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402B1 -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402B1
KR102198402B1 KR1020190059408A KR20190059408A KR102198402B1 KR 102198402 B1 KR102198402 B1 KR 102198402B1 KR 1020190059408 A KR1020190059408 A KR 1020190059408A KR 20190059408 A KR20190059408 A KR 20190059408A KR 102198402 B1 KR102198402 B1 KR 102198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p
pipe
thigh
urin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808A (ko
Inventor
김후영
김윤호
변상준
권태웅
임순재
Original Assignee
김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후영 filed Critical 김후영
Priority to CA313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CA3131640C/en
Priority to AU2019438942A priority patent/AU2019438942B2/en
Priority to PCT/KR2019/006635 priority patent/WO2020204257A1/ko
Priority to EP19922687.9A priority patent/EP3949916A4/en
Priority to CN201980094529.5A priority patent/CN113677300A/zh
Priority to BR112021019760A priority patent/BR112021019760A2/pt
Priority to JP2021560298A priority patent/JP2022528948A/ja
Publication of KR20200117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402B1/ko
Priority to US17/491,805 priority patent/US2022002310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위생적이면서 대소변을 수회 처리할 수 있는 대소변용 하의(기저귀)가 개시된다. 상기 대소변용 하의는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를 가지고, 상기 힙부의 내측면 위에 제 1 팽창부와 엉덩이 받침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엉덩이 받침부가 상승하여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상승시키고, 상기 엉덩이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힙부와 상기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의해 배변과 상기 사용자의 피부 사이의 접촉이 최소화된다.

Description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본 발명은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양 병원에 있는 환자나 노인들의 대부분이 거동이 불편하며, 따라서 예를 들어 환자가 침대에서 누워 있는 상태로 가족이나 간병인이 대소변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구체적으로는, 가족이나 간병인이 환자가 대소변시 1회용 기저귀를 환자로부터 벗기고 새로운 기저귀를 환자에게 착용시킨다. 이러한 기저귀 교체 과정이 하루에도 수회 이루어진다.
낮에는 가족이 환자를 돌보기 어려워서 간병인이 환자의 기저귀를 교체시키나, 간병인의 부족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환자의 기저귀를 제때 교체해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의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대변용 기저귀와 소변용 기저귀가 별도로 있기 때문에, 하루에도 상당히 많은 기저귀가 소모되게 된다. 수많은 기저귀가 버려짐에 따라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KR 10-1959901 B
본 발명은 위생적이면서 대소변을 수회 처리할 수 있는 대소변용 하의(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용 하의는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를 가지고, 상기 힙부의 내측면 위에 제 1 팽창부와 엉덩이 받침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엉덩이 받침부가 상승하여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상승시키고, 상기 엉덩이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힙부와 상기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의해 배변과 상기 사용자의 피부 사이의 접촉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용 하의는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를 가지고, 상기 힙부의 내부 공간 또는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엉덩이 받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엉덩이 받침부가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가 들어올려지고, 상기 엉덩이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힙부와 상기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의해 배변과 상기 사용자의 피부 사이의 접촉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용 하의는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를 가지고, 대소변시 상기 힙부가 들어올려져서 상기 힙부와 상기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대소변이 받아졌을 때 세척수가 상기 후면에 연결된 세척관을 통하여 분출되고, 상기 받아진 대소변 및 상기 세척에 따른 오염수가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방법은 대소변용 하의의 일부분을 부풀려서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으로 대소변이 받아졌을 때 세척수를 항문으로 분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오염수 또는 대소변을 외부로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의의 일부분은 공기 주입을 통하여 들어올려지며, 상기 하의의 일부분이 들어올려짐에 따라 사용자의 엉덩이가 들어올려진다.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용 하의(기저귀)는 대소변을 여러번 처리할 수 있고 세척한 후 재사용 가능하므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소변용 하의가 엉덩이들을 들어올려서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므로, 상기 공간에 받아진 대소변이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에서 대소변을 받기 위한 공간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엉덩이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인 또는 환자(사용자)용 기저귀, 특히 요양 병원용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대소변을 여러번 처리할 수 있어 자주 갈아주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대소변 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저귀는 사용자의 대소변 감지시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상기 공간에 받아진 대소변을 즉시 처리하며,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에 묻은 배변을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기저귀는 세탁 후 재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간은 받아진 대소변이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것을 최소화시키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위생적이다.
