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424A -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 Google Patents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424A
KR20160015424A KR1020140097024A KR20140097024A KR20160015424A KR 20160015424 A KR20160015424 A KR 20160015424A KR 1020140097024 A KR1020140097024 A KR 1020140097024A KR 20140097024 A KR20140097024 A KR 20140097024A KR 20160015424 A KR20160015424 A KR 20160015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eat
main
wheelch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형준
주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Priority to KR1020140097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5424A/ko
Publication of KR20160015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4Tables, working plates or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침대 또는 의자 등에 앉아 있는 노약자가 휠체어에 탑승시 후방쪽으로부터 탑승할 수 있도록 시트부가 착탈되는 구조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후방부가 개방되고 높낮이가 조절되며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후방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부와 결합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식탁부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바퀴가 설치된 전방프레임부로 이루어져 상기 후방프레임부와 전방프레임부가 복수개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부의 후방쪽에서 착탈되도록 하부에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이 설치된 등받이 프레임부와,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과 결합되어 연동되는 접철식 시트로 이루어진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를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Wheelchair with removable seat part}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노약자 또는 환자 또는 장애인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해 노약자 또는 환자가 침대 또는 의자 등에 앉은 상태에서 휠체어에 탈 수 있도록 시트부가 착탈되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신체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사람 즉, 노약자 또는 환자 또는 장애인(이하'노약자'라 칭함)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휠체어의 일반적인 구성은 휠체어의 골격을 이루는 휠체어 프레임과, 휠체어 프레임에 장치되어 노약자의 엉덩이와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및 등받이와, 휠체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동시 사용되며 선택적으로 잠금 장치가 포함된 메인 휠과 보조 바퀴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휠체어는 메인 프레임에 등받이가 장착되어 후방이 막힌 구조여서 노약자가 앉거나 일어날 경우 항시 개방된 앞부분을 이용해 야만 한다. 때문에 근력이 있는 노약자는 자력으로 개방된 전방부를 통해 앉거나 일어나게 되고, 그렇지 못한 경우는 보호자의 부축을 받아 전방부를 통해 앉거나 일어나게 된다.
하지만 전방이 개방된 구조는 경우에 따라 노약자가 자력으로 휠체어에 탑승시 안전에 부주의 하게 되면 즉, 시선을 휠체어 반대쪽으로 하여 뒤로 접근하여 엉덩이를 대서 앉을 경우 또는 시선을 휠체어쪽으로 하여 접근한 다음 마지막에 방향을 전환 후 엉덩이를 대서 앉는 과정에서 혹 휠체어 위치를 잘못 판단하거나 휠체어가 밀려나 있게 되면 넘어지면서 엉덩방아를 쪄 골절상 등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휠체어에 노약자를 안아서 탑승시키는 보호자는 노약자의 몸무게 또는 노약자를 보호자가 안은 상태에서의 무게 및 자세 때문에 근골격계 질병을 얻을 수 있다는 문제점과, 혹 노약자를 안다가 중심을 잃게 되면 보호자와 노약자가 함께 넘어져 더 큰 사고를 당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휠체어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휠체어의 시트(노약자가 앉는 곳)가 막혀 있어서 근력이 약하여 스스로 화장실에 가기 힘든 노약자가 급한 대소변 용무가 있을 때 앉아서 대소변 용무를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휠체어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다양한 높이 조절 기능이 약하여 노약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지 않는 다는 점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26399(2006.09.13.)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54658(2008.08.21.)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05276(2012.01.0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 또는 의자 등에 앉아 있는 노약자가 휠체어에 탑승시 시트부를 분리하여 개방된 휠체어의 후방쪽을 통해 노약자가 앉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탑승하면서도 노약자의 무게 중심을 결합된 시트부가 지지할 수 있도록 강한 결합력을 가지는 시트부가 착탈되는 구조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부가 편리하게 착탈되는 구조를 가지되, 메인프레임에 시트부가 결합시 흔들림이 없도록 면접촉에 의한 가압방식으로 메인프레임에 시트부가 체결되어 강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약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휠체어의 팔걸이 또는 식탁 등과 같은 구조가 높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철식 시트에 추가적으로 접철식 변기시트가 형성되어 