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218A - 기립 보조 의자 - Google Patents

기립 보조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218A
KR20190063218A KR1020170162142A KR20170162142A KR20190063218A KR 20190063218 A KR20190063218 A KR 20190063218A KR 1020170162142 A KR1020170162142 A KR 1020170162142A KR 20170162142 A KR20170162142 A KR 20170162142A KR 20190063218 A KR20190063218 A KR 20190063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ilting module
standing
ch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551B1 (ko
Inventor
차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컴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컴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컴포트
Priority to KR1020170162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55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Lower body, e.g. pelvis,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시트를 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외부 동력 없이도 시트의 기립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기립 보조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와, 상기 시트가 장착되는 의자 본체와, 상기 의자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는 안착부와, 상기 시트 및 상기 안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를 기립시켜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구동하는 시트틸팅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틸팅모듈은 상기 안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잠금장치를 구비한다.
따라서, 의자본체에 대한 상기 시트 틸팅 모듈의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므로, 상기 시트 틸팅 모듈에 대한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기립보조의자를 운반할 경우, 상기 시트틸팅모듈을 상기 의자본체에서 분리시킨 뒤, 상기 의자본체를 접어 상기 시트틸팅모듈과 함께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립보조의자에 대한 휴대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시트 틸팅 모듈이 상기 의자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의자에 채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립 보조 의자 {CHAIR WITH STANDING UP AID}
본 발명은 시트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기립을 도와줄 수 있는 기립 보조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시트를 위로 올림과 동시에 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외부 동력 없이도 시트의 상승력 및 회전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기립 보조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가구로서, 등받이, 시트, 팔걸이부, 및 이들을 지지하는 다리부로 구성된다.
현대 사회에서 의자는 직장 생활, 여가 생활, 휴식 등의 상황에서 사용됨에 따라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자립 생활이 가능한 고령자나 근골격계 질환자들은 의자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더 많다.
그런데, 관절이 약한 고령자나, 근골격계 질환자들은 대부분 근력이 약하여 혼자 의자에서 일어나기 어렵고, 기립 시에 잘못된 중심 이동으로 인하여 낙상 사고가 많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 의자 및 휠체어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74342호에는 상체의 하중을 이용하여 팔걸이부의 끝부분을 가압하면, 팔걸이부와 함께 평행하게 위치한 시트를 위로 들어 올림과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엉덩이를 들어올리는 동시에 상체의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기립 동작을 보조하는 기능성 의자가 개시되고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르면, 기립 보조 동작을 제공하는 기립보조수단이 의자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유지보수가 어렵고, 운반 시에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에 상승력 및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립보조수단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기립 보조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기립 보조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와, 상기 시트가 장착되는 의자 본체와, 상기 의자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는 안착부와, 상기 시트 및 상기 안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를 기립시켜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구동하는 시트틸팅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틸팅모듈은 상기 안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잠금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제어 레버의 조작에 의해, 시트틸팅모듈에 의해 시트가 위로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전방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시트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기립을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의자본체에 대한 상기 시트 틸팅 모듈의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므로, 상기 시트 틸팅 모듈에 대한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기립보조의자를 운반할 경우, 상기 시트틸팅모듈을 상기 의자본체에서 분리시킨 뒤, 상기 의자본체를 접어 상기 시트틸팅모듈과 함께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립보조의자에 대한 휴대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리 받침대 틸팅 모듈과 다리 받침대 제어 레버 일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리 받침대 틸팅 모듈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중측정수단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기립 보조 의자에 적용된 시트 틸팅 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의 동작 시 시트 틸팅 모듈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기립 보조 의자에 적용된 시트 제어 레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기립 보조 의자에 적용된 체중측정센서의 장착 구조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기립 보조 의자의 동작 시 가스 실린더의 설치 각도에 따른 가스 실린더에 작용하는 응력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의 동작 시 가스 실린더의 설치 각도에 따른 가스 실린더의 스트로크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에 적용되는 시트 틸팅 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의 동작시 시트 틸팅 모듈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8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 실린더의 기립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립각도 조절장치가 적용된 시트 틸팅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립각도 조절장치를 보여주는 시트 틸팅 모듈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트 틸팅 모듈의 스트로크 변화에 따른 가스 실린더의 수직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트 틸팅 모듈 및 기립 보조 의자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기립 보조 의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트 틸팅 모듈이 기립 보조 의자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기립 보조 의자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서, 시트 틸팅 모듈이 기립 보조 의자에서 분리되도록 잠금장치의 누름부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에 구비되는 복수의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기립 보조 의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트 제어 레버를 보여주는 기립 보조 의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에 적용된 높이 조절 레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면에서 바라본 기립 보조 의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8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측면에서 바라본 기립 보조 의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9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의자 본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시트틸팅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시트틸팅모듈의 하부 잠금장치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2는 도 31에서 잠금이 해제된 하부 잠금장치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3 내지 도 35는 시트 틸팅 모듈이 기립 보조 의자에 장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6은 시트 틸팅 모듈이 기립 보조 의자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립 보조 의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와, 시트(120)와, 등받이부(130)와, 한 쌍의 팔걸이부(140,150)와, 다리 받침대(160)와, 다리 받침대 틸팅 모듈(170)과, 시트 제어 레버(180)와, 다리 받침대 제어 레버(1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기립보조의자에는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소파 등과 같이 착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의자에 착석대상이 기립할 때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는 물품을 말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기립 보조 의자 전체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형태로 구비되는데, 노약자 등과 같이 근골격계가 약한 사용자의 기립 동작을 안정적으로 보조할 뿐 아니라 의자와 함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트(12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으로써, 소정의 쿠션을 제공하여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120)는 상기 베이스(110) 상측에 수평 상태로 장착되는데, 별도로 가스 스프링을 이용한 링크 구조의 시트 틸팅 모듈(미도시)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시트(120)는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시트 제어 레버(180)에 의해 그 회전 각도가 조절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시트 틸팅 모듈(미도시)은 일종의 모듈 형태로써, 상기 베이스(110)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시트(120)와 등받이부(130) 및 다리 받침대(160)를 장착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존의 의자 구성에 적용하여 손쉽게 시트(120)를 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기립 보조 의자를 구현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130)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구비되는데, 마찬가지로 소정의 쿠션을 제공하여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130)는 상기 베이스(110) 상측에 수직 상태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되는데, 상기 베이스(110) 또는 별도의 시트 틸팅 모듈(미도시)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팔걸이부(140,150)는 사용자의 손과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시트(120)의 양측에 우측 팔걸이부(140) 및 좌측 팔걸이부(150)로 구성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베이스(110) 또는 별도의 시트 틸팅 모듈(미도시)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우측 팔걸이부(140)의 전면에는 상기 시트 제어 레버(180)의 손잡이 레버(미도시)가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측 팔걸이부(150)의 전면에는 상기 다리 받침대 제어 레버(190)의 손잡이 레버(191: 도 4)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지만,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팔걸이부들(140,15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고, 별도의 커버에 의해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커버에는 복약 시간 알람 설정 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팔걸이부들(140,150)의 내부에는 간단하게 꺼내어 펼칠 수 있는 선반이 내장되거나, 건강 관련 용품을 보관할 수 있으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다리 받침대(160)는 사용자가 다리를 올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마찬가지로 소정의 쿠션을 제공하여 편안하게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리 받침대(160)는 상기 시트(120) 전방에 수직 방향으로 하향하도록 장착되는데, 하기에서 설명될 다리 받침대 틸팅 모듈(170)이 장착됨에 따라 수평 방향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기에서 설명될 다리 받침대 제어 레버(190)에 의해 그 회전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다리 받침대 틸팅 모듈(170)은 일종의 모듈 형태로써, 상기 시트(120)와 다리 받침대(160)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시트(120)와 다리 받침대(160) 하측에 장착되기 때문에 기존의 의자 구성에 적용하여 손쉽게 다리 받침대(16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세한 구성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시트 제어 레버(180)는 상기 시트 틸팅 모듈(미도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우측 팔걸이부(140)에 일부 손잡이 레버(미도시)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시트 틸팅 모듈(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세한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어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다리 받침대 제어 레버(190)는 상기 다리 받침대(16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데, 마찬가지로 상기 좌측 팔걸이부(150)에 일부 손잡이 레버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다리 받침대 틸팅 모듈(1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세한 