요양 병원에서는 많은 환자나 노인들이 거동이 불편하여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대소변을 보며, 가족이나 간병인이 환경을 오염시키는 1회용 기저귀를 일일 수회 정도 교체해주고 있다.
또한, 대변용 기저귀와 소변용 기저귀가 별도로 있어서 따로 갈아주어야만 한다. 간병인이 부족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환자의 기저귀가 원활히 갈아지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환자의 위생 상태가 좋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생적이면서도 대소변을 수회 처리할 수 있는 기저귀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저귀의 사용자를 환자로 가정하겠다.
도 1은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에서 대소변을 받기 위한 공간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기저귀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하의로서, 대소변을 수회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저귀는 사용 연령, 성별 등에 제한J 없이 사용 가능하며, 하의로서 대소변을 처리한다는 관점에서 대소변용 하의로 명명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저귀는 노인이나 환자 또는 유아용 기저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는 모든 하의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후면, 본 실시예의 기저귀는 전면(200a), 후면(200b) 및 전면(200a)과 후면(200b)을 연결하는 연결면(200c,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저귀는 바지와 같이 입는 구조일 수도 있고, 유아용 기저귀와 같은 부착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전면(200a)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열고 닫을 수 있는 찍찍이 또는 지퍼(잠금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후면(200b)에 잠금 장치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면(200a)에는 여러가지 구성요소들이 포함되므로 전면(200a)에 설치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후면(200b)은 힙부(210), 제 1 허벅지부(212) 및 제 2 허벅지부(214)를 포함하되, 힙부(200b)는 좌우측 엉덩이를 받치는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을 가질 수 있다.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은 좌우측 엉덩이를 받치면서 대소변시 엉덩이를 들어올리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은 각기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면(200b)의 내측면(200b-1)과 외측면(200b-2) 사이(내측 공간)에서 내측면(200b-1)에 엉덩이 받침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면(200b-1)은 환자의 엉덩이가 닿는 부분이고, 외측면(200b-2)은 침대에 닿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내측면(200b-1) 또는 외측면(200b-2)에 공기 주입관(300)이 연결부(310)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공기 주입부(미도시)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입관(300)을 통하여 공기를 내측면(200b-1)과 외측면(200b-2) 사이의 공간(210a)으로 주입후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 받침부(220)가 들어올려진다. 결과적으로,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에 의해 좌우측 엉덩이들이 들어올려지며,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힙부(210)와 연결면(200c)에 의해 그릇 형태의 공간(A, 파여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허벅지 받침부(222)에 의해 허벅지가 들어올려지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힙부(210), 연결면(200c) 및 허벅지 받침부(222)에 해당하는 허벅지부(212 및 214)에 의해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공간(A)은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으로, 엉덩이들이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에 의해 들어올려졌기 때문에 공간(A) 내에 받아진 대소변이 환자의 피부에 거의 닿지 않는다. 즉, 환자의 피부가 배변에 닿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위생적일 수 있다.
위에서는, 공기를 내측면(200b-1)과 외측면(200b-2) 사이의 공간(210a)으로 주입하여 그릇 형태의 공간(A)을 형성하였으나, 좌우측 엉덩이들을 들어올려 공간(A)을 만들 수 있는 한 공간(A)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 구동을 통하여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을 들어올릴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허벅지부(212)에 제 1 허벅지 받침부(222a)가 형성되고, 제 2 허벅지부(214)에 제 2 허벅지 받침부(222b)가 형성될 수 있다.
