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584B1 -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584B1
KR100610584B1 KR1020040056597A KR20040056597A KR100610584B1 KR 100610584 B1 KR100610584 B1 KR 100610584B1 KR 1020040056597 A KR1020040056597 A KR 1020040056597A KR 20040056597 A KR20040056597 A KR 20040056597A KR 100610584 B1 KR100610584 B1 KR 10061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housing
toilet
suppor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9396A (ko
Inventor
박신택
Original Assignee
박신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신택 filed Critical 박신택
Publication of KR2005010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6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converting a lying surface into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변기 및 탈의 장치가 설치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매트를 받치는 침상의 하부에 양변장치가 설치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변기가 설치된 부분의 상부에는 변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기구멍의 일측에는 인체의 둔부 및 음부를 가리기 위한 가림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침대, 탈의 장치, 변기, 뚜껑, 바지이송대, 코브라 모양의 음부 가림편

Description

환자용 침대{a cot for pati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침상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매트를 굽힌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접첩매트를 펼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에 설치된 매트를 굽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변기 뚜껑 개폐 수단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채변통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채변통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에 설치된 탈의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B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탈의 장치의 바지걸이이송대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에 설치된 가림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에 설치된 가림 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a 및 15b는 도 14에 도시한 가림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6는 도 14에 도시한 가림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4에 도시한 가림 장치에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4에 도시한 가림 장치에서 분사노즐 및 그 구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를 이용하는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소변을 볼 때의 가림수단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침상 200 : 탈의 장치 300 : 양변장치
400 : 제어박스 500 : 가림장치
110 : 매트 111 : 등받이부 112 : 둔부받침부
113 : 다리 받침부 114 : 발받침부 111a : 고정힌지축
113a, 114b : 이동힌지축 112b, 114a : 절첩부 112a : 변기구멍
120 : 매트절첩수단 121 : 제1실린더 122 : 제2실린더
123 : 매트고정힌지구 130 : 매트지지대 131 : 모서리지지대
132 : 가로프레임 133 : 세로프레임 133a, 133b : 축이동홈
134 : 바퀴 210 : 바지걸이이송대 211 : 바지걸이이송홈
212 : 바지걸이 213 : 연결끈 214, 230 : 모터
214a : 베벨기어 215, 215' : 풀리 216 : 바지걸이 이송벨트
217, 217', 234 : 정지스위치 220 : 이송대지지대
221 : 이송대 이송홈 240 : 상하 이동축 250 : 이동축 지지관
260 : 이송대 이송벨트 310 : 변기 321 : 급수관
331 : 변기뚜껑 332 : 모터 333 : 피니언
334 : 래크 335 : 연결대 336 : 힌지봉
337 : 걸림돌기 338 : 가이드 338a, 338b : 가이드홈
341 : 배설물통 341a : 외부 보호통 341b : 내부 주름통
341c : 배출관 341d : 유입관 341e : 이동판
341f : 손잡이 342 : 배수관 343 : 3웨이밸브
351 : 하우징 351a : 급수관 삽입부 351b : 호형 래크
352 : 가림편 하우징 352a : 급수관 삽입부 352b : 하우징 걸림턱
352c : 구동판 걸림턱 352d : 호스 353 : 가림편
353a : 힌지축 353b : 스프링 353c : 회동돌부
354 : 직류모터 354a : 피니언 355 : 제1완충스프링
356 : 이동체 356a : 제2완충스프링 357 : 정지스위치
358 : 가림편 구동판 358a : 걸림턱 358c : 가림편 회동편
359 : 급수호스 360 : 스프링 쇼바 370 : 하우징 고정대
410 : 직류모터 420 : 편심 풀리 430 : 와이어
440 : 분사노즐 441 : 분사구멍
본 발명의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양변장치의 상부에 가림장치를 설치하여 환자의 음부 및 둔부를 가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자가 수치심을 느끼지 않고 용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운 상태에서 소변을 보아도 가림편에 의해 소변이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을 수 있게 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장치와 탈의장치를 구비하여 하체의 움직임이 불편한 환자가 용이하게 하의를 벗을 수 있고, 침대에서 대소변을 볼 수 있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신체가 불편한 환자의 경우 움직임이 제한됨으로 반드시 보호자가 옆에서 간호를 하여야 하며 이러한 보호자의 부재시 환자의 생리 현상을 해소함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침대의 하부에 변기를 설치한 것이 있으나, 이 러한 시설의 경우 대소변을 곧 처리 할 수 없어 배설물로부터 냄새가 날 염려 때문에 편안하게 생리 현상을 해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변기를 구비한 침대는 누운 상태에서 생리 현상을 해소해야 하거나 보호자에 의해 앉혀진 상태에서 이루어짐으로 환자가 혼자 있을 때에는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설물로부터 냄새가 풍기지 않도록 수세 기능을 갖고, 배설한 배설물을 배설물통에 넣은 후 밀폐시킬 수 있음으로 배설물로부터 냄새가 풍기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양변장치를 갖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하체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혼자서 하의를 벗고 용변을 볼수 있으며, 일어나 앉은 자세에서 하체가 이불에 의해 가려진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으므로 편안한 자세에서 생리 형상을 해소할 수 있으며, 용변시 환자의 하체를 가려줄 수 있는 가림 장치과 가림 장치의 