구성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용된 다리 받침대 틸팅 모듈과 다리 받침대 제어 레버 일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받침대 틸팅 모듈(170)은 상기 시트(120) 하측에 볼트 체결된 제1고정프레임(121)과, 상기 다리 받침대(160) 하측에 볼트 체결된 한 쌍의 제2고정프레임(161)과, 상기 다리 받침대(160)를 상기 시트(120)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스프링(171)과, 상기 지지 스프링들(171)의 움직임을 멈추게 하는 브레이크 수단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브레이크 수단은 회전축(172)과, 래칫(ratchet: 173)과, 폴(pawl: 174)과, 이동판(175) 및 고정판(176)과, 압축 스프링(17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스프링들(171)은 상기 다리 받침대(160)를 상기 시트(120)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다리 받침대(160) 하측에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그 양단이 상기 제1,2고정프레임들(121,161)에 고정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프레임(121)의 측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홀(121h)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프레임들(161)의 측면부에도 하나의 홀(161h)이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 스프링들(171)의 일단이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홀들(121h)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 스프링들(171)의 다른 일단이 상기 제2고정프레임들의 홀(161h)에 끼워지거나, 조립 시에 구조적으로 형합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회전축(172)은 그 양단이 상기 지지 스프링들(171)의 축 방향으로 맞물려 상기 지지 스프링들(171)과 같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데, 그 하부가 상기 제1,2고정프레임(121,161)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래칫(173)은 상기 회전축(172)의 중심 측 둘레에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축(172)의 외주면과 상기 래칫(173)의 내주면에는 서로 평면 접촉되는 소정 형태의 직선부(172L, 173L)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172)과 래칫(173)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래칫(173)은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하기에서 설명될 폴(174)과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래칫(173)이 하기의 폴(174)과 맞물리면, 상기 회전축(172)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폴(174)은 상기 래칫(173)의 기어치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일단 측면에 소정의 톱니가 형성되는데, 상기 폴(174)의 다른 일단이 힌지(174a) 연결되고, 상기 폴(174)의 일단이 상기 래칫(17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폴(174)이 힌지(174a)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상기 폴(174)의 톱니가 상기 래칫(173)의 기어치 일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기 회전축(17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판(175)은 상기 폴(174)의 일단 다른 측면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폴(174)의 다른 일단과 같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반면, 상기 고정판(176)은 상기 이동판(175)과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판(176)은 상기 폴(174)의 힌지(174a)가 고정되거나, 하기에서 설명될 압축 스프링(177) 및 동작 축(194)이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도록 일종의 사각 케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압축 스프링(177)은 양단이 상기 이동판(175)과 고정판(176) 사이에 지지되는데, 상기 압축 스프링(177)이 상기 고정판(176)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압축 스프링(177)의 탄성력이 상기 이동판(175)과 폴(174)을 상기 래칫(173) 측으로 밀어주게 힘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다리 받침대 제어 레버(190)는 상기 다리 받침대 틸팅 모듈(17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 손의 움직임을 기구적으로 상기 이동판(175)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데, 손잡이 레버(191)와, 와이어(192)와, 동작 레버(193)와, 동작 축(19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레버(191)는 상기 팔걸이부(140, 150: 도 1에 도시) 중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당길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192)는 상기 손잡이 레버(191)의 움직임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데,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 레버(193)는 상기 와이어(192)의 움직임을 하기에서 설명될 동작 축(194)으로 전달하는 일종의 지렛대 형태로 구성되는데, 일단이 상기 와이어(192)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하기에서 설명될 동작 축(194)과 힌지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판(176) 외측에 수평하게 지지된다. 물론, 상기 동작 레버(193)를 기준으로 상기 와이어(192)와 하기에서 설명될 동작 축(194)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동작 축(194)은 상기 이동판(175)과 동작 레버(193) 사이를 연결하는데, 상기 압축 스프링(177)과 고정판(176)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 레버(193)와 동작 축(194)이 설치 구조상 서로 교차한 상태에서 고정하더라도 움직임을 전달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작 레버(193)의 다른 일단에는 상기 동작 축(194)과 서로 힌지 연결될 수 있는 홀(193h)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홀(193h)의 위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당길 수 있는 힘을 고려하여 상기 동작 레버(193)와 동작 축(194)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리 받침대 틸팅 모듈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사용자가 다리 받침대(16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손잡이 레버를 당기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동작 레버(193)와 동작 축(194)이 당겨지고, 그에 따라 압축 스프링(177)이 압축되는 동시에 이동판(175)과 폴(174)의 일단이 당겨지면, 상기 폴(174)의 톱니가 상기 래칫(173)의 기어치로부터 해제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172)의 구속이 해제되고, 상기 다리 받침대(160)가 상기 지지 스프링들(171)에 의해서만 상기 시트(120)에 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리를 다리 받침대(160)에 올리면, 다리의 무게가 상기 지지 스프링들(171)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다리 받침대(160)가 상기 회전축(172)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시트(120)의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고, 다리 받침대(16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다리를 다리 받침대(160)에서 내리면, 상기 스프링들(16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다리 받침대(160)가 상기 시트(120)와 수평하도록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다리 받침대(160)의 각도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손잡이 레버의 당김을 해제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동작 레버(193)와 동작 축(194)의 당김이 해제되고, 그에 따라 압축 스프링(177)이 원상태로 이완되는 동시에 이동판(175)과 폴(174)의 일단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폴(174)의 톱니가 상기 래칫(173)의 기어치와 맞물림에 따라 상기 회전축(172)이 구속되고, 상기 다리 받침대(160)가 상기 래칫(173)과 폴(174)에 의해 기구적으로 상기 시트(120)에 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리를 다리 받침대(160)에 올리더라도 다리 받침대(160)의 각도가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중측정수단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체중측정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120: 도 1에 도시)에 앉아서 다리 받침대(160: 도 1에 도시)에 다리를 올린 상태에서 체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사용자가 앉는 시트(120: 도 1에 도시)의 하면에 장착되는 상판(211)과, 상기 상판(211) 하측에 이격된 위치에 별도의 부재에 의해 고정된 중판(212)과, 상기 상판(211)과 중판(212)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체중측정센서(213)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211)과 중판(212)은 별도로 시트(120: 도 1에 도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시트 틸팅 모듈(미도시)에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체중측정센서(213)은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적어도 네 군데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판(212)의 네 군데 모서리 부분에 상기 체중측정센서들(213)이 각각 설치될 수 있는 홀들(212H)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중측정센서(213)는 판 형상의 압전 소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중판(212)의 홀(212H) 둘레에 볼트 체결되는 외주부(213a)와, 상기 외주부(213a) 내측에 절곡 가능한 형태로 상기 상판(211)에 볼트 체결되는 내주부(213b)와, 상기 내주부(213b)가 상기 외주부(213a)에 대해 절곡되는 정도에 따라 전압 변화를 발생시키는 측정부(213c)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물론, 각각의 체중측정센서(213)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 변화를 평균 낸 다음, 그에 따라 체중으로 정확하게 환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시트(120: 도 1에 도시)에 앉은 상태에서 다리를 다리 받침대(160)에 올려 발을 들면,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시트(120: 도 1에 도시)와 상판(211)에 모두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상판(211)이 하향 이동됨에 따라 상기 내주부(213b)가 상기 외주부(213a)에 대해 하향 절곡되고, 상기 내주부(213b)가 상기 외주부(213a)에 대해 절곡되는 정도에 따라 전압 변화가 발생되며, 이러한 전압 변화에 따라 체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바람직한 시트 틸팅 모듈이 상세하게 구현되는 구성에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0)와, 시트(320)와, 등받이부(330)와, 한 쌍의 팔걸이부(340, 350)와, 다리 받침대(360)와, 시트 틸팅 모듈(370)과, 시트 제어 레버(380)와, 다리 받침대 제어 레버(3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기립 보조 의자에 적용된 시트 틸팅 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시트 틸팅 모듈(37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71)과, 고정판(372)과, 4절 링크(373)와, 가스 실린더(374)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시트 틸팅 모듈(370)을 안정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판(371)과 고정판(372)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4절 링크(373)와 가스 실린더(374)가 한 쌍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면에는 편의상 상기 4절 링크(373)와 가스 실린더(374)가 하나만 표시되고 있다.
상기 회전판(371)은 상기 시트(320)가 상면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써, 전방 양측에 하기에서 설명될 4절 링크(373)의 제1링크(431)가 고정되고, 상기 제1링크(431)가 전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같이 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판(371)은 하기에서 설명될 체중측정센서(413: 도 11에 도시)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판(411) 및 그 하측에 이격되도록 설치된 중판(4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411)은 상기 시트(320)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중판(412)은 상기 체중측정센서들(413: 도 11에 도시)에 의해 상기 상판(411)의 하측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지만,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고정판(372)은 상기 베이스(310: 도 7에 도시)의 상측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써, 후방 양측에 하기에서 설명될 4절 링크(373)의 제2링크(432)가 고정되고, 상기 제2링크(432)와 같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4절 링크(373)는 일종의 회전 링크인 제1링크(431)와, 일종의 고정 링크인 제2링크(432)와, 상기 제1, 2링크(431, 432) 사이에 힌지 연결되는 제3,4링크(433, 434)로 구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제1링크(431)는 상기 회전판(371)의 중판(711) 전방 측면에 고정되는 반면, 상기 제2링크(432)는 상기 고정판(372)의 후방 측면에 고정되는데, 상기 회전판(371)이 수평한 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제1, 2링크(431,432)는 모두 상기 회전판(371)에 대해 하향 수직하게 위치되고, 단면이 'U' 형상인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링크(433)는 상기 제1링크(431)의 중심부와 상기 제2링크(432)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4링크(434)는 상기 제1링크(431)의 하부와 상기 제2링크(432)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는데, 상기 제3, 4링크(433, 434)는 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링크(431, 432)에는 하기에서 설명될 가스 실린더(374)의 힌지 연결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홀(431h, 432h)이 구비될 수 있는데,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맞추어 상기 가스 실린더(374)의 설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432) 일측에는 상기 팔걸이부(340, 350: 도 7에 도시)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프레임(432a)이 구비될 수 있고, 그 외에도 등받이부(330)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가스 실린더(374)는 내부의 압축 공간에 소정의 가스 압력이 제공될 수 있는 실린더로써, 상기 제1링크(431)의 상부와 상기 제2링크(432)의 하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상기 4절 링크(373)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물론, 상기 가스 실린더(374)는 하기에서 설명될 시트 제어 레버(380: 도 7에 도시)에 연결된다.