대소변이 급할 경우 노약자가 변기 등으로 자리를 옮기지 않고 대소변을 해결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후방부가 개방되고 높낮이가 조절되며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후방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부와 결합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식탁부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바퀴가 설치된 전방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후방프레임부와 전방프레임부가 복수개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부의 후방쪽에서 착탈되도록 하부에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이 설치된 등받이 프레임부와,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과 결합되어 연동되는 접철식 시트로 이루어진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은 등받이 프레임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착탈지지구와; 착탈지지구를 관통하는 메인힌지를 회전시키는 조작 레버와; 메인힌지의 회전력을 체결부에 전달하도록 착탈지지구의 외측 및 내측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외측링크부 및 내측링크부와; 내측링크부와 연동되고, 전진시 등받이 프레임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방홈을 통해 메인프레임부와 면접되어 가압 고정하는 체결부와; 상기 착탈지지구, 체결부, 외측링크부 및 내측링크부를 덮어 보호하는 착탈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접철식 시트는 양측이 조작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시트 브라켓과 결합되어 조작레버 회전시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접철되는 힌지부의 위치가 후방쪽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접철식 시트는 중앙부에 형성된 변기 구멍과, 변기구멍 상부를 덮는 접철식 변기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접철식 변기시트는 후방 끝단부가 접철식 시트의 후방 끝단부와 축결합되고, 접철되는 힌지부의 위치는 후방쪽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착탈지지구는 등받이 프레임부를 감싸 고정하는 클램프부와; 상기 클램프부의 양측지점을 관통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부와; 상기 클램프부 하부 양편에 형성되어 메인힌지가 관통되는 메인힌지홀, 외측링크부 및 내측링크부의 고정 힌지핀이 결합되는 링크홀 및 내측링크부의 이동 힌지핀이 가이드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측링크부는 일측단이 메인힌지와 연동되도록 결합된 회전링크와; 일측단은 회전링크와 타측단은 메인링크와 각각 힌지결합된 연결링크와; 일측단은 연결링크와 타측단은 착탈지지구의 가이드브라켓부와 각각 힌지결합된 메인링크와; 일측단은 메인링크의 일지점과 타측단은 가이드홀을 통해 내측링크부의 이동 힌지핀과 힌지결합되는 가변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내측링크부는 일측은 상기 가변링크 및 체결부의 일지점간을 함께 이동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외측링크부의 링크운동에 따라 가이드홀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고 타측은 고정힌지핀에 의해 양측의 착탈지지구와 힌지결합된 제 1 내측링크와; 일측은 체결부의 타지점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고정힌지핀에 의해 양측의 착탈지지구와 힌지결합된 제 2 내측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후방프레임부는 바퀴가 하부에 설치되고 전방쪽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좌,우측 하부 후방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후방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좌,우측 제 1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낮이가 조정되고 일측단부에서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과 결합되는 좌,우측 팔걸이 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팔걸이 프레임과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접철식 시트 하부를 지지하는 좌,우측 시트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전방프레임부는 바퀴가 하부에 설치되고 후방쪽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좌,우측 하부 전방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전방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좌,우측 제 2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낮이가 조정되는 식탁부와; 상기 좌,우측 하부 전방프레임간을 연결하는 발판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바퀴는 회전잠금수단이 구비되고, 자유롭게 방향이 전환되는 바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는 시트부가 메인프레임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근력이 약한 노약자 등이 침대나 의자에서 일어나지 않고도 휠체어의 후방쪽에 위치하면 휠체어를 후방으로 이동시킨후 분리된 시트부를 후방쪽에서 노약자의 엉덩이 밑으로 밀어넣어 하부는 시트가 지지하고 등쪽은 등받이가 지지토록 함으로써 휠체어 탑승이 완료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메인프레임부에 착탈되는 분리형 시트부의 착탈 구조가 링크 작용에 의한 가압방식으로 이루어져 메인프레임부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흔들리거나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노약자의 무게중심을 충분히 지탱하면서도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휠체어의 내구성을 증진시켰다는 장점과,
