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764B1 -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 Google Patents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764B1
KR102379764B1 KR1020200092614A KR20200092614A KR102379764B1 KR 102379764 B1 KR102379764 B1 KR 102379764B1 KR 1020200092614 A KR1020200092614 A KR 1020200092614A KR 20200092614 A KR20200092614 A KR 20200092614A KR 102379764 B1 KR102379764 B1 KR 102379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washing
toilet
unit
health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3257A (ko
Inventor
김덕우
Original Assignee
김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우 filed Critical 김덕우
Priority to KR102020009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764B1/ko
Priority to CN202180065828.3A priority patent/CN116348021A/zh
Priority to PCT/KR2021/009582 priority patent/WO2022019717A1/ko
Priority to US18/006,499 priority patent/US20230293387A1/en
Priority to JP2023504682A priority patent/JP2023537261A/ja
Priority to EP21845542.6A priority patent/EP4186400A4/en
Publication of KR2022001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6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for cleaning the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47K3/062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47K3/07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attachable to other bas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05Special constructive structural details of the bathtub, e.g. of the walls or supportin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1Inlet to the bath
    • A61H33/6021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68Outlet from the b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89Specific construction features for further massaging means, i.e. not for the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05B1/1627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05B1/163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by relative rotative movement of the val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21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with means for regulating the jet relative to the horizontal angular position of the nozzle, e.g. for spraying non circular areas by changing the elevation of the nozzle or by varying the nozzle flow-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B05B3/0409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with moving, e.g. rotating, outlet elements
    • B05B3/041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with moving, e.g. rotating, outlet elements comprising a liquid driven rotor, e.g. a turbine
    • B05B3/042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with moving, e.g. rotating, outlet elements comprising a liquid driven rotor, e.g. a turbine with rotating outlet elements
    • B05B3/0427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with moving, e.g. rotating, outlet elements comprising a liquid driven rotor, e.g. a turbine with rotating outlet elements the outlet elements being directly attached to the rotor or being an integral part of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B05B3/06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by jet reaction, i.e. creating a spinning torque due to a tangential component of the j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61H2033/0058Electrical circuits therefor controll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는, 전방 하단에 발 건강관리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수납부와, 상단부와 후방 하단부에 걸쳐 형성되는 변기수조와 오수배관을 포함하는 본체; 및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내측 공간과 하단부에 오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세족수조를 갖는 발 건강관리기를 포함한다.
이때, 좌식변기는 본체의 수납부로부터 발 건강관리기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세족수조의 내측 공간이 개방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발 건강관리기가 상기 본체에 수납되도록 작동한다.

Description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TOILET BOWL WITH FOOT HEALTH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좌식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관한 것이다.
의자에 앉는 것처럼 앉아서 용변을 보는 좌식변기는 양변기 또는 좌변기로도 불리우며 일상생활에 사용빈도가 매우 높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품 중 하나이다.
좌식변기는 앉을 수 있는 형태를 취하며 가정내에서는 주로 욕실에 배치되므로 용변 중이 아니더라도 휴식이나 세척과 관련되어 이용될 수 있는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부 세척 등 용변과 관련된 기능 이외에는 부가 기능이 상용화되어 이용되는 예는 없다.
그런 한편, 일상 생활 중 욕실에서 수행되는 중요하고 빈도 높은 행위는 발 세척이다.
발은 다른 신체 부위보다 땀 분비가 3배 이상 많고 피지선이 거의 없기 때문에 건조해지거나 거칠어지기 쉽다. 발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무좀 등과 같은 각종 발 질환에 걸릴 위험성도 있다.
특히, 요즘같이 유행성 바이러스가 창궐하거나 미세먼지 등에 의해 대기오염이 심할 땐, 외출 후 반드시 발을 청결하게 유지해야 건강을 지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을 씻을 땐 허리를 굽혀 손이 발까지 닿을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손으로 발 구석구석을 닦지만, 이 동작이 어려운 허리 디스크 환자, 임산부, 혹은 균형을 잘 잡지 못하는 노약자 등은 움직임 자체가 불편하기 때문에 스스로 발 씻는 것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 문제에서도 자유롭지 못했다.
이에 종래의 발 세척 제품은 사용자가 안전하게 발을 씻을 수 있도록 의자 역할을 하는 좌식변기 주변에 놓이거나, 좌식변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배수 처리를 비롯한 여러 가지 불필요한 문제점이 상존함에 따라 아직까지 실효성 측면에서 요원한 것이 사실이다.
가령, 일반적인 좌식변기는 바닥면과 밀착하여 설치되고 그 설치부위를 밀봉하여 냄새를 차단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좌식변기에 발 세척 제품을 부착할 경우 오수배관을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체의 전방 하부에 위치한 수납부에 발 건강관리기를 슬라이딩 구조로 부착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발 건강관리기를 사용할 수 있는 좌식변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좌식변기의 커버를 의자 삼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안전하게 발 세척 및 족욕이 가능한데다 편의성 및 실용성까지 두루 갖춘 좌식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변기는, 전방 하단에 발 건강관리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수납부와, 상단부와 후방 하단부에 걸쳐 형성되는 변기수조와 오수배관을 포함하는 본체; 및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내측 공간과 하단부에 오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세족수조를 갖는 발 건강관리기를 포함한다.
이때, 좌식변기는 본체의 수납부로부터 발 건강관리기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세족수조의 내측 공간이 개방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발 건강관리기가 상기 본체에 수납되도록 작동한다.
본체의 수납부는 세족수조의 슬라이딩 이동구간상에 슬라이딩 레일을 구비하고, 세족수조는 슬라이딩 레일상에서 이동 가능한 캐스터를 상, 하단 일부 구간에 구비할 수 있다.
본체의 수납부 양단에는 세족수조의 슬라이딩 이동구간을 기밀하게 보호하고 본체의 전방을 지지하는 외벽이 형상될 수 있다. 또한, 수납부 안쪽에는 내벽을 두고, 내벽의 하단부와 화장실 바닥 사이를 밀봉하여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체는 세족수조의 후단과 접촉하는 부위에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체의 수납부는 세족수조와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수납공간을 갖는다.
발 건강관리기는 분사부, 세척수 공급부 및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한다.
분사부는 세족수조의 내측 공간을 향해 소정의 세척수를 분사한다.