따라서, 하기에서 설명될 시트 제어 레버(380: 도 7에 도시)를 당기면, 상기 가스 실린더(374) 내부의 압축 공간 크기가 소정의 가스 압력에 의해 가변되는데,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가스 압력보다 작으면, 압축 공간이 늘어남에 따라 상기 가스 실린더(374)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지만,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가스 압력보다 크면, 압축 공간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가스 실린더(374) 전체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반면, 하기에서 설명될 시트 제어 레버(380: 도 7에 도시)를 해제하면, 상기 가스 실린더(374) 내부의 압축 공간 크기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가스 실린더(374)의 전체 길이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물론, 상기 가스 실린더(374)의 압력은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맞도록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압력의 가스 실린더(374)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가스 실린더(374)의 설치 각도 및 스트로크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맞는 기립 보조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의 동작 시 시트 틸팅 모듈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사용자가 시트에 앉아 있으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71)과 고정판(372)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스 실린더(374)가 상기 회전판(371)에 대해 소정의 설치 각도(a)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하기에서 설명될 시트 제어 레버(380: 도 7에 도시)를 당기는 동시에 둔부를 살짝 들어주면, 상기 가스 실린더(374)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면서 도 9a에서 도 9b로 움직이는데, 상기 제2링크(432)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3,4링크(431, 433, 434)가 각각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링크(431)와 연결된 상기 회전판(371)이 상향 이동되는 동시에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며, 사용자의 둔부를 시트가 밀어 올려주는 기립 보조 동작을 하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하기에서 설명될 시트 제어 레버(380: 도 7에 도시)를 당기는 동시에 둔부로 시트에 체중을 실으면, 상기 가스 실린더(374)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면서 도 9b에서 도 9a로 움직이는데, 상기 회전판(371)이 하향 이동되는 동시에 수평한 상태로 원상 복귀되며, 사용자의 둔부를 시트에 안착시킨 상태로 안정적인 착석 보조 동작을 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기립 또는 착석 동작 시에 하기에서 설명될 시트 제어 레버(380: 도 7에 도시)의 당김을 해제하면, 상기 가스 실린더(374)의 특성상 상기 가스 실린더(374)의 길이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립 또는 착석 동작 중에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기립 보조 의자에 적용된 시트 제어 레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시트 제어 레버(3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레버(381)와, 메인 와이어(382)와, 분배 레버(383)와, 한 쌍의 분배 와이어(384, 385)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 레버(381)는 상기 팔걸이부(340, 350: 도 7에 도시) 중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손으로 당길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와이어(382)는 상기 손잡이 레버(381)의 움직임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데,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배 레버(383)는 상기 메인 와이어(382)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중심부가 힌지 연결되며, 상기 고정판(372: 도 8에 도시) 후방에 고정될 수 있으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분배 와이어(384,385)는 한 쌍이 구비되는데, 상기 분배 레버(383)의 힌지를 중심으로 양측과 상기 가스 실린더들(374, 375)의 레버들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레버(381)를 당기면, 상기 손잡이 레버(381)의 움직임이 상기 메인 와이어(382)에 의해 상기 분배 레버(383)에 전달되고, 상기 분배 레버(383)의 힌지를 중심으로 그 양단이 움직이게 되며, 상기 분배 레버(383)의 움직임이 상기 분배 와이어들(384, 385)에 의해 상기 가스 실린더들(374, 375)의 레버에 전달되면, 상기 가스 실린더들(374, 375)의 내부 압축 공간에 소정의 가스 압력이 제공되고, 외부에서 제공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스 실린더들(374,375)의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어 기립 또는 착석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레버(381)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메인 와이어(382)에 의해 상기 분배 레버(383)가 원상태로 복귀하고, 상기 분배 와이어들(384, 385)에 의해 상기 가스 실린더들(374, 375)의 레버도 원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가스 실린더들(374, 375)의 내부 압축 공간 크기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가스 실린더들(374, 375)의 전체 길이도 고정될 수 있어 기립 또는 착석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기립 보조 의자에 적용된 체중측정센서의 장착 구조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중측정센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체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사용자가 앉는 시트(320: 도 7에 도시)가 장착되는 회전판(371: 도 8에 도시)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판(371: 도 8에 도시)은 상판(411, 412)과 중판이 이격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체중측정센서(413)에 의해 상기 상판(411)과 중판(412)이 서로 연결된다.
상세하게, 상기 체중측정센서(413)는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적어도 네 군데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판(412)의 네 군데 모서리 부분에 상기 체중측정센서들(413)이 각각 설치될 수 있는 홀들(412H)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중측정센서(413)는 판 형상의 압전 소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중판(412)의 홀(412H) 둘레에 볼트 체결되는 외주부(413a)와, 상기 외주부(413a) 내측에 절곡 가능한 형태로 상기 상판(411)에 볼트 체결되는 내주부(413b)와, 상기 내주부(413b)가 상기 외주부(413a)에 대해 절곡되는 정도에 따라 전압 변화를 발생시키는 측정부(413c)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물론, 각각의 체중측정센서(413)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 변화를 평균 낸 다음, 그에 따라 체중으로 정확하게 환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시트(320: 도 7에 도시)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들면,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시트(320: 도 7에 도시)와 상판(411)에 모두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상판(411)이 하향 이동됨에 따라 상기 내주부(413b)가 상기 외주부(413a)에 대해 하향 절곡되고, 상기 내주부(413b)가 상기 외주부(413a)에 대해 절곡되는 정도에 따라 전압 변화가 발생되며, 이러한 전압 변화에 따라 체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기립 보조 의자의 동작 시 가스 실린더의 설치 각도에 따른 가스 실린더에 작용하는 응력이 도시된 그래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의 기립 보조 동작 시 가스 실린더의 설치 각도에 따른 가스 실린더의 스트로크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기립 보조 의자에 적용되는 가스 실린더의 설치 각도(a)를 수평면에 대해 하향으로 10° 내지 90°범위 내에서 10°간격으로 변동시키고, 외부 하중 60kg을 작용시켜 본 발명의 기립 보조 의자에 적용되는 회전판의 회전 각도가 수평면에 대해 상향으로 25°목표 각도까지 5초 동안에 걸쳐 왕복 구동시키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볼 수 있다.
상기의 시뮬레이션 결과 가스 실린더에 작용하는 응력 변화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나는데, 사용자가 기립하는 상승 구간에서 가스 실린더에 작용하는 응력이 점차 줄어들고, 사용자가 완전히 일어난 정지 구간에서 가스 실린더에 작용하는 응력이 최저로 줄어들며, 사용자가 착석하는 하강 구간에서 가스 실린더에 작용하는 응력이 점차 늘어난다.
그런데, 가스 실린더의 설치 각도(a)가 10°에서 60°로 커질수록 상승 구간과 하강 구간에 걸쳐 가스 실린더에 작용하는 응력이 전체적으로 줄어드는 반면, 가스 실린더의 설치 각도가 70°로 커지면, 실린더의 설치 각도가 60°인 경우보다 상승 구간의 초기 또는 하강 구간의 말기에 가스 실린더에 작용하는 응력이 오히려 커지게 된다. 또한, 가스 실린더의 설치 각도가 70°에서 90°로 커질수록 상승 구간과 하강 구간에 걸쳐 가스 실린더에 작용하는 응력이 전체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가스 실린더에 작용하는 응력을 고려하면, 가스 실린더의 설치 각도가 20°~60°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시뮬레이션 결과 가스 실린더의 스트로크 변화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나는데, 사용자가 기립하는 상승 구간에서 가스 실린더의 스트로크는 점차 늘어나고, 사용자가 완전히 일어난 정지 구간에서 가스 실린더의 스트로크가 최대로 늘어나며, 사용자가 착석하는 하강 구간에서 가스 실린더의 스트로크가 점차 줄어든다
그런데, 가스 실린더의 설치 각도(a)가 10°에서 70°로 커질수록 가스 실린더의 최대 스트로크가 45mm 이상으로 점차 늘어나는 반면, 실린더의 설치 각도(a)가 90°로 오히려 커지는 경우에 가스 실린더의 스트로크가 오히려 70mm 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가스 실린더의 설치 각도(a)를 10°~90°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설계하기 위하여, 가스 실린더의 스트로크가 45mm 이상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시트틸팅모듈의 기립각도를 조절하는 구성과, 기립보조의자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에 있어 차이가 있다.
