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598A - 의자형 기립 보조기 - Google Patents

의자형 기립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598A
KR20180021598A KR1020160106369A KR20160106369A KR20180021598A KR 20180021598 A KR20180021598 A KR 20180021598A KR 1020160106369 A KR1020160106369 A KR 1020160106369A KR 20160106369 A KR20160106369 A KR 20160106369A KR 20180021598 A KR20180021598 A KR 2018002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user
spring
rotating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8104B1 (ko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김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근 filed Critical 김용근
Priority to KR102016010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10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Lower body, e.g. pelvis,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 공급 없이 사용자의 팔 힘만으로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seat)가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안전하고 쉽게 일어서도록 보조하는 의자형 기립 보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의자형 기립 보조기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base),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seat)를 지지하는 것으로,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아져 기울어진 자세가 되도록 회전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된 회전 프레임, 및 회전 프레임이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로 유지되도록 회전 프레임의 회전을 잠그고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에만 회전 프레임의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 유닛(locking unit)을 구비한다. 록킹 유닛은, 베이스에 설치되는 것으로,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후크(hook)와, 회전 프레임에 마련되는 것으로, 회전 프레임이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이고 후크가 잠금 위치인 경우에 후크에 걸리는 후크 리시버(hook receiver)와, 후크를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중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시트에 자신의 엉덩이를 지지하고 앉았을 때 자신의 손으로 조작할 수 있게 배치된 레버(lever)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의자형 기립 보조기{Chair typed device to assist standing up}
본 발명은 노인이나 장애인이 앉은 자세일 때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립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기력이 약한 고령자가 앉은 자세로부터 스스로 일어나지 못하거나 무리하게 일어나다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막기 위하여, 보호자가 없는 경우에도 노약자가 혼자서 앉은 자세로부터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립 보조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립 보조기는 사고로 인해 일시적으로 몸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환자, 또는 장애인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기립 보조기는, 사용자가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유형과,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유형으로 구분된다. 근래에는 혼자 기립하기 힘들 정도의 노약자, 환자, 또는 장애인은 바닥에 앉는 생활을 거의 하지 않고 의자에 앉는 생활을 하고 있으므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수 있게 보조하는 기립 보조기가 더욱 필요하다.
종래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수 있게 보조하는 기립 보조기는, 등받이가 기울어지거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seat)가 올려지는 동작을 통해 기립을 보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자형 기립 보조기는 등받이나 시트를 움직이기 위한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와 무게가 커서 편의성이 떨어지고 휴대나 운반이 용이하지 않으며, 전기 공급 라인이 없는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8800호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 공급 없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seat)의 앞부분을 회전 축으로 하여 뒷부분을 올려 상기 시트가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안전하고 쉽게 일어서도록 보조하는 의자형 기립 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휴대나 운반이 용이하며, 전기 공급이 되지 않는 야외에서도 사용 가능한 의자형 기립 보조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시트를 기울여주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에 맞는 적절한 기립 속도와 기립력을 갖는 의자형 기립 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base),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seat)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가 전단 부보다 높아져 기울어진 자세가 되도록 회전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의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된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프레임이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로 유지되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을 잠그고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에만 상기 회전 프레임의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 유닛(locking unit)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것으로,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후크(hook)와, 상기 회전 프레임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이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이고 상기 후크가 잠금 위치인 경우에 상기 후크에 걸리는 후크 리시버(hook receiver)와, 상기 후크를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중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시트에 자신의 엉덩이를 지지하고 앉았을 때 자신의 손으로 조작할 수 있게 배치된 레버(lever)를 구비하는 의자형 기립 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후크가 상기 잠금 위치로 향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후크 스프링(hook spring), 및 상기 레버의 회전 샤프트에 편심 고정되어 상기 레버가 회전할 때 동축(同軸) 회전하는 편심 캠(cam)을 더 구비하고, 상기 레버의 회전으로 상기 편심 캠이 회전하면, 상기 후크가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자형 기립 보조기는, 상기 편심 캠이 반바퀴 회전하는 동안, 상기 후크가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일 측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후크가 잠금 위치인 때 상기 회전 프레임이 기울어진 자세에서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로 복귀하면, 상기 후크 리시버가 경사면을 가압하여 상기 후크가 후퇴하다가 다시 돌출하여 상기 잠금 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후크 리시버가 상기 후크에 걸릴 수 있다.