세척수 공급부는 분사부에 세척수를 공급한다.
사용자 입력부는 세족수조의 외부에 구비되어 발 건강관리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고, 각종 기능별 버튼을 제공한다.
발 건강관리기는 세족수조의 오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좌식변기의 오수배관이나 별도의 하수관로를 이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배출구와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오수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는 좌식변기의 오수를 처리하는 좌식변기용 오수배출구가 될 수도 있고 하수를 처리하는 하수 처리용 오수배출구가 될 수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좌식변기 하부 공간의 화장실 바닥에는 좌식변기용 오수배출구만이 있으므로 좌식변기 오수배출구로 오수를 배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오수배출부는 본체의 오수배관을 일부 변형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의 세족수조는 본체 변기수조의 하단부가 아래로 처짐으로써 발생하는 공간 제약을 피하기 위하여 내벽을 가변적으로 변형하거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내벽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는 구조에서는 내벽 전체를 고탄성 재질로 구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지만 내구성을 감안하여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 경우 세족수조 내벽은 고정벽체와 가변벽체, 고정벽체와 가변벽체를 연결하고 물이 새지 않도록 연결 부위를 밀봉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고정벽체는 세족수조와 함께 성형되고 중앙부에 가변벽체가 위치할 공간을 가진다. 연결부는 가변벽체와 고정벽체가 결합할 때 사용되는데 가변벽체의 상단부를 제외한 3면이 연결부를 이용하여 고정벽체에 결합된다. 따라서 가변벽체와 고정벽체가 연결부를 이용하여 결합되면 평면적으로는 직사각형모양의 벽체로 유지된다. 그러나 세족수조가 본체의 수납부에 위치하게 될 때 가변벽체는 본체 변기수조하단부의 모양을 따라 세족수조의 안쪽으로 접히게 되므로 연결부는 이를 반영하여 변형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가변벽체의 좌우를 연결하는 부위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가변벽체의 하부를 연결하는 부위는 접힐 수 있도록 연결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족수조 내벽의 높이를 가변으로 조절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본체에 삽입될 때는 변기수조의 하단부에 걸리지 않도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조절되어야 하고, 사용자가 발 건강관리기를 사용하기 위해 본체의 전방으로 세족수조를 위치시켰을 땐, 높이가 높아지도록 조절돼야 한다.
발 건강관리기의 세족수조에는 내측 공간에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를 세척하는 발가락세척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발가락세척부는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발가락분사노즐과, 발가락분사노즐의 외측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에 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재를 포함한다.
분사부는 세족수조의 내측 둘레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측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측면분사노즐과, 세족수조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상향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이때, 측면분사노즐은 전단부에 배치된 노즐이 후단부에 배치된 노즐보다 더 높게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분사부는 세족수조의 내측 바닥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하향분사노즐과, 세족수조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액 노즐과, 하향분사노즐과 세정액 노즐 사이에 연결되어 하향분사노즐과 세정액 노즐의 분사 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한 분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 건강관리기는 사용자 입력부에 연결되고 분사부와 발가락세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분사부의 분사압, 분사방식 및 분사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 건강관리기는 세족수조의 내측 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세척하는 발뒤꿈치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뒤꿈치세척부는 발뒤꿈치의 형상을 따라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뒤꿈치세척부는 세족수조의 내측 후단부에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외면이 거친 면으로 이루어진 탈착 방식의 브러시와, 제어부에 의해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는 전방 하부에 위치한 수납부에 발 건강관리기를 슬라이딩 구조로 부착함으로써 공간상의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편히 앉은 자세로 좌식변기에 부가된 발 건강관리기의 세족수조에서 발가락을 세척할 수 있고, 냄새의 유입 없이 세족수조의 오수를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좌식변기에 부착된 발 건강관리기에 의하여 사용자가 발가락 사이까지 깨끗하게 세척하면서 악취 유입을 걱정할 필요 없이 오수를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어서, 매우 쾌적한 환경에서 발 세척 및 족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좌식변기커버를 의자 삼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편의성 및 실용성까지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인 좌식변기 내 부착된 발 건강관리기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손 사용 없이도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사이를 고르게 씻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움직임에 제약이 있는 몸이 불편한 사람도 편하게 발 세척 및 족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의 변형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3에 표시된 A-A'단면을 통해, 세족수조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세족수조의 내벽이 탄성 변형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의 오수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 건강관리기의 작동 예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 건강관리기의 작동 예를 배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뒤꿈치세척부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뒤꿈치세척부의 작동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가락분사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가락세척부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가락세척부의 작동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좌식변기의 기본구조는 통상의 좌식변기를 따르므로, 이해의 증진과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미 알려진 좌식변기 자체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주로 좌식변기에 부착된 발 건강관리기와, 좌식변기에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되는 구조 및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의 작동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변기(10)는 발 건강관리기(1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좌식변기(10)의 틀을 이루는 본체(200)는 전방 상단부로부터 후방 하단부에 형성되는 변기수조(미도시)를 갖고, 하단부에는 좌식변기 오수배관(미도시)이 설치된다.
본체(200)의 하부 전방에는 수납부(210)가 형성된다. 수납부(210)는 발 건강관리기(10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으로서, 발 건강관리기(100)의 세족수조(110)와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다. 발 건강관리기(100)의 세족수조(110)는 본체(200)의 수납부(210)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가령, 세족수조(110)의 상, 하단부와 본체(200) 내부의 연결 부위에는, 슬라이딩 레일(미도시)과, 슬라이딩 레일상에서 이동 가능한 캐스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은 세족수조(110)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위하여 세족수조(110)의 전후면으로 이동 가능한 경로만큼의 길이인 것이 좋다. 슬라이딩 레일상에는 단위 길이마다 세족수조(110)가 안정적으로 정지될 수 있도록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세족수조(110)는 본체(200) 내 구비된 전동 리니어 액추에이터(미도시)를 통해 전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수동으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예로, 세족수조(110)의 상, 하단부와 본체(200) 내부의 연결 부위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미도시)가 연결되어 서랍장에서 서랍을 열 듯이 사용자가 힘을 덜 들이면서 수동으로 세족수조(110)를 본체(200)로부터 개폐할 수도 있다.