또한 노약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휠체어의 팔걸이 또는 식탁 등과 같은 구성품의 길이를 조절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시트부의 하부를 이루는 접철식 시트에 접철식 변기시트가 형성되어 대소변 용무가 급할 경우 노약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변기 등으로 자리를 옮기지 않고 접철식 변기시트를 접철시킨 후 하부방향으로 대소변 용무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후방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시트가 접철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가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변기시트가 접철식시트에서 접철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변기시트가 접철식시트에서 접철된 모습을 후방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시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착탈케이스 내부에 장치된 가압식 착탈수단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착탈지지구가 제외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시트가 접철된 상태에서 착탈케이스 내부에 장치된 가압식 착탈수단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착탈지지구가 제외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시트가 접철된 상태에서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로부터 분리된 때의 착탈케이스 내부에 장치된 가압식 착탈수단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착탈지지구가 제외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노약자가 휠체어에 탑승시의 작용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후방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시트가 접철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가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1)와 이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의 후방쪽에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시트부(2)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시트부가 착탈됨으로써 노약자가 의자나 침대 등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1)를 진입시키면 노약자의 엉덩이를 포함한 무릎쪽이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시트부(2)를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1)에 결합시킨 다음 노약자가 엉덩이를 약간 들면 접철식 시트를 펼쳐 노약자의 엉덩이를 지지시킴으로써 휠체어 탑승 상태를 완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1)는 후방프레임부(11)와 전방프레임부(12)로 나뉘어지는데 이를 복수개의 고정수단(13)이 결합시켜 하나의 프레임 구조를 이루게 된다.
먼저, 후방프레임부(11)는 노약자가 앉아 있는 의자나 침대쪽으로 진입되도록 후방부에 프레임 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개방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휠체어에 탑승한 노약자의 하중은 후방프레임부의 후방쪽이 아닌 전방쪽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위해 후방프레임부는 프레임 구조가 전체적으로'ㄷ'자로 형상을 가지게 구성된다. 또한 후방프레임부(1)는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높낮이가 조절되게 되면 노약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착좌감이 개선되게 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부의 하부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휠체어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프레임부(11)는 바퀴(111)가 하부에 설치되고 전방쪽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좌,우측 하부 후방프레임(112a, 112b)이 하부 골격을 이룬다. 수직하게 절곡된 부분에는 좌,우측 제 1 높이조절수단(113a, 113b)이 형성되어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좌,우측 제 1 높이조절수단(113a, 113b)은 도시된 한 실시예에서는 다단으로 형성된 홀과 볼트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게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에어실린더 또는 클램프와 같은 다양한 높이 조절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좌,우측 하부 후방프레임(112a, 112b)는 각각 후술되는 좌,우측 하부 전방프레임(122a, 122b)와 고정수단(13)에 의해 체결되어 하부 프레임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바퀴(111)는 회전잠금수단(111a)이 구비되고, 좌측 하부 후방프레임(112a) 및 우측 하부 후방프레임(112b)의 후방 끝단부에 설치된 힌지축과 결합되어 자유롭게 방향이 전환되는 바퀴로 구성된다. 또한 그 크기를 작게한 이유는 후방쪽에 위치하는 침대나 의자쪽으로 진입시 방해되지 않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좌,우측 후방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좌,우측 제 1 높이조절수단(113a, 113b)에 의해 높낮이가 조정되고 일측단부에서 가압식 착탈수단과 결합되는 좌,우측 팔걸이 프레임(114a, 114b)이 형성된다. 이 좌,우측 팔걸이 프레임(114a, 114b)은 수직한 형상을 가지다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노약자의 팔을 지지하게 형성된 후 다시 하향 절곡된 다음 일정 길이가 지난 다음 다시 상부로 절곡되어 좌,우측 가압식 착탈수단(21a, 21b)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지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 팔걸이 프레임(114a, 114b)의 내측으로는 고정수단(13)에 의해 결합되어 접철식 시트(23) 하부를 지지하는 좌,우측 시트지지 프레임(115a, 115b);이 형성된다. 이 좌,우측 시트지지 프레임(115a, 115b)은 접철식 시트(23)가 얹혀지는 지지 부재이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접철식 시트가 하부로 내려가려는 힘을 지탱하게 된다.
