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080A - 간병용 침대 - Google Patents

간병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080A
KR20130095080A KR1020120016506A KR20120016506A KR20130095080A KR 20130095080 A KR20130095080 A KR 20130095080A KR 1020120016506 A KR1020120016506 A KR 1020120016506A KR 20120016506 A KR20120016506 A KR 20120016506A KR 20130095080 A KR20130095080 A KR 20130095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water
frame
reservoi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철 filed Critical 이종철
Priority to KR102012001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5080A/ko
Publication of KR2013009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force

Abstract

본 발명은 간병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수가 공급되고, 배수구가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에 의해 발생하는 폐수를 상기 배수구로 배수하는 쿠션재의 방수매트; 상기 방수매트가 안착되고, 상기 배수구에 연통하는 연통공을 갖는 수평프레임이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제각기 힌지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방수매트를 만곡시키는 경사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경사프레임의 회전을 제어하는 틸팅수단; 상기 침대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방수매트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재; 및 상기 급수부재에 의해 상기 방수매트로 공급되어 상기 배수구로 배수되는 폐수를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에서 집수하는 집수부재;를 포함한다.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프레임의 하부에 급수부재 및 집수부재가 마련되어 침대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세척수를 공급하여 환자를 목욕시키고 폐수를 집수할 수 있으므로 가정과 같이 좁은 장소에서도 번거로움 없이 환자를 목욕시킬 수 있으며, 틸팅수단에 의해 경사프레임의 회전이 제어되어 방수매트가 만곡되므로 폐수의 배출이 용이함은 물론 환자가 누운상태에서도 경사프레임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안락한 상태에서 목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간병용 침대{BED FOR NURSING}
본 발명은 간병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환자에게 세척수를 공급하여 환자를 목욕시킬 수 있으며, 환자를 세척한 폐수를 용이하게 배출하여 집수할 수 있는 간병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병용 침대는 고령의 환자나 신체 상해에 의한 환자 또는 장애우들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 침상에 누운 상태로 목욕을 하거나 배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본 발명에 선행하여 제안된 간병용 침대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67194호에 개시된 욕조를 구비한 침대가 있다.
종래의 간병용 침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캐스터(1a)가 마련된 하부프레임(1), 하부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3), 상부프레임(3)을 하부프레임(1)에 승강가능하게 연결하는 승강대(2), 승강대(2)의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동력부(7), 상부프레임(3)에 설치되고 일측에 드레인부(5a)가 마련된 욕조시트(5) 및 욕조시트(5)를 상부프레임(3)에 지지하는 지지부재(6)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간병용 침대는 캐스터(1a)를 통해 목욕탕으로 환자를 이동시킨 후 목욕탕의 물을 욕조시트(5)에 공급하면서 환자를 목욕시키고, 승강동력부(7)에 의해 승강대(2)의 각도를 조절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시트(5)를 기울이면서 욕조시트(5)의 물을 드레인부(5a)로 배출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간병용 침대는 환자를 목욕시키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서 침대 전체를 목욕탕으로 이동시켜서 목욕탕의 상수도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간병용 침대는 욕조시트의 드레인부(5a)로 배출되는 폐수를 집수할 수 있는 구성이 없으므로 목욕탕의 내부에서 배수하거나 별개의 받침통을 구비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정에서 요양하는 환자를 목욕시킬 경우에는 침대를 목욕탕의 입구로 이동시킨 후 목욕탕의 호스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대야 등으로 세척수를 침대로 운반하여야 함은 물론, 드레인부(5a)로 배출된 폐수를 운반하여야 한다.
