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119Y1 - 전개 및 이동이 가능한 목욕 및 배변용 의자 - Google Patents

전개 및 이동이 가능한 목욕 및 배변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119Y1
KR200166119Y1 KR2019990015080U KR19990015080U KR200166119Y1 KR 200166119 Y1 KR200166119 Y1 KR 200166119Y1 KR 2019990015080 U KR2019990015080 U KR 2019990015080U KR 19990015080 U KR19990015080 U KR 19990015080U KR 200166119 Y1 KR200166119 Y1 KR 200166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ckrest
seating plate
chair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보아
Original Assignee
최보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보아 filed Critical 최보아
Priority to KR2019990015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전개 및 이동이 가능한 목욕 및 배변용 의자는 착석판(10)과, 착석판(10)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20)와, 착석판(10)에 대한 상기 등받이(20)의 선회 운동을 억제/허용하는 등받이 위치 조절 수단(21)과, 착석판(10)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 결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다리 받침판(40)과, 착석판(10)에 대한 상기 다리 받침판(40)의 선회 운동을 억제/허용하는 다리 받침판 위치 조절 수단(41)과, 상기 착석판(10)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 다리(50)로 구성되고, 상기 착석판(10)에는 중앙에 배변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개 및 이동이 가능한 목욕 및 배변용 의자{BATHING/EXCRETING CHAIR CAPABLE OF DEPLOYING AND MOVING}
본 고안은 등받이 위치 조절 가능한 의자에 변기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킨 목욕 및 배변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지체 부자유자나 영유아 또는 환자(이하, 단순히 지체 부자유자라 함)를 목욕시키거나 배변시키려면 보호자 또는 간병인 혼자서는 지체 부자유자의 신체에 대한 취급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기존의 이동식 간이 변기는 배변을 위한 기능만 가지고 있었을 뿐, 지체 부자유자를 목욕시키거나 하기에는 극히 불편하였다.
본 출원인은 이 점에 착안하여, 지체 부자유자가 편안한 자세로 착석한 상태에서 보호자가 목욕시킬 수 있게 하고, 변기의 기능도 함께 갖춤으로써 목욕과 배변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의자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기존의 의자에서 등받이를 위치 조절 가능하고 수평으로도 눕힐 수 있게 절첩식으로 하는 한편, 의자의 전방 측에는 절첩식 다리 받침판을 부착하여 등받이를 눕히고 다리 받침판을 전개시키면 침대처럼 수평이 될 수 있게 하고, 또 착석판에는 배변을 할 수 있는 배변 구멍을 형성하고 그 배변 구멍 하방에는 변기를 착탈할 수 있으며 또 변기를 덮을 수 있는 변기 덮개를 슬라이딩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목욕과 배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해 주는 도움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배변 구멍 덮개 및 변기를 완전히 삽입한 상태로서 도1의 선 2a-2a를 따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2b는 도2a에서 배변 구멍 덮개를 뺀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3은 도1의 선 3-3을 따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자
10 : 착석판
11 : 배변 구멍
20 : 등받이
21, 41 : 힌지축
30 : 머리 받침
40 : 다리 받침판
50 : 지지 다리
60 : 변기
70 : 배변 구멍 덮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목욕 및 배변용 의자는 착석판과, 착석판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와, 착석판에 대한 상기 등받이의 선회 운동을 억제/허용하는 등받이 위치 조절 수단과, 착석판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 결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다리 받침판과, 착석판에 대한 상기 다리 받침판의 선회 운동을 억제/허용하는 다리 받침판 위치 조절 수단과, 상기 착석판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 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착석판에는 중앙에 배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는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착석판의 배변 구멍 하방에는 오목한 형상의 변기가 위치하고, 상기 착석판에는 상기 변기를 장착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의 선회 운동을 억제/허용하는 등받이 위치 조절 수단 및 상기 다리 받침판의 선회 운동을 억제/허용하는 다리 받침판 위치 조절 수단은 힌지축이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착석판에 구비된 상기 변기 장착 수단은 홈이다.