상기 전방프레임부(12)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식탁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노약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음식물을 놓는 높이 또는 손을 올려 놓는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하부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휠체어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프레임부(12)는 바퀴(121)가 하부에 설치되고 후방쪽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좌,우측 하부 전방프레임(122a, 122b)가 형성된다. 이 좌,우측 하부 전방프레임(122a, 122b)는 상기 좌,우측 하부 후방프레임(112a, 112b)과 고정수단(13)에 의해 체결되어 하부 프레임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바퀴(121)는 회전잠금수단(121a)이 구비되고, 좌측 하부 전방프레임(122a) 및 우측 하부 전방프레임(122b)의 전방 끝단부에 설치된 힌지축과 결합되어 자유롭게 방향이 전환되는 바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전방프레임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좌,우측 제 2 높이조절수단(123a, 123b)에 의해 높낮이가 조정되는 식탁부(124)가 구성된다. 좌,우측 제 2 높이조절수단(123a, 123b)은 도시된 한 실시예에서는 하나로 형성된 홀과 볼트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게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그 숫자가 복수개로 구성될수 있음은 물론이고, 에어실린더 또는 클램프와 같은 다양한 높이 조절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하부 전방프레임간에는 연결하는 하나의 판형태로 이루어진 발판부(125)가 구성되어 상기 좌,우측 하부 전방프레임간의 체결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노약자가 편히 발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시트부(2)는 상기 후방프레임부(11)의 후방쪽에서 착탈되도록 하부에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21a, 21b)이 설치된 등받이 프레임부(22)와,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21a, 21b)과 결합되어 연동되는 접철식 시트(23)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부(22)는 하나의 프레임을 2번 절곡하여 하부가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된 형태를 가지게 되면 하부로 수직한 2개의 프레임이 제공되고 각각의 하부에 상기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21a, 21b)이 설치되게 된다. 이처럼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21a, 21b)이 각각 설치되면 여기에 상기 좌측 팔걸이 프레임(114a) 및 우측 팔걸이 프레임(114b)이 각각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접철식 시트(23)는 양측이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21a, 21b)을 구성하는 조작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시트 브라켓과 결합되어 조작레버 회전시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접철되는 힌지부(231)의 위치가 접철식 시트의 중앙부보다 뒷부분인 후방쪽에 형성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힌지부의 위치가 후방부에 위치하게 되면 접철 과정에서 접철부의 최대 높이가 낮아지고 그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노약자가 엉덩이를 조금만 들어도 접철식 시트가 접철되거나 펼져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접철식 시트(23)는 중앙부에 변기 구멍(232)을 형성하고 이 변기구멍 상부를 덮는 접철식 변기시트(2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철식 변기시트는 후방 끝단부가 접철식 시트의 후방 끝단부와 축결합(도시생략)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힌지부(234)에서 접철되게 된다. 이때 접철되는 힌지부의 위치는 후방쪽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힌지부의 위치가 후방부에 위치하게 되면 접철 과정에서 접철부의 최대 높이가 낮아지고 그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노약자가 엉덩이를 조금만 들어도 접철식 시트가 접철되거나 펼져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접철식 변기시트(233)를 접철식 시트의 후방 끝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접철식 변기시트(233)를 상승시켜 접철시킬 때 편리하도록 접철식 변기시트(233)의 후방부에는 변기시트레버(2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변기구멍과 변기시트가 구비되면 노약자가 대소변 용무가 급할 경우 또는 근력이 약한 노약자가 변기 등으로 자리를 옮기지 않고 접철식 변기시트를 접철시킨 후 하부방향으로 대소변 용무를 해결할 수 있다. 미도시 되었으나 하부에는 이동식 대소변통을 위치시켜서 사용해야 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변기시트가 접철식시트에서 접철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변기시트가 접철식시트에서 접철된 모습을 후방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시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착탈케이스 내부에 장치된 가압식 착탈수단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착탈지지구가 제외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시트가 접철된 상태에서 착탈케이스 내부에 장치된 가압식 착탈수단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착탈지지구가 제외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시트가 접철된 상태에서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로부터 분리된 때의 착탈케이스 내부에 장치된 가압식 착탈수단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착탈지지구가 제외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휠체어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부에 시트부를 착탈하기 위해 등받이 프레임부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에 대한 설명이다.