또한, 종래의 간병용 침대는 상부프레임(3)이 하나의 몸체를 이루므로 똑바로 누울 수 없는 환자의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등받이 부분이나 하체부분의 각도조절이 불가능하므로 평상시 환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간병용 침대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똑바로 앉힌 후 상부프레임(3)을 경사를 조절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867194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침대를 목욕탕이나 세면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세척수를 공급하여 환자를 목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세척이 완료된 폐수를 집수할 수 있으며, 환자의 등받이부 및 하체부의 경사를 조절하여 환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세척수를 배수구로 안내할 수 있는 간병용 침대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병용 침대는,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에 의해 발생하는 폐수를 상기 배수구로 배수하는 쿠션재의 방수매트; 상기 방수매트가 안착되고, 상기 배수구에 연통하는 연통공을 갖는 수평프레임이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제각기 힌지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방수매트를 만곡시키는 경사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경사프레임의 회전을 제어하는 틸팅수단; 상기 침대프레임을 지지하는 다리가 마련된 하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방수매트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재; 및 상기 급수부재에 의해 상기 방수매트로 공급되어 상기 배수구로 배수되는 폐수를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에서 집수하는 집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간병용 침대에 의하면, 침대프레임의 하부에 급수부재 및 집수부재가 마련되어 침대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세척수를 공급하여 환자를 목욕시키고 폐수를 집수할 수 있으므로 가정과 같이 좁은 장소에서도 번거로움 없이 환자를 목욕시킬 수 있으며, 틸팅수단에 의해 경사프레임의 회전이 제어되어 방수매트가 만곡되므로 폐수의 배출이 용이함은 물론 환자가 누운상태에서도 경사프레임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안락한 상태에서 목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간병용 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병용 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병용 침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병용 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급수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급수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급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병용 침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매트(10), 침대프레임(20), 하부프레임(40), 급수부재(50), 집수부재(60)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방수매트(10)는 환자가 누운 상태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부재로써, 방수성능을 갖는 쿠션재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를 따라 측벽(11)이 형성되어 세척수가 저수되며, 저수된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구(10a)가 마련된다.
이러한 방수매트(10)는 우레탄폼이나 에어가 주입되는 에어튜브와 같이 단일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쿠션재에 방수시트가 씌워져 형성될 수도 있다.또한, 방수매트(10)는 미도시된 엠보싱이 다수 형성되어 환자에 지압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환자를 바닥면에서 이격시킴으로써 세척수를 용이하게 배수할 수도 있다.
한편, 방수매트(10)는 후술되는 경사프레임(27)(29) 및 수평프레임(25)에 대응하도록 분리구성되어 미도시된 방수시트가 씌워질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방수매트(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 후술되는 경사프레임(27)(29)에 의해 용이하게 만곡되기 위하여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라인(12)이 형성된다.이러한 절곡라인(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홈형태로 형성되어 방수매트(10)를 만곡시킬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주름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수구(1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매트(10)의 중앙에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폐수를 배출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배수관(15)이 결합되어 배수트랩을 형성할 수도 있다.
침대프레임(20)은 방수매트(10)가 안착되어 환자에게 침상을 제공하는 부재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매트(10)의 외곽을 지지하는 외곽틀(21)과, 방수매트(1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2)(23)로 이루어져서 방수매트(10)가 안착된다.지지부재(22)(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틀(21)에 고정되는 판상의 지지판(23)이나 복수의 지지리브(22)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판(2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매트(10)의 배수구(10a)에 연통하는 연통공(20a)이 형성되어 전술한 배수관(15)이 결합된다.
이와 달리, 침대프레임(20)은 방수매트(10)를 안착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침대프레임(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25) 및 경사프레임(27)(29)으로 분할되어 힌지축(26)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수평프레임(2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하부프레임(40)에 수평상태로 결합되고, 연통공(20a)을 갖는 지지판(23)이 결합되어 방수매트(10)의 중앙이 안착되면서 배수구(10a)가 연통공(20a)에 연통된다.
경사프레임(27)(29)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25)의 양측에 제각기 고정된 힌지축(26)에 각각 결합되어 힌지축(2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일측의 경사프레임(27)은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면서 회전하고, 수평프레임(25)은 환자의 둔부를 지지하며, 타측의 경사프레임(29)은 환자의 하체를 지지하면서 회전한다.