이때, 세족수조(110)는 탄성부재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구조이지만, 사용자가 발 세척 및 족욕을 할 경우에는 세족수조(110)가 해당 위치에 고정돼야 한다.
이 경우, 슬라이딩 레일의 단위 길이마다 배치된 스토퍼가 세족수조(110)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체(200)의 상, 하단부 양단에 각각 배치된 슬라이딩 레일의 단위 길이마다 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스토퍼는 고정홀을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레일의 좌우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본체(200)의 수납부(210) 양단에는 세족수조(110)의 슬라이딩 이동구간을 기밀하게 보호하고 본체(200)를 지지하기 위한 외벽(211)이 배치될 수 있다. 외벽(211)은 세족수조(110)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본체(2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외벽(211)은 세족수조(110)의 양단을 감싸서 본체(200)의 전단부를 바닥에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좌식변기(10)에 앉을 때 본체(200)의 전단부가 받는 하중을 분산한다. 이에 따라, 외벽(211)은 좌식변기(10)의 전단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0)는 수납부(210) 안쪽에 내벽(220)을 두어, 하단부와 화장실 바닥 사이를 별도의 마감재(예: 실리콘, 콘크리트 등)로 밀봉함으로써 오수배관이나 오수배출구로부터 유입되는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차폐 구조를 갖는다.
본체(200)의 수납부(210)로부터 발 건강관리기(100)의 세족수조(110)가 반복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그 접촉 부위에 충격이 가해져 해당 부위에 마모가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본체(200)는 세족수조(110)의 후단과 접촉하는 부위에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상으로는 좌식변기커버(400)가 기존의 커버와 유사해보이지만 사용자가 발 건강관리기(100)를 이용할 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좌식변기커버(400)는 회동축(미도시)으로 회동되며 등받이(미도시)를 갖는 의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좌식변기커버(400)는 두 겹이 중첩된 구조로 이루어져, 하부에 위치한 한 겹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기본시트(미도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위치한 나머지 한 겹은 등받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기본시트는 사용자가 앉는 구간에 함몰 형성된 시트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등받이가 기본시트와 겹쳐져 있을 땐, 등받이는 시트홈과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등받이는 시트홈에 삽입될 시 수평 상태로 유지되고, 시트홈으로부터 탈거되어 약 90도 반경으로 회동될 시에는 사용자의 등이 닿는 수직 상태로 유지된다. 등받이와 기본시트 간의 회동 작동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거나 별도의 버튼(미도시)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등받이와 시트홈 사이에는 방수 재질의 쿠션(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은 등받이와 시트홈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장착 및 탈거가 가능한 교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발 건강관리기(100)는 세족수조(110), 분사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세족수조(110)는 발 건강관리기(100)를 구동할 수 있는 전자회로기판과 관련 부품을 기밀하게 내장할 수 있는데, 각종 케이블이나 센서, 액추에이터, 스위치, LED 등의 부품들도 포함되고, 이에 연결되는 각종 부품을 포괄한다.
세족수조(110)는 기본적으로 내측에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족수조(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수납부(210)에 삽입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본체(200)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좌식변기(10)의 전후면으로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하다.
분사부(120)는 세족수조(110)의 내측 공간을 향해 소정의 세척수를 분사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세족수조(110)의 외부 또는 세족수조커버(112)에 설치되어 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고, 각종 기능별 버튼을 제공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여러 가지 사전 설정이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기기를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하나의 구성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30)가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해당 기능의 버튼이 눌러지면, 그 기능에 맞는 기기의 구동을 통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의 변형 작동 예의 하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 건강관리기(100)는 좌식변기(10) 본체(200')의 수납부(210')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되는 구조는 앞서 도 2에 설명된 방식과 동일하지만, 그 형태가 조금 상이하다.
본체(200')의 수납부(210')는 도 2의 본체(200)의 수납부(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단면적을 갖는다. 수납부(210')의 면적이 줄어든 만큼 본체(200')는 좌식변기 오수배관의 설치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세족수조(110')가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납부(210')는 세족수조(110')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세족수조(110')는 사용자의 양발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그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미도시)을 통해 양발을 각각 세척할 수 있는 형태로 구조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세족수조(110')의 안쪽벽을 이루는 가변벽체(114')는 본체(200')의 전면부에 위치한 변기수조 하단부(212')의 형상과 대응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세족수조(110')가 수납부(210')에 딱 맞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표시된 A-A'단면을 통해, 세족수조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과 달리 높이가 높고 양발을 같이 놓을 수 있는 세족수조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건강관리기(100)의 세족수조(110')는 좌식변기(10)의 본체(200') 전방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때, 본체(200')의 상단 및 후방 하단에 형성되는 변기수조는 그 하단부(212')가 세족수조(110')의 높이에 영향을 주게 된다.
세족수조(110')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변기수조 하단부(212')와 세족수조(110')가 상호 영향을 주지 않으나, 세족수조(110')를 높여야 되는 경우(예컨대, 사이펀(Siphon) 방식의 변기일 때 변기수조가 아래로 처져서 세족수조를 높여야 되는 경우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세족수조(110')가 본체(200')에 수납될 시 변기수조 하단부(212')에 걸릴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본체(200')가 세족수조(110')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방공간을 더 확보하거나 세족수조(110')가 본체(200')에 다 수납되지 않고 돌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면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족수조(110')의 내벽 전체 또는 일부분을 유연한 재질로 쓰는 것이 좋다.
예컨대, 세족수조(110')의 내벽은 중앙부와 양단부로 구획되며, 내벽의 중앙부에는 변기수조의 하단부(212')와 맞닿는 가변벽체(114')가 위치하고, 내벽의 양단부에는 변기수조의 하단부(212')와 닿지 않는 고정벽체(113')가 위치한다.