허벅지 받침부(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부(212 또는 214)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내측 공간)에서 상기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공기 주입관(400)을 통하여 주입된 공기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좌우 허벅지들 또한 허벅지 받침부들(222)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릇 형태의 공간(A)이 더 잘 만들어질 뿐만 아니라 후면(200b)의 허벅지부들(212 및 214)이 환자의 허벅지에 밀착되므로, 대소변 및 세척에 따른 오염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침대나 환자가 더럽혀지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200b)에서 허리 부근에 허리 받침부(224)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허리 받침부(224) 또한 후면(200b)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공기 주입관(미도시)을 통하여 주입된 공기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허리 받침부(224)가 환자의 허리에 밀착됨에 따라 대소변 및 오염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후면(200b)을 더 살펴보면, 후면(200b)에는 배출관(230), 적어도 하나의 세척관(234) 및 건조관(240)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230)은 일단이 수거부(240)와 연결되고 타측은 연결부(232)를 통하여 후면(200b)에 연결될 수 있으며, 대소변 및 오염수를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관(230)은 연결부(232)를 통하여 후면(200b)으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230)은 대소변을 받는 공간(A)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A)에 존재하는 대소변 및 오염수가 배출관(230)을 통하여 수거부(240)로 수거될 수 있다.
한편,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로 기저귀를 교체하기 때문에, 침대의 일부분에 홀이 형성되고, 배출관(230)이 상기 침대의 홀을 통하여 수거부(240)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침대에 별도의 홀 없이 배출관(230)이 상기 침대의 상면 상에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수거부(240)는 공간(A)에 받아진 대소변 및 오염수를 흡입하여 수거할 수 있는 한 제한이 없으며, 흡입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관(234)은 일단이 세척수부(238)에 연결되고 타단이 해당 연결부(236 및 242)를 통하여 후면(200b)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관(234)은 후면(200b) 중 공간(A)의 외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세척관(234)이 대소변에 의해 막히면 안되기 때문이다.
다만, 세척관(234)은 배변을 세척하여야 하기 때문에, 항문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관(234)은 항문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항문을 향하여 배열되며, 분출 수압에 의해 흔들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관(234)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를 직선으로 방출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출구들이 형성되어 세척수가 넓겨 퍼져 분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세척관(234)은 후면(200b) 상에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200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세척관(234)이 돌출되더라도 평상시에는 후면(200b) 상에 평평하게 형성되다가 대소변시에 후면(200b)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세척수부(238)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탱크일 수 있으며, 세척수가 세척관(234)을 통하여 분출이 가능하도록 펌프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세척수부(238)는 직접 수도관에 연결되어 공급될 수도 있으며, 세척관(234)은 세척수부(238)와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건조관(234)은 일단이 건조부(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부(242)를 통하여 후면(200b)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건조부는 건조관(234)을 통하여 건조풍을 배출하여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엉덩이를 건조시킬 수 있다.
정리후면, 본 발명의 기저귀는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및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을 이용하여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A)을 형성하고, 대소변시 세척수를 이용하여 항문을 세척하며, 대소변 및 세척된 오물(오염수)을 수거부(240)를 통하여 수거하고, 세척수에 의해 젖은 엉덩이나 항문을 건조풍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하루에 몇번을 대소변을 보더라도 기저귀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하루 또는 몇일 정도 기저귀를 계속 사용하더라도 기저귀를 세탁한 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기저귀를 자주 갈지 않아도 되므로, 가족이나 간병인의 수고가 덜어지고 환경 오염이 줄어들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기저귀는 허리를 조여줄 수 있는 탄성부(216) 및 대소변시 발생하는 습기 및 가스를 통하여 대소변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216)는 공기 주입에 의해 기저귀 내부가 부풀어오를때 환자의 조여짐이 덜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는 기저귀의 허벅지부(214)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기저귀의 내측 공간에 형성될 수도 있고, 기저귀의 내측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센서가 대소변을 감지하는 한 위치적인 제한은 없다. 다만, 상기 센서는 엉덩이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는 항문으로부터 가스 등이 나올 때 즉시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기저귀의 상단 부분은 다수의 양각 돌출 무늬가 형성되거나 주름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기저귀의 내부면과 환자의 피부의 접촉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고 공기가 자연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게다가, 세척관(234)과 연결되는 연결부(236)에는 마개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세척관(234)을 기저귀로부터 분리시 연결부(236)의 홀을 막기 위해서이다.
더욱이, 상기 기저귀의 상단 부분(허리에 해당)에는 마사지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공기 주입에 따라 환자의 엉덩이 및 허벅지가 들어졌다가 다시 내려오는 동작을 반복후면, 허리의 마사지가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저귀에서 대소변을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보겠다. 환자가 침대 위에 누워있다고 가정한다.