틸팅수단(30)은 경사프레임(27)(29)의 회전을 제어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게 경사프레임(27)(29)의 경사를 조절하는 동시에 방수매트(10)의 양측을 만곡시켜서 폐수를 배수구(10a)로 안내하는 수단으로써,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1), 로드(33) 및 유압모터(3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하부프레임(40)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한다.
로드(33)는 실린더(31)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실린더(31)로 인입되거나 실린더(33)에서 인출되면서 경사프레임(27)(29)의 각도를 조절하는 부재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프레임(27)(29)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유압모터(3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1)에 내장된 상태로 후술되는 컨트롤러(CT)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로드(33)를 이동시킨다.즉, 유압모터(35)는 로드(33)를 이동시켜 로드(33)의 길이를 신축시키면서 경사프레임(27)(29)의 일측을 밀어올리거나 끌어당긴다.
따라서, 경사프레임(27)(29)은 틸팅수단(30)에 의해 힌지축(2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경사가 제어되어 환자를 안락하게 지지시키는 동시에 환자에 공급된 세척수를 수평프레임(25)에 위치한 배수구(10a)로 안내한다.
하부프레임(40)은 침대프레임(20)을 지지하는 다리가 마련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25)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하부프레임(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의 하단에 캐스터(41)가 마련되어 침대프레임(2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침대프레임(20)을 승강시키는 미도시된 승강수단이 마련되어 침대프레임(2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급수부재(50)는 방수매트(10)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통(51), 샤워기(55)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53) 및 커플러(5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저수통(5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세척수가 저수되며, 하단에 저수통캐스터(51a)가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침대프레임(20)의 하부에 수납된다.
이러한 저수통(5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관(51b)이 일측에 마련되며, 상수도에 연결되는 세척수공급관(WP)에 연결되어 세척수가 저수될 수도 있다.또한, 저수통(5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펌프(53)는 저수통(51)에 저수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부재이다.이러한 펌프(53)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통상의 급수펌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통(51)의 배출관(51b)에 연결되는 연결관(53a)이 마련되어 연결관(53a) 및 배출관(51b)을 통해 저수통(51)의 세척수를 펌핑한다.이러한 펌프(53)는 후술되는 컨트롤러(CT)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세척수를 펌핑한다.
한편, 펌프(53)는 저수통(51)이 복수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저수통(51)에 제각기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하나로 구성되어 연결관(53a)이 분기됨에 따라 각각의 저수통(5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샤워기(5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53a)의 타측에서 펌프(53)에 결합되어 세척수를 방수매트(10)로 분사한다.여기서, 샤워기(55)는 미도시된 온/오프스위치가 마련되어 세척수의 분사를 단속할 수 있으며, 온/오프스위치가 후술되는 컨트롤러(CT)에 연결됨에 따라 펌프(53)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커플러(52)는 저수통(51)의 배출관(51b)과 펌프(53)의 연결관(53a)을 탈착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52a) 및 조인트 솔레노이드(52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볼조인트(52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53a)의 단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배출관(51b)이 삽입된 상태로 전,후진하면서 배출관(51b)의 단부에 걸려서 고정되거나 배출관(51b)의 단부와 분리되는 연결부재이다.
조인트 솔레노이드(52b)는 볼조인트(52a)에 연결되어 볼조인트(52a)의 이동을 제어하는 부재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52a)에 동일체로 고정되어 볼조인트(52a)와 함께 이동하는 링크(LK) 및 링크(LK)를 전후진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SV)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밸브(SV)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부프레임(4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CT)의 제어에 작동한다.