도 1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5)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의자 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자 본체(50)에는 복수의 바퀴(610, 62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바퀴(610, 620)에 의해서 상기 의자 본체(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상기 의자 본체(5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시트(seat: 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53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으로써, 소정의 쿠션을 제공하여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530)는 하기에서 설명될 시트 틸팅 모듈(seat tilting module: 80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상기 의자 본체(50)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5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부(540)는 소정의 쿠션을 제공하여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540)는 시트(530)에 대하여 수직 상태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등받이부(540)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서,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자 본체(50)는 사용자의 발을 받치기 위한 발받침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자 본체(50)는 모듈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시트(530)가 장착되는 시트 틸팅 모듈(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시트(530)에 상승력 및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수평 상태의 시트(530)는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에 의해 위로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수평 상태의 시트(530)는,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에 의해 상기 의자 본체(50)의 전방을 향해 상향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530)는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에 의해 전방으로 상향 이동되면서,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530)에 착석한 사용자가 기립하는 방향과 상기 시트(800)가 이동하면서 기울어지는 방향이 일치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쉽게 기립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시트(530)가 전방으로 상향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시 시트(530)를 상기 의자 본체(50)의 후방을 향해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시트(530)는 후방을 향해 하향 이동되는 과정에서, 수평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530)에 사용자가 시트(530)에 착석하는 방향과 시트 틸팅 모듈(800)이 상기 시트(5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이 일치하므로,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상기 시트(530)에 착석할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시트(530)의 전방 및 후방 이동을 조절하는 시트 제어 레버(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제어 레버(73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수평 상태의 상기 시트(530)를 전방 상향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기립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530)에 체중을 실은 뒤, 상기 시트 제어 레버(73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시트 틸팅 모듈(800)은 기립된 상태의 상기 시트(530)를 후방으로 하향 이동시키면서 수평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시트(530)가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되는 기립 각도(가스 실린더의 기립 각도, 도 18의 `α` 참조)를 설정하는 기립각도 조절장치(도 18의 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820)에는 상기 기립각도 조절장치(850)가 설치되기 위한 개구부(도 15의 8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821)는 상기 고정판(82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립각도 조절장치(850)는 상기 개구부(821)를 형성하는 상기 고정판(8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기립각도 조절장치(8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82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립각도 조절장치(850)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고정판(8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립각도 조절장치(850)가 상기 개구부(821)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판(820)에 고정되면,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회전 중심을 낮출 수 있으므로, 보다 컴팩트한 시트 틸팅 모듈(800)의 설계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기립각도 조절장치(850)에 의해 상기 기립 각도(α)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립 각도(α)에 따라 상기 시트(530)에 가해지는 상승력 및 회전력이 조절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에 의해 상기 시트(530)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이하, 수직력)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기립 각도(α)가 90˚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시트(530)에 제공되는 수직력은 커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기립 각도가 0˚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에 가해지는 수직력은 작아질 수 있다. 일례로, 체중이 무거운 사람일수록 상기 기립 각도(α)를 크게 조절함으로써 수직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기립 각도(α)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정된 기립 동작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의자 본체(50)는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이 장착되는 서포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700)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700)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포터(700)가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서포터(7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서포터(7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이 상기 서포터(7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의 유지 보수가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상기 기립 보조 의자(5)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510, 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510, 51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510, 510`)에는 복수의 바퀴(610, 620)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510, 510`)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지지프레임(51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하나의 지지프레임(5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510)은 보조 회전 바퀴(610)가 장착되는 제 1 지지 프레임(511)과, 주 회전 바퀴(620)가 장착되는 제 2 지지 프레임(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회전 바퀴(620)에는 상기 기립 보조 의자(5)의 구동을 위한 동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동력은, 일례로, 모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동력은, 사용자의 힘(인력)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보조 회전 바퀴(610)는 방향을 전환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 회전 바퀴(610)는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5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510)은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512)으로부터 연장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512)을 중심으로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512)의 하측에 상기 주 회전 바퀴(620)가 위치되는 경우, 상기 손잡이(513)는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512)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511) 및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512)을 서로 연결하는 측면 프레임(5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515)은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511) 및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512)의 대략 중심을 연결하는 제 2 측면 프레임(51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프레임(515)은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511) 및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512)을 상측을 연결하는 제 1 측면 프레임(5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516)은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517)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프레임(515)은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511) 및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513)의 하측을 연결하는 제 3 측면 프레임(5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일측의 측면 프레임(515) 및 타측의 측면 프레임(515`)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519) 및 고정 프레임(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519)은 일측의 제 3 측면 프레임(518) 및 타측의 제 3 측면 프레임(518`)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519)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는 연결 프레임은 상기 일측의 측면 프레임(515) 및 타측의 측면 프레임(515`)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520)은 일측의 제 2 측면 프레임(517) 및 타측의 제 2 측면 프레임(517`)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측의 제 2 측면 프레임(517) 및 타측의 제 2 측면 프레임(517`)에는 상기 서포터(700)가 결합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서포터(700)는 일측의 제 2 측면 프레임(517) 및 타측의 제 2 측면 프레임(517`)을 서로 연결 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519)은 상기 서포터(7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519)의 상부면에서는 상기 서포터(700)가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트(530) 착석에 의하여,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 상에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부하의 무게는 상기 연결 프레임(519)에 의해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기립 보조 의자(5)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착용 안정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서포터(7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서포터(700)가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의 바닥면은 상기 연결 프레임(51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연결 프레임(519) 및 고정 프레임(520) 상에는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이 안착되므로, 상기 연결 프레임(519) 및 상기 고정 프레임(520)을 안착부(519, 520)라 이름한다.
도 1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에 적용된 시트 틸팅 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5를 설명하기에 앞서 시트 틸팅 모듈(800)의 방향을 정의한다.
도면에 도시된 시트 틸팅 모듈(800)의 오른쪽은 실제 시트 틸팅 모듈(800)의 전방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시트 틸팅 모듈(800)의 왼쪽은 실제 시트 틸팅 모듈(800)의 후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시트 틸팅 모듈(800)의 위쪽은 실제 시트 틸팅 모듈(800)의 상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시트 틸팅 모듈(800)의 아래쪽은, 실제 시트 틸팅 모듈(800)의 하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시트(530)가 장착되는 회전판(8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810)의 상면에는 상기 시트(5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810)은 일례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810)은 하기에서 설명될 4절 링크(830)에 의해 수평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 상향 이동(또는, 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810)이 기립 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판(810)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810)은, 기립된 상태에서, 상기 4절 링크(830)에 의해 후방을 향해 하향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810)이 후방을 향해 하향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판(810)은 수평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연결 프레임(519)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판(8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820)은 상기 서포터(7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820)은 상기 서포터(7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판(820)는 상기 서포터(7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판(820)에는 상기 4절 링크(83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810)은 상기 고정판(820)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회전판(810) 및 상기 고정판(820)을 연결하는 4절 링크(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절 링크(83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4절 링크(830)는 각각 상기 회전판(810) 및 상기 고정판(820)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4절 링크(830)는 회전 링크인 제 1 링크(831)와, 고정 링크인 제 2 링크(832)와, 상기 제 1, 2 링크(831, 832) 사이에 힌지 연결되는 제 3, 4 링크(833, 8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링크(831)는 상기 회전판(810)의 전단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832)는 상기 고정판(820)의 후단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810)이 수평한 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제 1 링크(831)은 상기 회전판(810)에 대해 하향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832)는 상기 고정판(820)에 대해 상향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링크(831, 832)는 일례로, 단면이 'U'형상인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832)의 상부는 상기 제 1 링크(831)의 중심부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832)의 하부는 상기 제 1 링크(831)의 하부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회전판(810)의 하부 및 고정판(820)의 상부 사이를 힌지 연결하고, 상기 4절 링크(8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가스 실린더(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실린더(840)는 내부의 압축 공간에 소정의 가스 압력이 제공될 수 있는 실린더로써, 상기 제 1 링크(831)의 상부와 상기 제 2 링크(832)의 하부 사이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4절 링크(83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가스 실린더(840)는 상기 회전판(810)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는 실린더 본체(841) 및 상기 실린더 본체(841) 내부에 수용되는 피스톤(8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842)은 상기 기립각도 조절장치(8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실린더(840)는 하기에서 설명될 시트 제어 레버(730: 도 24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하기에서 설명될 시트 제어 레버(730)의 손잡이 레버(732)를 당기면, 상기 가스 실린더(840) 내부의 압축 공간 크기가 소정의 가스 압력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가스 압력보다 작으면, 압축 공간이 늘어남에 따라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난다. 