우선, 환자에게 기저귀를 착용시킨 후 배출관(230), 세척관(234) 및 건조관(240)을 상기 기저귀에 연결시킬 수 있다. 물론, 배출관(230), 세척관(234) 및 건조관(240)은 환자가 기저귀 착용 전에 상기 기저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어서, 센서가 습기나 가스를 통하여 대소변 배출을 감지한다.
계속하여, 대소변 배출 감지시, 공기 주입을 통하여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및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을 들어올리며, 그 결과 환자의 엉덩이들 및 허벅지들이 들어올려지고 힙부(210)와 연결면(200c)에 의해 그릇 형태의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공간(A)에 대소변이 받아지므로, 환자의 피부가 대소변에 닿는 것이 최소화된다.
한편,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및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이 들어올려질 때, 허리 받침부(224)도 함께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어서, 대소변 배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시, 세척수가 세척관(234)을 통하여 항문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계속하여, 세척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건조풍이 건조관(240)을 통하여 세척수에 의해 젖은 항문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어서, 대소변 및 상기 세척수에 의한 오염수가 배출관(230)을 통하여 수거부(240)로 수거된다. 이러한 수거 과정은 건조 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건조와 함께 진행될 수도 있다.
계속하여, 수거 완료시,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 및 허리 받침부(224)가 정상적인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들어올려졌던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 및 허리 받침부(224)가 내려올 수 있다.
이어서, 수거부(240)에 수거된 대소변 및 오물수가 버려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 후면의 내측면(200b-1)와 외측면(200b-2) 사이에 엉덩이 받침부(600)와 팽창부(602, 예를 들어 풍선)가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내측면(200b-1)와 외측면(200b-2) 사이에 엉덩이 받침부만 있었던 이전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면(200b-1)와 외측면(200b-2) 사이에 엉덩이 받침부(600)와 팽창부(602)가 존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 주입관(604)을 통하여 팽창부(602)로 공기가 주입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602)가 팽창하면서 엉덩이 받침부(600)를 상승시킨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엉덩이가 상승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허벅지 견지에서, 기저귀 후면의 내측면(200b-1)와 외측면(200b-2) 사이에 허벅지 받침부와 팽창부가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팽창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허벅지 받침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엉덩이 받침부(600)와 허벅지 받침부들이 상승함에 따라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엉덩이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은 기저귀의 후면만을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저귀의 후면(700)의 내측면 중 힙부(700a) 위에 받침 부재(702)가 위치할 수 있고, 내측면(700a)과 받침 부재(702) 사이에 팽창부들(720, 722 및 724)이 배열될 수 있다. 다만, 팽창부들(722 및 724)은 기저귀의 후면(700)의 외측면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받침 부재(70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 받침부(710), 제 1 허벅지 받침부(712), 제 2 허벅지 받침부(714), 엉덩이 받침부(710)과 제 1 허벅지 받침부(712)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800) 및 엉덩이 받침부(710)와 제 2 허벅지 받침부(714)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80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엉덩이 받침부(710) 및 허벅지 받침부들(712 및 714)이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물론, 엉덩이 받침부(710) 및 허벅지 받침부들(712 및 714)은 연결부들(800 및 802) 없이 각기 별개의 부재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엉덩이 받침부(710) 및 허벅지 받침부들(712 및 714)은 연결부들(800 및 802) 보다 큰 높이를 가지며, 연결부들(800 및 802) 위로 세척관 등이 가로질러 배열될 수도 있다.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여 엉덩이 받침부(710)의 동작을 살펴보면, 엉덩이 받침부(710)와 힙부(700a)의 내측면(700a-1) 사이에 위치하는 팽창부(720)에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부(720)가 팽창하며, 그 결과 엉덩이 받침부(710)가 상승하게 되어 엉덩이가 들어올려진다.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여 허벅지 받침부(1010)의 동작을 살펴보면, 허벅지 받침부(1010)는 기저귀의 후면(700) 중 허벅지부의 내측면(700b-1) 위에 배열되고, 팽창부(1012)는 허벅지부의 외측면(700b-2) 하부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 상태에서, 공기 주입관(1014)을 통하여 팽창부(1012)로 공기가 주입되면, 허벅지 받침부(1010)가 들어올려지며, 그 결과 허벅지가 상승한다.