상기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21a, 21b)은 등받이 프레임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착탈지지구(210)와; 착탈지지구를 관통하는 메인힌지를 회전시키는 조작 레버(212)와; 메인힌지의 회전력을 체결부에 전달하도록 착탈지지구의 외측 및 내측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외측링크부(213) 및 내측링크부(214)와; 내측링크부와 연동되고, 전진시 등받이 프레임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방홈을 통해 메인프레임부와 면접되어 가압 고정하는 체결부(215)와; 상기 착탈지지구, 체결부, 외측링크부 및 내측링크부를 덮어 보호하는 착탈케이스(216);로 구성된다.
상기 착탈지지구(210)는 등받이 프레임부(2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등받이 프레임부(22)의 하부를 감싸 고정하는 클램프부(2101)와, 상기 클램프부(2101)의 양측지점을 관통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부(2102)와, 상기 클램프부 하부 양편에 형성되어 메인힌지(211)가 관통되는 메인힌지홀(2103a), 외측링크부 및 내측링크부의 고정 힌지핀이 결합되는 링크홀(2103b) 및 내측링크부의 이동 힌지핀이 가이드되는 가이드홀(2103c)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부(2103)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부(2101)는 내측링크부와 연동되어 전후진하는 체결부가 전진시 후방프레임부(11)를 구성하는 좌측 팔걸이 프레임(114a) 또는 우측 팔걸이 프레임(114b)의 일측단을 면접촉하여 가압시켜 고정하도록 개방홀(221)이 하부에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부(22)를 감싸 설치된다. 그 형태는 일반적인 클램프 형상처럼 등받이 프레임부(22) 둘레를 따라 감싼 다음 중앙부에서 돌출된 체결부 간을 볼트 너트 체결방식 또는 용접방식으로 단단히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클램프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과 함께 상기 좌측 팔걸이 프레임(114a) 또는 우측 팔걸이 프레임(114b)의 일측단이 너무 깊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프부(2101)의 양측지점을 관통하는 스톱퍼부(2102)가 형성된다. 스톱퍼부는 바깥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볼트 또는 피스 등으로 고정 구성된다.
가이드브라켓부(2103)는 클램프부(2101) 하부와 연결되는데 양측으로 벌려진 구조로 이루어져 일측 가이드브라켓 바깥쪽에는 외측링크부(213)가 설치되고, 양측 가이드브라켓 사이 내측에는 내측링크부(214)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외측링크부와 내측링크부는 메인힌지(211)와 연동되어 유기적으로 조작레버(21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메인힌지(21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링크 작용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힌지홀(2103a), 복수개의 링크홀(2103b) 및 가이드홀(2103c)이 형성된다. 특히 가이드홀(2103c)은 곡률을 가지게 전방쪽으로 휘어진 장공홀로 이루어져 곡률이 시작된 상부 지점과 곡률이 끝난 지점 간의 수평거리 차이만큼의 구간내에서 체결부(215)를 전후진 시키게 된다.
상기 조작 레버(212)는 착탈지지구를 관통하는 메인힌지(211)의 일측에 결합되어 조작자의 힘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또한 조작레버의 일측에는 시트브라켓(2121)이 형성되어 접철식 시트(23)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접철식 시트가 결합되면 조작 레버 회전시 연동되게 된다.
