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945A -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945A
KR20180110945A KR1020170040985A KR20170040985A KR20180110945A KR 20180110945 A KR20180110945 A KR 20180110945A KR 1020170040985 A KR1020170040985 A KR 1020170040985A KR 20170040985 A KR20170040985 A KR 20170040985A KR 20180110945 A KR20180110945 A KR 20180110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mounting frame
toilet bowl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562B1 (ko
Inventor
이경노
Original Assignee
이경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노 filed Critical 이경노
Priority to KR1020170040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56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Miscellaneous hardware, e.g. bushing, carpet fastener, caster, door closer, panel hanger, attachable or adjunct handle, hinge, window sash balance
    • Y10S16/904Handle means having sanitary characteristic, e.g. to prevent transmission of germs
    • Y10S16/905Toilet seat lif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착석시트 하측면에 장착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장착프레임에 연장프레임을 매개로 연결되는 거치프레임에 사용자가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여 배변을 보다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변기의 변기 몸체 상부에 회전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착석시트; 상기 변기 몸체의 상단과 마주하는 상기 착석시트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의 일측단에 연결된 상태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변기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연장프레임; 상기 연장프레임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착석시트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올려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REGULAR MOTIONS INDUCION TYPE SEAT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착석시트 하측면에 장착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장착프레임에 연장프레임을 매개로 연결되는 거치프레임에 사용자가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여 배변을 보다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많은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변비는 흔히 변을 보는 간격이 긴 경우를 말하지만, 대변이 너무 굳어서 변을 보기가 어렵거나 대변 양이 너무 적은 경우, 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치 않은 경우 관장이나 변비 약을 복용해야만 변을 볼 수 있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의학적으로는 1주일에 3회 이하의 배변, 대변 양이 30g 이하인 경우, 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하지 않거나 자꾸 변을 보고 싶은 느낌이 드는 경우를 변비라고 한다.
짧은 기간의 변비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만성이 되면 복부 팽만감, 복통, 식용감퇴, 두통 피부발진, 어깨 결림 등 전신증상이 생기며 치핵이나 치열과 같은 항문 질환이 생기기도 하고, 장내 세균의 이상 증식으로 인해 대장암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변비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만성변비증이라고 하는데, 만성 변비의 원인으로는 대장이 아닌 다른 질환이나 약물에 의한 변비, 대장이나 직장항문의 구조적 이상이 발생하여 오는 기질적 변비, 대장/직장 및 항문의 기능 이상으로 오는 기능적 변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중에서 대부분은 직장 항문의 기능 이상으로 생기는 기능성 변비이다. 기능성 변비는 대장의 움직임이 전반적으로 떨어져 생기는 이완형 변비, 대장의 일부분의 움직임이 떨어져서 생기는 이상운동형 변비, 골반 출구 폐쇄로 인한 직장형 변비로 다시 크게 나눌 수 있다.
직장형 변비는 배변 자세와 관련이 된다. 현대인들이 사용하는 좌변기는 서양인들이 사용하던 높이와 구조를 그대로 들여와 사용하기 때문에 서양인들 보다 키가 작고 체구도 작은 동양인들은 좌변기에 착석시, 변이 나오기 힘든 꾸부정한 자세가 된다. 이러한 꾸부정한 자세로 인해 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게 되고 변이 가늘게 나오고, 이것을 시원히 보려고 배에 힘을 주거나 배를 주무르거나 하는 편법 등이 행해진다.
배에 힘을 주게 되면 배 근육과 골반 근육이 같은 신경계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항문을 오히려 오무린 상태에서 변이 나오는 모순적인 결과를 나타내게 되고, 그렇게 되면 변을 시원히 보기 위해 더 많은 힘을 항문에 주게 되어 직장이 늘어나고 변비가 악화되는 악순환을 겪게 된다.
재래식 화장실에서 변을 볼 때는 허리가 곧게 펴지고, 골반이 뒤로 빠져서 항문이 잘 벌어지고, 골반 근육이 펴지는 자세가 되어서 의학적으로 아주 변을 보기 수월한 자세가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공개특허 제10-2007-0120478호(쾌변을 위한 좌변기)와 공개특허 제10-2005-0120449호(원활한 배변을 유도하는 변기시트) 등은 좌변기에 착석시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좌대의 전방을 허벅지가 들려지도록 후방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기술에서는 허벅지를 들어올려 재래식 화장실에서의 배변 자세를 취하도록 하고 있는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착석시트를 교체하여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야기하게 되고, 사람의 체형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체형이 맞지 않는 사람에게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다.