일측에 수세 장치를 구비하여 환자가 수치감을 느끼지 않고 용변을 볼 수 있고 용변후 용이하게 수세를 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수세 및 가림 장치를 침대의 바닥면으로 출입될 수 있게 함으로서 휴식 또는 취침시에는 보다 편안한 휴식과 취침을 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매트를 받치는 침상의 하부에 양변장치가 설치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변기가 설치된 부분의 상부에는 변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기구멍의 일측에는 인체의 둔부 및 음부를 가리기 위한 가림장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일 예를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변장치(30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양변장치(300)의 상부에는 환자의 둔부 및 음부를 가리기 위한 가림장치(5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침상(100), 탈의장치(200) 및 제어박스(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침상(100)은 매트(110)와, 매트 지지대(130) 및 매트 절첩수단(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매트(110)는 도 3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111), 둔부받침부(112), 다리받침부(113) 및 발받침부(114)가 서로 접혀질 수 있도록 힌지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매트(110)의 등받이부(111)와 둔부받침부(112)는 고정힌지축(111a)에 의해 매트 지지대(130)를 구성하는 프레임 중 세로프레임(133)의 내측에 형성된 힌 지 구멍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등받이부(111)와 둔부받침부(112)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힌지축(11a)을 중심으로 서로 접혀진 상태가 되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둔부받침부(112)와 다리받침부(113) 사이 및 다리받침부(113)와 발받침부(114) 사이는 절첩부(112b, 114a)에 의해 서로 접혀질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110)를 환자가 용변을 보기에 편한 자세가 되게 접었을 때 상기 절첩부(112b)는 상부로 올라가 도면상에서 둔부받침부(112)는 우 상향하도록 기울어지고 다리받침부(113)는 우 하향으로 기울어져 허벅지와 장단지 부분을 편하게 받쳐준다. 또한, 상기 절첩부(114a)는 아래로 내려가 발받침부(114)와 다리받침부(113)는 발목의 기울기와 유사한 기울기로 굽혀진다.
상기 다리받침부(113)에 설치된 이동힌지축(113a)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부(114a)측으로 치우친 부분 즉, 다리받침부(113)의 중단에 구성됨으로서 둔부받침부(112)의 기울기를 조절할 때 절첩부(112b)의 높이와 발받침부(114)의 끝부분의 높이가 같아져 바지걸이 이송대(210)의 중단과 끝단을 동시에 지지하여 들어올릴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다리받침부(113)의 중단과 상기 발받침부(114)의 단부에는 이동힌지축(113a, 114b)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힌지축(113a, 114b)은 매트 지지대(130)의 세로프레임(133)의 내측에 형성된 축이동홈(133a, 133b)의 내부에서 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이 매트(110)의 각 부분이 환자가 용변을 보기에 용이한 상태로 굽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매트(110)를 환자가 용변 보기에 용이한 상태가 되게 접기 위한 수단으로 매트절첩수단(1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매트절첩수단(120)은 도 2내지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실린더(121, 122)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들(121, 122)중 제1실린더(121)는 매트(110)의 등받이부(111)를 세워 환자가 기대어 앉기 편하게 하는 수단으로 일측 단부는 매트 지지대(130)를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축은 등받이부(111)의 중단 일측에 힌지판(12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실린더(122)는 둔부받침부(112)를 고정힌지축(111a)을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 이는 상기 제1실린더(12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제1실린더(121) 및 제2실린더(12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를 세로프레임(133)과 인접된 부분에 설치함으로서 침상(100)의 중앙에 설치되는 다른 장치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매트(110)의 둔부받침부(112)의 중앙에는 변기구멍(1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기구멍(112a)의 아래에는 변기(3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변기(310)는 후술하는 배수수단(340)과 연결되어 변기(310) 내에 배설 된 배설물을 포함한 세척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배수수단(3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310)의 하부에 연결된 배수관에 3웨이밸브(343)에 두 개의 관을 연결하되 하나의 관에는 배설물통(341)을 연결시키고 다른 배수관(342)은 하수구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설물통(342)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통을 이중벽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설물통(341)은 외부 보호통(341a)과 내부 주름통(341b)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 보호통(341a)은 외부의 힘에 의해 일그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강한 재질의 합성수지나 금속 등으로 만들어지며, 그 측벽에는 길게 구멍(341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보호통(341a)의 하부에는 다수의 바퀴를 설치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보호통(341a)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주름통(341b)에는 유입관(341d)과 유출관(341c)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일측 단부에는 이동판(341e)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판(341e)에는 상기 외부 보호통(341a)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341g)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341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주름통(341b)은 도시한 것과 같이 다수의 주름을 갖는 통으로서 그 내부에 내용물이 넣어지지 않았을 때에는 수축된 상태가 되나, 그 안에 내용물이 넣어짐에 따라 주름이 펼쳐지며, 그 내부는 외부와 단절된 상태를 이룸으로서 내용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설물통(341)에 배설물이 채워지면 이를 이동시킨 후 상기 내부 주름통(341b)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이동판(341f)을 유출관(341c)측으로 밀어 내부 주름통(341b)에 채워진 배설물을 배출시킨다.
