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868B1 - 안전 시트 - Google Patents

안전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868B1
KR102597868B1 KR1020220013965A KR20220013965A KR102597868B1 KR 102597868 B1 KR102597868 B1 KR 102597868B1 KR 1020220013965 A KR1020220013965 A KR 1020220013965A KR 20220013965 A KR20220013965 A KR 20220013965A KR 102597868 B1 KR102597868 B1 KR 102597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upport
pair
ho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7797A (ko
Inventor
송순영
Original Assignee
(주)조은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은케어 filed Critical (주)조은케어
Priority to KR1020220013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868B1/ko
Publication of KR20230117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6Armrests mounted on or around the toi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환자 또는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 베이스의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대가 사용자의 착석 및 거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안전 시트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변기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시트 베이스; 상기 시트 베이스의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각 지지대와 상기 시트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지지대를 상기 시트 베이스의 외측 방향, 하측 방향 및 후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시트{safety seat}
본 발명은 변기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환자 또는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 베이스의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대가 사용자의 착석 및 거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 또는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적당한 높이를 갖는 본체가 바닥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에 좌대가 설치되며, 이 좌대의 후단은 힌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상부로 절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좌대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덮개가 구비되어 용변구를 덮을 수 있도록 하였고, 본체의 후단에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양변기 또는 좌변기는 앉아서 용변을 보기에는 좋으나, 다양한 환자들, 하체에 힘이 없는 노약자들, 장애인들 경우에는 용변을 본 후 앉은 상태에서 일어서기까지의 행동에서 매우 힘겨움을 느끼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양변기 또는 좌변기 주위에 보조 횡간을 설치하여 이 횡간을 손으로 잡고 좌대에 앉거나 일어설 수 있도록 하였으나 하체에 힘이 없는 환자, 노약자, 장애인들은 대부분 팔에도 힘이 없어 횡간에 의지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9491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가동 좌대에 결합되는 안전바를 구비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의 가동 좌대에 결합된 안전바는 환자 또는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가동 좌대에 착석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착석 또는 기립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거동을 보조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가동 좌대에 결합된 안전바는 거동이 매우 불편하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지 착석이 가능한 사용자에게는 착석 및 기립하는 과정에서 장애 또는 걸림돌로 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 들거나 안아서 좌대에 착석해야할 정도의 사용자에게는 상기 안전바가 이동 또는 거동에 장애가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9491호(공고일자 : 2021년 06월 01일, 발명의 명칭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시트 베이스의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대가 사용자의 착석 및 거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안전 시트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변기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시트 베이스; 상기 시트 베이스의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각 지지대와 상기 시트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지지대를 상기 시트 베이스의 외측 방향, 하측 방향 및 후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상태 변경 수단은, 상기 시트 베이스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 블록과, 상기 지지대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시트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 블록에 힌지 체결되는 힌지 체결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을 구성하는 각 장착 블록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등받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대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겨드랑이 지지 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 블록은, 상기 시트 베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장착되는 장착 베이스, 상기 장착 베이스 상부에 형성되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 방향이 개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로 구성되는 힌지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수용 공간에서 내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스토핑 홀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는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힌지 홀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 체결 블록은, 상기 지지부의 수용 공간에 지지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지지대의 연결봉이 체결되는 연결봉 체결부가 형성되는 체결 바디, 상기 체결 바디의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 상기 체결 바디 내부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삽입 배치되되, 일측단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레버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로킹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스토핑 홀에 삽입 배치되는 스토핑 샤프트, 상기 장착홀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장착홀에 형성된 홀 단턱부와 상기 스토핑 샤프트에 형성되는 샤프트 단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핑 샤프트를 상기 지지부의 스토핑 홀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작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레버는 상기 체결 바디에 힌지 핀을 통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는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힌지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힌지 홀은 힌지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1 힌지 홀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로킹 상태에서 상기 레버를 가압하면 상기 스토핑 샤프트의 일측단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토핑 샤프트의 타측단이 상기 스토핑 홀에서 빠져나오면서 언로킹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안전 