즉, 키가 큰 사람과 작은 사람, 마른 사람과 뚱뚱한 사람은 체형이 서로 달라 각각 재래식 화장실에서의 배변 자세를 취하면서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허벅지의 위치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좌대의 전방을 후방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하되 그 돌출 높이는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필요가 있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좌대 전방의 돌출 높이가 정해져 있어 특정 체형의 사람 외의 다른 체형의 사람에게는 다소 불편함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변기의 착석 시트 하측면에 장착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배변 용무를 볼 때 상기 장착프레임에 연장프레임을 매개로 연결되는 거치프레임에 사용자가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올려 질 수 있도록 하여 배변을 보다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이 상기 연장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람들 각각이 자신의 체형에 맞는 위치에 상기 거치프레임을 이동시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변기의 변기 몸체 상부에 회전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착석시트; 상기 변기 몸체의 상단과 마주하는 상기 착석시트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의 일측단에 연결된 상태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변기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연장프레임; 상기 연장프레임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착석시트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올려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프레임은 상기 장착프레임의 일측단에 원터치회전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연장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장프레임은 상기 장착프레임의 일측단에서 지면방향으로 수직되게 연장형성되는 수직연장부와, 상기 변기 몸체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경사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 단부의 단부가 각각 설치되되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 및 연장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는 상기 변기 시트를 상기 변기 몸체의 상단으로 내려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변기 몸체의 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변용무를 볼 때 변기 몸체의 전방 하측에 위치하는 거치프레임에 사용자가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 올려짐으로써 배변을 보다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되고, 사용하는 사람의 체형이 달라지더라도 거치프레임의 위치를 간편하게 임의 조절하여 편안하고 배변에 용이한 자세를 취할 수 있어 범용적이고 생산성이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장프레임이 원터치회전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프레임 및 연장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프레임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프레임에 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는 착석시트에 앉아 배변을 보는 경우, 사용자가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올려져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하여 배변을 보다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의 변기 몸체(12) 상부에 회전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착석시트(20)와, 상기 착석시트(2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30)과, 상기 장착프레임(30)의 일측단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프레임(50)과, 상기 착석시트(20)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올려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프레임(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변기(10)는 일반적으로 물이 채워지는 저수통(11)과, 상기 저수통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면에 상기 착석시트(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변기 몸체(12)와, 상기 변기 몸체(12)의 하부에 오물과 물이 유동되는 배관이 마련된 배관형성부(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석시트(20)는 상기 변기 몸체(12)의 상부에 회전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양변기에서는 상기 회전부재의 분리결합을 통해 상기 변기 몸체(12)의 상부에 상기 착석시트(20)를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착석시트(20)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 부분이 안착되는 완만한 볼록구조를 갖는 볼록안착면(21)과, 상기 변기 몸체(12)의 상단과 마주하는 완만한 오목구조를 갖는 오목안착면(2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오목안착면(22)에는 상기 착석시트(20)를 상기 변기 몸체(12)의 상단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착석시트(20)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구(23)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착석시트(20)의 전방에는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부(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30)은 상기 변기 몸체(12)의 상단과 마주하는 상기 착석시트(20)의 오목안착면(22)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프레임(30)은 상기 착석시트(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U"형상으로 이루어져 개구된 일측이 상기 착석 시트(20)의 전면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장착프레임(30)의 두께는 상기 지지구(23)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도록 함으로써 상기 착석시트(20)의 오목안착면(22)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지지구(23)에 의한 상기 착석시트(20)의 원활한 안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30)은 상기 착석시트(20)의 오목안착면(22)에 분리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중인 착석시트의 교체시 용이한 분리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연장프레임(50)은 상기 장착프레임(30)의 일측단에 연결된 상태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변기 몸체(12)의 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60)은 상기 연장프레임(5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착석시트(20)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올려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연장프레임(50)이 상기 변기 몸체(12)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60)이 상기 연장프레임(50)의 하단부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착석시트(20)에 착석한 사용자가 상기 거치프레임(60)에 다리를 