즉, 유출관(341c)이 하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후, 손잡이(341f)를 유출관(341c)측으로 밀어 내부 주름관(341b)이 접혀지게 함으로서 그 내부의 배설물을 버릴 수 있다.
상기 변기(310)의 일측에는 변기에 배설된 배설물을 수세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321)이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관(321)은 통상의 상수시설에 연결되고 그 중단에는 전자밸브가 설치되어 자동으로 급수를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급수관(321)에 설치된 전자밸브(미도시)는 변기(310)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배설물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며, 후술하는 제어박스(4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변기(310)의 상부에는 매트(110)의 둔부받침부(112)에 형성된 변기구멍(112a)을 막기 위한 개폐장치(3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장치(3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뚜껑(331)과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변기뚜껑(331)은 양 가장자리에 걸림돌기(337)가 두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봉(336)이 형성되어 있어 힌지봉을 측방으로 밀거나 당김에 의해 변기뚜껑(331)은 측 상방 또는 측 하방으로 이동하여 둔부받침 부(112)에 형성된 변기구멍(112a)을 개폐시킨다.
상기 변기 뚜껑(331)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부면에는 매트(110)의 둔부받침부(112)에 형성된 변기구멍(112a)과 대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기뚜껑(331)에 형성된 힌지봉(336)에는 연결대(33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대(335)는 모터(3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터(332)는 실제로 변기뚜껑(331)을 개폐하는 동력원으로서 회전축에는 피니언(33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333)에 형성된 기어치는 그 하부에 설치된 래크(334)에 형성된 기어치와 치합되며, 모터(332)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333)이 회전하면 피니언(333)이 래크(334)를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모터(332)도 이동하며 모터(33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연결대(335) 또한 이동한다.
이렇게 모터(332)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연결대(335)의 이동은 변기뚜껑(331)을 측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변기뚜껑(331)의 이동 즉, 수평으로만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대각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변기뚜껑(331)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돌기(337)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338)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338)에는 상기 걸림돌기(337)가 이동되는 가이드홈(338a, 338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홈(338a, 338b)은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부터 대각으로 이동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자용 침대는 하반신을 용이하게 움직일 수 없 는 환자가 용이하게 하의를 벗거나 입을 수 있게 도울 수 있는 탈의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탈의장치(200)는 도 10내지 도 12에 그 일예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의장치(200)는 하의를 집는 집게 형상의 바지걸이(212)와, 상기 바지걸이(212)를 신체의 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바지걸이 이송대(210) 및 상기 바지걸이 이송대(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대지지대(220)로 구성된다.
상기 바지걸이이송대(210)는 상기 매트 지지대(130)의 양 가장자리에 인체의 길이 방향으로 놓여지되 인체의 허리부분으로부터 다리까지 연장되게 놓여진 통체 형상을 갖는다.
상기 바지걸이이송대(210)는 도 10에 단면으로 도시된바와 같이, 매트측을 향한 부분에는 길게 바지걸이이송홈(211)이 형성되고, 다리를 향한 단부의 내부에는 모터(2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214)의 회전축에 설치된 베벨기어(214a)와 치합되어 구동되는 베벨기어의 회전축에는 풀리(2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풀리(215)가 설치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 내부에도 풀리(2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풀리(215, 215')들 사이에는 바지걸이 이송벨트(216)가 걸려 있다.
상기 바지걸이 이송벨트(216)에는 상기 바지걸이(212)가 매달린 연결끈(213)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바지걸이 이송대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바지걸이 (212)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정지 스위치(217, 217')가 두 개의 풀리(215, 21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끈(213)이 걸리면 모터(214)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의 구동을 멈추게 된다.