상기 외측링크부(213)는 메인힌지(211)의 회전력을 체결부(215)에 전달하도록 착탈지지구(210)의 외측 즉, 가이드브라켓부(2103)에 형성된 링크홀(2103b)에 삽입된 고정 힌지핀(2131)과 일측단이 힌지결합되어 링크 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외측링크부의 구성은 일측단이 메인힌지(211)와 연동되도록 결합된 회전링크(2132)가 설치된다. 이 회전링크의 타측단은 연결링크(2133)의 일측단과 연결된다. 연결링크의 타측단은 메인링크(2134)와 연결된다. 이 메인링크의 타측단은 상기 착탈지지구의 가이드브라켓부(2103)에 형성된 링크홀(2103b)에 삽입된 고정 힌지핀(2131)과 힌지결합된다.
상기 메인링크의 일지점에는 가변링크(2135)의 일측단과 힌지 결합된다. 가변링크의 타측단은 상기 가이드홀(2103c)을 통해 내측링크부(214)의 이동 힌지핀(2141)과 힌지결합되어 외측링크부와 내측링크부간을 연동시켜 내측링크부가 전후 링크 작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측링크부(214)는 메인힌지(211)의 회전력을 체결부(215)에 전달하도록 착탈지지구(210)의 외측에 설치된 외측링크부와 연동되어 전후 링크 운동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링크부(214)는 상부 일측은 상기 가변링크(2135) 및 체결부(215)의 일지점간을 함께 이동 힌지핀(2141)으로 연결되어 외측링크부의 링크운동에 따라 가이드홀(2103c) 상에서 위치가 가변되면서 움직이고, 하부 타측은 상기 착탈지지구의 가이드브라켓부(2103)에 형성된 양측 링크홀(2103b)과 고정힌지핀(2142)과 힌지결합되는 제 1 내측링크(2143)가 구성된다.
또한 상부 일측은 체결부(215)의 타지점과 힌지결합되고 하부 타측은 상기 착탈지지구의 가이드브라켓부(2103)에 형성된 양측 링크홀(2103b)과 고정힌지핀(2144)과 힌지결합되는 제 2 내측링크(2145)가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됨으로써 메인힌지를 조작 레버(212)로 회전시키면 메인힌지와 체결된 회전링크(2132)가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회전링크와 연결된 연결링크(2133)가 메인링크(2134)를 회전시키게 되고, 메인링크가 고정 힌지핀(2131)이 설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메인링크의 일지점에 힌지결합된 가변링크(2135)를 일정한 구간만큼 회전시키게 되고, 가변링크가 일정구간을 회전하게 되면 이와 힌지결합된 이동 힌지핀(2141)이 움직이면서 하부 타측이 착탈지지구의 가이드브라켓부(2103)에 형성된 양측 링크홀(2103b)과 고정힌지핀(2142)과 힌지결합된 제 1 내측링크(2143)의 상부를 가이드홀에서 움직이는 구간만큼 전후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2 내측링크(2145)도 연동되어 전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후 이동하게 되면 체결부가 전진시는 좌측 팔걸이 프레임(114a) 또는 우측 팔걸이 프레임(114b)을 가압하여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반대로 후진시는 분리되게 된다.
상기 착탈케이스(216)는 상기 착탈지지구, 체결부, 외측링크부 및 내측링크부의 외부를 보호하는 하우징으로 양편으로 분리되어 끼움 방식 또는 볼트 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노약자가 휠체어에 탑승시의 작용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나 의자등에 앉아 있는 노약자쪽으로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1)를 접근시켜 노약자의 엉덩이를 포함한 무릎쪽이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 내측에 위치하게 한다. 이후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의 후방쪽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시트부(2)를 삽입시킨다.