원활히 올려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거치프레임(60)은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50)의 각 단부에 양측단이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장착프레임(30), 연장프레임(50), 거치프레임(60)이 하나의 프레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조원가의 절감은 물론 제작편의성의 향상을 통해 대량생산을 도모하여 대중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프레임(50)을 상기 장착프레임(30)의 각 단부에 원터치회전부재(40)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상기 착석 시트(20)를 상기 변기 몸체(12)로부터 들어올려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연장프레임(50)과 거치프레임(60)이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게 되어 남성들의 소변용무에 불편함을 제공하므로 상기 연장프레임(50)을 상기 원터치회전부재(40)를 매개로 상기 착석시트(20)의 일측 오목안착면(22)방향으로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남성들의 소변용무에 편리함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원터치회전부재(40)는 자동차의 폴딩키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일측에 버튼홈(41a)이 형성된 커버체(41)와, 상기 커버체(41)의 버튼홈(41a)을 통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되고, 외주면에 수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부(42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통체의 푸시버튼(42)과, 상기 커버체(41)의 버튼홈(41a)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42)의 돌출부(42a)가 삽입되거나 이탈되며 상기 푸시버튼(42)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홀더홈(43a)이 구비된 홀더(43)와, 상기 푸시버튼(42)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42)이 눌려진 후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4)와, 상기 연장프레임(50)의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푸시버튼(42)이 관통되는 관통홈(45a)이 형성된 캠부재(45)와, 상기 탄성부재(44)의 일측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캠부재(45)의 관통홈(45a)에 삽입되어 상기 캠부재(45)의 회전을 제한하는 캠삽입돌기(46a)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커버체(41)가 결합되는 몸체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프레임(30)의 일측은 상기 몸체부(46)와 커버체(41)의 후방에서 상기 몸체부(46)와 커버체(41)사이에 형성된 프레임삽입홀(46b)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핀(46c)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터치회전부재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착석 시트(20)를 상기 변기 몸체(12)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올려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연장프레임(50)를 상기 장착프레임(30)방향으로 접어 고정되게 한다. 이때, 상기 푸시버튼(42)의 돌출부(42a)는 홀더(43)의 홀더홈(43a)에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착석 시트(2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푸시버튼(42)을 누르면, 상기 푸시버튼(42)의 돌출부(42a)가 홀더(43)의 홀더홈(43a)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탄성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푸시버튼(42)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푸시버튼(42)에 연결된 상기 캠부재(45)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캠부재(45)에 연결된 상기 연장프레임(50)이 소정의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프레임(50)이 완전히 회전되면, 상기 푸시버튼(42)의 돌출부(42a)는 초기 인입된 상태에서 삽입되었던 홀더(43)의 홀더홈(43a)이 아닌 다른 홀더홈(43a)에 삽입된다.
이후, 상기 연장프레임(50)을 상기 푸시버튼(42)의 작동 없이 강제로 상기 장착프레임(30)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홀더(43)의 홀더홈(43a)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기 푸시버튼(42)의 돌출부(42a)로 인해 상기 연장프레임(50)의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원터치회전부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장프레임(50)을 탄성부재에 의해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거치프레임(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프레임(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신체 및 어린아이의 신체에 맞게 상기 거치프레임(60)을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가정이나 업소에서 배변을 보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게 상기 거치프레임(6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상기 거치프레임(60)은 상기 연장프레임(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프레임(50)은 상기 장착프레임(30)의 일측단에서 지면방향으로 수직되게 연장형성되는 수직연장부(51)와, 상기 변기 몸체(12)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경사연장부(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거치프레임(60)가 상기 경사연장부(52)의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변기 몸체(12)방향에 가까워지고, 상기 거치프레임(60)이 상기 경사연장부(52)의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변기 몸체(12)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어른의 경우 상기 거치프레임(60)이 상기 변기 몸체(12)로부터 먼 위치에 있어야 발을 거치하는데 용이하고, 어린아이의 경우 상기 거치프레임(60)이 상기 변기 몸체(12)에 가깝게 위치하여야 발을 거치하는데 용이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치프레임(60)이 상기 경사연장부(52)를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어른부터 어린 아이까지 본 발명의 쾌변유도형 시트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거치프레임(60)은 상기 경사연장부(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소정의 위치에 머무는 경우, 고정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50)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거치프레임(60)에는 사용자의 발을 올려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발판(61)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상기 연장프레임(50)이 상기 원터치회전부재(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착석시트(20)를 상기 변기 몸체(12)의 상부로 내려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원터치회전부재(4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장프레임(50)을 펼치게 되면 상기 연장프레임(50)이 상기 변기 몸체(12)에 걸림되지 않으면서 원활히 펼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상기 연장프레임(50)이 상기 장착프레임(30)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착석 