시트에 의하면, 시트 베이스의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지지대가 사용자의 착석 및 거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가 변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를 구성하는 상태 변경 수단의 로킹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를 구성하는 상태 변경 수단의 언로킹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에 적용되는 겨드랑이 지지블록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안전 시트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동작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1)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변기(1)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 또는 결합되어 환자 또는 노약자 등이 변기 또는 휠체어에 착석하는 과정 또는 착석한 후에 자세를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지지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시트 베이스(10), 시트 베이스(10)의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30) 및 상기 시트 베이스(10)와 상기 각 지지대(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대(30)를 다양한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 베이스(10)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시트 베이스(10)는 사용자의 엉덩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가 변기(1)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시트 베이스(10)는 변기구에 대응하여 배출 홀(1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 베이스(10)에는 상기 지지대(30)를 구성하는 연결봉(31)이 삽입될 수 있는 연결봉 삽입부(11)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지지대(30)는 전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봉(31)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봉(31)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봉(31)은 상기 연결봉 삽입부(11)에 간단하게 삽입되고 간단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 삽입부(11) 역시 상기 각 지지대(30)의 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봉(31)에 대응하여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양측부에 형성되되, 각 측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시트 베이스(10)에는 변기(1)에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 홀(15)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변기(1)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변기(1)의 변기구에 장착되어 엉덩이에 접촉되는 변기 커버를 제거하고 상기 시트 베이스(10)를 상기 변기구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후측 상부에는 한 쌍의 체결 홀(15)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양측 상부에는 사용자의 자세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대(30)가 배치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는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도 있고 팔을 걸칠 수도 있으며 겨드랑이를 거치할 수도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지지대(30)는 한 쌍의 연결봉(31)과, 상기 한 쌍의 연결봉(31)의 상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팔걸이(33) 및 상기 팔걸이(33)의 전방에서 사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봉(31)은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측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연결 배치되는 전방 연결봉과 후방 연결봉으로 구성되고, 하나는 상기 연결봉 삽입부(11)에 삽입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상태 변경 수단(40)을 구성하는 힌지 체결 블록(70)에 결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각 지지대(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결봉(31) 중 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봉(31)은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측부 전방에 형성되는 연결봉 삽입부(11)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고, 상기 후방에 배치되는 연결봉(31)은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측부 후방에 장착되는 상태 변경 수단(40)을 구성하는 힌지 체결 블록(70)에 체결된다.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봉(31)은 상기 연결봉 삽입부(11)에 바로 삽입 배치될 수도 있지만, 연결캡(32)을 개재하여 상기 연결봉 삽입부(11)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캡(32)이 하부에 결합된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봉(31)은 상기 연결봉 삽입부(11)에 삽입되면 삽입된 상태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측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연결봉 삽입부(11)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는 상기 시트 베이스(10)에 착석한 사용자의 자세를 고정할 수 있고 지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잡거나 지지하여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시트 베이스(1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애로 작용할 수도 있다. 특히 스스로 거동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상기 시트 베이스(10)에 착석할 수 있을 정도의 중증 환자는 다른 사람이 부축하거나 안아서 상기 시트 베이스(10)에 착석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중증 환자의 이동에 장애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상기 지지대(30)의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40)을 채택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40)은 상기 각 지지대(30)와 상기 시트 베이스(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지지대(30)를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외측 방향, 하측 방향 및 후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40)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각 지지대(30)의 위치 또는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시트 베이스(10)로 진입하여 착석하거나 또는 상기 시트 베이스(10)로부터 이탈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 지지대(30)가 장애로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40)은 각 대응하는 지지대(30)를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외측 방향, 하측 방향 및 후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외측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베이스(10)로부터 멀어지는 측방향에 해당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태 변경 수단(40)은 상기 지지대(30)가 회동되어 외측으로 접어질 수 있도록 동작한다.
또한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하측 방향은 상기 시트 베이스(10)가 하부 방향에 해당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상태 변경 수단(40)은 상기 지지대(30)가 하측 방향으로 승강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동작한다.
또한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후측 방향은 사용자가 진입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후방에 해당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상태 변경 수단(40)은 상기 지지대(30)가 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또는 접어지도록 동작한다.
