 모터(166) 혹은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게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6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164)에 의해 개폐판(161a,162b)이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작동되게 구성할 수 있고, 모터(166)에 의해 구동되며 래크와 피니언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컵부재(134)를 승강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2표시와 같은 환자용 바지(200)를 환자에게 착용함이 좋다. 즉, 바지(200)의 사타구니 부위가 절개되고, 그 절개된 부분을 끈(202)으로 잡아당기면서 개폐되게 하여 바지(200)를 벗기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의 국부 및 항문이 노출되게 함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병용으로 사용시에는 도 4a ~도 4f 및 도 5a ~도 5d와 같은 상태로 작동된다.
도 4a는 환자가 누워 있을 수 있는 평상시의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돌출핀(152)들이 상승되어 환자의 사타구니 즉, 엉덩이 부위를 고정하여 환자가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이후, 제어부(140)에 의해 도 4c와 같이 개폐부(120)가 개방된다. 즉, 제2~제3튜브(122a~122b)에 주입된 에어가 배출되면서 개구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도 5b와 같이 수축되는 제2~제3튜브(122a~122b)는 고무줄(124a,124b)에 의해 양측으로 위치되어 개구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부(120)에 의해 수용홈(121)의 개구가 개방되면 도 4d 표시와 같이 환자가 입은 바지(200)의 절개된 부위(사타구니 부위)를 벌려준다. 이를 위해 환자 바지에 구비된 끈(202)을 잡아당기면 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직접 잡아당길 수 있고 또 침대(12) 양측으로 위치하는 구동기(모터 혹은 실린더 등)에 의해 잡아당기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사타구비 부위가 외부로 노출도면 도 4e와 도 5c와 같이 제1튜브(112)가 팽창되어 환자의 엉덩이 외곽을 벌려주어 항문이 열리게 한다. 이는 환자가 대변을 잘 볼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대변 후 세정노즐을 통해 살수되는 물로 하여금 환자의 항문을 보다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1튜브(112)의 앞쪽으로 위치되는 제5튜브(114)를 팽창시키면 환자의 사타구니를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대소변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대소변을 받아내기 위해서는 도 5d와 같이 제4튜브(132)를 팽창시켜 컵부재(134)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컵부재(134)에는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한 처리 유니트(도 9, 도 10참조)에 연결된 배설물 배출용 호스(H)를 통해 연락되게 설치되어 배설물을 흡입하여 배출 처리한다. 즉, 상기 컵부재(134)는 배설물 배출용 호스(U)가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컵부재(134)의 배설물을 외부에서 흡입하여 배출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잘 알려진 처리 유니트(U)를 이용한다.
이러한 처리 유니트(U)는 상기 배설물 배출용 호스(H)와 연결되어 배설물을 흡입 처리한다. 또한, 환자의 항문 및 국부는 세정노즐을 통해 살수되는 물로 하여금 세정되는데, 상기 물은 처리 유니트(U)로부터 공급 받으며, 처리 유니트(U)는 물과 함께 배설물을 흡입하여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컵부재(134)를 상승시켜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할 때 환자의 소변 등이 새지 않게 하기 위하여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재(102)는 환자의 사타구니 상부에 미리 고정하여 사용함이 좋다. 즉, 상기 커버부재(102)는 컵부재(134)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환자에 미리 고정함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부재(102)를 고정밴드 등을 이용하여 환자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한 후에는 위에서 작동된 순서의 역순으로 작동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병인이나 보호자 등의 도움 없이 자동으로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 더욱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변용으로 사용시에는 도 8a ~도 8e와 같은 상태로 작동된다.
도 8a는 환자가 앉아 있을 수 있는 평상시의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도 8b와 같이 돌출핀(152)들이 상승되어 환자의 사타구니 앞쪽부위를 고정한다. 즉, 환자가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이후, 제어부(140)에 의해 도 8c와 같이 개폐부(120)가 개방되고, 도 8d와 같이 환자가 입은 바지(200)의 절개를 벌려 사타구니가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도 8e와 같이 제1튜브(112)가 팽창되어 환자의 엉덩이 외곽을 벌려주어 환자가 대변을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항문의 세정을 보다 청결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좌변 상태의 작동 순서 및 작용 효과는 위 설명과 동일하다.
110 - 시트부 120 - 개폐부
130 - 승강부 140 - 제어부

Claims (7)