상기 회전 프레임은 자신의 전단부에서 하향 연장된 한 쌍의 스프링 지지 빔(beam)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이 탄성 바이어스되게 탄성 가압하는 수단은,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지지 빔에 양 단부가 지지된 제1 스프링 체결 로드(rod)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제2 스프링 체결 로드와, 상기 제1 스프링 체결 로드 및 상기 제2 스프링 체결 로드에 자신의 전단과 후단이 체결 지지된 인장 스프링(extension spring)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자형 기립 보조기는, 상기 제2 스프링 체결 로드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여, 상기 회전 프레임이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인 때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자형 기립 보조기는, 상기 회전 프레임이 상기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에서 상기 기울어진 자세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스프링 체결 로드 및 상기 제2 스프링 체결 로드 사이에 개재되는 에어 댐퍼(air damp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자형 기립 보조기는 전기 에너지 공급 없이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 레버를 조작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seat)가 앞으로 기울어져 사용자가 기립하는 자세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몸에 힘을 주어 일어서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앉은 자세에서 안전하고 쉽게 일어설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자형 기립 보조기는 전력을 소모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가벼워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휴대나 운반이 용이하며, 제조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전기 공급이 되지 않는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자형 기립 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자형 기립 보조기의 뒷부분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록킹 바가 후크와 간섭되어 체결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자형 기립 보조기의 록킹 바와 후크의 체결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제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의자형 기립 보조기의 록킹 바와 후크가 체결된 때 엉덩이 지지판 아래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편심 캠의 회전과 이에 연동되는 후크의 위치를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도 5는 후크가 잠금 위치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후크가 해제 위치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기립 보조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기립 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자형 기립 보조기의 뒷부분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록킹 바가 후크와 간섭되어 체결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의자형 기립 보조기의 록킹 바와 후크의 체결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제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의자형 기립 보조기의 록킹 바와 후크가 체결된 때 엉덩이 지지판 아래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기립 보조기(10)는, 베이스(11)와 회전 프레임(25)과, 록킹 유닛(locking unit)(50)을 구비한다.
베이스(11)는 바닥에 지지되는 부분으로, 한 쌍의 전방 다리(12)와, 한 쌍의 후방 다리(14)와, 전방 다리(12) 상단과 후방 다리(14) 상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전후 연장 빔(beam)(16)과, 한 쌍의 전후 연장 빔(16)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제1 가로 빔(17)과, 한 쌍의 후방 다리(14)의 중간 부분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제2 가로 빔(20)을 구비한다.
의자형 기립 보조기(10)는, 한 쌍의 후방 다리(14)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된 등받이 프레임(22)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22)에 고정 결합된 등받이 쿠션(cushion)(23)과, 한 쌍의 전후 연장 빔(16)에 고정 결합된 한 쌍의 팔걸이(24)를 더 구비한다. 사용자(미도시)가 의자형 기립 보조기(10)에 앉을 때 상기 한 쌍의 팔걸이(24)에 팔을 걸쳐놓을 수 있고, 상기 등받이 쿠션(23)에 등을 기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를 구성하는 다리(12, 14) 및 빔들(16, 17, 20)과, 팔걸이(24)와 등받이 프레임(22)은 예컨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 결합된다. 다만, 상기 다리(12, 14), 빔들(16, 17, 20), 팔걸이(24), 및 등받이 프레임(22)의 소재와 결합 방법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목재로 이루어지고, 체결 볼트나 체결 못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회전 프레임(25)은 베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앉을 때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seat)(3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시트 지지 빔(26)과, 상기 한 쌍의 시트 지지 빔(26)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시트 지지 빔 연결 빔(미도시)과, 상기 한 쌍의 시트 지지 빔(26)의 전단부에서 하향 연장된 한 상의 스프링 지지 빔(28)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 프레임(25)을 구성하는 빔들(26, 28)은 예컨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 결합된다. 다만, 상기 빔들(26, 28)의 소재와 결합 방법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목재로 이루어지고, 체결 볼트나 체결 못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회전 프레임(25)의 전단부는 제1 회전 샤프트(30)에 의해 상기 베이스(11)의 전단부,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전방 다리(12)와 한 쌍의 전후 연장 빔(16)이 결합되는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 프레임(25)과 이에 지지된 시트(31)는 제1 회전 샤프트(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회전 축선(RC1)을 중심으로 베이스(1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부연하면, 회전 프레임(25)은 기울어진 자세와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 사이에서 제1 회전 축선(RC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기울어진 자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25)의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아지게 기울어진 자세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25)의 후단부가 제1 가로 빔(17)에 접촉 지지되어 자신의 전단부의 높이와 대등한 높이가 되는 자세를 의미한다.
상기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인 때 사용자는 의자에 앉은 것처럼 시트(31)에 자신의 엉덩이를 지지하며 앉을 수 있다. 상기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에서 사용자가 시트(31)에 엉덩이를 지지하고 앉은 후에 회전 프레임(25)이 회전하여 상기 기울어진 자세로 변경되면, 사용자의 엉덩이가 올려지면서 몸의 중심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사용자가 일어서게 된다.
회전 프레임(25)은 상기 기울어진 자세가 되도록 회전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된다. 상기 회전 프레임(25)이 탄성 바이어스되게 탄성 가압하는 수단은, 제1 및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6, 38)와, 인장 스프링(extension spring)(41)을 구비한다. 제1 스프링 체결 로드(36)는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지지 빔(28)의 하단에 양 단부가 체결 지지된다.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8)는 한 쌍의 스크류(screw)(33)를 매개로 베이스(11)의 제2 가로 빔(20)에 지지된다.