즉, 볼조인트(52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2b)의 구동에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면서 배출관(51b)의 단부에 고정되거나 배출관(51b)에서 분리된다.따라서, 배출관(51b)은 커플러(52)의 작동에 의해 연결관(53a)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한편, 급수부재(50)는 전술한 세척수공급관(WP)을 통해 저수통(51)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저수량에 따라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척수제어기(5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세척수제어기(54)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센서(54a) 및 개폐밸브(54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수위센서(54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통(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수공급관(WP)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저수량을 감지한다.이러한 수위센서(54a)는 저수되는 세척수에 의해 통전되면서 저수량을 감지하거나 저수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부상하면서 저수량을 감지하는 통상의 센서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특히, 수위센서(54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플로트타입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개폐밸브(54b)는 세척수공급관(WP)을 개폐하는 부재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공급관(WP)의 일부분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위센서(54a)에 연결되어 수위센서(54a)의 감지에 따라 작동하면서 세척수공급관(WP)을 개폐한다.
즉, 개폐밸브(54b)는 수위센서(54a)를 통해 감지된 저수통(51)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모자를 경우, 세척수공급관(WP)을 개방하여 세척수를 저수통(51)으로 공급하며, 저수통(51)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경우, 수위센서(54a)의 감지신호에 따라 세척수공급관(WP)을 폐쇄한다.
이러한 개폐밸브(54b)는 컨트롤러(CT)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위센서(54a)의 감지에 우선하여 컨트롤러(CT)의 제어에 의해 작동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급수부재(50)는 저수통(51)에 저수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보일러(5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일러(57)는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57a), 스위치모듈(57b) 및 수온센서(57c)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히터(57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통(51)의 저수공간에 배치되며 전원에 의해 발열하면서 저수통(51)의 세척수를 가열하며, 전원이 공급되는 단자(57d)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이러한 히터(57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통(51)과 함께 이동하면서 단부가 단자(57d)에 접속됨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는다.
스위치모듈(57b)은 히터(57a)의 전원을 제어하여 세척수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스위치모듈(57b)은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57d)를 통해 히터(57a)에 연결되어 다이얼식으로 히터(57a)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바이메탈방식 또는 벨로즈방식으로 히터(57a)의 전원을 단속하는 서모스탯 형태로 구성된다.또한, 스위치모듈(57b)은 컨트롤러(CT)에 연결되어 컨트롤러(CT)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히터(57a)의 온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수온센서(57c)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통(51)의 저수공간에 설치되며, 히터(57a)에 의해 가열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스위치모듈(57b)에 제공한다.
즉, 스위치모듈(57b)은 수온센서(57c)를 통해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면서 히터(57a)의 전원을 제어하여 세척수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보일러(57)는 저수통(51)이 복수로 구성될 경우, 각각의 저수통(51)에 제각기 마련되며, 컨트롤러(CT)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하면서 저수통(51)들의 세척수를 순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CT)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술한 틸팅수단(30)의 유압모터(35)와, 급수부재(50)의 펌프(53), 조인트 솔레노이드(52b), 세척수제어기(54) 및 보일러(57)에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박스(CB) 및 유선 또는 무선의 리모콘(RC)이 마련되어 각각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CT)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TR)가 마련되어 컨트롤박스(CB)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변환시켜 공급할 수 있으며, 트랜스(TR)의 일측에서 트랜스(TR)의 열기를 방열하는 히트싱크(HS)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저수통(5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이 밀폐된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펌프(53)와 보일러(57)가 내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급/배수 커넥터(59a) 및 전원커넥터(59b)가 설치될 수 있다.
급/배수 커넥터(59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통(51)의 일측에 설치되고, 세척수공급관(WP)이 연결되어 저수통(51)에 세척수를 공급하며, 또한 전술한 샤워기(55)가 연결되어 펌프(53)에서 펌핑되는 세척수를 샤워기(55)로 공급한다.
전원커넥터(59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통(5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며, 저수통(51)에 내장된 펌프(53), 히터(57a) 및 수온센서(57c)에 제각기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집수부재(60)는 샤워기(55)를 통해 방수매트(10)로 분사되어 배수구(10a)로 배수되는 폐수를 침대프레임(20)의 하부에서 집수하는 부재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통(61) 및 드레인(63)을 포함한다.