  1. 환자의 대소변을 받아내고 세정노즐을 통해 살수되는 물로 항문 및 국부를 세정함과 아울러 배설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환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게 침대 혹은 방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대 혹은 방석에 환자가 눕거나 앉았을 경우 환자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위에 "C"형상을 이루게 형성된 제1튜브를 설치하여 컴프레서에 의해 상기 제1튜브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함으로서 환자의 엉덩이 외곽을 받혀준 상태로 상기 제1튜브가 팽창되게 하여 환자의 엉덩이를 벌려주어 상기 세정노즐을 통해 살수되는 물로 하여금 항문을 보다 청결하게 세정할 수 있게 항문을 벌려주기 위한 시트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는 제1튜브의 안쪽으로 위치하게 상부가 개구되는 수용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수용홈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된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수용홈을 통해 승강되도록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어 환자의 대소변을 받아낼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배설물을 처리 할 수 있는 배설물 배출용 호스가 연락되게 설치된 컵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컵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한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컵부재를 승강되게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개폐부의 수용홈을 개폐할 수 있게 제어하고, 상기 시트부의 제1튜브가 팽창 및 수축되게 컴프레서를 제어할 수 있게 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는 침대 혹은 방석에 환자가 눕거나 앉았을 경우 환자의 사타구니가 위치하는 제1튜브의 일측으로 위치되게 제5튜브를 설치하여 컴프레서에 의해 상기 제5튜브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함으로서 상기 제5튜브가 팽창되게 하여 환자의 사타구니 부위를 지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개구를 막도록 제2~제3튜브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2~제3튜브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수축될 수 있게 고무줄을 설치하여 컴프레서에 의해 상기 제2~제3튜브의 내부에 충진된 에어를 배출시킴으로서 상기 고무줄에 의해 제2~제3튜브가 양측으로 당겨지면서 수축되어 상기 개구를 개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컵부재의 하부에 제4튜브를 설치하여 컴프레서에 의해 상기 제4튜브의 내부로 에어를 충진함으로서 상기 제4튜브가 팽창되게 하여 상기 컵부재를 상승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환자의 엉덩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침대 혹은 방석으로부터 승강되어 상기 환자의 사타구니가 정위치로 고정되게 한 돌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개구를 막도록 개폐판을 설치하여 실린더 혹은 모터에 의해 상기 개폐판이 슬라이딩되게 하여 개구를 개폐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부는 컵부재를 실린더 혹은 모터에 의해 승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20110019485A 2011-03-04 2011-03-04 배설물 처리장치 KR101288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485A KR101288333B1 (ko) 2011-03-04 2011-03-04 배설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485A KR101288333B1 (ko) 2011-03-04 2011-03-04 배설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518A KR20120100518A (ko) 2012-09-12
KR101288333B1 true KR101288333B1 (ko) 2013-07-19

Family

ID=47110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485A KR101288333B1 (ko) 2011-03-04 2011-03-04 배설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835B1 (ko) * 2019-06-13 2021-03-3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자동 배설물 제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4130A (ja) 2003-10-22 2005-06-09 Kao Corp 排泄補助用具
JP2008119172A (ja) 2006-11-10 2008-05-29 Hajime Kimoto 介護用パンツ、介護用マット、介護用システム
KR100842565B1 (ko) 2007-02-09 2008-07-01 이상준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
KR100856669B1 (ko) 2006-09-29 2008-09-26 (주)리파인드 환자용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4130A (ja) 2003-10-22 2005-06-09 Kao Corp 排泄補助用具
KR100856669B1 (ko) 2006-09-29 2008-09-26 (주)리파인드 환자용 침대
JP2008119172A (ja) 2006-11-10 2008-05-29 Hajime Kimoto 介護用パンツ、介護用マット、介護用システム
KR100842565B1 (ko) 2007-02-09 2008-07-01 이상준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518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32477B (zh) 护理用排泄物处理装置
KR100610584B1 (ko) 환자용 침대
JP2016022371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を装着した電動ベッド(autobedwithapparatusforevacuation)
JP2016523170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129918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1093444B1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2117875B1 (ko) 용변 자동 처리장치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KR100800266B1 (ko)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US6128788A (en) Water closet and nursing bed device with same
KR102069136B1 (ko) 환자용 전동침대
KR102320648B1 (ko)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CN106344304A (zh) 具有洗浴、大小便清理功能的卧床病人护理床
JP5550663B2 (ja) 身体障害患者のための支持ユニット
KR102198402B1 (ko)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KR101288333B1 (ko) 배설물 처리장치
CN212166041U (zh) 一种多用于老人护理服务的护理床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KR100905530B1 (ko) 자동배설물 처리장치
JP2006212377A (ja) 洗浄機能を備えたトイレ付介護用ベッド
JPS5939137B2 (ja) 重病者、身体不自由者、寝たきり老人等が使用するベツド、車椅子等の汚物処理装置
KR200413151Y1 (ko) 환자용 침대
KR102536547B1 (ko) 환자용 변기장치
KR102652047B1 (ko)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KR102110052B1 (ko) 와상 환자용 자동 배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