물론, 내측면(700b-1) 위에 팽창부 및 허벅지 받침부(1010)가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다만, 도 10의 구조가 허벅지부 자체도 상승시키므로 소변 등을 배출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더 유리하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엉덩이 받침부(710)와 허벅지 받침부(1010)들이 상승함에 따라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에서, 배출관, 세척관 및 건조관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도 1 내지 도 6의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별도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다만, 배출관, 세척관 및 건조관은 위의 실시예들에서처럼 기저귀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의 내측면 위에 형성된 관 구조물(11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 구조물(1100)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관, 세척관 또는 건조관이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110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출관, 세척관 또는 건조관은 기저귀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관 구조물(1100)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관 구조물(1100)은 기저귀로 진입하는 외부 관과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관을 연결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관 구조물(1100)이 배출관, 세척관 또는 건조관을 결합시킬 수 있는 한 결합 구조 및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0a : 전면 200b : 후면
210 : 힙부 212, 214 : 허벅지부
220 : 엉덩이 받침부 222 : 허벅지 받침부
224 : 허리 받침부 230 : 배출관
234 : 세척관 240 : 건조관

Claims (14)

  1.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하되,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를 가지고, 상기 힙부의 내측면 위에 제 1 팽창부와 엉덩이 받침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엉덩이 받침부가 상승하여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상승시키고,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하는 허벅지부를 가지고, 상기 허벅지부의 내측면 위에 허벅지 받침부 및 제 3 팽창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허벅지부의 외측면 하부에 제 2 팽창부가 배열되고,
    상기 제 2 팽창부 및 상기 제 3 팽창부가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함에 따라 상기 허벅지 받침부가 상승하여 상기 허벅지를 상승시키며, 상기 엉덩이 받침부, 상기 연결면 및 상기 허벅지 받침부에 의해 상기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의해 배변과 상기 사용자의 피부 사이의 접촉이 최소화되며,
    배출관이 상기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대소변이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배출관은 침대를 관통하여 통과하지 않으며 침대의 상면 상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부와 상기 허벅지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존재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엉덩이 받침부 및 상기 허벅지 받침부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엉덩이 받침부, 상기 허벅지 받침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의 내측면 상에 플라스틱인 관 구조물이 배열되되,
    상기 관 구조물에 상기 배출관, 세척관 및 건조관이 연결되고 상기 하의에 센서가 더 형성되되,
    상기 배출관, 상기 세척관 및 상기 건조관은 상호 분리되어 배열되고, 상기 센서는 대소변을 감지하며,
    상기 배출관, 상기 세척관 및 상기 건조관은 상기 관 구조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대소변시 상기 세척관을 통하여 세척수를 항문으로 배출하며, 상기 세척수를 배출함에 의해 씻겨진 오염물(오염수) 및 대소변이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수거되고, 상기 건조관을 통하여 상기 항문으로 건조풍을 출력하여 상기 항문을 건조시키며,
    상기 세척관은 분출 압력에 따라 흔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의 상단부에 허리 받침부가 더 형성되되,
    공기 주입에 의해 상기 허리 받침부가 들어올려지며, 상기 허리 받침부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허리 받침부에 해당하는 후면 부분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되어 대소변 및 오염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용 하의의 상단에는 탄성부가 형성되고, 상단 부분에 양각 돌출 구조나 주름이 형성되어 공기 순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059408A 2019-04-03 2019-05-21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KR102198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3131640A CA3131640C (en) 2019-04-03 2019-06-03 Pants for urine or feces and method of disposing of urine and feces
AU2019438942A AU2019438942B2 (en) 2019-04-03 2019-06-03 Undergarment for urine/feces and method for disposing of urine/feces
PCT/KR2019/006635 WO2020204257A1 (ko) 2019-04-03 2019-06-03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EP19922687.9A EP3949916A4 (en) 2019-04-03 2019-06-03 URINE/STOOL UNDERWEAR AND URINE/STOOL DISPOSAL METHOD
CN201980094529.5A CN113677300A (zh) 2019-04-03 2019-06-03 大小便用下衣及大小便处理方法