집수통(6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함체형으로 형성되며, 침대프레임(20)의 하부에 수납되어 배수구(10a)로 배수되는 폐수를 집수한다.이러한 집수통(61)은 하단에 마련된 집수통캐스터(61a)에 의해 이동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구(10a)에 배수관(15)이 마련된 경우 상부에 미도시된 커버가 마련되어 차폐된 상태에서 배수관(15)에 연결될 수도 있다.
드레인(6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통(61)의 측방하부 또는 저면에 마련되어 집수통(61)에 집수된 폐수를 배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간병용 침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수납수단(70)은 급수부재(50) 및 집수부재(60)를 침대프레임(20)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시키는 수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롤러(71) 및 수납가이드(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납롤러(7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프레임(20)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40)에 수평상태로 설치된다.
수납가이드(7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형태로 형성되어 급수부재(50)의 저수통(51) 및 집수부재(60)의 집수통(61)에 제각기 결합되어 수납롤러(71)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한다.
즉, 저수통(51) 및 집수통(61)은 각각의 캐스터(51a)(61a)에 의해 이동하면서 수납가이드(73)에 의해 수납롤러(71)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침대프레임(20)의 하부에 정위치된다.
여기서, 수납롤러(71) 및 수납가이드(73)는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즉, 수납롤러(71)는 저수통(51) 및 집수통(6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납가이드(73)는 하부프레임(40)에 수평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저수통(51) 및 집수통(61)은 수납수단(70)에 의해 침대프레임(20)의 하부에 정위치되면서 유동하지 않으므로 특히 집수통(61)이 폐수를 정확하게 집수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간병용 침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배출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배변배출수단(80)은 방수매트(10)에서 발생하는 환자의 배변을 집수부재(60)로 배출하는 수단으로써,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구(81) 및 배변커버(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변구(8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매트(10)에 마련되어 배변을 배출한다.여기서, 배변구(8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10a)의 일측에서 방수매트(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배수구(10a)와 동일체로 구성되어 배변을 폐수와 함께 배출할 수도 있다.또한, 배변구(8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로 형성되는 배변관(81a)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지지판(23)은 방수매트(10)에 배변구(81)가 형성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구(81)에 연통하는 배변연통공(20b)이 연통공(20a)의 일측에 형성된다.
배변커버(8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구(81)를 개폐한다.
배변배출수단(8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통(8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변통(85)은 배변구(81)로 배출되는 배변을 담는 부재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통(61)에 서랍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배변을 집수통(61)의 폐수와 분리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방수매트(10)에 누운 환자를 목욕시킬 경우, 간병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프레임(20)을 구성하는 경사프레임(27)(29)의 각도를 환자가 목욕가능하게 방수매트(10)에 기댄 상태로 틸팅수단(30)으로 조절한다.
이때, 간병인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프레임(27)(29)에 제각기 설치된 유압모터(35)를 컨트롤러(CT)의 리모콘(RC)을 통해 작동시킨다.이에 따라, 로드(33)는 실린더(31)에서 인출되면서 경사프레임(27)(29)을 가압하며, 경사프레임(27)(29)은 힌지축(2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기립한다.
그리고, 간병인은 경사프레임(27)(29)을 환자에 맞게 회전시킨 후, 컨트롤러(CT)의 제어를 통해 유압모터(35)를 정지시키며, 급수부재(50)를 통해 환자에게 세척수를 공급하여 환자를 목욕시킨다.이때, 간병인은 리모콘(RC)을 통해 펌프(53)를 작동시켜서 저수통(51)에 저수된 세척수를 샤워기(55)를 통해 환자에게 연속적으로 분사하거나, 샤워기(55)에 마련된 미도시된 온/오프스위치를 통해 펌프(53) 작동을 제어하면서 샤워기(55)의 분사를 단속한다.