반대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가스 압력보다 크면, 압축 공간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가스 실린더(840) 전체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부하의 무게는 일례로, 상기 시트(530)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레버(732)를 당김 해제하면, 상기 가스 실린더(840) 내부의 압축 공간 크기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가변된 길이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압력은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맞도록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압력의 가스 실린더(840)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설치 각도 및 스트로크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맞는 기립 보조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일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의 동작 시 시트 틸팅 모듈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에 앉아 있으면, 상기 회전판(810) 및 상기 고정판(82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가스 실린더(840)는 상기 고정판(820)에 대해 설정된 기립 각도(α)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레버(732)를 당기는 동시에 둔부를 살짝 들어주면,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면서 상기 가스 실린더(840)는 도 16 에서 도 17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링크(832)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3, 4링크(831, 833, 834)가 각각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링크(831)에 연결된 상기 회전판(810)이 상향 이동되는 동시에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810)은 사용자의 둔부를 시트가 밀어 올려주는 기립 보조 동작을 하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레버(732)를 당기는 동시에 둔부로 시트에 체중을 실으면, 상기 가스 실린더(840)는 전체 길이가 줄어들면서 도 17에서 도 16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판(810)이 하향 이동되는 동시에 수평한 상태로 원상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810)은 사용자의 둔부를 시트에 안착시킨 상태로 안정적인 착석 보조 동작을 제공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기립 또는 착석 동작 시에 상기 손잡이 레버(732)의 당김을 해제하면,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특성상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길이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립 또는 착석 동작 중에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8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립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립각도 조절장치가 적용된 시트 틸팅 모듈의 측면도이고, 도 19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립각도 조절장치를 보여주는 시트 틸팅 모듈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면, 상기 기립각도 조절장치(850)에 의해 상기 가스 실린더(840) 및 상기 고정판(820) 사이의 기립 각도(α)가 설정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립각도 조절장치(850)에 의해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l1`) 및 상기 회전판(8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l1) 사이에는 상기 기립 각도(α)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립각도 조절장치(850)는 상기 고정판(820)에 결합되는 각도조절 케이스(8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각도조절 케이스(851)는 상기 개구부(821)를 형성하는 고정판(8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 케이스(85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821)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 케이스(851)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각도조절 케이스(851)는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 케이스(851)는 상기 고정판(8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각도조절 케이스(851)는 상기 고정판(8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각도조절 케이스(851)는 상기 개구부(821)를 형성하는 상기 고정판(82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도 조절 케이스(851)에는 상기 가스 실린더(840) 및 상기 고정판(820) 사이의 기립 각도(α)를 설정하기 위한 회전개구(852) 및 회전홀(8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립 각도(α)가 가변 되도록, 상기 회전개구(854)는 상기 고정판(820)에 형성된 가상의 연장선(l1)에 대하여 교차 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개구(854)에는 제 1 회전 중심이 되는 제 1 회전축(860)이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홀(853)에는 제 2 회전 중심이 되는 제 2 회전축(867)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 중심 및 상기 제 2 회전 중심으로 상기 기립 각도(α)가 설정되는 더욱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상기 기립각도 조절장치(850)는 상기 가스 실린더(840)에 결합되는 제 1 회전부재(8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부재(854)에는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실린더 본체(841) 또는 피스톤(842)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피스톤(842)이 상기 제 1 회전부재(854)에 결합되면, 상기 실린더 본체(841)는 상기 회전판(8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실린더 본체(841)가 상기 제 1 회전부재(854)에 결합되면, 상기 피스톤(842)은 상기 회전판(8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부재(854)에는 상기 제 1 회전축(860)이 관통되는 제 1 관통홀(85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854a)은 상기 제 1 회전부재(854)의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부재(854) 및 상기 가스 실린더(840)는 상기 제 1 관통홀(854a)에 삽입되는 제 1 회전축(860)을 제 1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기립각도 조절장치(850)는 상기 제 1 회전부재(854) 및 상기 각도 조절 케이스(851)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회전부재(8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부재(855)에는 상기 제 1 회전축(860)이 관통되는 제 2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관통홀(미도시)은 상기 제 2 회전부재(855)의 일면과, 상기 일면을 마주보는 타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축(860)은 상기 제 1 관통홀(854a) 및 상기 제 2 관통홀(미도시)에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축(860)은 볼트(861) 및 너트(862)를 포함하여 회전에 대한 지지축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부재(855)는 상기 제 1 회전부재(854) 및 상기 기립 각도(α)를 조절하기 위한 기립각도 조절레버(868)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회전부재(855)에는 상기 기립각도 조절레버(868)에 결합된 제 2 회전축(867)이 관통되는 제 3 관통홀(855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관통홀(855b)은 상기 제 2 회전부재(855)의 일면과, 상기 일면을 마주보는 타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축(867)은 상기 회전홀(853) 및 상기 제 3 관통홀(855b)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회전축(867)이 상기 기립각도 조절레버(868)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제 2 회전 부재(855) 및 상기 제 1 회전부재(854)는 상기 제 2 회전축(867)을 제 2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회전축(867)이 제 1 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2 회전부재(855) 및 상기 제 1 회전부재(854)는 상기 제 2 회전축(867)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부재(854) 및 상기 제 1 회전축(860)은 상기 회전개구(852)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립 각도(α)는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2 회전축(867)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ccw,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2 회전부재(855) 및 상기 제 1 회전부재(854)는 상기 제 2 회전축(867)을 중심으로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부재(854) 및 제 1 회전축(860)은 상기 회전개구(852)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립 각도(α)는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상기 제 2 회전중심 회전으로 설정되는 기립 각도(α)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개구(852)에는 복수의 걸림홈(852a, 852b, 85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홈(852a, 852b, 852c) 각각은 상기 회전개구(852)에서 하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홈(852a, 852b, 852c)는 상기 회전개구(852)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 2 걸림홈(852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걸림홈(852a, 852b, 852c)는 상기 회전개구(852)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걸림홈(85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홈(852a)은 상기 제 2 걸림홈(852b) 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홈(852a, 852b, 852c)는 상기 회전개구(852)의 하측에 형성된 제 3 걸림홈(85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걸림홈(852c)은 상기 제 2 걸림홈(852b)보다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립각도 조절레버(868) 조작에 의해 상기 가스 실린더(840), 상기 제 1 회전부재(854), 상기 제 2 회전부재(855)는 상기 제 2 회전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부재(854) 및 상기 제 2 회전부재(855)를 관통하는 제 1 회전축(860)은 상기 회전개구(852)를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축(860)은 상기 복수의 걸림홈(852a, 852b, 852c)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홈(852a, 852b, 852c)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 1 회전축(860)이 걸림되면, 상기 기립 각도(α)는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 1 회전축(860)이 상기 제 3 걸림홈(852c)에 걸림되어 형성되는 기립 각도(α)를 제 1 설정각도(d1)이라 한다. 상기 제 1 회전축(860)이 상기 제 2 걸림홈(852b)에 걸림되어 형성되는 기립 각도(α)를 제 2 설정각도(d2)이라 한다. 상기 제 1 회전축(860)이 상기 제 1 걸림홈(852a)에 걸림되어 형성되는 기립 각도(α)를 제 3 설정각도(d3)이라 한다.
상기 제 1 설정각도(d1)은 상기 제 2 설정각도(d2)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설정각도(d2)는 상기 제 3 설정각도(d3)보다 클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회전 중심을 이용하여 상기 기립 각도(α)를 수동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 2 회전 중심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각도(일례로, 제 1 내지 제 3 설정각도)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기립 각도(α)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본인의 체중에 적합한 기립 각도(α)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기립 각도(α)는 상기 걸림홈에 맞춰져서 위치가 미리 설정된 값으로 고정된다.
도 2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변화에 따른 가스 실린더의 수직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을 설명하기 앞서, 도 20에 도시된 그래프의 구성을 설명한다.
X축은 가스 실린더(840)의 스트로크 변화를 의미한다.
Y축은 가스 실린더(840)에 가해지는 수직력을 의미한다.
마름모 그래프는 상기 회전판(810)에 설정무게가 가해지는 경우, 제 1 설정각도(d1)에서 가스 실린더(840)의 스트로크 변화에 따른 수직력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사각형 그래프는 상기 회전판(810)에 설정무게가 가해지는 경우, 제 2 설정각도(d2)에서 가스 실린더(840)의 스트로크 변화에 따른 수직력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원 그래프는 상기 회전판(810)에 설정무게가 가해지는 경우, 제 3 설정각도(d3)에서 가스 실린더(840)의 스트로크 변화에 따른 수직력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 도 17 및 도 20을 참조하면, X축 값이 S1일 때 각각의 그래프는 가스 실린더(840)이 연장된 상태를 의미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X축 값이 S1일 때 상기 회전판(810)은 전방을 향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기립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S1은 스트로크 변화가 없는 디폴트(default)값으로 '0'일 수 있다.