적합하게는, 변기와 배변 구멍 덮개 중 적어도 하나는 착석판 하방에 수납 발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개 및 이동 가능한 목욕 및 배변용 의자(1)가 도시되어 있다. 의자(1)는 기본적으로 착석판(10), 등받이(20), 다리 받침판(40) 및 착석판의 네 귀에 하향 현수 지지된 지지 다리(50)로 구성되어 있다. 착석판(10)의 하부에는 변기(60)와 배변 구멍 덮개(70)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등받이(20)의 상부에는 머리 받침(30)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착석판(10)의 중앙에는 타원형의 배변 구멍(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변 구멍(11)의 하방에는 착석판(10)과 평행으로 소정 거리 격리되어 변을 받을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변기(60)가 수납 발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착석판(10)과 변기(60)의 사이에는 변기를 덮을 수 있도록 배변 구멍 덮개(70)가 역시 수납 발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변기와 배변 구멍 덮개의 수납 발출은 롤러를 이용할 수도 있고 단순히 미끄럼 장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평상시나 목욕시에는 배변 구멍 덮개(70)를 완전히 삽입하여 배변 구멍 덮개(70)가 배변 구멍(11)을 완전히 가린 상태로 사용하고, 배변시에는 배변 구멍 덮개(70)를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의 후방(도2a의 화살표 R 방향)으로 발출한 다음 배변 구멍(11)의 하부에 위치한 변기(60)에 용변을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등받이(20)는 착석판(10)의 일측변에 연하여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 일측변을 따라 형성된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직립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까지 위치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지체 부자유자를 목욕시키고자 할 때에는 힌지축(21)에 의해 등받이(20)를 완전히 뒤로 젖혀서 수평 자세로 함으로써 지체 부자유자를 눕힐 수 있으므로 보호자 혼자서도 지체 부자유자를 목욕시킬 수 있다.
도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20)의 상부에 장착된 머리 받침(30)은 자루부(31)가 등받이(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자루부 수납 슬롯(22)에 삽입 발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슬롯(22)의 전방 내벽 또는 그에 대향하는 머리 받침(30)의 자루부(31) 중 어느 한 쪽 면에는 톱니부 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탄성 돌출 가능한 멈춤 핀(23)에 의해 머리 받침(30)의 높이를 다단계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2a에는 머리 받침(30)의 자루부(31)에만 톱니부(32)를 형성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등받이의 상단에는 머리 받침 수납 리세스를 형성해두어 머리 받침 수납시 머리 받침이 등받이의 상단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등받이(20)의 좌우 양측면에는 양측면에 팔걸이(24)가 부착된다. 이 팔걸이는 목욕을 위해 등받이를 전개시킬 때 젖혀서 등받이(20)의 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등받이의 측면에 팔걸이가 수납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팔걸이의 힌지축에는 스프링을 구비시켜 선회 후에는 스프링식으로 팔걸이 수납 홈에 수납시켜 등받이 측면과 같은 평면 내로 수납시킬 수도 있다. 또, 등받이의 후방 공간에는 목욕시 지체 부자유자를 고정시키는 데 필요한 안전 벨트나 목욕에 필요한 타올, 기타 세면 도구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을 배치할 수도 있다.
다리 받침판(40)은 착석판(10)의 등받이가 연하여 배치되는 일측변과는 대향된 타측변에 연하여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 타측변을 따라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수직 하향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까지 위치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목욕시에 지체 부자유자의 다리를 펴고자 할 때에는 힌지축(41)에 의해 다리 받침판(40)을 수평 자세 까지 소정 각도로 전개시켜 지체 부자유자의 다리를 다리 받침판(40) 위에 올려놓을 수 있다. 다리 받침판(40)은 그 전방 단부에 발뒤꿈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42)가 형성되어 있다.
착석판(10)의 4귀에는 그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4개의 지지 다리(50)가 각각 배치되며, 이 지지 다리의 각각의 접지측 단부에는 방향 전환 및 이동이 자유롭게 하기 위한 360도 회전식 바퀴, 예를 들어, 캐스터(51)를 부착할 수 있다.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석판(10)의 배변 구멍(11)의 하방에는 착석판(10)과 평행으로 소정 거리 격리되어 변을 받을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변기(6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착석판(10)과 변기(60)의 사이에는 변기를 덮을 수 있도록 배변 구멍 덮개(70)가 제공된다.
착석판(10)의 하부와 변기(60) 및 배변 구멍 덮개(70)의 결합 구조는 도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착석판(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중 전후 방향 프레임의 내측면(12)에는 착석판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홈(13) 및 제2 홈(14)들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변기(60)는 내벽부(12)의 제2 홈(14) 내로 미끄럼 이동하기에 적합한 플랜지(62)를 적어도 대향하는 측면에 구비한 오목한 그릇 모양으로 되어 있다. 제1 홈(13) 내로는 배변 구멍 덮개(70)의 양측 모서리 부분이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 홈(14) 내로는 변기(60)의 플랜지(62) 부분이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때 미끄럼 삽입을 돕기 위해 플랜지의 내측면의 홈에 롤러를 삽입해 둘 수도 있다.