상기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40)은 대응하는 지지대(30)를 상기 세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40)이 대응하는 지지대(30)를 외측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채택 적용되는 상기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40), 즉 상기 각 상태 변경 수단(40)은,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 블록(50)과, 상기 지지대(3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 블록(50)에 힌지 체결되는 힌지 체결 블록(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상태 변경 수단(40)을 구성하는 각 장착 블록(50)은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상부, 구체적으로 측부 후방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은 상기 장착 블록(50)에 힌지 체결되되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되고 그 상부에 상기 지지대(30), 구체적으로 각 지지대(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결봉(31) 중 후방에 배치되는 연결봉(31)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이 상기 장착 블록(50)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에 체결되는 상기 연결봉(31)을 포함하는 상기 지지대(30)는 외측 방향으로 접혀져서 위치 또는 배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이 회동하면서 상기 후방에 배치되는 연결봉(31)이 외측으로 접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봉(31) 역시 상기 연결봉 삽입부(11)로부터 빠져서 이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대(30)는 외측 방향으로 접혀져서 위치 또는 배치 상태가 변경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상기 지지대(30)의 장애를 받지 않고 상기 시트 베이스(10)로 용이하게 접근하여 착석할 수 있다.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지지대(30)의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상태 변경 수단(40)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부가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40)을 구성하는 각 장착 블록(50)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등받이(8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받이(85)는 디귿자 형상을 가지되, 양단이 각각 대응하는 상기 장착 블록(50)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각 장착 블록(50)이 상기 시트 베이스(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되 결합되면 안정적인 상태로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등받이(85) 역시 대응하는 장착 블록(50)에 체결되면 안정적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시트 베이스(10)에 착석하면 상기 등받이(85)에 등을 기대어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받이(85)에는 쿠션(86)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을 쿠션감이 있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시트 베이스(10)에 착석한 후 상기 지지대(30)에 팔을 걸어서 지탱할 수 있지만, 몸을 가누지 못하는 중증 환자의 경우에는 겨드랑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겨드랑이 지지 블록(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겨드랑이 지지 블록(90)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 구체적으로 각 지지대(30)의 팔걸이(33)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시트 베이스(10)에 착석한 사용자의 양 겨드랑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 블록(90)에 의하여 양측 겨드랑이기 지지되기 때문에 상체가 더 꽂꽂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안정적이고 안전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겨드랑이 지지 블록(90)은 대응하는 지지대(30)의 팔걸이(33)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겨드랑이 지지 블록(9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의 팔걸이(33)에 지지되도록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서포트(93)와, 상기 서포트(93)의 상부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쿠션감이 있도록 접촉 지지하는 완충부(91) 및 상기 서포트(93)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대(30)의 팔걸이(33)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클립 체결부(9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 체결부(95)는 상호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제1 클립 체결부(95)는 상기 서포트(93)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 클립 체결부(95)는 상기 서포트(93)에 분리된 상태에서 체결 나사를 통해 상기 제1 서포트(93)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클립 체결부(95)는 상호 체결되면 상기 팔걸이(3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변기(1)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상기 변기(1)에 장착된 안전 시트(100)에 착석하여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소변 또는 대변 등의 오물 또는 오물을 내려보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이 측방향으로 튀거나 누설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변기 주변이 더러워질 수 있고 변기 주변에 사용자 보조 장치(기립 보조 장치 등)가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 보조 장치에 물이 튀어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양측 하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단막(17)을 구비한다. 상기 각 차단막(17)은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양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변기로부터 튀어 나오는 오물 또는 물은 변기 주변 또는 사용자 보조 장치 등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차단막(17)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100)에 적용되는 상기 상태 변경 수단(40)을 구성하는 장착 블록(50)과 힌지 체결 블록(7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장착 블록(50)은 상기 시트 베이스(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장착되는 장착 베이스(51), 상기 장착 베이스(51) 상부에 형성되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 방향이 개방된 지지부(54)와 상기 지지부(54)의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56)로 구성되는 힌지 브래킷(5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지지부)54_는 수용 공간에서 내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스토핑 홀(55)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56)는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힌지 홀(57)을 구비한다.
즉, 상기 장착 블록(50)은 장착 베이스(51)와 힌지 브래킷(5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 브래킷(53)은 상기 지지부(54)와 상기 제1 힌지 체결부(56)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장착 블록(50)은 상기 장착 베이스(51)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힌지 브래킷(53)에서 내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등받이 체결부(5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내측 방향은 상기 시트 베이스(10)에 형성될 수 있는 배출 홀(13)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되고, 외측 방향은 상기 내측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상기 지지대(30)가 회동되어 눕혀지는 방향에 해당된다.
상기 장착 베이스(51)는 상기 시트 베이스(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장착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 및 교체 등의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장착 베이스(51)는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측부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되면 안정적이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장착 베이스(51)의 상부에는 상기 힌지 브래킷(53)과 상기 등받이 체결부(59)가 인접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힌지 브래킷(53)은 외측 방향에 배치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 체결부(59)는 내측 방향으로 배치 형성된다.