상기 바지걸이이송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대 지지대(220)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이송대 지지대(220)는 상기 바지걸이 이송대(210)를 지지하되 상기 바지걸이 이송대(210)가 침대 중앙에 누워있는 환자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고 있으며, 이렇게 상기 바지걸이 이송대(210)를 환자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상기 이송대 지지대(2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대 지지대(22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상기 바지걸이 이송대(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두 개의 풀리(231, 231') 사이에 이송대 이송벨트(260)를 설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두 개의 풀리중 어느 일측의 풀리(231)를 회전시킴에 의해 이송대 이송벨트(26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송대 이송벨트(260)에 고정 설치된 바지걸이 이송대(220)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풀리(231)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모터(2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230)의 구동은 제어박스(400)에 구비된 제어버튼(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지걸이 이송대(210)의 이동은 상기 이송대 지지대(220)의 배부에 설치된 정지스위치(234)의 작동에 의해 정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바지걸이 이송대(210)가 충분히 이동하면 바지걸이 이송대(210)가 고정된 이송대 이송벨트(260)부분이 상기 정지스위치(234)를 눌러 모터(230)에 공 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대 지지대(220)의 하부에는 상하 이동축(240)이 더 설치되며, 상기 상하 이동축(240)은 모서리지지대(131)에 고정 설치된 이동축 지지관(250)에 삽입되어 이송대 지지대(22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즉, 환자가 용변을 위해 기대어 누운 상태가 되어 환자의 높이가 높아지면 상기 상하 이동축(240)이 이동축 지지관(250)으로부터 인출되어 이송대 지지대(220)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바지걸이 이송대(310)의 높이가 높아져 환자가 바지걸이 이송대(210)에 걸리지 않게 된다.
상기 변기(310)의 일측에는 급수수단(3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수수단(320)은 용변 후 환자의 둔부 및 음부를 수세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림 장치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가림장치(500)는 도 13내지 도 17에 일 예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가림장치(500)는 급수 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가림 장치로서 그 내부가 비어 있고 종단면 및 횡단면이 호형상을 갖는 하우징(351)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351)과 동일한 호 형상을 갖는 가림편(353)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림편(353)은 후술하는 도 14에 도시한 가림편과는 달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하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종단면 및 횡단면이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351)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인체의 음부 주위를 덮어 가려주게 된다.
도 14에 도시한 것은 또 다른 가림장치(500)의 일예로서 각 구성 요소를 감 싸고 있는 하우징(351)과, 환자의 둔부를 가리는 가림편(353)들이 내장된 가림편 하우징(352)과, 상기 가림편(353)을 펼치는 가림편 구동판(358)과, 상기 가림편 하우징(352)을 하우징(351)으로부터 인출시키는 이동체(3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5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 지지대(130)의 일측에 하우징 고정대(370)에 의해 고정되어 스프링 쇼바(360)의 작동에 의해 그 일측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호 형상을 갖는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굽혀진 호의 내측을 향한 면에는 급수관 삽입홈부(351a)가 일체로 형성되고, 도 14a, 14b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는 호 형상으로 굽혀진 래크(351b)가 설치되며, 상기 래크(351b)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 피니언(354a)이 회전축에 설치된 직류모터(35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51)의 단부 즉, 가림편 하우징(352)과 대향되는 단부의 내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가림편 하우징(352)에 형성된 걸림턱(352b)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림편 하우징(352)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351)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351)으로부터 출입이 가능하다.
상기 가림편 하우징(352)은 상기 하우징(35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곡률의 호 형상을 갖는 두 개의 판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351)을 향한 단부는 하우징(351)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하우징 걸림턱(35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351)에 형성된 급수관 삽입홈부(351a)에 대향되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 된 급수관 삽입부(35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51)에 형성된 급수관 삽입홈부(351a)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을 향한 부분이 절개되어 구성되고, 가림편 하우징(352)에 형성된 급수관 삽입부(352a)가 상기 급수관 삽입홈부(351a)에 삽입된 상태에서 급수관 삽입홈부(351a)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가림편 하우징(352)에 형성된 급수관 삽입부(352a)에 설치된 호스(352d)가 상기 급수관 삽입홈부(351a)의 바깥쪽을 향해 절개된 부분을 통해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호스(352d)는 이러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연한 합성수지 등에 의해 만들어진다.
상기 가림편(353)은 상기 가림편 하우징(352)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힌지돌기(353a)에 힌지 고정되데 스프링(353b)에 의해 가림편 하우징(352)의 중앙을 향하여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힌지 고정된 부분에 회동돌부(353c)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림편(353)은 가림편 하우징(352)이 하우징(351)의 내부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림편 하우징(352)의 내측으로 숨겨지고, 가림편 하우징(352)이 하우징(351)으로부터 인출되면 가림편 하우징(352)으로부터 노출되어 펼쳐져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환자의 둔부 및 음부를 가려주게 된다.
상기 급수관 삽입부(352a)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는 분사노즐 (4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사노즐(440)은 그 일측에 상기 급수관 삽입부(352a)에 내설된 호스(352d)가 연결되어 있고, 회동축(442)에 의해 회동가능 하게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440)을 반복적으로 회동시켜 분사구멍(441)의 방향을 바꾸어줌으로서 분사되는 공기나 세척수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향 조절 수단은 직류모터(410)의 회전축에 편심 풀리(420)를 설치하고 상기 원통형 분사노즐(440)의 원주를 벗어난 부분에 와이어(430)를 연결하여 직류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는 편심 풀리(420)의 회동에 의해 회동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림편 하우징(352)을 하우징(351)으로부터 인출시키거나 하우징(351)의 내부로 밀어 넣기 위한 수단으로 직류모터(354)와 피니언(354a) 및 래크(351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직류모터(354)는 외주면의 일측에는 이동체(35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356)는 도 15a 및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직류모터(354)의 구동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한다.