이때, 세척수제어기(54)는 수위센서(54a)를 통해 저수통(51)의 수위를 감지하면서 개폐밸브(54b)를 통해 세척수공급관(WP)을 단속하여 저수통(51)의 저수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저수통(51)은 배출관(51b)이 커플러(52)에 의해 펌프(53)의 연결관(53a)에 고정됨에 따라 전후유동이 방지되며, 수납수단(70)이 마련된 경우 수납롤러(71) 및 수납가이드(73)에 의해 하부프레임(40)에 수납상태로 좌우유동이 방지되므로 세척수를 안정적으로 저수하면서 샤워기(55)로 공급한다.
한편, 환자에게 온수를 분사할 경우, 간병인은 스위치모듈(57b)을 조절하여 온도를 설정한다.이때, 스위치모듈(57a)은 수온센서(57c)를 통해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면서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히터(57a)에 전원을 공급하여 세척수를 히터(57a)에 의해 가열시킨다.
방수매트(10)는 샤워기(55)로 분사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폐수를 배수구(10a)로 배수한다.이때, 폐수는 방수매트(1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프레임(27)(29)에 의해 양측이 만곡됨에 따라 수평프레임(25)에 위치한 배수구(10a)로 안내됨에 따라 용이하게 배출된다.
그리고, 집수통(61)은 배수구(10a)로 배출되는 폐수를 집수하여 드레인(63)을 통해 폐기한다.이때, 집수통(61)은 수납롤러(71) 및 수납가이드(73)에 의해 하부프레임(40)에 수납되어 좌우유동이 방지되므로 폐수를 안정적으로 집수한다.
한편, 환자가 배변할 경우, 환자는 방수매트(10)에 마련된 배변커버(83)를 개방하고 배변구(81)를 통해 배변한다.
이에 따라 배변통(85)은 배변구(81)로 배출되는 물과 혼합된 배변을 담는다.
그리고, 간병인은 배변통(85)을 집수통(61)으로부터 인출하여 처리하거나 집수통(61)과 함께 하부프레임(40)으로부터 인출하여 처리한다.
한편, 간병인이 저수통(51)을 펌프(53)의 연결관(53a)에서 분리할 경우, 조인트 솔레노이드(52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CT)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SV)가 작동하면서 링크(LK)를 볼조인트(52a)와 함께 후진시킴으로써 볼조인트(52a)를 배출관(51b)의 단부에서 분리시킨다.따라서, 저수통(51)은 배출관(51b)이 연결관(53a)에서 분리됨에 따라 하부프레임(40)의 하부에서 인출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간병용 침대에 의하면, 침대프레임(20)의 하부에 급수부재(50) 및 집수부재(60)가 마련되어 침대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세척수를 공급하여 환자를 목욕시키고 폐수를 집수할 수 있으므로 가정과 같이 좁은 장소에서도 번거로움 없이 환자를 목욕시킬 수 있으며, 틸팅수단(30)에 의해 경사프레임(27)(29)의 회전이 제어되어 방수매트(10)가 만곡되므로 폐수의 배출이 용이함은 물론 환자가 누운상태에서도 경사프레임(27)(29)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안락한 상태에서 목욕시킬 수 있다.