가변벽체(114')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무재질은 천연고무와 합성고무를 포괄하며 그 중에서도 실리콘, 우레탄, 라텍스 중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라텍스는 미세한 고분자 입자가 수용액 상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의 물질이고 널리 사용되는 물질 중에 하나이므로 용도 및 환경에 따라 활용성이 더 좋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변벽체(114')는 세족수조(110')가 본체(200')에 삽입될 시(본체의 전면부 안쪽에 위치할 시) 본체(200')의 변기수조 하단부(212') 외형에 맞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고정벽체(113')는 가변벽체(114')의 양단에서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세족수조의 내벽이 탄성 변형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세족수조(110')의 가변벽체(114')이 외부 접촉에 따라 가변되는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세족수조(110')의 세부구성(후술되는 도면을 통해 도시)을 도시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9는 세족수조(110')의 가변벽체(114')이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해하기 쉽게 도시한 도면일 뿐이며, 도시된 형태로 인해 세족수조(110')의 형상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가변벽체(114')는 예를 들면 라텍스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가변벽체(114')이 연결된 부위는 사용자가 세족수조(110')를 이용하여 발 세척 및 족욕을 할 경우에도 물이 새지 않도록 기밀하게 처리된다.
또 다른 예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방법을 살펴보자.
이 실시예에서, 세족수조(110') 내벽은 고정벽체(113')와 가변벽체(115'), 고정벽체(113')와 가변벽체(115')를 연결하고 물이 새지않도록 연결부위를 밀봉하는 연결부(116a', 116b')로 구성된다. 고정벽체(113')는 세족수조(110')와 함께 성형되고 중앙부에 가변벽체(115')가 위치할 공간을 가진다. 연결부(116a', 116b')는 가변벽체(115')와 고정벽체(113')가 결합할 때 사용되는데 가변벽체(115')의 상단부를 제외한 3면이 연결부(116a', 116b')를 이용하여 고정벽체(113')에 결합된다. 따라서 가변벽체(115')와 고정벽체(113')가 연결부(116a', 116b')를 이용하여 결합되면 평면적으로는 직사각형모양의 벽체로 유지된다.
그러나 세족수조(110')가 본체(도 5의 200')의 수납부에 위치하게 될 때 가변벽체(115')는 본체의 변기수조 하단부(212')의 모양을 따라 세족수조(110')의 안쪽으로 회동하거나 밀려들어오게 되므로, 연결부(116a;, 116b')는 이를 반영하여 변형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연결부(116a', 116b')의 적당한 재질은 가변벽체(115')의 좌우를 연결하는 부위(116a')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가변벽체(115')의 하부를 연결하는 부위(116b')는 접힐 수 있도록 하는 라텍스와 같은 합성고무가 적절하다.
변형 실시예로서 변형정도를 더 크게 하기 위하여 연결부(116')가 주름지게 가공된 형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주름진 연결부(116')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연결부(116a', 116b')의 좌우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평소에는 접혀있다가 세족수조가 변기내로 삽입될 시 펼쳐져 가변벽체(115')가 세족수조의 내부 공간 안쪽으로 회동하여 기울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의 가변벽체(114’, 115’)은 세족수조(110')의 안쪽벽 일부 구간 상에서 상하로 승강 조절되는 방식(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세족수조(110')의 위치에 따라 가변벽체(114', 115')가 자동으로 승강 조절되거나 사용자가 별도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상하로 위치 이동을 시킬 수도 있다. 이때, 중요한 건 가변벽체(114’, 115’)은 사용자가 세족수조(110')를 사용하며 발 세척 또는 족욕을 할 때 외부로 물이 새지 않도록 밀폐 구조를 갖는다는 점이다.
결국 가변벽체(114', 115')는 세족수조(110')가 좌식변기(도 4의 10)의 하부 전면부에 삽입될 때 높이가 낮아지도록 조절되어야 하고, 사용자가 발 건강관리기(도 4의 100)를 사용하기 위해 좌식변기(도 4의 10)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켰을 땐, 가변벽체(114’, 115’)의 위치는 높이가 높아지도록 조절돼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의 오수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오수배출부(150)는, 오수유입관(151), 냄새차단부(152) 및 오수배출관(153)을 포함한다.
오수유입관(151; U자관 전단의 수평관)은 세족수조(도 2의 110 및 도 3의 110')의 오수배출구에 연결되고, 본체(도 1 및 도 2의 200, 도 3의 200')의 커넥팅 홀(미도시)을 관통한다. 여기서, 커넥팅 홀은 오수유입관(151)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다. 이러한 커넥팅 홀은 오수배출부(150)가 본체(도 1 및 도 2의 200, 도 3의 200')에 연결되는 구간상에 형성될 수 있다.
냄새차단부(152; U자관)는 오수유입관(151)과 오수배출관(153) 사이에 배치되어,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로부터 유입되는 냄새를 차단한다. 이를 위해서, 냄새차단부(152)는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하여 U자관이나 전용 밸브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오수배출관(153; U자관 후단의 수직관)은 전단이 냄새차단부(152)와 연결되고, 후단이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와 연결된다.
여기서, 오수배출부(150)는 오수유입관(151), 냄새차단부(152) 및 오수배출관(153)이 별도의 부품으로 이뤄진 조립체로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이 구성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본체(200)의 오수배관(201)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에 좌식변기(도 1내지 3의 10)의 오수배관을 결합할 때 사용하는 플랜지(미도시)에 오수배출부(150)를 포함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편심 플랜지를 변형하여 세족수조(도 2의 110 및 도 3의 110')의 오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오수배출부(150)가 편심 플랜지에 포함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발 건강관리기(도 1 및 도 2의 100, 도 3의 100')는 주기적으로 맑은 물을 방류하여 냄새차단부(152)에 물을 채운다. 이는 U자 형상의 냄새차단부(152)에 오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냄새차단부(152)의 주변은 기밀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의 작동 예를 정면, 배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병행 참조하면, 세족수조(110)는 내부에 사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구조를 가지며, 바닥판에는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세척판(111)이 구비된다.
세척판(111)은 평면을 기본으로 하나, 상방으로 돌출된 중앙부(발의 족궁이 위치하는 부분)를 구비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세척판(111)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111a)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돌기(111a)는 효과적으로 발바닥 세척을 돕고 바닥 또는 바닥에 형성된 노즐(상향분사노즐: 154)과 발과의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111a)는 발바닥에 닿을 때 까칠한 촉감을 느끼게 하여 지압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발을 문질러서 닦을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돌기(111a)는 발이 놓이는 부위가 탄성 변형되거나 하부로 함몰되어 발의 모양을 잡아 주는 틀 역할을 함으로써 발이 세척판(111)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세척판(111)은 세족수조(110)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세족수조(110)의 바닥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발이 놓이는 영역, 즉 세족수조(110) 바닥면의 일부 또는 전부인 영역일 수 있다.