시트(20)가 들어 올려진 경우, 상기 거치프레임(60)은 상기 착석 시트(20)의 외측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연장프레임(50)을 펼치는 과정에서 상기 변기 몸체(12)에 걸림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장프레임(50)을 펼친 후에는, 상기 거치프레임(60)을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50) 사이로 회전시켜 배변 용무 시 발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치프레임(6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 시트(20)를 상기 변기 몸체(12)의 상단으로 내려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변기 몸체(12)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7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배변 용무를 보기 위해 상기 연장프레임(50)을 회전시켜 상기 거치프레임(60)을 상기 변기 몸체(12)의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거치프레임(60)에 발을 올려 거치시, 상기 거치프레임(60)이 흔들리게 되므로 상기 거치프레임(60)에 상기 지지부재(70)를 설치하여 상기 거치프레임(60)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는 착석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거치프레임에 발을 올려 거치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허벅지가 들어올려져 원활한 배변을 유도하게 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이 상하 이동됨에 따라 다양한 체형의 사람들 각각에 맞는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사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양변기 11: 저수통
12: 변기 몸체 13: 배관형성부
20: 착석시트 21: 볼록안착면
22: 오목안착면 23: 지지구
24: 비산방지부 30: 장착프레임
40: 원터치회전부재 41: 커버체
41a: 버튼홈 42: 푸시버튼
42a: 돌출부 43: 홀더
43a: 홀더홈 44: 탄성부재
45: 캠부재 45a: 관통홈
46: 몸체부 46a: 캠삽입돌기
46b: 프레임삽입홀 46c: 고정핀
50: 연장프레임 51: 수직연장부
52: 경사연장부 60: 거치프레임
61: 발판 70: 지지부재

Claims (6)

  1. 양변기의 변기 몸체 상부에 회전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착석시트;
    상기 변기 몸체의 상단과 마주하는 상기 착석시트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의 일측단에 연결된 상태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변기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연장프레임;
    상기 연장프레임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착석시트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올려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프레임은 상기 장착프레임의 일측단에 원터치회전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연장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프레임은, 상기 장착프레임의 일측단에서 지면방향으로 수직되게 연장형성되는 수직연장부와, 상기 변기 몸체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경사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 단부의 단부가 각각 설치되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에는 상기 변기 시트를 상기 변기 몸체의 상단으로 내려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변기 몸체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KR1020170040985A 2017-03-30 2017-03-30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KR101909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85A KR101909562B1 (ko) 2017-03-30 2017-03-30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85A KR101909562B1 (ko) 2017-03-30 2017-03-30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45A true KR20180110945A (ko) 2018-10-11
KR101909562B1 KR101909562B1 (ko) 2018-10-18

Family

ID=6386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985A KR101909562B1 (ko) 2017-03-30 2017-03-30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7702A (zh) * 2020-02-28 2020-06-05 嵊州市德沓科技有限公司 一种可连续更换一次性坐便器垫的装置
CN114587174A (zh) * 2022-04-26 2022-06-07 范腾野 一种辅助排便型马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143Y1 (ko) * 2004-04-29 2004-07-14 유종석 좌변기
KR200384260Y1 (ko) * 2005-02-24 2005-05-12 김대일 좌변기용 보조장치
KR20060089282A (ko) * 2005-02-03 2006-08-09 윤정길 원터치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KR20150140009A (ko) * 2014-06-05 2015-12-15 최태성 유아용 변기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143Y1 (ko) * 2004-04-29 2004-07-14 유종석 좌변기
KR20060089282A (ko) * 2005-02-03 2006-08-09 윤정길 원터치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KR200384260Y1 (ko) * 2005-02-24 2005-05-12 김대일 좌변기용 보조장치
KR20150140009A (ko) * 2014-06-05 2015-12-15 최태성 유아용 변기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7702A (zh) * 2020-02-28 2020-06-05 嵊州市德沓科技有限公司 一种可连续更换一次性坐便器垫的装置
CN114587174A (zh) * 2022-04-26 2022-06-07 范腾野 一种辅助排便型马桶
CN114587174B (zh) * 2022-04-26 2023-08-15 范腾野 一种辅助排便型马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562B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562B1 (ko)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JP3224558U (ja) 角度調節便器シート
KR20160125037A (ko)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KR20150004731A (ko) 이동식 변기
KR20180007831A (ko)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절첩식 휠체어
KR100848920B1 (ko) 좌변기와 결합된 의자
KR101423912B1 (ko) 배변촉진 변기시트
JP2009297445A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101402516B1 (ko) 쾌변용 발 거치대
KR20150102606A (ko) 상하 위치조절형 좌대
JP6161976B2 (ja) 便座及びその便座を備えたポータブルトイレ
JP2000070179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H0956523A (ja) 浴用椅子
KR101909565B1 (ko) 쾌변유도형 양변기
CN202235134U (zh) 靠背式座便器盖板
KR200450255Y1 (ko) 등받이 겸용 커버가 구비된 양변기
JP4392648B2 (ja) シャワー用車椅子
CN110464242A (zh) 一种坐便器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102518356B1 (ko) 접이식 목욕의자
JP2015012898A (ja) 便座及びその便座を備えたポータブルトイレ
JP4665246B2 (ja) 介護用ベッド
KR200166119Y1 (ko) 전개 및 이동이 가능한 목욕 및 배변용 의자
KR200336169Y1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의 등받이구조
KR200320368Y1 (ko)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