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961U -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961U
KR20130004961U KR2020120001022U KR20120001022U KR20130004961U KR 20130004961 U KR20130004961 U KR 20130004961U KR 2020120001022 U KR2020120001022 U KR 2020120001022U KR 20120001022 U KR20120001022 U KR 20120001022U KR 20130004961 U KR20130004961 U KR 201300049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toilet seat
main body
toil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2020120001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961U/ko
Publication of KR201300049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9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 배변을 원활하게 유도하고, 필요에 따라 족욕기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벽이 연결되어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가 개방될 경우 상기 본체는 족욕기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물분사 장치와 온도 조절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omitted}
본 고안은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변시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 배변을 원활하게 유도하고, 필요에 따라 족욕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좌변기에 착석할 때 몸통과 허벅지가 이루는 각도는 재래식 변기에 쭈그리고 앉을 때 몸통과 허벅지가 이루는 각도보다 커져서 항문 부위가 밖으로 벌어지는 힘이 약하다. 따라서 좌변기를 이용하게 되면 재래식 변기에 비하여 배변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힘들어 변비 등의 질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18008호는 좌변기의 배변 지지장치를 제공하고 있는데, 좌변기에 완전히 착석하지 않아 엉덩이를 직접 지지하는 역할이 불가능하고 두 발로만 몸 전체를 지탱해야 하므로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11178호는 좌변기용 지압발판을 제공하고 있는데, 발판의 높이가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고 발판이 착석자의 전방하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하복부에 힘을 주는데 약간 도움이 될 뿐 항문이 벌어지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지압발판을 사용하여 발바닥에 지압하는 효과를 갖지만 자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되지 않아서 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63481호는 배변에 도움을 주는 좌변기용 발판을 제공하고 있는데, 발판을 본체와 분리하는 기능이 없어서 족욕기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84263호는 좌변기용 발판을 제공하고 있는데, 바퀴가 부착되어서 고정되지 않으므로 발을 올려놓을 경우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판을 고정시키려면 발과 다리에 힘을 줘야 하는데 괄약근과 배에 주어야 할 힘이 분산되어 배변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 배변을 원활하게 유도하고, 필요에 따라 족욕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변기의 착석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에 있어서,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벽이 연결되어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가 개방될 경우 상기 본체는 족욕기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물분사 장치와 온도 조절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바닥 하면에 미끄럼 방지용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착석자의 발이 전방 상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게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는 착석자의 발다닥을 지압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가지고 내부에 편심 모터가 구비된 지압돌기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는 지압돌기를 제어하는 지압돌기 스위치와 물분사 장치를 제어하는 물분사 스위치와 상기한 각각의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전광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외벽면에 물 주입구와 전원 플러그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벽면 하단에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멍을 막기 위한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발판부에 의해 미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의 측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과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발판부에 의해 여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은 좌변기에 착석하여 배변을 보는 경우에도 재래식 화장실에 쭈그리고 앉아서 배변을 보는 것처럼 몸통과 허벅지가 이루는 각도를 줄어들게 한다. 몸통과 허벅지가 이루는 각도가 줄어들면 치골 직장근이 이완되고 항문관이 짧아지며 항문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배변을 원활하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발판부를 결합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 경우 상기 본체는 족욕기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은 욕실에 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욕실에 비치해 둠으로 인해 배변시에는 좌변기용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족욕기로 사용할 때는 족욕기에 채워 넣을 물을 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닥의 하면에 미끄럼 방지용 부재를 부착하여 발판에 발을 올려놓더라도 발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판부를 착석자의 전방상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게 구성할 경우 발판에 발을 올려도 발목에 무리를 주지 않으므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판부의 상면에 지압돌기를 부착하면 착석자가 발바닥을 지압하면서 발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진동장치에 의해 지압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의학적으로 볼 때 발바닥은 인체의 여러 장기들과 연결되는 지압점이 있는데 장 기관과 연결되는 지압점을 자극하면 배변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의 내벽면 하단에 배수구멍을 형성하여 족욕 후에 물을 쉽게 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족욕 중에는 마개로 배수구멍을 막아서 물이 흐르지 않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 내부에 물분사 장치를 구비하여 족욕시 발 맛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온도 조절기를 설치하여 족욕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판부의 상면에 전광판을 설치하여 상기 상황들이 전광판을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본 고안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미끄럼 방지용 부재, 지압돌기, 물 주입구, 전원 플러그, 전광판, 물분사 스위치, 지압돌기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도 3은 발판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발판부를 미닫이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의 사시도.