즉, 상기 직류모터(354)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354a)이 직류모터(354)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 하우징(35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래크(351b)의 기어치에 맞물려 직류모터(354)가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체(356)이 이동한며, 이동체(356)의 일측에 그 일측 단부가 결합된 가림편 구동판(358)이 이동한다.
상기 이동체(356)의 내부에는 제2완충스프링(356a)이 설치어 있다.
상기 이동체(356)의 일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림편 구동판(358)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가림편 구동판(358)은 상기 가림편(353)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돌부(353c)를 밀어 힌지축(353a)를 중심으로 가림편(353)이 회동되어 가림편(353)이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림편 하우징(352)으로부터 노출되게 한다.
상기 가림편 구동판(358)은 판체 형상으로 양 가장자리에 상기 가림편(353)의 힌지 고정부에 형성된 회동돌부(353c)를 밀어 가림편(353)이 가림편 하우징(352)으로부터 펼쳐지게 밀어내는 가림편 회동편(358c)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피스톤(356)의 내에 삽입 설치되어 제2완충스프링(356a)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상기 피스톤(356)과 가림편 하우징(352)의 하우징(351) 내부에 삽입된 단부 사이에 설치된 제1완충스프링(355)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완충스프링(355)은 가림편 하우징(352)이 환자의 신체의 일부나 이불 등에 걸렸을 때 수축됨으로서 피스톤(356)의 일측 단부가 하우징(351)의 일측에 설치된 정지스위치(357)를 눌러 직류모터(354)를 정지시킴으로서 가림편 하우징(352)에 의해 환자가 자극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하우징(35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고정대(370)에 의해 고정 설치되데, 그 상단은 힌지결합되고, 그 하단에는 스프링 쇼바(360)가 설치되어 있어 하우징(351)으로부터 노출된 가림 수단들이 이불 등에 의해 눌리거나 그 높이가 너무 높을 경우 가림 장치들을 눌러 주면 스프링쇼바(360)에 의해 하 우징의 하단이 당겨지거나 눌려 가림 장치들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에서 각 전기 장치들 즉, 모터의 제어나 이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정지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러한 제어는 전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접점 스위치 또는 이러한 접점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적인 제어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제어박스에 마이컴 등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환자의 두 다리 사이로 작동되어 가림편(353)이 환자의 음부 및 둔부를 가려줌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누운 상태에서 소변을 볼 수 있고, 이때 가림편(353)을 비롯한 가림편 하우징(352)이 환자의 소변이 외부로 튀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환자용 침대는 수세기능을 갖음으로 환자의 둔부 및 음부의 청결을 유지함은 물론 변기의 배설물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음으로 풍기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탈의장치를 구비하고 있음으로 하체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혼자서 하의를 벗고 용변을 볼 수 있으며, 일어나 앉은 자세는 물론 누운 상태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으므로 편안한 자세에서 생리 형상을 해소할 수 있으며, 용변시 환자의 하체를 가려줄 수 있는 코브라 형상의 가림 장치와 가림 장치의 일측에 수세 장치 를 구비하여 환자가 수치감을 느끼지 않고 용변을 볼 수 있게 되며, 가림 장치를 침대의 바닥면으로 출입될 수 있게 함으로서 휴식 또는 취침시에는 보다 편안한 휴식과 취침을 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매트를 받치는 침상(100)의 하부에 양변장치(300)가 설치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변기(300)가 설치된 부분의 상부에는 변기구멍(1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기구멍(112a)의 일측에는 인체의 둔부 및 음부를 가리기 위한 가림장치(50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 장치(500)는 그 내부가 비어 있고 종단면 및 횡단면이 호형상을 갖는 하우징(351)과 ;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351)과 동일한 호 형상을 갖는 가림편(35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 장치(500)는 매트 지지대(130)의 일측에 하우징 고정대(370)에 의해 고정되어 스프링 쇼바(360)의 작동에 의해 그 일측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호 형상을 갖는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굽혀진 호의 내측을 향한 면에는 급수관 삽입홈부(351a)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호 형상으로 굽혀진 래크(351b)가 설치되며, 상기 래크(351b)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 피니언(354a)이 회전축에 설치된 직류모터(354)를 구비한 하우징(351)과 ;
    상기 하우징(35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곡률의 호 형상을 갖는 두 개의 판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351)을 향한 단부는 하우징(351)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하우징 걸림턱(35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351)에 형성된 급수관 삽입홈부(351a)에 대향되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급수관 삽입부(352a)가 일체로 형성된 가림편 하우징(352)과 ;
    상기 가림편 하우징(352)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힌지돌기(353a)에 힌지고정되데 스프링(353b)에 의해 가림편 하우징(352)의 중앙을 향하여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힌지고정된 부분에 회동돌부(353c)가 형성된 다수의 가림편(353)과 ;
    상기 하우징(351)의 내부에 설치되고 직류모터(354)의 일측에 연결되어 직류모터(354)의 구동에 의해 래크(351b)를 따라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며, 내부에 제2완충스프링(356a)이 설치된 이동체(356)와 ;