또한, 틸팅수단(30)을 구성하는 로드(33)가 유압모터(35)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31)에서 신축되면서 경사프레임(27)(29)을 가압하므로, 경사프레임(27)(29)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 급수부재(50)가 펌프(53)의 구동에 의해 샤워기(55)로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균일한 분사압력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저수통(51)의 배출관(51b)이 커플러(52)에 의해 펌프(53)의 연결관(53a)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배출관(51b)의 분리가 방지되므로 세척수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커플러(52)를 구성하는 볼조인트(52a)가 조인트 솔레노이드(52b)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하므로 배출관(51b)이 연결관(53b)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더욱이, 세척수공급관(WP)을 통해 저수통(51)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저수량이 수위센서(54a) 및 개폐밸브(54b)로 구성되는 세척수제어기(54)에 의해 제어되므로 샤워기(55)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일러(57)에 의해 온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57a)가 스위치모듈(57b) 및 수온센서(57c)에 의해 제어되므로 세척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급수통(51) 및 집수통(61)이 수납수단(70)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침대프레임(20)의 하부에 정위치상태로 수납되어 급수통(51) 및 집수통(61)의 좌우유동이 방지되므로, 세척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배수구(10a)로 배출되는 폐수를 안정적으로 집수할 수 있다.
덧붙여, 배변배출수단(80)이 마련되어 환자가 누운 상태로 배변을 처리할 수 있으며, 배변통(85)이 집수통(6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배변을 폐수와 분리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방수매트 10a : 배수구
20 : 침대프레임 21 : 외곽틀
22 : 지지리브 23 : 지지판
25 : 수평프레임 26 : 힌지축
27,29 : 경사프레임 30 : 틸팅수단
31 : 실린더 33 : 로드
35 : 유압모터 40 : 하부프레임
50 : 급수부재 51 : 저수통
51b : 배출관 52 : 커플러
52a : 볼조인트 52b : 조인트 솔레노이드
53 : 펌프 53a : 연결관
54 : 세척수제어기 54a : 수위센서
54b : 개폐밸브 55 : 샤워기
57 : 보일러 57a : 히터
57b : 스위치모듈 57c : 수온센서
60 : 집수부재 61 : 집수통
63 : 드레인 70 : 수납수단
71 : 수납롤러 73 : 수납가이드
80 : 배변배출수단 81 : 배변구
83 : 배변커버 85 : 배변통
WP : 세척수공급관 CT : 컨트롤러
CB : 컨트롤박스 RC : 리모콘
TR : 트랜스 HS : 히트싱크

Claims (8)

  1.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에 의해 발생하는 폐수를 상기 배수구로 배수하는 쿠션재의 방수매트;
    상기 방수매트가 안착되고, 상기 배수구에 연통하는 연통공을 갖는 수평프레임이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제각기 힌지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방수매트를 만곡시키는 경사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경사프레임의 회전을 제어하는 틸팅수단;
    상기 침대프레임을 지지하는 다리가 마련된 하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방수매트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재; 및
    상기 급수부재에 의해 상기 방수매트로 공급되어 상기 배수구로 배수되는 폐수를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에서 집수하는 집수부재;를 포함하는 간병용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일단부가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경사프레임에 일단부가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로 인입되거나 상기 실린더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경사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로드를 상기 실린더에서 이동시키면서 상기 경사프레임을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유압모터;를 포함하는 간병용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재는,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에 수납되고,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가 저수되며, 저수된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일측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저수통;
    상기 저수통의 배출관에 연결되는 연결관이 마련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상기 세척수를 상기 방수매트로 분사하는 샤워기; 및
    상기 저수통의 배출관과 상기 펌프의 연결관을 탈착가능하게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간병용 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배출관이 삽입되고, 전진이나 후진에 의해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걸려서 고정되거나 상기 배출관의 단부와 분리되는 볼조인트; 및
    상기 볼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볼조인트를 이동을 제어하는 조인트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간병용 침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재는,
    상기 세척수공급관을 통해 상기 저수통에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의 저수량에 따라 상기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척수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 제어기는,
    상기 저수통에 내부에서 상기 세척수의 저수량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세척수공급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위센서의 감지에 따라 작동하면서 상기 세척수공급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간병용 침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재는,
    상기 저수통에 저수된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는 보일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일러는,
    상기 저수통의 저수공간에서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세척수의 수온을 감지하는 수온센서; 및
    상기 수온센서의 수온에 따라 상기 히터의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세척수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 스위치모듈;을 포함하는 간병용 침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재는,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에 수납되고, 상기 배수구로 배수되는 상기 폐수를 집수하는 집수통; 및
    상기 집수통에 집수된 상기 폐수를 배출하는 드레인;을 포함하는 간병용 침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매트에서 발생하는 배변을 상기 집수부재로 배출하는 배변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변배출수단은,
    상기 방수매트에 마련된 상기 배수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집수부재로 배변을 배출하는 배변구; 및
    상기 배변구를 개폐하는 배변커버;를 포함하는 간병용 침대.