상기 장착 블록(50)은 상기 시트 베이스(10)의 양측부 각각 후방에 결합 장착되고, 상기 각 장착 블록(50)은 각각 상기 등받이 체결부(59)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디귿자 형상의 등받이(85)는 양단이 대응하는 등받이 체결부(59)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체결부(59)는 상기 등받이(85)의 끝단이 삽입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브래킷(53)은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이 힌지 결합되어 외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이 수직한 상태에서 지지되면서 로킹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힌지 브래킷(53)은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을 수직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54)와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을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제1 힌지 체결부(56)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54)는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을 수직 방향으로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고 외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54)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고 내측 방향으로 폐쇄된 구조를 가진다. 이를 통해,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은 상기 지지부(54)의 외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지지될 수 있고, 내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4)는 대략 수직한 튜브의 외측 방향이 삭감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지지부(54)는 내측 방향으로 스토핑 홀(5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54)는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이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되는 둘레면에 형성되는 스토핑 홀(55)을 구비한다. 상기 스토핑 홀(55)은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이 상기 지지부(54)에 수직 방향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로킹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스토핑 샤프트(75)의 타측단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54)의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56)는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76)와 접촉 체결되어 힌지 결합된다. 상기 각 제1 힌지 체결부(56)에는 제1 힌지 홀(57)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제2 힌지 체결부(76) 역시 상기 제1 힌지 홀(57)에 대응하여 제2 힌지 홀(77) 형성되어 힌지 샤프트(78)에 의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56)는 상기 한쌍의 제2 힌지 체결부(76)를 수용하여 접촉한 상태로 힌지 결합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54)는 수용 공간에서 내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스토핑 홀(55)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56)는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힌지 홀(57)을 구비한다. 상기 스토핑 홀(55)은 후술하는 스토핑 샤프트(75)의 타측단이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상태 변경 수단(40),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이 로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힌지 브래킷(53)에는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로킹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에 체결되는 상기 지지대(30) 역시 회동 가능하고, 로킹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은 상기 지지부(54)의 수용 공간에 지지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지지대(30)의 연결봉(31)이 체결되는 연결봉 체결부(72)가 형성되는 체결 바디(71), 상기 체결 바디(71)의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76), 상기 체결 바디(71) 내부에 형성되는 장착홀(73)에 삽입 배치되되, 일측단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레버(79)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로킹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54)의 스토핑 홀(55)에 삽입 배치되는 스토핑 샤프트(75), 상기 장착홀(73)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장착홀(73)에 형성된 홀 단턱부(82)와 상기 스토핑 샤프트(75)에 형성되는 샤프트 단턱부(8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핑 샤프트(75)를 상기 지지부(54)의 스토핑 홀(55)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작동시키는 스프링(7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레버(79)는 상기 체결 바디(71)에 힌지 핀(80)을 통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76)는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힌지 홀(77)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힌지 홀(77)은 힌지 샤프트(78)를 통해 상기 제2 힌지 홀(77)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로킹 상태에서 상기 레버(79)를 가압하면 상기 스토핑 샤프트(75)의 일측단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토핑 샤프트(75)의 타측단이 상기 스토핑 홀(55)에서 빠져나오면서 언로킹 상태로 변경된다.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을 구성하는 상기 체결 바디(71)는 상기 지지부(54)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체결 바디(71)는 상기 지지부(54)의 둘레면에 접촉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내측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체결 바디(71)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대(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결봉(31) 중 후방에 배치되는 연결봉(31)이 삽입 체결되는 연결봉 체결부(72)가 형성된다. 