    판체 형상으로 양 가장자리에 상기 가림편(353)의 힌지 고정부에 형성된 회동돌부(353c)를 밀어 가림편(353)이 가림편 하우징(352)으로부터 펼쳐지게 밀어내는 가림편 회동편(358c)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피스톤(356)의 내에 삽입 설치되어 제2완충스프링(356a)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가림편 구동판(358)과 ;
    상기 피스톤(356)과 가림편 하우징(352)의 하우징(351) 내부에 삽입된 단부 사이에 설치된 제1완충스프링(35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 삽입부(352a)에 형성된 구멍에는 분사노즐(440)이 더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440)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분사구멍(441)이 형성되며, 호스(352d)가 일측에 연결되어 세척수 또는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441)을 반복적으로 회동시켜 분사되는 공기나 세척수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향 조절 수단은 직류모터(410)의 회전축에 편심 풀리(420)를 설치하고 상기 원통형 분사노즐(441)의 원주를 벗어난 부분에 와이어(430)를 연결하여 직류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는 편심 풀리(420)의 회동에 의해 회동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5. 제 1 항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100)은 등받이부(111), 둔부받침부(112), 다리받침부(113) 및 발받침부(114)가 서로 접혀질 수 있도록 힌지 고정된 매트(110)와, 가로프레임(132)과 세로프레임(133)을 모서리지지대(132)로 받쳐 구성된 매트 지지대(130), 상기 매트(110)를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하는 매트절첩수단(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매트(110)의 등받이부(111)와 둔부받침부(112)는 고정힌지축(111a)에 의해 매트지지대(130)의 중단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고정힌지축(111a)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되고, 상기 둔부받침부(112)와 다리받침부(113) 사이 및 다리받침부(113) 와 발받침부(114) 사이는 절첩부(112b, 114a)에 의해 서로 접혀질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다리받침부(113)의 중단과 상기 발받침부(114)의 단부에는 이동힌지축(113a, 114b)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힌지축(113a, 114b)가 매트 지지대(130)의 세로프레임(133)의 내측에 형성된 축이동홈(133a)의 내부에서 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매트절첩수단(120)은 상기 매트 지지대(130)에 일측 단부가 힌지 고정되고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축의 단부가 상기 매트(110)의 등받이부(111)에 힌지 고정되어 등받이부(111)를 일측 단부의 고정힌지축(111a)을 중심으로 접혀지게 밀거나 당기는 제1실린더(121)와 ; 상기 매트 지지대(130)에 일측 단부가 힌지 고정되고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축의 단부가 상기 매트(110)의 둔부받침부(112)에 힌지 고정되어 둔부받침부(112)를 일측 단부의 상기 고정힌지축(111a)을 중심으로 접혀지게 밀거나 당기는 제2실린더(1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6. 제 1 항내지 제 3 항 중에 있어서, 상기 양변장치(300)는 상기 매트(110)의 둔부받침부(112)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변기구멍(112a)의 하부에 설치된 변기(310)와 ; 상기 변기 및 환자의 둔부 수세용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320)과 ; 상기 변기에 배설된 배설물과 수세용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수단(340)과 ; 변기 변기구멍(112a)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330)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수단(330)은 판체 형상으로 양 가장자리에 걸림돌기(337)가 각각 한 쌍 형성되고 이동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봉(336)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상기 둔부받침부(112)의 중앙에 형성된 변기구멍(112a)을 개폐하는 변기뚜껑(331)과 ; 상기 변기뚜껑(331)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돌기(337)가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338a, 338b)이 형성된 가이드(338)와 ; 상기 변기뚜껑(331)에 형성된 힌지봉(33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대(33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에 피니언(333)이 설치된 모터(332) 및 ; 상기 모터(332)에 설치된 피니언(333)의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모터의 구동시 피어언(333)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터(332)가 왕복 이동하게 하는 래크(33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7. 제 1 항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에는 환자의 하의를 탈의 또는 착용하게 하기 위한 탈의장치(2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탈의장치(200)는 상기 매트 지지대(130)의 양 가장자리에 인체의 길이 방향으로 놓여지되 인체의 허리부분으로부터 다리까지 연장되게 놓여진 통체 형상으로서, 매트측을 향한 부분에는 길게 바지걸이이송홈(211)이 형성되고, 다리를 향한 단부의 내부에는 모터(2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214)의 회전축에 설치된 베벨기어(214a)와 치합되어 구동되는 베벨기어의 회전축에는 풀리(215)가 설치되어 있고, 반대측 단부측 내부에는 상기 풀리(215)에 걸린 바지걸이 이송벨트(216)의 타측이 걸리는 풀리(215')가 설치된 바지걸이이송대(210)와 ; 통체 형상으로 매트를 향한 면에는 이송대 이송홈(2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두 개의 풀리(210, 210') 사이에 이송대 이송벨트(2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밸트(260) 의 중단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바지걸이이송대(210)가 고정된 이송대 지지대(220)와 ; 상기 이송대지지대(220)의 내부에 설치된 풀리 중 어느 일측 풀리에 설치된 모터(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대 지지대(220)의 하부에는 상하 이동축(240)이 더 설치되며, 상기 상하 이동축(240)은 모서리지지대(131)에 고정 설치된 이동축 지지관(250)에 삽입되어 이송대 지지대(22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340)은 상기 변기(310)의 저면에 연장 형성된 배수관에 전자식 3웨이밸브(343)를 설치하고 상기 3웨이밸브(343)에 두 개의 관을 연결하여 일측의 관에는 배설물통(341)을 연결하고 타측의 베수관(342)은 하수관으로 연결하여 배설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통(341)은 통체 형상으로 그 측벽에 길게 구멍(341g)이 형성된 외부 보호통(341a)과 ;