KR1020120016506A 2012-02-17 2012-02-17 간병용 침대 KR20130095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506A KR20130095080A (ko) 2012-02-17 2012-02-17 간병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506A KR20130095080A (ko) 2012-02-17 2012-02-17 간병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080A true KR20130095080A (ko) 2013-08-27

Family

ID=4921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506A KR20130095080A (ko) 2012-02-17 2012-02-17 간병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508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698B1 (ko) * 2015-10-07 2016-01-28 (주)한림의료기 전동식 샤워 트롤리
CN108686278A (zh) * 2018-06-04 2018-10-23 西南医科大学附属医院 一种阴道冲洗床
RU2692896C1 (ru) * 2018-12-05 2019-06-28 Сайнмет ЛА. Инс. Медицинская кровать
CN111513951A (zh) * 2020-04-15 2020-08-11 刘茵茵 一种消化内科用便于病人呕吐的床
KR102208538B1 (ko) * 2020-07-24 2021-01-27 주식회사에스에이치이 이동 목욕차용 오수탱크 일체형 욕조
WO2023196318A1 (en) * 2022-04-05 2023-10-12 Mag Industries Llc Assistive hygiene st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698B1 (ko) * 2015-10-07 2016-01-28 (주)한림의료기 전동식 샤워 트롤리
CN108686278A (zh) * 2018-06-04 2018-10-23 西南医科大学附属医院 一种阴道冲洗床
RU2692896C1 (ru) * 2018-12-05 2019-06-28 Сайнмет ЛА. Инс. Медицинская кровать
CN111513951A (zh) * 2020-04-15 2020-08-11 刘茵茵 一种消化内科用便于病人呕吐的床
CN111513951B (zh) * 2020-04-15 2022-02-25 周华 一种消化内科用便于病人呕吐的床
KR102208538B1 (ko) * 2020-07-24 2021-01-27 주식회사에스에이치이 이동 목욕차용 오수탱크 일체형 욕조
WO2023196318A1 (en) * 2022-04-05 2023-10-12 Mag Industries Llc Assistive hygiene s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5883B1 (en) Bathing system
US4821348A (en) Convertable bed and bathroom combination
US8424134B2 (en) Medical bed
KR20130095080A (ko) 간병용 침대
US4099272A (en) Bathing apparatus for invalids
KR100610584B1 (ko) 환자용 침대
JP2500839B2 (ja) 介護装置
JP2004081380A (ja) 介護用入浴装置
KR100800266B1 (ko)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KR100752479B1 (ko) 욕조가 달린 침대
KR101223510B1 (ko) 세정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JP3280654B2 (ja) 病弱者の介護設備
KR20190015065A (ko) 반신욕이 가능한 샤워침대
US3965501A (en) Bed intended for use by sick and invalid persons
KR20150019824A (ko) 간병용 침대
JP4092347B2 (ja) 開閉扉付きの浴槽
KR102379764B1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JP3118539B2 (ja) 身体洗浄装置
KR200413151Y1 (ko) 환자용 침대
JP3150311B2 (ja) 入浴装置
KR10260687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변처리 환자용 침대
CN209883985U (zh) 一种卫浴洗脚装置
US10278545B2 (en) Automated human washing systems
JPH11104207A (ja) 湯船付シャワー入浴装置
JP2589971Y2 (ja) 浴槽兼用ウォーター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