세족수조커버(112)는 세족수조(110)의 상면 일부 구간(앞부분)을 덮어 물이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며, 후술할 하향분사노즐(122)이 설치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세족수조커버(112)는 세족수조(110)와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족수조(110)의 전단부 일측에 힌지 축(미도시)이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분사부(120)는 세족수조(110)의 내측 공간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세척수는 기본적으로 물이 되지만, 세정액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120)는 측면분사노즐(123) 및 상향분사노즐(124)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세족수조커버(112)의 저면에 형성되는 하향분사노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분사노즐(123)은 세족수조(110)의 내측 둘레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측방으로 물을 분사한다. 이러한 측면분사노즐(123)은 세족수조(110)의 내벽에 설치된 위치에서 수평 방향보다 하향된 위치로 물을 분사한다.
세척수가 세족수조(110)의 내측 좌우에서 분사되니, 발목을 비틀어서 발바닥을 닦을 수도 있다.
한편, 세족수조(110)의 바닥 전단부는 후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발가락 쪽으로 향하는 측면분사노즐(123)의 위치를 더 높게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분사되는 세척수의 방향이 보다 수직에 가깝게 되어 발등 및 발가락 세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상향분사노즐(124)은 세척판(111)의 바닥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방으로 물을 분사하여 발바닥을 세척한다.
이때, 상향분사노즐(124)의 분사압은 세척수가 세족수조(110)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사된 세척수의 높이가 세족수조(110)의 높이 이내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발바닥 세척 시에는 상향분사노즐(124)의 분사압을 강하게 하고, 세척판에서 발을 떼는 것을 감지하면 곧바로 분사압을 약하게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향분사노즐(122)은 커버(도3의 112)의 내측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하향분사노즐(122)을 추가로 구비할 경우 발등과 발가락의 세척에 효과적이다.
분사부(120)에는 외부에 위치한 별도의 세척수 공급부(도 15의 160) 및/또는 세정액 공급부(미도시)가 연결된다. 세척수의 공급은 외부의 급수관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분사압 조절을 위하여 세족수조(110) 내부에 세척수를 저장하는 수조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급수관 수압이 필요이상으로 크면 수조부가 버퍼 역할을 하여 적정 분사압을 유지하고, 세척수 분사압을 급수관 수압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수조부에 연결된 피스톤(미도시)이 작동하여 분사압을 높인다.
세정액 공급부는 외부의 세정액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세정액을 공급받거나, 카트리지 교체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정액 공급부는 세정액 노즐(125)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세정액 공급부가 분사부(120)의 각 노즐에 모두 연결되어 분사부(120)의 각 노즐이 세척수와 번갈아서 세정액을 분사하거나 세척수와 혼입하여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하향분사노즐(122), 측면분사노즐(123), 상향분사노즐(124)과 세정액 노즐(125)이 하나의 관으로 연결되고, 분기된 부위마다 분사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세척수 및/또는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구조 편의상 하향분사노즐(122)과 세정액 노즐(125)만 하나의 관으로 연결되고, 그 사이에 분사 밸브가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세척수 및/또는 세정액을 분사할 수도 있다.
분사부(120)의 동작은 사용자 입력부(도 3의 1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제어 로직에 따라 제어부(도 3의 140)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때, 세족수조(110)의 외부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사부(120)는 세족수조(110)의 내부에 배치된 기 설정된 일정 양의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일정 양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세족수조(110) 내부의 세척수가 채워지는 높이로 측량할 수 있으며, 이는 환경에 따라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분사부(120)에 의해서 분사되는 세척수 및/또는 세정액의 분사압과 분사패턴, 분사각도는 다양하게 조합되거나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분사부(120)는 사용자 입력부(도 2 및 도 3의 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엘이디(미도시)에 의해 전원의 온(ON)/오프(OFF)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뒤꿈치세척부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도 1 내지 도 12의 100)는 발뒤꿈치세척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뒤꿈치세척부(180)는 발 건강관리기(100)의 후단부(발뒤꿈치가 위치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발뒤꿈치가 더 잘 닦이도록 하거나 발뒤꿈치의 각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뒤꿈치세척부(180)는 발뒤꿈치의 형상을 따라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뒤꿈치세척부(180)는 회전부재(181), 브러시(182) 및 구동부(183)를 포함한다.
회전부재(181)는 세족수조(도 1 내지 도 12의 110)의 내측 후단부에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회전부재(181)는 길이 방향 양단에 회전핀(181a)을 갖는다.
브러시(182)는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를 직접 닿는 부위로, 회전부재(181)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브러시(182)의 외면은 거친 면으로 이루어져 발가락 사이의 오염 물질(각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세척의 편의성을 위하여 브러시(182)는 회전부재(181)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30)를 조작한 명령 신호가 제어부(140)로 전달되면, 구동부(183)는 제어부(140)에 의해 회전부재(18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뒤꿈치세척부의 작동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발뒤꿈치세척부(180)는 발뒤꿈치의 형상을 따라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3개로 구성되어 발뒤꿈치를 둘러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발뒤꿈치세척부(180)는 위치조절부(184)를 통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이외, 구동부(183), 사용자 입력부(130) 및 제어부(140)와의 구동 메커니즘은 전술한 도 13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발뒤꿈치세척부(180)의 다른 구성 예로서, 하나의 회전축이 회전축 배치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횡으로 이동하면서 발뒤꿈치 및/또는 발앞꿈치를 세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뒤꿈치세척부(180)와 세척판(도 11 및 도 12의 111)은 모두 세족수조(도 1 내지 도 12의 110)의 저면(바닥) 부근에 위치하므로 상호 기계적 간섭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판(111)의 크기를 줄이고 나머지 공간에 뒤꿈치세척부(180)를 세척판(111)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발뒤꿈치세척부(180)에 더하여, 발 건강관리기(도 1 내지 도 12의 100)의 전단부에도 앞꿈치세척부(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앞꿈치세척부는 족궁과 발가락 사이의 부분에 해당하는 발 앞꿈치를 세척하고 마사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구체적인 구조는 전술한 뒤꿈치세척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100)는 세척수의 가열을 위한 가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가열부는 급탕기나 전기히터 등의 방식으로 분사 전에 세척수를 가열하여 따뜻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가락분사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발 건강관리기에는 발가락분사노즐(171)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세척판(도 11 및 도 12의111)에 길이 방향으로 안착되는 발의 발가락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척판(11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발가락 사이를 향해 물을 분사한다.