도 5는 발판부를 여닫이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을 변기의 착석자가 배변시 좌변기용 발판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을 족욕기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은, 변기의 착석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에 있어서,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벽이 연결되어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가 개방될 경우 상기 본체는 족욕기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물분사 장치와 온도 조절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바닥 하면에 미끄럼 방지용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착석자의 발이 전방 상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게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는 착석자의 발다닥을 지압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가지고 내부에 편심 모터가 구비된 지압돌기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는 지압돌기를 제어하는 지압돌기 스위치와 물분사 장치를 제어하는 물분사 스위치와 상기한 각각의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전광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외벽면에 물 주입구와 전원 플러그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벽면 하단에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멍을 막기 위한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발판부에 의해 미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의 측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과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발판부에 의해 여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미끄럼 방지용 부재, 지압돌기, 물 주입구, 전원 플러그, 전광판, 물분사 스위치, 지압돌기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도 3은 발판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발판부를 미닫이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의 사시도, 도 5는 발판부를 여닫이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을 변기의 착석자가 배변시 좌변기용 발판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을 족욕기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는,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벽이 연결되어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발판부(20)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가 개방될 경우 상기 본체(10)는 족욕기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도 3내지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물분사 장치(24)와 온도 조절기(2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외벽 중 일면을 움푹 들어가게 형성하여 좌변기용 발판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변기의 아랫면에 접하게 밀어 넣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기 본체(10)의 바닥 하면에 미끄럼 방지용 부재(11)가 부착되고, 상기 발판부(20)는 착석자의 발이 전방 상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게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발판부(20)의 상면에는 착석자의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가지고 내부에 편심모터가 구비된 지압돌기(21)가 부착되고, 상기 본체(10)의 외벽면에 물 주입구(27)와 전원 플러그(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 내벽면의 하단에 배수구멍(12)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멍(12)을 막기 위한 마개(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 배수구멍(12)과 마개(13)는 누구나 알 수 있는 일반적인 구멍과 마개에 대한 것이므로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미끄럼 방지용 부재(11)는 미끄럼 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물기에도 변형되지 않는 우레탄 고무를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부(20)에 기울기를 형성할 경우 발목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그 각도는 10∼20도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부(20)의 상면에 착석자의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가진 지압돌기(21)를 부착할 경우 발바닥의 지압점을 자극하여 배변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자기장의 크기는 500∼1000gauss인 자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압돌기(21)에 편심 모터가 구비되고 이를 지압돌기 스위치(29)를 통해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지압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20)의 상면에는 지압돌기 스위치(29)와 물분사 스위치(23)가 구비되고 상기한 각각의 스위치의 사용상태를 표시해 주는 전광판(25)이 설치되어 있어 본 고안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본체(10) 내벽면에 배수구멍(12)을 형성할 경우 배수구멍(12)은 물이 모두 빠져나갈 수 있게 상기 본체(10) 내벽면의 하단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13)는 물이 세어나가지 않게 탄성력이 있는 고무 등의 소재로 상기 배수구멍(12)에 밀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는 좌우길이가 60cm, 전후길이가 38c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발판부(20)와 상기 본체(10)를 포함한 좌변기용 발판 전체의 높이는 17∼18c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기 발판부(20)가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에 상기 발판부(20)를 결합하여 상기 본체(10)의 개구부를 닫은 경우에는 좌변기용 발판으로 사용하고, 상기 발판부(20)를 분리하여 상기 본체(10)의 개구부를 개방한 경우에는 족욕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기 발판부(20)가 상기 본체(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발판부(20)에 의해 미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기 발판부(20)의 측단이 상기 본체(10)의 상단과 힌지(22)로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발판부(20)에 의해 여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의 사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을 좌변기용 발판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배변을 하기 위해 좌변기에 착석하고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발판에 발을 올려놓으면 된다. 