한편, X축 값이 S11일 때 각각의 그래프는 상기 회전판(810)에 가해지는 부하로 인하여 상기 가스 실린더(840)이 압축된 상태를 의미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X축 값이 S11일 때 상기 회전판(810)은 수평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시트(530)에 착석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기립 각도(α)가 클수록 상기 회전판(810)(또는, 시트(530)) 에 가해지는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수직력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립 각도(α)가 제 1 설정 각도(d1)인 경우,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수직력의 크기가 가장 크다. 그리고 상기 기립 각도(α)가 제 2 설정 각도(d2), 및 제 3 설정각도(d3)로 갈수록 수직력의 크기가 점점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기립 각도(α)가 제 1 설정 각도(d1)일 경우, 상기 회전판(810) 또는 상기 시트(530)에 가해지는 상승력은 다른 설정 각도(d2, d3)일 때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립 각도(α)가 점점 작아지면서 상기 회전판(810) 및 상기 시트(530)에 가해지는 상승력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중이 무거울수록 상기 기립 각도(α)를 증가시켜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수직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기립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체중이 가벼울수록 상기 기립 각도(α)를 감소시켜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수직력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기립할 수 있다. 정리하면,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상기 기립 각도(α)가 조절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더욱 안정적인 기립 보조 동작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 및 기립 보조 의자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기립 보조 의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 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서포터(7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서포터 본체(7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본체(701)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포터 본체(701)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본체(701) 상에는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이 안착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서포터 본체(70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700)는 상기 서포터 본체(701)를 상기 기립 보조 의자(50)에 끼움 결합시키는 서포터 고정부재(7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고정부재(702)는 대략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5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고정부재(702)에 의해 상기 서포터 본체(701)가 상기 고정 프레임(5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의자 본체(50)에 쉽게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을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터 고정부재(702)가 상기 고정 프레임(5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 프레임(520)이 생략되고, 상기 서포터 고정부재(702)가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517)에 끼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서포터(700)는 상기 서포터 고정부재(702)의 끼움 결합을 선택적으로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할 수 있는 잠금장치(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고정부재(702)는 상기 고정 프레임(52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장치(71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충격 또는 인력으로 인하여 상기 서포터 고정부재(702)의 끼움 결합이 해제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710)는 구속된 상태의 상기 서포터 고정부재(702)의 끼움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누름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710)는 상기 누름부(713)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장치 하우징(7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713)가 눌리게 되면, 상기 누름부(713)는 상기 장치 하우징(711) 내부에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71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포터 고정부재(702)의 끼움 결합이 해제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710)는 상기 장치 하우징(711)을 상기 서포터 본체(701)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고정부(7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고정부(712)는 상기 서포터 본체(701) 및 상기 장치 하우징(711) 중 적어도 하나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치 고정부(712)는 상기 장치 하우징(711) 및 상기 서포터 본체(701)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트 틸팅 모듈이 기립 보조 의자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기립 보조 의자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에서, 시트 틸팅 모듈이 기립 보조 의자에서 분리되도록 잠금장치의 누름부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누름부(713)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장치 하우징(71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누름부(713)의 단면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누름부(713)는 눌림될 경우, 후술되는 잠금부(715)의 적어도 일면에 슬라이딩되는 누름부 접촉면(7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715)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상기 잠금장치(710)는 상기 누름부(713)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는 잠금부(7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715)는 하방으로 점차 면적이 좁아지도록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잠금부(715)의 단면은 대략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713)가 눌림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잠금부(715)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누름부(713)가 눌림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잠금부(715)는 상기 장치 하우징(711)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520)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부(715)에는 상기 누름부(713)가 삽입될 수 있는 잠금부 홈(7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 홈(716)에는 상기 누름부 접촉면(714)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잠금부 제 1 접촉면(7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 제 1 접촉면(717)은 누름부 접촉면(714)에 접촉되기 위하여, 상기 누름면 접촉면(714)이 경사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누름부(713)가 눌려지면, 상기 누름부(713)는 하강(도면 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 접촉면(714)가 상기 잠금부 제 1 접촉면(717)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잠금부(715)는 후방(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713)가 최대로 눌림되면 상기 잠금부(715)는 상기 장치 하우징(711)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포터 고정부재(702) 및 상기 고정 프레임(520) 간의 끼움결합이 결합해제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장치(710)의 잠금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715)는 상기 고정 프레임(520) 및 상기 서포터 본체(701)를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잠금부 제 2 접촉면(7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잠금부(715)에 상기 고정 프레임(520)이 끼움 될 때, 상기 고정 프레임(520)은 상기 잠금부 제 2 접촉면(719)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서포터 고정부재(70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프레임(520)이 상기 잠금부 제 2 접촉면(719)에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부(715)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710)는, 위치가 가변된 잠금부(715)를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7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18)는 상기 잠금부(715) 및 상기 장치 하우징(7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715)의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718)에는 복원력이 축적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례로,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누름부(713)의 눌림에 의해 상기 잠금부(715)가 상기 장치 하우징(711)의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잠금부(715)는 상기 탄성부재(718)를 압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18)에는 복원력이 축적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713)의 누르는 힘이 차단되면, 상기 탄성부재(718)에 축적된 복원력이 상기 잠금부(715)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715)는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715)가 상기 장치 하우징(711)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 하우징(711) 내부에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 프레임(520)이 상기 잠금부 제 2 접촉면(719)에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부(715)는 상기 장치 하우징(711)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715)는 상기 탄성부재(718)를 압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18)에는 복원력이 축적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520)에 상기 서포터 고정부재(702)가 끼움 결합되면 상기 잠금부(715)에 가해지는 외력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715)는 상기 탄성부재(718)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시트틸팅모듈(800)이 상기 고정 프레임(5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의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휠체어는, 보관 또는 운반 시에 접어서, 보관 또는 운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휠체어로부터 시트틸팅모듈(800)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휠체어를 접어서 보관 또는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시트틸팅모듈(800)이 상기 휠체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휠체어는 보관 및 운반에 있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2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에 구비되는 복수의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기립 보조 의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트 제어 레버를 보여주는 기립 보조 의자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2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에 적용된 높이 조절 레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내지 3 측면 프레임(516, 517, 518)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의 가스 실린더(840)의 길이를 조작할 수 있는 시트 제어 레버(730)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시트 제어 레버(730)는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517)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 제어 레버(730)는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길이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 레버(7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레버(732)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레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레버(732)는 사용자의 손으로 당길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 제어 레버(730)는 상기 손잡이 레버(732)가 수용되는 시트 레버 케이스(7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레버 케이스(731)는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517)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 레버 케이스(731)는 상기 제 1 내지 3 측면 프레임(516, 517, 518)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상기 시트 레버 케이스(731)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좌수인 경우, 상기 시트 레버 케이스(731)를 상기 의자 본체의 좌측에 위치한 프레임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시트 제어 레버(730)는 상기 손잡이 레버(732) 및 상기 가스 실린더(840)를 연결하는 와이어(7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733)는 상기 손잡이 레버(732)의 움직임을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레버(734)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733)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레버(732)를 당기면, 상기 손잡이 레버(732)를 당기는 힘이 상기 와이어(733)에 의해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레버(734)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레버(734)에 상기 손잡이 레버(732)를 당기는 힘이 전달되면,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내부 압축 공간에 소정의 가스 압력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에서 제공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사용자의 기립 또는 착석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레버(732)의 당김을 중단하면, 상기 와이어(733)에 의해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레버(734)는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내부 압축 공간 크기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전체 길이는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의 기립 또는 착석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 제어 레버(730)는 상기 바퀴(60)의 움직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조절 장치(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조절 장치(7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바퀴(60)의 움직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레버(742)와, 상기 브레이크 레버(742)가 수용되는 브레이크 레버 케이스(7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레버 케이스(741)는 일례로,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517)에 설치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이하에서는 제 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 비교하여, 의자 본체에 시트 틸팅 모듈이 장착되는 구조에 차이가 있음을 미리 밝힌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2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면에서 바라본 기립 보조 의자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2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측면에서 바라본 기립 보조 의자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29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의자 본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5)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의자 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상기 기립 보조 의자(5)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510, 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510)은 제 1 지지 프레임(511, 511`)과, 상기 제 1 프레임(511, 511`)로부터 이격되는 제 2 지지 프레임(512, 512`)과, 손잡이(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511) 및 제 2 지지 프레임(512)을 연결하는 측면 프레임(5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프레임(515)은,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511) 