상기 후방에 배치되는 연결봉(31)이 상기 연결봉 체결부(72)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봉(31)이 상기 연결봉 삽입부(11)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대(30)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바디(71)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56)와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76)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76)는 상기 체결 바디(71)의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즉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56)의 돌출 방향으로 역시 돌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76)는 힌지 샤프트(78)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56)와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은 상기 장착 블록(50)으로부터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바디(71) 내부에는 상기 스토핑 샤프트(75)가 삽입 배치될 수 있는 장착홀(73)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73)에 삽입 배치되는 스토핑 샤프트(75)는 일측단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79)에 체결되고, 타측단은 로킹 상태에서, 즉 상기 레버(79)에 외력을 가하지 않고 상기 체결 바디(71)가 상기 지지부(54)에 수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홀(73)로부터 돌출되어 장착홀(73)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스토핑 홀(55)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스토핑 샤프트(75)의 타측단이 상기 스토핑 홀(55)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상태 변경 수단이 로킹 상태에 있는 경우, 즉 상기 체결 바디(71)가 상기 지지부(54)에 수직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토핑 샤프트(75)는 상기 레버(79)에 외력이 가하지 않는 한 상기 스토핑 홀(55) 방향으로 힘이 작용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착홀(73)에는 상기 스토핑 샤프트(75)를 내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작용하는 스프링(74)이 수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74)는 상기 장착홀(73)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장착홀(73)에 형성된 홀 단턱부(82)와 상기 스토핑 샤프트(75)에 형성되는 샤프트 단턱부(8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핑 샤프트(75)를 상기 지지부(54)의 스토핑 홀(55)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작동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 단턱부(82)는 상기 장착홀(73)의 내경이 변경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74)의 일측단을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 단턱부(83)는 상기 스토핑 샤프트(75)의 직경이 변경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74)의 타측단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되, 압축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핑 샤프트(75)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스토핑 홀(55)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타측단이 상기 스토핑 홀(55)에 삽입 배치되어 로킹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로킹 상태에서 언로킹 상태, 즉 상기 스토핑 샤프트(75)의 타측단이 상기 스토핑 홀(55)에서 빠져나와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이 상기 지지부(54)로부터 벗어나서 회동될 수 있는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79)를 푸시하는 외력을 사용자가 가하면 된다.
상기 레버(79)는 상기 체결 바디(71)에 힌지 핀(80)을 통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79)를 푸시하면 상기 레버에 일측단이 스냅 링(81) 등에 의해 연결된 상기 스토핑 샤프트(75)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언로킹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에 결합된 상기 지지대(30) 역시 회동되어 눕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76)는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힌지 홀(77)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힌지 홀(77)은 힌지 샤프트(78)를 통해 상기 제1 힌지 홀(57)과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76)은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56)와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이 상기 장착 블록(50)으로부터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 상태에서 상기 레버(79)를 가압하면 상기 스토핑 샤프트(75)의 일측단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토핑 샤프트(75)의 타측단이 상기 스토핑 홀(55)에서 빠져나오면서 언로킹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 체결 블록(70)이 외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대(30)가 회동되어 눕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안전 시트에 의하면, 시트 베이스의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지지대가 사용자의 착석 및 거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변기 10 : 시트 베이스
11 : 연결봉 삽입부 13 : 배출 홀
15 : 체결 홀 17 : 차단막
30 : 지지대 31 : 연결봉
32 : 연결캡 33 : 팔걸이
35 : 손잡이 40 : 상태 조정 수단
50 : 장착 블록 51 : 장착 베이스
53 : 힌지 브래킷 54 : 지지부
55 : 스토핑 홀 56 : 제1 힌지 체결부
57 : 제1 힌지 홀 59 : 등받이 체결부
70 : 힌지 체결 블록 71 : 체결 바디
72 : 연결봉 체결부 73 : 장착홀
74 : 스프링 75 : 스토핑 샤프트
76 : 제2 힌지 체결부 77 : 제2 힌지 홀
78 : 힌지 샤프트 79 : 레버
80 : 힌지 핀 81 : 스냅 링
82 : 홀 단턱부 83 : 샤프트 단턱부
85 : 등받이 86 : 쿠션
90 : 겨드랑이 지지 블록 91 : 완충부
93 : 서포트 95 : 클립 체결부
97 : 체결 나사
100 : 안전 시트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변기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시트 베이스; 상기 시트 베이스의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각 지지대와 상기 시트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지지대를 상기 시트 베이스의 외측 방향, 하측 방향 및 후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상태 변경 수단은, 상기 시트 베이스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 블록과, 상기 지지대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시트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 블록에 힌지 체결되는 힌지 체결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 블록은, 상기 시트 베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장착되는 장착 베이스, 상기 장착 베이스 상부에 형성되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 방향이 개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로 구성되는 힌지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수용 공간에서 내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스토핑 홀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는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힌지 홀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 체결 블록은, 상기 지지부의 수용 공간에 지지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지지대의 연결봉이 체결되는 연결봉 체결부가 형성되는 체결 바디, 상기 체결 바디의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 상기 체결 바디 내부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삽입 배치되되, 일측단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레버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로킹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스토핑 홀에 삽입 배치되는 스토핑 샤프트, 상기 장착홀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장착홀에 형성된 홀 단턱부와 상기 스토핑 샤프트에 형성되는 샤프트 단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핑 샤프트를 상기 지지부의 스토핑 홀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작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레버는 상기 체결 바디에 힌지 핀을 통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는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힌지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힌지 홀은 힌지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1 힌지 홀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로킹 상태에서 상기 레버를 가압하면 상기 스토핑 샤프트의 일측단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토핑 샤프트의 타측단이 상기 스토핑 홀에서 빠져나오면서 언로킹 상태로 변경되며,