발가락분사노즐(171)은 발가락 사이에 위치하며, 도 15에 도시된 발가락을 기준으로 좌우로 폭이 조절되거나 상하로 길이가 조절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 복수의 분사구(171a)를 갖는다.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세척수 공급부(160)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기능을 가진다. 세척수 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는 복수의 분사구(171a)를 통해 외부(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로 분사된다.
도시된 바로는 발가락분사노즐(171)이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상단 일부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이루어져, 발가락 삽입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상, 하로 승강 조절될 수 있고,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100)를 이용하는 사람마다 발가락의 형태와 크기가 다르므로, 발가락분사노즐(171)은 불특정 다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의 발가락 모양에 따라 세척판(111)의 폭(및/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설치 간격)만큼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이용자별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위치 이동은 기억장치(미도시)에 저장되어, 추후 사용자 입력부(도 2 및 도 3의 130)의 간단한 조작으로 이용자 별로 저장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령, 서로 다른 발가락 크기와 모양을 가진 A, B 두 사람이 발 건강관리기(100)를 이용할 경우, A가 사용자 입력부를 조작하여(예컨대, 1번 버튼 누름) 발가락분사노즐(171)이 자동으로 A의 발가락에 맞는 위치로 이동하고, B가 사용자 입력부를 조작하여(예컨대, 2번 버튼 누름) 발가락분사노즐(171)이 자동으로 B의 발가락에 맞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예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도 1 내지 도 12의 100)의 동작 및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분사부(120), 세정액 노즐(125), 사용자 입력부(도 2 및 도 3의 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100)의 제반 전기/전자적 장치의 동작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서 통제된다.
우선, 분사압 및 분사 동작 제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100)는 각 분사노즐의 분사압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각 분사노즐이 순차적으로 분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상향분사노즐(124) - 측면분사노즐(123) -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순서로 동작시켜 일정 수준 이상의 분사압을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필요에 따라 분사압을 높이는 가압펌프(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적정 분사압의 유지가 가능한 상태면 둘 이상의 노즐에서 동시에 분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세척 및 마사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각 노즐에서는 시간에 따라 가변하는 분사압으로 분사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세척수 및 세정액의 분사방식은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예컨대, 분사부(120)에 의한 세척수의 분사 시, 물과 세정액이 같은 노즐에서 교대로 또는 소정 분사 패턴에 따라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물과 세정액이 혼입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고, 물만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세정액은 전용 노즐(세정액 노즐; 125)에서만 분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세척 효과 및 마사지 효과의 증대를 위하여 분사부(120)의 각 노즐은 좌/우 또는 상/하로 분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측면분사노즐(123) 및 상향분사노즐(124)는 세족수조(110)의 외부로 물이 튀지 않도록 분사 각도가 소정 범위에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압, 분사방식, 분사 각도의 제어는 사용자 입력부(도 2 및 도 3의 130)를 통한 사용자 조작 또는 기 설정된 제어로직에 따라 제어부(도 2 및 도 3의 140에 의하여 수행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가락세척부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발가락세척부(170)는 발가락분사노즐(171), 세척부재(172) 및 회전편(173)을 포함한다.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상부에는 세척부재(17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세척부재(172)는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회전편(173)은 세척부재(172)의 상단에 위치하여 세척부재(172)와 동축 회전이 가능하다.
발가락세척부(170)는 회전편(173)과 결합된 세척부재(172)가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상단 일부분을 덮어 축 방향으로 회전하며 발가락 사이를 세척한다. 즉, 세척부재(172)는 회전편(173)이 분사부(12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할 시, 회전편(173)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세척부재(172)는 발가락 사이에서 각종 각질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이기에 천연고무의 원액을 발포시켜 만든 라버형이거나, 합성수지로 만든 우레탄형으로 이루어진 경질의 스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세척부재(172)의 외주면은 복수의 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세척부재(172)의 내측 둘레면과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외주면 사이에는 세척부재(172)의 회전을 보조하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가락세척부의 작동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세척부재(172')는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다만, 도 17 내지 도 20에서의 세척부재(172')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회전 방식을 갖는다.
이 회전 방식을 설명하에 앞서 발가락분사노즐(171')과 세척부재(172')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세척부재(172')의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세척수 안내홈(171b')과, 분사구(171a') 및 회전축(171c')을 갖는다. 세척수 안내홈(171b')은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외측 둘레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된다. 분사구(171a')는 세척수 안내홈(171b') 상에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다. 회전축(171c')은 세척부재(172')의 내측면에 형성된 회전축 연결홈(172b')과 연결된다.
세척부재(172')는 발가락분사노즐(171')의 분사구(171a')와 연통하는 복수의 분사구(172a)를 갖는다.
도 19의 (a)는 도 17의 A-A'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a)에서 세척부재커버(174')를 추가한 예이다. 도 19의 (a) 및 (b)를 참조하면, 분사구(172a')는 세척부재(172')의 축심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세척부재(172')의 분사구(172a')는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세척수 안내홈(171b')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세척수 안내홈(171b')은 물이 흐르는 공간으로서, 발가락분사노즐(171')을 거쳐 세척부재(172')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외부로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분사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 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발가락분사노즐(171')의 분사구(171a')을 거쳐 분사구(172a')로 분사되면 분사구(172a')는 그 분사압에 의하여 세척부재(172')의 회전을 유도한다.
세척부재(172')는 세척수가 분사구(172a')를 통해 분출되는 힘으로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질로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에서 자칫 회전이 안 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부재(172')는 회전이 가능한 범위에서의 경질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는 세척 보조를 위하여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세척부재커버(174')는 세척부재(17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형태로 교체가 가능하다. 즉, 세척부재커버(174')는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시 접촉면이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청결 유지를 위하여 교체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세척부재커버(174')의 커버홀(174a')은 분사구(172a')와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가락세척부(170')는 발가락세척노즐(171')이 연직상방으로 뻗어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마다 하나 이상 배치되어, 회전을 통해 발가락 사이를 세척하며 마사지한다.