및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512)의 상측부, 중심부, 하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 1 측면 프레임(516)과, 제 2 측면 프레임(517)과, 제 3 측면 프레임(5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자 본체(50)는 일측의 측면프레임(515) 및 타측의 측면 프레임(515`) 사이에 배치되는 안착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50) 상에는 사용자의 안착을 위한 시트(미도시)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및 상기 안착부(550)의 사이에는 상기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의 기립 및 착석을 보조하는 시트 틸팅 모듈(8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상기 안착부(550)는 상기 일측의 측면프레임(515) 및 타측의 측면프레임(515`)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고정프레임(5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551)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프레임(551)은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517) 및 상기 3 측면 프레임(518)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복수의 고정프레임(551)은 제 1 내지 제 4 고정프레임(552, 553, 554, 5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프레임(552) 및 제 2 고정프레임(553)은 한 쌍의 제 2 측면프레임(517, 517`)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고정프레임(554) 및 상기 제 4 고정프레임(555)은 한 쌍의 제 3 측면프레임(518, 518`)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50)는 상기 제 3 고정프레임(554) 및 제 4 고정프레임(555)을 상기 한 쌍의 제 3 측면프레임(518, 518`) 각각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5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50)는 상기 복수의 고정프레임(552 내지 554)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5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561)은 대략 `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프레임(561)은 일프레임 및 타프레임이 서로 교차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프레임 및 타프레임의 서로 교차되는 내측면이 힌지 결합되어 접히거나(fold), 또는 펼쳐질(unfold)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프레임(561)의 일프레임 및 타프레임이 접히는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561)은 대략 'I'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의자본체(50)는 접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기립 보조 의자(5)를 보다 쉽게 운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연결프레임(561)의 일프레임 및 타프레임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561)은 대략 'X'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의자본체(50)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펼쳐지는 것(또는,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56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프레임(561)은 제 1 연결프레임(562) 및 제 2 연결프레임(5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프레임(562)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552) 및 제 4 고정프레임(555)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프레임(563)은 제 2 고정프레임(553) 및 제 3 고정프레임(554)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프레임(562) 및 제 2 연결프레임(563)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연결프레임(562) 및 상기 제 2 연결프레임(563)은 상기 한 쌍의 제 2 측면프레임(517, 517`)의 전후방향(또는, 한 쌍의 제 2 측면프레임(517, 517`)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50)는 상기 제 1 연결프레임(562) 및 제 2 연결프레임(563)를 서로 연결시키는 보조프레임(5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571)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조 프레임(571)은 제 1 보조프레임(572) 및 상기 제 1 보조프레임(572)에 이격되는 제 2 보조프레임(5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보조프레임(572, 573) 상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및 상기 제 1, 2 보조프레임(572, 573) 사이에는 상기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의 기립을 보조하는 시트 틸팅 모듈(8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제 1, 2 보조프레임(572, 573)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기립 보조 의자(5)에 대한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의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므로,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에 대한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도 3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시트틸팅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시트가 장착되는 회전판(810)과, 상기 안착부(550) 상에 위치되는 고정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절 링크(830)는 회전 링크인 제 1 링크(831)와, 고정 링크인 제 2 링크(832)와, 상기 제 1, 2 링크(831, 832) 사이에 힌지 연결되는 제 3, 4 링크(833, 8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회전판(810)의 하부 및 고정판(820)의 상부 사이를 힌지 연결하고, 상기 4절 링크(8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가스 실린더(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실린더(840)는 상기 제 1 링크(831)의 상부와 상기 제 2 링크(832)의 하부 사이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4절 링크(83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가스 실린더(840)는 상기 회전판(810)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는 실린더 본체(841) 및 상기 실린더 본체(841) 내부에 수용되는 피스톤(8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실린더(840)는 하기에서 설명될 시트 제어 레버(730: 도 24에 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하기에서 설명될 시트 제어 레버(730)의 손잡이 레버(732)를 당기면, 상기 가스 실린더(840) 내부의 압축 공간 크기가 소정의 가스 압력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레버(732)를 당김 해제하면, 상기 가스 실린더(840) 내부의 압축 공간 크기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 실린더(840)의 가변된 길이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의 하부에는, 상기 안착부(550)에 장착 및 고정되기 위한 하부 잠금장치(75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잠금장치(750)는 상기 고정판(8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잠금장치(750)는 상기 안착부(550)에 장착된 상기 고정판(820)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또는, 구속)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잠금장치(7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 하우징(7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하우징(751)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일면이 개구된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장치 하우징(751) 각각은 상기 한 쌍의 4절링크(83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하우징(751)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상기 장치 하우징(751)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장치 하우징(751)은 상기 보조프레임(571)이 장착(또는, 삽입)될 수 있는 장착개구(7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개구(753)는 상기 보조프레임(571)을 장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571)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또는, 상기 장치 하우징(751)의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잠금장치(750)는 상기 장착개구(75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회전기구(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76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개구(753)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760)는 상기 장치 하우징(751)의 일 지점을 중심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기구(760)는 제 1 돌기(751a)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잠금장치(750)는 복수 개로 구비된 회전기구(76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752)에 의해 복수 개로 구비되는 회전기구(760)는 함께 연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 개로 구비된 회전기구(760) 중 어느 하나가 시계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752)에 의해 나머지 회전기구(760)도 시계방향으로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잠금장치(750)는 상기 회전기구(760)의 가변된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7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기구(760) 및 상기 장치 하우징(751)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54)는 일례로, 인장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기구(760)가 제 1 방향(상기 장착개구(753)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탄성부재(754)에는 복원력이 축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기구(760)에 제공되는 외력이 차단되면, 상기 회전기구(760)는 상기 복원력에 의해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상기 장착개구(753)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760)는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장치 하우징(751)의 바깥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장치 하우징(75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기구(76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탄성부재(75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기구(760)는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부재(754)가 생략되고, 일방향으로 회전한 상기 회전기구(760)는 자중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회전기구(760)가 상기 장착개구(753)에 장착 완료되면, 상기 회전기구(760)는 자중에 의해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회전기구(760)가 상기 장착개구(753)에서 분리되면, 제1방향으로 회전된 회전기구(760)는 자중에 의해 제2방향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장착개구(753)에 상기 보조프레임(571)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765)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장착개구(753)는 상기 잠금부(765)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잠금장치(750)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571)이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잠금부(765)가 상기 탄성부재(754)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장착개구(753)는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개구(753)에 장착된 상기 보조프레임(571)은 상기 장착개구(753)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31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시트 틸팅 모듈의 하부 잠금장치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32는 도 31에서 잠금이 해제된 하부 잠금장치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 하우징(751)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1 돌기(75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돌기(751a)는 상기 회전기구(760)의 일지점을 관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돌기(751a)는 상기 회전기구(76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76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 본체(761)는 상기 탄성부재(754)의 일측이 고정되는 제 2 돌기(75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돌기(751b)는 상기 장치 하우징(75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760)는 외관을 형성하는 회전기구 본체(7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 본체(761)는 상기 제 1 돌기(751a)가 관통 삽입되는 상기 홀(7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762)은 일례로, 상기 회전기구 본체(761)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 본체(761)는 상기 제 1 돌기(75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 본체(761)는 상기 탄성부재(754)의 타측을 고정하는 잠금부 돌기(7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54)의 일측이 상기 장치 하우징(75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기구 본체(761)에 고정되므로, 상기 회전기구 본체(761)는 상기 탄성부재(754)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 본체(761)는 상기 장착개구(75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잠금부(7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765)는 상기 회전기구 본체(761)로부터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765)는 상기 회전기구 본체(761)의 중심부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잠금부(765)는 상기 장착개구(753)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765)는 내면을 형성하는 잠금부 제 1 면(765a) 및 외면을 형성하는 잠금부 제 2 면(76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 제 1 면(765a) 및 잠금부 제 2 면(765b)는 상기 장착개구(753) 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하부 잠금장치(750)의 회전기구(760)는 상기 장착개구(753)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예들 들면,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기구(760)는 제 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개구(753)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개구(753)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571)이 장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외력이 차단되면,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기구(760)는 제 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개구(753)는 상기 회전기구(76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개구(753) 및 상기 회전기구(760) 사이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751)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에 상기 보조 프레임(571)이 장착될 경우, 상기 보조 프레임(751)은 상기 잠금부(765)에 의해 상기 장착개구(753)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장착개구(753) 및 상기 회전기구(760)에 의해 상기 보조 프레임(571)은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시트 틸팅 모듈이 기립 보조 의자에 장착 및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3 내지 도 35는 시트 틸팅 모듈이 기립 보조 의자에 장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기립 보조 의자(50)의 안착부(55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의 하부 잠금장치(750)는 상기 안착부(550)의 보조 프레임(571)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잠금장치(750)이 상기 안착부(55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잠금장치(750)의 잠금부(765)는 상기 보조 프레임(571)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잠금부 제 2 면(765b)은 상기 보조 프레임(765b)에 접촉되면서 상기 장치 하우징(751)의 외측을 향해 슬라이딩 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잠금부(765)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개구(753)가 개방되어, 상기 보조 프레임(571)은 상기 장착개구(753)에 장착(또는,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571)이 상기 장착개구(753)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도 32의 754 참조)에는 복원력이 축적될 수 있다.