변기(60)의 후방 단부에는 변기를 삽입하거나 당기는 데 사용되는 손잡이부(61)가 형성되며, 배변 구멍 덮개(70)의 후방 단부에는 배변 구멍 덮개를 삽입하거나 당기는 데 사용되는 손잡이 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도2a는 평상시의 상태로서, 변기와 배변 구멍 덮개(70)를 모두 삽입하여 배변 구멍(11)을 가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2b는 배변시의 사용 상태로서, 배변 구멍(11) 하부의 배변 구멍 덮개(70)를 의자의 후방(도2a의 화살표 R 방향)으로 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변기(60)를 비우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61)를 후방에서 당겨 변기를 의자에서 빼낼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욕 및 배변용 의자의 재료는 목욕시 물에 젖지 않게 플라스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전개 및 이동이 가능한 목욕 및 배변용 의자에 의하면, 보호자 혼자서도 지체 부자유자를 목욕시키거나 배변시켜야 할 때 지체 부자유자의 신체를 다루기 편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착석판과, 착석판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와, 착석판에 대한 상기 등받이의 선회 운동을 억제/허용하는 등받이 위치 조절 수단과, 착석판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 결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다리 받침판과, 착석판에 대한 상기 다리 받침판의 선회 운동을 억제/허용하는 다리 받침판 위치 조절 수단과, 상기 착석판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 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착석판에는 중앙에 배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 다리의 하단부에는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판의 배변 구멍 하방에는 오목한 형상의 변기가 위치하고, 상기 착석판에는 상기 변기를 장착하는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선회 운동을 억제/허용하는 등받이 위치 조절 수단 및 상기 다리 받침판의 선회 운동을 억제/허용하는 다리 받침판 위치 조절 수단은 힌지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판에 구비된 상기 변기 장착 수단은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2019990015080U 1999-07-27 1999-07-27 전개 및 이동이 가능한 목욕 및 배변용 의자 KR200166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080U KR200166119Y1 (ko) 1999-07-27 1999-07-27 전개 및 이동이 가능한 목욕 및 배변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080U KR200166119Y1 (ko) 1999-07-27 1999-07-27 전개 및 이동이 가능한 목욕 및 배변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119Y1 true KR200166119Y1 (ko) 2000-02-15

Family

ID=1958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080U KR200166119Y1 (ko) 1999-07-27 1999-07-27 전개 및 이동이 가능한 목욕 및 배변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1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004Y1 (ko) 2013-10-02 2015-08-27 미키코리아(주) 목욕의자
KR102147041B1 (ko) * 2019-10-15 2020-08-21 최옥창 목욕겸용 안전 휠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004Y1 (ko) 2013-10-02 2015-08-27 미키코리아(주) 목욕의자
KR102147041B1 (ko) * 2019-10-15 2020-08-21 최옥창 목욕겸용 안전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7619A (en) Multi-purpose chair for the partially disabled
EP0278974A1 (en) Combination wheelchair and walker apparatus
US3905051A (en) Toilet seat chair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KR20160125037A (ko)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JP6198488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101098725B1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KR102038996B1 (ko) 목욕용 의자
KR200495017Y1 (ko)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KR200166119Y1 (ko) 전개 및 이동이 가능한 목욕 및 배변용 의자
KR102147041B1 (ko) 목욕겸용 안전 휠체어
US5727843A (en) Comfort combination chair
JP6161976B2 (ja) 便座及びその便座を備えたポータブルトイレ
JP6198487B2 (ja) 便座及びその便座を備えた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399753Y1 (ko) 휴대용 좌변기
KR101402516B1 (ko) 쾌변용 발 거치대
JP2005013674A (ja) 療養ベッド
KR200399680Y1 (ko) 체중 고정구조를 갖는 반신욕 의자
US6067671A (en) Shower stall seat for disabled and elderly persons
JP2004313512A (ja) 簡易便器
JP2003175084A (ja) 介護用ベッド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200342262Y1 (ko) 변기 겸용 접이식 세발의자
CN219557090U (zh) 一种折叠洗澡椅
JP4296910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