    상기 외부 보호통(341a)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방을 향해 유입관(341d)이 설치되고, 측방에는 유출관(34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름진 벽을 갖는 내부 주름통(341b) 및 ;
    상기 내부 주름통(341b)의 일측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 보호통(341a)에 형성된 구멍(341g)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손잡이(341f)가 형성된 이동판(341f)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KR1020040056597A 2004-05-15 2004-07-20 환자용 침대 KR100610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554 2004-05-15
KR20040034554 2004-05-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096U Division KR200413151Y1 (ko) 2006-01-03 2006-01-03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396A KR20050109396A (ko) 2005-11-21
KR100610584B1 true KR100610584B1 (ko) 2006-08-14

Family

ID=3539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597A KR100610584B1 (ko) 2004-05-15 2004-07-20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256708A1 (ko)
EP (1) EP1746963A1 (ko)
JP (1) JP2007537791A (ko)
KR (1) KR100610584B1 (ko)
CN (1) CN1953725A (ko)
AU (1) AU2005244302A1 (ko)
CA (1) CA2566664A1 (ko)
WO (1) WO2005110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9323A1 (en) * 2006-05-25 2007-12-06 Sin-Taek Park Functional cot for patient
CN101557785B (zh) * 2008-03-10 2011-05-18 胡凤彬 一种摇篮式负压护理床
US20110179571A1 (en) * 2010-01-25 2011-07-28 Sherrie Clayton Therapeutic medical toilet bed
JP4698762B1 (ja) * 2010-10-26 2011-06-08 孝行 石田 介護用ベッド
CN103610545B (zh) * 2013-11-22 2017-02-01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有洗澡与按摩功能的护理机器人
CN104027213A (zh) * 2014-06-25 2014-09-10 汪奕刚 医用护理床智能洁身设备的自动喷水洁身头
USD783332S1 (en) * 2014-07-21 2017-04-11 Eiken Inc. Adjustable bed with bedpan
US10358807B2 (en) 2014-11-25 2019-07-23 Shandong Crrc Huateng Environment Co., Ltd. Suction seat for intelligent nursing toilet bowl
CN104490539B (zh) * 2015-01-04 2017-08-25 安徽吉昌护理设备有限公司 基于穿戴式眼镜的臀部水洗式电动护理床的使用方法
TWI586344B (zh) * 2015-08-07 2017-06-11 Shao-Yu Peng With a mattress structure that cleanses the buttocks of the human body
US10111792B2 (en) * 2016-02-01 2018-10-30 Cheng-Piao Lai Multifunctional nursing bed for excretion
CN106580596A (zh) * 2016-12-19 2017-04-26 黄天炎 App控制大小便智能清洁处理护理床
CN106759762A (zh) * 2017-02-11 2017-05-31 彭优 隐形夜尿杯
CN107496103B (zh) * 2017-08-15 2021-02-19 上海诺昊医疗科技有限公司 训练床
CN107802436B (zh) * 2017-12-01 2019-11-26 河南科技大学 一种具有辅助穿衣功能的老年人护理床
US10821042B1 (en) * 2018-03-27 2020-11-03 Beatrice Williams Patient bed with mattress and integrated bed pan
CN109009743A (zh) * 2018-07-13 2018-12-18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附属医院) 一种隐私病员床
KR102233835B1 (ko) 2019-06-13 2021-03-3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자동 배설물 제거 장치
US11806268B2 (en) * 2019-07-15 2023-11-07 Thelma Rowena Liverpool System for collecting body waste of non-ambulatory patients
CN110575335B (zh) * 2019-09-27 2020-12-01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临床内科护理用床侧护理装置
CN111588402A (zh) * 2020-05-29 2020-08-28 六盘水师范学院 一种高精度的ct系统参数标定及成像装置
CN111700762B (zh) * 2020-07-13 2021-12-21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头面部皮肤病治疗机器床
CN112168553A (zh) * 2020-10-10 2021-01-05 王辉 一种适用于医疗床的排泄物自动收集装置及使用方法
CN112451249B (zh) * 2020-11-24 2021-11-05 榆林市第一医院 一种具有辅助康复装置的医疗床
CN113081554A (zh) * 2021-04-07 2021-07-09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多功能病床及其使用方法
CN113332056B (zh) * 2021-05-13 2022-08-09 海南科技职业大学 一种智能化健康护理装置
CN113576791B (zh) * 2021-08-18 2022-05-06 江阴市中医院 一种带有隐匿式便器的骨科病床
CN113813120A (zh) * 2021-10-20 2021-12-21 深圳市医迪康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护理床
CN115317272B (zh) * 2022-10-11 2022-12-20 吉林大学 一种基于护理床用术后辅助患者排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906A (ja) * 1995-04-21 1996-11-05 Nagamori Kako Kk 寝たきり用のベッドおよび看護方法
JPH08322868A (ja) * 1995-05-30 1996-12-10 Niles Parts Co Ltd 排泄物処理装置
KR970061227A (ko) * 1997-06-23 1997-09-12 이재익 변기를 부착한 환자용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075A (en) * 1904-07-20 1904-12-13 Joseph W Caster Bed attachment.