상기 장착개구(753)에 상기 보조 프레임(571)이 장착 완료되면, 상기 잠금부(765)에는 상기 탄성부재(754)의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765)는 상기 복원력에 의해 제 2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프레임(571)의 장착완료 되는 것은, 상기 보조 프레임(571)이 상기 장착개구(753)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부 제 2 면(765b)에 상기 보조 프레임(571)이 더 이상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 제 1 면(765a)이 상기 보조 프레임(571)의 외주면에 접촉될 때, 상기 잠금부(765)의 제 2 방향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프레임(571)은 상기 잠금부(765) 및 상기 장착개구(75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36은 시트 틸팅 모듈이 기립 보조 의자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상시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기립 보조 의자(50)의 안착부(5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상측(중력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572)에 힘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572)는 상기 장치 하우징(751)의 내측(제 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765)는 상기 장치 하우징(751)의 외측(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장착개구(753)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시트틸팅모듈(800)을 들어올리는 단일의 동작으로 상기 시트틸링모듈(800)의 잠금수단(하부 잠금장치(750))의 잠금해제 및 시트틸팅모듈(800)의 분리작용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상기 연결부재(572)가 상기 장치 하우징(751)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누르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572)는 상기 장치 하우징(751)의 내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잠금부(765)는 상기 장치 하우징(751)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개구(753)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개구(753)가 개방되면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의 하부 잠금장치(750)는 상기 안착부(550)의 보조 프레임(57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따르면 사용자가 힘을 주는 방향은 일차적으로는 상기 장치 하우징(751)의 내측으로, 그 이후에는 상측으로 가하는 힘의 방향만을 변경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트틸링모듈(800)의 잠금수단의 잠금해제 및 상기 시트틸팅모듈(800)의 분리작용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힘의 방향 변화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미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이 상기 안착부(55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도 32의 754 참조)에는 복원력이 축적될 수 있다. 상기 장착개구(753)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571)이 분리 완료되면(또는, 이탈되면) 상기 잠금부(765)에는 상기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765)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프레임(571)이 분리 완료되는 것은, 상기 보조 프레임(571)이 상기 장착개구(753)에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잠금부 제 1 면(765a)에 상기 보조 프레임(571)이 더 이상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
이하에서는 제 5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리클라이닝 의자에 시트 틸팅 모듈이 적용되는 데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37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제 5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 의자(9)는 다리부(910)와, 시트(920)와, 등받이부(930)와, 한 쌍의 팔걸이부(940, 950)와, 시트 틸팅 모듈(800)와, 시트 제어 레버(7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의자(9)는 시트(920)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부(930)를 회전시키는 등받이 회전모듈(미도시)과, 상기 등받이 회전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등받이 회전모듈 제어레버(9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910)는 상기 시트(920)를 하측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대략 수평 형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910)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상기 시트(920)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910)의 상측에 시트 틸팅 모듈(8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92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으로써, 소정의 쿠션을 제공하여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트(920)는 시트 틸팅 모듈(800)의 회전판(810, 도 15에 도시)에 의해 기립되어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고, 시트 제어 레버(미도시)에 의해 그 기립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930)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구비되는데, 마찬가지로 소정의 쿠션을 제공하여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930)는 상기 다리부(910) 상측에 수직 상태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되는데,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의 고정판(820, 도 15에 도시)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회전모듈(미도시)에 의해, 상기 시트(920)에 대한 등받이부(930)의 전개각도는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전개각도는 상기 시트(920)의 일면 및 상기 시트(920)에 인접한 상기 등받이부(930)의 일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930)의 전개각도는 상기 등받이 각도조절레버(980)에 의해 단계적 또는 무단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각도조절레버(980)가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930)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전개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 각도조절레버(960)가 초기위치(당겨지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등받이부(930)는 상기 전개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팔걸이부(940, 950)는 사용자의 손과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시트(920)의 양측에 우측 팔걸이부(940) 및 좌측 팔걸이부(950)로 구성되며, 하기에서 설명될 시트 틸팅 모듈(8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측 팔걸이부(940)의 전면에는 하기에서 설명될 시트 제어 레버(730)의 손잡이 레버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클라이닝 의자(9)는 다리 받침대(960)와, 다리 받침대 제어 레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 받침대(960)는 사용자가 다리를 올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마찬가지로 소정의 쿠션을 제공하여 편안하게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리 받침대(960)는 상기 시트(920) 전방에 수직 방향으로 하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클라이닝 의자(9)에 별도의 다리 받침대 회전 모듈(미도시)이 장착됨에 따라 수평 방향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다리 받침대 제어 레버에 의해 그 기립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다리 받침대 제어 레버(미도시)는 상기 다리 받침대(960)의 기립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데, 마찬가지로 상기 좌측 팔걸이부(950)에 일부 손잡이 레버가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리 받침대 제어 레버는 별도의 다리 받침대 회전 모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일종의 모듈 형태로써, 상기 다리부(910)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시트(920)와 등받이부(930) 및 다리 받침대를 장착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존의 의자 구성에 적용하여 손쉽게 시트(920)를 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기립 보조 의자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은 상기 시트 제어 레버(730)에 의해 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제어 레버(730)는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의 기립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우측 팔걸이부(940)에는 상기 시트 제어 레버(730)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시트 제어 레버(730)는 상기 시트 틸팅 모듈(800)의 가스 실린더(840: 도 15에 도시)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
    상기 시트가 장착되는 의자 본체;
    상기 의자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는 안착부; 및
    상기 시트 및 상기 안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를 기립시켜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구동하는 시트틸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틸팅모듈은 상기 안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기립보조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잠금장치는,
    상기 안착부가 삽입될 수 있는 장착개구가 형성된 장치 하우징과,
    상기 장착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착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회전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틸팅모듈이 상기 안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안착부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장착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개구 및 상기 회전기구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장착개구 각각에는 상기 회전기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의자.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회전기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복수의 회전기구는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시트틸팅모듈를 지지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연결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하부 잠금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 또는 구속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의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한 쌍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은 서로 교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의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틸팅 모듈은,
    상기 시트의 하부에 부착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하측에 수평하게 위치된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과 고정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이 상기 고정판에 대해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도록 연동시키는 4절 링크를 포함하는 기립 보조 의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잠금장치는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의자.
  9.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
    상기 시트가 장착되는 의자 본체;
    상기 시트를 기립시켜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구동하는 시트틸팅모듈;
    상기 의자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시트틸팅모듈을 지지하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안착부; 및
    상기 시트틸팅모듈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잠금장치는,
    상기 연결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장착개구가 형성된 장치 하우징과,
    상기 장착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착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복수의 회전기구와,
    상기 복수의 회전기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중력방향과 반대되는 힘이 제공되면,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장착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의자.
  10. 적어도 상측으로 이동하는 외력을 받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가 지지되어 상기 외력을 소정의 중심점의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회전기구;
    상기 회전기구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기구의 회전동작에 의해서 잠금이 해제되는 하부 잠금장치; 및
    상기 회전기구와 상기 중심점을 공유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하부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외력에 의해서 분리되는 시트틸팅모듈을 포함하는 기립 보조 의자.
KR1020170162142A 2017-11-29 2017-11-29 기립 보조 의자 KR102130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42A KR102130551B1 (ko) 2017-11-29 2017-11-29 기립 보조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42A KR102130551B1 (ko) 2017-11-29 2017-11-29 기립 보조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218A true KR20190063218A (ko) 2019-06-07
KR102130551B1 KR102130551B1 (ko) 2020-07-06

Family

ID=6684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142A KR102130551B1 (ko) 2017-11-29 2017-11-29 기립 보조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356B1 (ko) * 2021-07-27 2022-12-0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의자의 기립 보조장치
KR102526600B1 (ko) * 2022-12-22 2023-04-27 주식회사 에이블라이크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670A (ko) * 2005-10-14 2008-07-16 료비 가부시키가이샤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JP2014030700A (ja) * 2012-07-10 2014-02-20 Sakai Medical Co Ltd 入浴用車椅子
EP2898866A1 (en) * 2014-01-22 2015-07-29 Karma Medical Products Co., Ltd. Seat mechanism of electric wheelchair
KR20160015424A (ko) *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KR101721864B1 (ko) * 2015-10-21 2017-04-03 근로복지공단 착탈식 액츄에이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동 기립형 휠체어
JP2017185204A (ja) * 2016-04-05 2017-10-12 キョウワアグメント株式会社 起立補助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670A (ko) * 2005-10-14 2008-07-16 료비 가부시키가이샤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JP2014030700A (ja) * 2012-07-10 2014-02-20 Sakai Medical Co Ltd 入浴用車椅子
EP2898866A1 (en) * 2014-01-22 2015-07-29 Karma Medical Products Co., Ltd. Seat mechanism of electric wheelchair
KR20160015424A (ko) *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KR101721864B1 (ko) * 2015-10-21 2017-04-03 근로복지공단 착탈식 액츄에이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동 기립형 휠체어
JP2017185204A (ja) * 2016-04-05 2017-10-12 キョウワアグメント株式会社 起立補助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356B1 (ko) * 2021-07-27 2022-12-0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의자의 기립 보조장치
KR102526600B1 (ko) * 2022-12-22 2023-04-27 주식회사 에이블라이크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551B1 (ko)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8195B2 (en) Adjustable seat and leaning apparatus
EP3508095A1 (en) Chair structure and chair
TW201941717A (zh) 提升機構及椅
JP6542809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機構、調節可能な座席アセンブリ及び方法
KR20180038180A (ko) 다리 받침 겸용 의자
JP6923982B2 (ja) 起立補助椅子及び車椅子
JP2021519672A (ja) 押し上げ機構と椅子
JP5508507B2 (ja) マッサージ機
KR20190063218A (ko) 기립 보조 의자
KR101920805B1 (ko) 기립 보조 의자
US9427371B1 (en) Reclining traction chair
US11497315B2 (en) Chair for fitness exercise
KR20130007300U (ko) 다리받침대를 구비한 사무용 의자
WO2018134554A1 (en) Powered seat and related seating improvements
EP2465384B1 (en) An armchair convertible into a chaise longue
US10500112B1 (en) Dynamic support system for a chair to provide a user multiple supported positions
WO2016165021A1 (en) Kneeling wheelchair frame
JP5067806B2 (ja) リクライニング可能な車椅子
KR20180038176A (ko) 기립 보조 의자
WO2001013768A1 (fr) Dispositif de support de la taille utilise en position debout
JP7084599B2 (ja) 着座起立補助装置および着座起立補助機能を有する椅子
JP7035195B2 (ja) 起立補助椅子
KR20180021598A (ko) 의자형 기립 보조기
JP3236464U (ja) 着座起立補助椅子
JP3219802U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