    상기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을 구성하는 각 장착 블록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등받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4. 변기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시트 베이스; 상기 시트 베이스의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각 지지대와 상기 시트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지지대를 상기 시트 베이스의 외측 방향, 하측 방향 및 후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상태 변경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상태 변경 수단은, 상기 시트 베이스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 블록과, 상기 지지대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시트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 블록에 힌지 체결되는 힌지 체결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 블록은, 상기 시트 베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장착되는 장착 베이스, 상기 장착 베이스 상부에 형성되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 방향이 개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로 구성되는 힌지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수용 공간에서 내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스토핑 홀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체결부는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힌지 홀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 체결 블록은, 상기 지지부의 수용 공간에 지지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지지대의 연결봉이 체결되는 연결봉 체결부가 형성되는 체결 바디, 상기 체결 바디의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 상기 체결 바디 내부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삽입 배치되되, 일측단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레버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로킹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스토핑 홀에 삽입 배치되는 스토핑 샤프트, 상기 장착홀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장착홀에 형성된 홀 단턱부와 상기 스토핑 샤프트에 형성되는 샤프트 단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핑 샤프트를 상기 지지부의 스토핑 홀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작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레버는 상기 체결 바디에 힌지 핀을 통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체결부는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힌지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힌지 홀은 힌지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1 힌지 홀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로킹 상태에서 상기 레버를 가압하면 상기 스토핑 샤프트의 일측단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토핑 샤프트의 타측단이 상기 스토핑 홀에서 빠져나오면서 언로킹 상태로 변경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대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겨드랑이 지지 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5. 삭제
KR1020220013965A 2022-02-03 2022-02-03 안전 시트 KR102597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965A KR102597868B1 (ko) 2022-02-03 2022-02-03 안전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965A KR102597868B1 (ko) 2022-02-03 2022-02-03 안전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797A KR20230117797A (ko) 2023-08-10
KR102597868B1 true KR102597868B1 (ko) 2023-11-03

Family

ID=8756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965A KR102597868B1 (ko) 2022-02-03 2022-02-03 안전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86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199U (ko) * 2010-06-30 2012-01-05 이재룡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KR200478004Y1 (ko) * 2013-10-02 2015-08-27 미키코리아(주) 목욕의자
KR20160015424A (ko) *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KR102259491B1 (ko) 2020-02-19 2021-06-01 송순영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797A (ko)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4750B2 (en) Commode and shower wheelchair
JP4339829B2 (ja) 浴室用折り畳み椅子
US6623022B2 (en) Folding commode and shower wheelchair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US6176508B1 (en) Advanced commode-shower wheelchair
KR20210042244A (ko) 다기능 휠체어
KR102038996B1 (ko) 목욕용 의자
KR200495017Y1 (ko)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KR102597868B1 (ko) 안전 시트
KR102597869B1 (ko) 안전 시트를 구비한 양변기 장치
JP3431283B2 (ja) トイレシステム
JP4224047B2 (ja) 椅子型簡易便器
JP5057772B2 (ja) 椅子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20090048769A (ko)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
KR102207606B1 (ko) 안전바를 구비한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JP2002209798A (ja) 手摺装置
JP2000232995A (ja) 介助用システムチェア
KR102518356B1 (ko) 접이식 목욕의자
JPH0731758Y2 (ja) 折畳み式シャワーチェア
JP2006110189A (ja) 椅子型簡易便器
KR101434715B1 (ko) 환자용 목욕 보조구
KR20230086002A (ko) 환자용 리프트
JPH02111367A (ja) 便器用椅子及び便器
JP3125229U (ja) 身体障害者トイレ用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