이 때 착석자의 몸통과 허벅지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면서 배변을 원활하게 유도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을 족욕기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몸체(10)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물을 채워 넣고 발을 집어넣으면 족욕기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본체
11 : 미끄럼 방지용 부재
12 : 배수구멍(미도시)
13 : 마개(미도시)
20 : 발판부
21 : 지압돌기
22 : 힌지
23 : 물분사 스위치
24 : 물분사 장치
25 : 전광판
26 : 전원 플러그
27 : 물 주입구
28 : 온도 조절기
29 : 지압돌기 스위치

Claims (9)

  1. 변기의 착석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에 있어서,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벽이 연결되어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가 개방될 경우 상기 본체는 족욕기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물분사 장치와 온도 조절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 하면에 미끄럼 방지용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착석자의 발이 전방 상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게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는 착석자의 발다닥을 지압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가지고 내부에 편심 모터가 구비된 지압돌기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는 지압돌기를 제어하는 지압돌기 스위치와 물분사 장치를 제어하는 물분사 스위치와 상기한 각각의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전광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벽면에 물 주입구와 전원 플러그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벽면 하단에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멍을 막기 위한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발판부에 의해 미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측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과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발판부에 의해 여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KR2020120001022U 2012-02-10 2012-02-10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KR201300049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022U KR20130004961U (ko) 2012-02-10 2012-02-10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022U KR20130004961U (ko) 2012-02-10 2012-02-10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961U true KR20130004961U (ko) 2013-08-20

Family

ID=5243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022U KR20130004961U (ko) 2012-02-10 2012-02-10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96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651B1 (ko) 2018-07-19 2019-09-11 김민준 배변용 접이식 발판
EP4186400A4 (en) * 2020-07-24 2023-12-27 Deok Woo Kim SITTING POSITION TOILET HAVING A FOOT CARE DEVICE ATTACHED THERET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651B1 (ko) 2018-07-19 2019-09-11 김민준 배변용 접이식 발판
EP4186400A4 (en) * 2020-07-24 2023-12-27 Deok Woo Kim SITTING POSITION TOILET HAVING A FOOT CARE DEVICE ATTACHED THERE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19629A1 (en) Toilet apparatus providing a user with a physiologically natural position during bowel movement
KR200460173Y1 (ko) 쾌변을 위한 좌변기용 발판
KR20130004961U (ko)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KR200454354Y1 (ko) 족욕기로 사용가능한 좌변기용 발판
JP2007054240A (ja) ツボ刺激機能付便座システム
CN209662181U (zh) 一种肛肠科痔疮病人用坐浴装置
KR101196482B1 (ko) 쾌변을 위한 변기시트
KR20180110945A (ko)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CN204133356U (zh) 一种用于坐姿排便的脚踏装置
JPH11318735A (ja) 浴 槽
KR20120030804A (ko) 발받침이 구비된 양변기
CN205831979U (zh) 一种用于坐姿排便的脚踏装置
KR102564886B1 (ko) 쾌변 유도용 발판
KR200355599Y1 (ko) 좌변기용 발판
KR200476373Y1 (ko) 족욕 분리형 좌훈기
KR101512591B1 (ko) 기포발생모터가 내장된 좌욕기
KR200263481Y1 (ko) 좌변기용 발판
KR200328956Y1 (ko) 지압의자
KR200318215Y1 (ko) 안마용 좌대
CN217366514U (zh) 一种坐式可收纳的泡脚桶
JP3166738U (ja) 排便を補助する装置
CN202636769U (zh) 电动坐浴盆
JP3173438U (ja) 痔にやさしい風呂用座浴器
CN210493934U (zh) 一种多用途马桶脚凳
KR200490345Y1 (ko)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