발가락세척노즐(171')을 감싸는 세척부재(172')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두어 세척력 및 마사지효과를 증대하는 것이 좋고, 세척부재(172')의 몸체 자체는 경질이지만 돌기는 연질인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100)의 자동세척동작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자동세척기능은 발놓임 감지단계, 세정액 분사단계, 발세척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놓임 감지단계는 발이 세척판(111)에 놓이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세정액 분사단계는 발 감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발의 위치 정보값을 제어부가 수신하여, 분사부(120)의 세정액 노즐(125)을 구동시킴으로써 세정액을 분사하는 단계이다. 발세척단계는 세정액이 분사된 후 제1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물 분사 노즐부에서 물을 분사하여 발을 세척하는 단계이다.
선택적으로, 발 감지 센서가 발이 세척판(111)에서 떨어진 것을 감지하는 발이탈 감지단계와, 제2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세족수조(110)의 내부 공간을 세척하기 위하여 분사부(120)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내부세척단계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2 대기시간은 해당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의미하며, 사용자에 의해 해당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도 2 및 도 3의 130)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사전 설정을 할 수 있다. 분사부(120)의 분사압이나 자동세척기능의 제1대기시간 제2대기시간, 세정액분사량 등의 기본적인 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발놓임 감지단계는, 발 감지 센서에 의하여 진행된다.
발 감지 센서는 수광부(미도시)와 발광부(미도시)를 세족수조(110)의 좌우측 내벽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거나, 세척판(111) 바닥에 압력 센서를 두어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발 감지 센서는 발이 세척판(111)에 근접하는 위치 또는 안착된 압력값을 감지한 정보값을 제어부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발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된 정보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연산하여 그 결과값이 기준값에 부합하면 분사부(120)를 구동 제어한다.
발 세척 단계에서, 제어부는 세족수조(110)의 내측 수용 공간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자동 세척되도록 분사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각종 데이터로 축적된 통계값을 근거로 하여 산정된 시간으로서, 각 기능에 따라 초기 설정값이 다를 수 있고 그 설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발 세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세척수와 세정액의 분사 방식, 분사압, 분사각도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미리 설정된 로직에 따라 자동으로 가변하면서 진행될 수 있다.
내부세척단계는, 발 세척을 마친 사용자가 발을 빼면 진행된다. 세척판(111)에서 발이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면 분사부(120)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중단되고, 제어부는 자동세척기능을 이용하여 세족수조(110)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분사부(120)를 통제한다.
발 건강관리기(100)의 내부 세척을 위하여 제어부는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기 설정된 시간동안 세척판(111)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설정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오염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세척판의 세척 정도를 감지하여 적정 수준의 세척이 될 때까지 세척판의 세척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내부세척단계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발 세척 시의 세척수보다 강력한 세척력을 가진 세정액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정액 저장부는 발세척용 세정액과 구분하여 세척판 세척용 세정액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몇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았다. 본 발명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손 사용 없이도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사이를 고르게 씻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움직임에 제약이 있는 몸이 불편한 사람도 편하게 발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발 건강관리기는 발 세척 및 족욕을 한 이후에 자동으로 기기를 세척하는 기능을 탑재하여 종래의 관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발 세척 및 족욕이 이루어진 발 건강관리기는 몸체부의 커버 내측에 자외선 램프(미도시)나 드라이 장치(미도시)를 구성하여 세균을 박멸하거나 물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좌식변기 100: 발 건강관리기
110, 110': 세족수조 111: 세척판
111a: 돌기 112: 세족수조커버
113': 고정벽체 114', 115': 가변벽체
116a', 116b': 연결부 120: 분사부
122: 하향분사노즐 123: 측면분사노즐
124: 상향분사노즐 125: 세정액 노즐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제어부
150: 오수배출부 151: 오수유입관
152: 냄새차단부 153: 오수배출관
160: 세척수 공급부 170, 170': 발가락세척부
171, 171': 발가락분사노즐 171a, 171a': 분사구
171b': 세척수 안내홈 171c': 회전축
172, 172': 세척부재 172a, 172a': 분사구
172b': 회전축 연결홈 173: 회전편
174': 세척부재커버 174a': 커버홀
180: 발뒤꿈치세척부 181: 회전부재
181a: 회전핀 182: 브러시
183: 구동부 184: 위치조절부
200, 200': 본체 201: 오수배관
210, 210': 수납부 211, 211': 외벽
212': 변기수조 하단부 220: 내벽
300: 좌식변기시트 400: 좌식변기커버

Claims (15)

  1.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전방 하단에 상기 발 건강관리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수납부와, 상단부와 후방 하단부에 거쳐 형성되는 변기수조와 오수배관을 포함하는 본체; 및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내측 공간과 하단부에 오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세족수조를 갖는 발 건강관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세족수조는
    상기 수납부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내측 공간이 개방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변기수조와 맞닿는 일부 구간이 접힌 채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납부는
    상기 세족수조의 슬라이딩 이동구간상에 슬라이딩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세족수조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상에서 이동 가능한 캐스터를 상, 하단 일부 구간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납부 양단에는
    상기 세족수조의 슬라이딩 이동구간을 기밀하게 보호하고, 상기 본체의 전방을 지지하는 외벽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납부 안쪽에는 내벽이 배치되고,
    상기 내벽의 하단부와 화장실 바닥 사이는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로부터 실내로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밀봉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납부는
    상기 세족수조와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수납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6.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전방 하단에 상기 발 건강관리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수납부와, 상단부와 후방 하단부에 거쳐 형성되는 변기수조와 오수배관을 포함하는 본체; 및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내측 공간과 하단부에 오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세족수조를 갖는 발 건강관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세족수조는
    상기 수납부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내측 공간이 개방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도록 작동하되,
    상기 변기수조의 하단부와 맞닿는 내벽의 중앙부에 상기 변기수조의 하단부와 대응하게 탄성 변형되는 가변벽체와,
    상기 변기수조의 하단부와 닿지 않는 내벽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변벽체의 양단에 기밀하게 연결되는 고정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7.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있어서,
    전방 하단에 상기 발 건강관리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수납부와, 상단부와 후방 하단부에 거쳐 형성되는 변기수조와 오수배관을 포함하는 본체; 및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내측 공간과 하단부에 오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세족수조를 갖는 발 건강관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세족수조는