BR112021019760A BR112021019760A2 (pt) 2019-04-03 2019-06-03 Calças para urina ou fezes e método de descarte de urina e fezes
JP2021560298A JP2022528948A (ja) 2019-04-03 2019-06-03 排便排尿用下着および排便排尿の処理方法
US17/491,805 US20220023109A1 (en) 2019-04-03 2021-10-01 Pants for urine or feces and method of disposing of urine and fe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9154 2019-04-03
KR1020190039154 2019-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808A KR20200117808A (ko) 2020-10-14
KR102198402B1 true KR102198402B1 (ko) 2021-01-05

Family

ID=72847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408A KR102198402B1 (ko) 2019-04-03 2019-05-21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198402B1 (ko)
CN (1) CN113677300A (ko)
AU (1) AU2019438942B2 (ko)
CA (1) CA313164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7768A1 (ko) * 2020-11-04 2022-05-12 비앤알㈜ 배변 처리기
KR102652047B1 (ko) * 2022-08-23 2024-03-29 김후영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KR102663949B1 (ko) * 2022-03-30 2024-05-08 김후영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EP4279046A2 (en) * 2022-03-30 2023-11-22 Who Young Kim Undergarment for urine/feces and method for disposing of urine/fe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5709B2 (en) 2000-06-12 2003-07-01 Baltic Trader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atient care and clean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817U (ja) * 1992-07-22 1994-02-22 柔幸 滝本 寝たきり垂れ流し等洗浄用デカパンツ
JPH06237953A (ja) * 1993-02-15 1994-08-30 Aprica Kassai Inc おむつ
JP4004701B2 (ja) * 2000-02-18 2007-11-07 一 木本 介護用パンツ装置及び介護用着衣装置
JP2003334209A (ja) * 2002-05-21 2003-11-25 Youichi Inaba おむつ用褥瘡予防機能付簡易便器および褥瘡予防機能付簡易便器を備えたおむつ
JP2004000365A (ja) * 2002-06-03 2004-01-08 Takao Watanuki 介護用ウエットスーツ
JP2008119172A (ja) * 2006-11-10 2008-05-29 Hajime Kimoto 介護用パンツ、介護用マット、介護用システム
KR20090109160A (ko) * 2008-04-15 2009-10-20 주식회사 나인텍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KR101072842B1 (ko) * 2008-09-30 2011-10-14 양재봉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CN101856288A (zh) * 2010-05-21 2010-10-13 黄春明 一种能自动辅助行动不便的人实施大小便的自适应内裤
JP6349148B2 (ja) 2014-05-27 2018-06-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10799410B2 (en) * 2015-02-03 2020-10-13 Curaco, Inc. Excreta disposal apparatus customized to human body
CN107233157A (zh) * 2017-06-03 2017-10-10 黄燕伟 一种易于污物收集的易脱穿内裤及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5709B2 (en) 2000-06-12 2003-07-01 Baltic Trader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atient care and clea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438942B2 (en) 2023-09-21
CA3131640A1 (en) 2020-10-08
CA3131640C (en) 2023-09-05
CN113677300A (zh) 2021-11-19
AU2019438942A1 (en) 2021-10-28
KR20200117808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402B1 (ko)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KR101210932B1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129918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1093444B1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JP2016523170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US20220023109A1 (en) Pants for urine or feces and method of disposing of urine and feces
KR100496439B1 (ko) 환자의 배설물 즉시처리장치
KR102320648B1 (ko)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KR20090085272A (ko) 환자용 배설물 처리장치의 천커버
KR102663949B1 (ko)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RU2783851C1 (ru) Трусы для мочи или кала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мочи и кала
KR102652047B1 (ko)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KR102070191B1 (ko) 환자용 오물처리기
KR100836783B1 (ko) 환자의 배설물 처리용 팬티
JP2019134913A (ja) 排泄物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その方法
KR102542868B1 (ko) 배변 처리기
CN117999052A (zh) 大小便用下衣及大小便处理方法
KR101288333B1 (ko) 배설물 처리장치
JP2024520182A (ja) 排便排尿用下着および排便排尿の処理方法
KR102134871B1 (ko) 침대용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H036327Y2 (ko)
KR20210077162A (ko) 의료침대용 배변처리 자동화 시스템
CN101574284A (zh) 一种密闭式防漏接便器
CN201410019Y (zh) 一种密闭式防漏接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