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260Y1 - 좌변기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260Y1
KR200384260Y1 KR20-2005-0004906U KR20050004906U KR200384260Y1 KR 200384260 Y1 KR200384260 Y1 KR 200384260Y1 KR 20050004906 U KR20050004906 U KR 20050004906U KR 200384260 Y1 KR200384260 Y1 KR 200384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toilet
height
fixing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일
Original Assignee
김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일 filed Critical 김대일
Priority to KR20-2005-0004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2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좌변기의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에 위치되는 바닥 면에 배치되며 일정한 넓이를 갖고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2 받침부; 상기 제1, 2 받침부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제1 고정 홈이 배열된 수직 바; 상기 수직 바에 결합되며 상측에 발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2 발판부; 상기 제1, 2 발판부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 바에 끼워지되 높이 방향으로 절결 홈이 형성된 높이 조절부; 상기 높이 조절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 바에 형성된 상기 고정 홈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2 고정홈 및 상기 제 1, 2 고정 홈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구비된다.
따라서, 변기를 사용할 때 발의 높이를 조절하여 편안하게 용변을 해결하게 되는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변기용 보조장치{Device of Supporting Toilet}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욕실에서 대변이나 소변을 해결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좌변기는 이미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다수 제안되고 있다.
도 1에는 상기했던 바와 같이 다양하게 제안된 좌변기 중 일 예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는 상측으로 개구부(12)가 형성되고 내측에 배수구가 형성된 본체(11)의 앞쪽 윗부분에 설치된 발판(60), 상기 본체(11)의 후방에 형성되며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는 수조부(20)와 상기 본체(11)의 상측 후면에 형성되어 힌지(15) 결합된 개구부 모양의 좌석부(13) 및 상기 좌석부(13)의 상측에 덮개부(14)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좌변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좌석부(13)에 앉아 대변을 해결하거나 상기 좌석부(13)안 앉아서 상기 발판(60)에 양 발바닥을 올려놓고 대변을 보는데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좌변기(10)는 발판이 본체(11)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발판(6)에 발을 올려놓더라도 키가 큰 성인이나 아랫배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변비환자가 사용하기에는 높낮이가 맞지 않아 대변을 해결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발판(60)이 필요 없는 성인이 사용하기에는 발판이 본체에 고정되어 있어서 오히려 좌변기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발생되고 키가 작은 어린이가 사용하기에는 높이가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좌변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키가 작은 어린이나 변비환자 및 성인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발판이 형성된 좌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발판을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좌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좌변기의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에 위치되는 바닥 면에 배치되며 일정한 넓이를 갖고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2 받침부; 상기 제1, 2 받침부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제1 고정 홈이 배열된 수직 바; 상기 수직 바에 결합되며 상측에 발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2 발판부; 상기 제1, 2 발판부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 바에 끼워지되 높이 방향으로 절결 홈이 형성된 높이 조절부; 상기 높이 조절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 바에 형성된 상기 고정 홈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2 고정홈 및 상기 제 1, 2 고정 홈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좌변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받침부의 결합 수직 바 상측 안착 홈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2 발판부는 하측에 회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힌지축에 의해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2 받침부의 수직바 외측에는 상기 좌변기의 본체를 매개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와 밸트로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부분,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이 적용된 좌변기의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좌석부의 본체(10)의 양측에 위치되는 바닥 면에 배치되며 일정한 넓이를 갖고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2 받침부(3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2 받침부(30)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제1 고정 홈이 배열된 수직 바(3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직 바(31)에 결합되며 상측에 발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2 발판부(6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발판부(60)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2 발판부(60)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 바(31)에 끼워지되 높이 방향으로 절결 홈(54)이 형성된 높낮이 조절부(5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부(50)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 바(31)에 형성된 상기 고정 홈(32)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2 고정홈(51) 및 상기 제 1, 2 고정 홈(32,5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2 받침부(30)의 수직바(31) 외측에는 상기 좌변기(10)의 본체(11)를 매개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60)와 밸트(61)로 구비된 결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이 적용된 좌변기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수직바(31)의 상측에는 상기 발판부(60)가 형성된 상기 높낮이 조절부(50)을 상측으로 올릴 수 있도록 안착 홈에 안착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2 발판부(60)는 하측에 회전부재(62)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62)는 끝단부가 사각형인 힌지축(65)에 의해 상기 높낮이 조절부(5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62)의 일단은 원통 홈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끝단부가 사각형인 상기 힌지축(65)이 끼워지도록 사각의 홈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2 받침부(30)의 수직바(31) 외측에는 상기 좌변기(10)의 본체를 매개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60)와 밸트(61)가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4b는 본 고안이 사용되기 전과 후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30)에 형성된 상기 수직바(31)의 상기 제1 고정홈(32)에는 상기 높낮이 조절부(50)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2)로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발판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발판부(60)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회전부재(62)와 상기 회전부재(62)에 끼워진 상기 힌지 축(65)에 의해 접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고정 부재(52)를 뽑은 후 상기 높낮이 조절부(50)을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바(31) 상측에 형성된 안착 홈에 안착된 상기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높낮이 조절부(50)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1, 2 고정 홈(32,51)을 대응되게 맞추고 상기 고정부재(52)를 제1, 2 고정 홈(32, 51)에 관통되게 끼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높낮이를 조절한 후 사용자가 상기 좌석부(13)에 앉아서도 상기 발판부(60)에 발을 올려놓으면 사용자가 쪼구리고 앉아서 용변을 보게 되는 거와 같은 효과가 발생하여 자연스럽게 아랫배에 힘이 들어가게 되고 편안하게 대변을 해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판(6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발판부(60)하측에 형성된 상기 회전부재(62)에 끼워진 끝단이 사각형인 상기 힌지축(65)을 이용하여 접히도록 하여 욕실의 공간 확보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필요 없을 시에는 상기 고정부재(60)와 상기 밸트(61)를 상기 본체(11)로부터 분리하여 따로 보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에 의하면, 성인이나 변비환자 및 키가 작은 어린이등 다양한 신체구조를 가진 사용자가 발판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좌변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탈 부착이 가능하여 본 고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좌변기와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어서, 욕실의 공간 확보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좌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좌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4b 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판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좌변기 11;본체
12;개구부 13;좌석부
14;덮개부 15,65;힌지
20;수조부 30;받침부
31;수직 바 32, 51;고정 홈
33;안착 홈 40;탄성 부재
50;높낮이 조절부 52;고정 부재
53, 63;회전 홈 60;발판부
61;돌기부 62;회전부재
62;고정 홈