US1227022A (en) * 1915-09-22 1917-05-22 Walter Thompson Mattress.
US2632185A (en) * 1948-11-26 1953-03-24 De Merle E Eckart Bedpan device
US3757355A (en) * 1971-09-09 1973-09-11 R Allen Portable body waste collecting system
US4258445A (en) * 1976-07-15 1981-03-31 Zur Henry C Beds and adjustable body supporting assemblies
US4571759A (en) * 1982-11-08 1986-02-25 France Bed Co., Ltd. Bed apparatus with a urinal
US4490865A (en) * 1982-12-23 1985-01-01 France Bed Co., Ltd. Bed apparatus with urinal and an integral drive mechanism
US5461738A (en) * 1992-02-28 1995-10-31 Kimura Industry Co., Ltd. Bed system with excreting mechanism
JP3147971B2 (ja) * 1992-02-28 2001-03-19 株式会社木村技研 排便機構付ベッドシステム
US5729849A (en) * 1994-12-08 1998-03-24 Garakani; Mojtaba Sectional bed apparatus
JP3673315B2 (ja) * 1996-03-01 2005-07-20 常雄 山本 寝たきり病人用等の身辺介護装置
JPH11239591A (ja) * 1998-02-24 1999-09-07 Akira Harada 便器付き療養ベッド
JP2000334003A (ja) * 1999-05-31 2000-12-05 Kimura Giken:Kk ベッドシステム
JP2001212186A (ja) * 2000-02-07 2001-08-07 Ebara Kiko Kk トイレ付き介護ベッ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906A (ja) * 1995-04-21 1996-11-05 Nagamori Kako Kk 寝たきり用のベッドおよび看護方法
JPH08322868A (ja) * 1995-05-30 1996-12-10 Niles Parts Co Ltd 排泄物処理装置
KR970061227A (ko) * 1997-06-23 1997-09-12 이재익 변기를 부착한 환자용 침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832286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3725A (zh) 2007-04-25
US20080256708A1 (en) 2008-10-23
CA2566664A1 (en) 2005-11-24
WO2005110325A1 (en) 2005-11-24
JP2007537791A (ja) 2007-12-27
KR20050109396A (ko) 2005-11-21
EP1746963A1 (en) 2007-01-31
AU2005244302A1 (en)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584B1 (ko) 환자용 침대
JP6417491B2 (ja) 入浴装置及び介護ベッド
JP2016022371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を装着した電動ベッド(autobedwithapparatusforevacuation)
KR100800266B1 (ko)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KR101223510B1 (ko) 세정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CN106344304A (zh) 具有洗浴、大小便清理功能的卧床病人护理床
KR102320648B1 (ko)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KR20130095080A (ko) 간병용 침대
KR200413151Y1 (ko) 환자용 침대
US7028355B2 (en) Medical sanitary multifunctional system bed
KR100630496B1 (ko) 기능성 환자용 침대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JPH11239591A (ja) 便器付き療養ベッド
EP2213271A1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washing of a bedridden person
KR200359358Y1 (ko) 환자용 기능성 침대
KR101288333B1 (ko) 배설물 처리장치
KR20150019824A (ko) 간병용 침대
JP2006212377A (ja) 洗浄機能を備えたトイレ付介護用ベッド
KR100307722B1 (ko) 수세식변기가부착된피간호인용침대
JP2764003B2 (ja) 寝たきり病人等の介護装置
KR10260687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변처리 환자용 침대
JPH10118133A (ja) 洗浄便器付療養ベット
KR100242089B1 (ko) 환자용침대
KR0122194Y1 (ko) 간이 변기 장치
JPH09206335A (ja) 簡易トイレ及び風呂付き介護用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