    상기 수납부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내측 공간이 개방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도록 작동하되,
    상기 변기수조와 대향하는 후면부의 양단에, 상기 변기수조의 하단부와 저촉되지 않는 범위로 형성되는 고정벽체;
    상기 고정벽체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며 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가변벽체; 및
    상기 고정벽체와 가변벽체 사이를 기밀하게 연결하되, 상기 가변벽체가 상기 변기수조의 하단부와 저촉될 시 상기 가변벽체가 상기 세족수조의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늘어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8.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 건강관리기는
    상기 세족수조의 내측 공간을 향해 소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및
    상기 세족수조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 건강관리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고, 각종 기능별 버튼을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건강관리기는
    상기 세족수조의 오수배출구와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오수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수배출부는
    상기 세족수조의 오수배출구에 연결되는 오수유입관;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에 연결되는 오수배출관; 및
    상기 오수유입관과 오수배출관 사이에 배치되어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로부터 유입되는 냄새를 차단하는 U자 형상의 냄새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건강관리기의 세족수조에는
    내측 공간에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를 세척하는 발가락세척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발가락세척부는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발가락분사노즐과,
    상기 발가락분사노즐의 외측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에 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세족수조의 내측 둘레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측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측면분사노즐과,
    상기 세족수조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상향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분사노즐은 전단부에 배치된 노즐이 후단부에 배치된 노즐보다 더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세족수조의 내측 바닥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하향분사노즐;
    상기 세족수조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액 노즐; 및
    상기 하향분사노즐과 세정액 노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하향분사노즐과 세정액 노즐의 분사 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한 분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 건강관리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부와 발가락세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의 분사압, 분사방식 및 분사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 건강관리기는
    상기 세족수조의 내측 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세척하는 발뒤꿈치세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뒤꿈치세척부는 발뒤꿈치의 형상을 따라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뒤꿈치세척부는
    상기 세족수조의 내측 후단부에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외면이 거친 면으로 이루어진 탈착 방식의 브러시;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KR1020200092614A 2020-07-24 2020-07-24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KR102379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614A KR102379764B1 (ko) 2020-07-24 2020-07-24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CN202180065828.3A CN116348021A (zh) 2020-07-24 2021-07-23 附接有足部保健护理装置的坐式马桶
PCT/KR2021/009582 WO2022019717A1 (ko) 2020-07-24 2021-07-23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US18/006,499 US20230293387A1 (en) 2020-07-24 2021-07-23 Sitting toilet having foot health care device attached thereto
JP2023504682A JP2023537261A (ja) 2020-07-24 2021-07-23 足健康管理器付き洋式便器
EP21845542.6A EP4186400A4 (en) 2020-07-24 2021-07-23 SITTING POSITION TOILET HAVING A FOOT CARE DEVICE ATTACH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614A KR102379764B1 (ko) 2020-07-24 2020-07-24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257A KR20220013257A (ko) 2022-02-04
KR102379764B1 true KR102379764B1 (ko) 2022-03-28

Family

ID=7972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614A KR102379764B1 (ko) 2020-07-24 2020-07-24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93387A1 (ko)
EP (1) EP4186400A4 (ko)
JP (1) JP2023537261A (ko)
KR (1) KR102379764B1 (ko)
CN (1) CN116348021A (ko)
WO (1) WO2022019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519B1 (ko) * 2020-09-02 2021-12-31 김덕우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2279A (ja) * 2006-02-22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洋風便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896Y1 (ko) * 1994-09-26 1998-12-15 김동범 세족기가 부설된 좌변기
US6829789B1 (en) * 2003-08-15 2004-12-14 Ching-Yao Liang Massaging tub having automatic washing function
CN2846560Y (zh) * 2005-10-20 2006-12-13 吴安琪 一种带脚盆的坐便器
KR100951968B1 (ko) * 2009-02-27 2010-04-08 유재원 스팀 분사식 족욕 겸용 좌훈 장치
KR101180364B1 (ko) * 2010-03-12 2012-09-10 이호관 세족기
GB201007033D0 (en) * 2010-04-28 2010-06-09 Hong Kong Girl Spa Uk Ltd Foot bath assembly
KR20130004961U (ko) * 2012-02-10 2013-08-20 이정호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CN110747958A (zh) * 2019-11-29 2020-02-04 朱贤勇 一种坐蹲两用马桶及其使用方法
KR102416611B1 (ko) * 2020-06-18 2022-07-04 김덕우 좌식변기 부착형 발 세척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2279A (ja) * 2006-02-22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洋風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86400A1 (en) 2023-05-31
KR20220013257A (ko) 2022-02-04
US20230293387A1 (en) 2023-09-21
CN116348021A (zh) 2023-06-27
EP4186400A4 (en) 2023-12-27
JP2023537261A (ja) 2023-08-31
WO2022019717A1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611B1 (ko) 좌식변기 부착형 발 세척 장치
JP5167414B2 (ja) 医療用ベッド
JP2008540019A (ja) 入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2008024005A2 (en) A toilet and associated apparatuses
KR102345519B1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KR100800266B1 (ko)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KR101847784B1 (ko) 이동식 좌욕온수세정기
KR102379764B1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KR20130095080A (ko) 간병용 침대
KR20100125847A (ko) 좌변기용 비데
KR200385533Y1 (ko) 위생 세정기
KR102072936B1 (ko) 좌변기용 시트 세척 장치
US4974268A (en) Chair bathtub
KR20230113091A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벽면부착형 좌식변기
JP3118539B2 (ja) 身体洗浄装置
KR20230113090A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KR100367292B1 (ko) 자동 세족기
KR200410720Y1 (ko) 이동식 세면 장치
KR20110045504A (ko) 위생 좌변기 및 이를 이용한 좌변기 위생관리방법
KR102338403B1 (ko) 발 세척 장치 및 방법
KR20150019824A (ko) 간병용 침대
KR20020073323A (ko) 침대 겸용 샤워실
CN219070047U (zh) 一种可更换浴盆的智能洗澡机
KR200331696Y1 (ko) 좌욕 겸용 샤워캐비넷용 샤워컬럼
KR20160008765A (ko) 목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