삽입이 끝나면 조작 레버를 전진시켜 좌측 가압식 착탈수단(21a) 및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21b)이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와 시트부간을 강하게 결합시키게 되고 동시에 접철식 시트(23)를 펼치게 된다. 이때 접철식 시트(23)가 잘 펼쳐지도록 노약자가 엉덩이를 약간 들면 된다. 이와 같은 조작이 끝나면 노약자의 엉덩이가 얹혀지게 되어 휠체어에 탑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 (2) : 시트부
(11) : 후방프레임부 (12) : 전방프레임부
(13) : 고정수단 (21a) : 좌측 가압식 착탈수단
(21b) :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 (22) : 등받이 프레임부
(23) : 접철식 시트 (111) : 바퀴
(111a) : 회전잠금수단 (112a) : 좌측 하부 후방프레임
(112b) : 우측 하부 후방프레임 (113a) : 좌측 제 1 높이조절수단
(113b) : 우측 제 1 높이조절수단 (114a) : 좌측 팔걸이 프레임
(114b) : 우측 팔걸이 프레임 (115a) : 좌측 시트지지 프레임
(115b) : 우측 시트지지 프레임 (121) : 바퀴
(121a) : 회전잠금수단 (122a) : 좌측 하부 전방프레임
(122b) : 우측 하부 전방프레임 (123a) : 좌측 제 2 높이조절수단
(123b) : 우측 제 2 높이조절수단 (124) : 식탁부
(125) : 발판부 (210) : 착탈지지구
(211) : 메인힌지 (212) : 조작 레버
(213) : 외측링크부 (214) : 내측링크부
(215) : 체결부 (216) : 착탈케이스
(221) : 개방홈 (231) : 힌지부
(232) : 변기 구멍 (233) : 접철식 변기시트
(234) : 힌지부 (2121) : 시트브라켓
(2101) : 클램프부 (2102) : 스톱퍼부
(2103) : 가이드브라켓부 (2103a) : 메인힌지홀
(2103b) : 링크홀 (2103c) : 가이드홀
(2131) : 고정 힌지핀 (2132) : 회전링크
(2133) : 연결링크 (2134) : 메인링크
(2135) : 가변링크 (2141) : 이동 힌지핀
(2142) : 고정힌지핀 (2143) : 제 1 내측링크
(2144) : 고정힌지핀 (2145) : 제 2 내측링크

Claims (10)

  1. 후방부가 개방되고 높낮이가 조절되며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후방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부와 결합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식탁부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바퀴가 설치된 전방프레임부로 이루어져 상기 후방프레임부와 전방프레임부가 복수개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 휠체어 메인 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부의 후방쪽에서 착탈되도록 하부에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이 설치된 등받이 프레임부와,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과 결합되어 연동되는 접철식 시트로 이루어진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은, 등받이 프레임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착탈지지구와;
    착탈지지구를 관통하는 메인힌지를 회전시키는 조작 레버와;
    메인힌지의 회전력을 체결부에 전달하도록 착탈지지구의 외측 및 내측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외측링크부 및 내측링크부와;
    내측링크부와 연동되고, 전진시 등받이 프레임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방홈을 통해 메인프레임부와 면접되어 가압 고정하는 체결부와;
    상기 착탈지지구, 체결부, 외측링크부 및 내측링크부를 덮어 보호하는 착탈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시트는 양측이 조작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시트 브라켓과 결합되어 조작레버 회전시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접철되는 힌지부의 위치가 후방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시트는 중앙부에 형성된 변기 구멍과, 변기구멍 상부를 덮는 접철식 변기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접철식 변기시트는 후방 끝단부가 접철식 시트의 후방 끝단부와 축결합되고, 접철되는 힌지부의 위치는 후방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구는, 등받이 프레임부를 감싸 고정하는 클램프부와;
    상기 클램프부의 양측지점을 관통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부와;
    상기 클램프부 하부 양편에 형성되어 메인힌지가 관통되는 메인힌지홀, 외측링크부 및 내측링크부의 고정 힌지핀이 결합되는 링크홀 및 내측링크부의 이동 힌지핀이 가이드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링크부는 일측단이 메인힌지와 연동되도록 결합된 회전링크와; 일측단은 회전링크와 타측단은 메인링크와 각각 힌지결합된 연결링크와; 일측단은 연결링크와 타측단은 착탈지지구의 가이드브라켓부와 각각 힌지결합된 메인링크와; 일측단은 메인링크의 일지점과 타측단은 가이드홀을 통해 내측링크부의 이동 힌지핀과 힌지결합되는 가변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링크부는 일측은 상기 가변링크 및 체결부의 일지점간을 함께 이동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외측링크부의 링크운동에 따라 가이드홀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고 타측은 고정힌지핀에 의해 양측의 착탈지지구와 힌지결합된 제 1 내측링크와; 일측은 체결부의 타지점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고정힌지핀에 의해 양측의 착탈지지구와 힌지결합된 제 2 내측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프레임부는, 바퀴가 하부에 설치되고 