Claims (4)

  1. 좌변기의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에 위치되는 바닥 면에 배치되며 일정한 넓이를 갖고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2 받침부;
    상기 제1, 2 받침부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제1 고정 홈이 배열된 수직 바;
    상기 수직 바에 결합되며 상측에 발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2 발판부;
    상기 제1, 2 발판부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 바에 끼워지되 높이 방향으로 절결 홈이 형성된 높이 조절부;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 바에 형성된 상기 고정 홈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2 고정홈 및 상기 제 1, 2 고정 홈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결합 수직 바 상측 안착 홈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 하는 좌변기의 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발판부는 하측에 회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힌지축에 의해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포함 하는 좌변기의 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받침부의 수직바 외측에는 상기 좌변기의 본체를 매개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와 밸트로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보조 장치.
KR20-2005-0004906U 2005-02-24 2005-02-24 좌변기용 보조장치 KR200384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906U KR200384260Y1 (ko) 2005-02-24 2005-02-24 좌변기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906U KR200384260Y1 (ko) 2005-02-24 2005-02-24 좌변기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260Y1 true KR200384260Y1 (ko) 2005-05-12

Family

ID=4368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906U KR200384260Y1 (ko) 2005-02-24 2005-02-24 좌변기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2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014A1 (ko) * 2008-11-03 2010-06-03 Jun Joo-Hong 배변기능을 회복시켜 변비를 완화하는 자세교정용 좌변기
KR20180110945A (ko) * 2017-03-30 2018-10-11 이경노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014A1 (ko) * 2008-11-03 2010-06-03 Jun Joo-Hong 배변기능을 회복시켜 변비를 완화하는 자세교정용 좌변기
KR20180110945A (ko) * 2017-03-30 2018-10-11 이경노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KR101909562B1 (ko) * 2017-03-30 2018-10-18 이경노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4260Y1 (ko) 좌변기용 보조장치
KR200495017Y1 (ko)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KR200414378Y1 (ko) 좌변기의 덮개
CA2707839A1 (en) Toilet for the disabled
JP4289957B2 (ja) シャワー用折畳み椅子
KR200434792Y1 (ko) 양변기용 발 받침대
KR200355599Y1 (ko) 좌변기용 발판
JP2023007816A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JP3973653B2 (ja) 椅子型簡易便器
JP2000070179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419385Y1 (ko) 장애인용 휠체어
US5860169A (en) Stay-dry toilet seat with adjustable hinged support pads
KR20200012425A (ko) 좌변기 시트
KR100496701B1 (ko) 오염 방지 및 등받이 기능을 갖는 양변기 커버
KR200232513Y1 (ko)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
KR20210048883A (ko) 유아용 샴푸 의자
JP3199368B2 (ja) 椅子型簡易便器
KR200362686Y1 (ko) 좌변기용 의자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200320368Y1 (ko) 좌변기
KR102597868B1 (ko) 안전 시트
KR200420409Y1 (ko) 좌변기용 팔 받침대
JP2000232995A (ja) 介助用システムチェア
CN217772181U (zh) 一种坐便椅
JP2002166761A (ja) 車載子供用シートの足置き機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