전방쪽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좌,우측 하부 후방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후방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좌,우측 제 1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낮이가 조정되고 일측단부에서 좌, 우측 가압식 착탈수단과 결합되는 좌,우측 팔걸이 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팔걸이 프레임과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접철식 시트 하부를 지지하는 좌,우측 시트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부는, 바퀴가 하부에 설치되고 후방쪽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좌,우측 하부 전방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전방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좌,우측 제 2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낮이가 조정되는 식탁부와;
    상기 좌,우측 하부 전방프레임간을 연결하는 발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회전잠금수단이 구비되고, 자유롭게 방향이 전환되는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KR1020140097024A 2014-07-30 2014-07-30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KR20160015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024A KR20160015424A (ko) 2014-07-30 2014-07-30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024A KR20160015424A (ko) 2014-07-30 2014-07-30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424A true KR20160015424A (ko) 2016-02-15

Family

ID=55356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024A KR20160015424A (ko) 2014-07-30 2014-07-30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542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7916A (zh) * 2018-08-08 2018-12-18 杭州湘甬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装有升降桌的手驱小车
KR20190063218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컴포트 기립 보조 의자
KR20220001283U (ko) * 2020-11-27 2022-06-03 이윤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
KR20230117797A (ko) * 2022-02-03 2023-08-10 (주)조은케어 안전 시트
KR20230117798A (ko) * 2022-02-03 2023-08-10 (주)조은케어 안전 시트를 구비한 양변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218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컴포트 기립 보조 의자
CN109017916A (zh) * 2018-08-08 2018-12-18 杭州湘甬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装有升降桌的手驱小车
KR20220001283U (ko) * 2020-11-27 2022-06-03 이윤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
KR20230117797A (ko) * 2022-02-03 2023-08-10 (주)조은케어 안전 시트
KR20230117798A (ko) * 2022-02-03 2023-08-10 (주)조은케어 안전 시트를 구비한 양변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0100B2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KR102214760B1 (ko) 이동 보행기
KR20160015424A (ko)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WO2012036131A1 (ja) 介護用車椅子
JP3644926B2 (ja) 歩行補助車
WO2014089444A1 (en) Walker for disabled persons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JP2009172108A (ja) 排泄支援車椅子
US11690770B2 (en) Multifunctional wheelchair
US6220620B1 (en) Wheeled height-adjustable rehabilitation chair
JP4051926B2 (ja) 車椅子
KR102080545B1 (ko) 이동장치가 장착된 휠체어
KR101966342B1 (ko)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KR102320543B1 (ko)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KR200406017Y1 (ko) 휠체어용 발판 접철장치
WO2011112168A1 (en) Wheelchair with enhanced toilet accessibility
JP5802342B1 (ja) シルバーカー用補助具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JP2016116823A (ja) 三輪の車椅子
JP5105129B2 (ja) 介護用車椅子
CN216258128U (zh) 一种用于医院肺功能检查的安全保护座椅
CA2868010A1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KR101939344B1 (ko) 환자용 휠체어
KR200406015Y1 (ko) 휠체어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JP2013074954A (ja) 昇降折りたたみフットレスト装置とこれを用いた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