부연하면, 앞뒤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스크류(33)의 후단부는 제2 가로 빔(20)에 고정되고, 한 쌍의 스크류(33)의 전단부는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8)에 각각, 한 쌍의 너트(nut)(39, 40)에 의해 체결된다. 인장 스프링(41)은 제1 스프링 체결 로드(36)와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8)에 자신의 전단과 후단이 체결 지지된다. 인장 스프링(41)은, 회전 프레임(25)과 이에 지지된 시트(31)가 상술한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인 때 상대적으로 크게 인장된 상태이며, 회전 프레임(25)과 시트(31)가 상술한 기울어진 자세인 때 상대적으로 작게 인장된 상태이다. 그러므로, 회전 프레임(25)은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에서 기울어진 자세로 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다.
사용자는,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8)와 베이스(11)의 제2 가로 빔(20)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여, 회전 프레임(25)이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인 때 인장 스프링(41)의 탄성 복원력을 변경할 수 있다. 부연하면,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8)를 스크류(33)에 체결하는 한 쌍의 너트(39, 40)를 스크류(33)에 대해 회전시키면,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8)의 위치가 변경되고 제2 가로 빔(20)과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8) 사이의 거리가 변경된다.
제2 가로 빔(20)과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8) 사이의 거리가 이전보다 가까워지면 제1 스프링 체결 로드(36)와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8) 사이의 간격으로 이전보다 멀어져 인장 스프링(41)이 이전보다 더 늘어나게 되므로, 인장 스프링(41)의 탄성 복원력이 커진다. 반대로, 제2 가로 빔(20)과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8) 사이의 거리가 이전보다 멀어지면 제1 스프링 체결 로드(36)와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8) 사이의 간격으로 이전보다 가까워져 인장 스프링(41)이 이전보다 작게 늘어나게 되므로, 인장 스프링(41)의 탄성 복원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의자형 기립 보조기(10) 사용자의 체중에 맞춰 인장 스프링(41)의 탄성 복원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의자형 기립 보조기(10)는 회전 프레임(25)이 상술한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에서 상술한 기울어진 자세로 변경되는 동안, 즉 회전하는 동안 회전 프레임(25)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한 쌍의 에어 댐퍼(air damper)(43)를 더 구비한다. 상기 에어 댐퍼(43)는 회전 프레임(25)이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에서 기울어진 자세로 급격하게 변경됨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억제한다.
상기 한 쌍의 에어 댐퍼(43)는 제1 스프링 체결 로드(36)와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8) 사이에 개재된다. 에어 댐퍼(43)는 실린더(cylinder) 형상의 보디(body)(44)와, 상기 보디(44)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 및 상기 보디(44)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로드(rod)(45)를 구비한다. 제1 스프링 체결 로드(36)에 보디(44)의 말단부 및 로드(45)의 말단부 중 하나가 체결되고, 제2 스프링 체결 로드(38)에 보디(44)의 말단부 및 로드(45)의 말단부 중 다른 하나가 체결된다.
보디(44) 내부에 삽입된 채 이동하는 로드(45)의 단부에는 피스톤(piston)(미도시)이 결합된다. 로드(45)가 보디(44)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이 보디(44) 내부에서 이동하면, 보디(44) 내부의 공기로 인해 상기 피스톤에 항력(抗力)이 작용한다. 이 항력이 회전 프레임(25)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고 급격한 회전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편심 캠의 회전과 이에 연동되는 후크의 위치를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도 5는 후크가 잠금 위치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후크가 해제 위치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록킹 유닛(50)은 회전 프레임(25)이 상기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로 유지되도록 회전 프레임(25)의 회전을 잠그고,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에만 회전 프레임(25)의 잠금을 해제하는 유닛이다.
록킹 유닛(50)은, 베이스(11)에 설치되는 것으로,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후크(hook)(53)와, 회전 프레임(25)에 마련되는 것으로, 회전 프레임(25)이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이고 후크(53)가 잠금 위치인 경우에 후크(53)에 걸리는 후크 리시버(hook receiver)(75)와, 후크(53)를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중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시트(31)에 자신의 엉덩이를 지지하고 앉았을 때 자신의 손으로 조작할 수 있게 배치된 레버(lever)(70)와, 후크(53)가 상기 잠금 위치로 향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후크 스프링(hook spring)(57)과, 레버(70)의 회전 샤프트(68)에 편심 고정되어 레버(70)가 회전할 때 동축(同軸) 회전하는 편심 캠(cam)(65)을 구비한다. 상기 레버(70)의 회전으로 편심 캠(65)이 회전하면, 후크(53)가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부연하면, 후크(53)는 일자 형태로 연장된 후크 핀(hook pin)(51)의 후단부로서, 제1 가로 빔(17)을 앞뒤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제1 가로 빔(17)에 끼워진다. 후크 핀(51)은 외주면에 직경이 확장되게 돌출된 스토퍼(stopper)(56)를 구비하며, 후크 핀(51)은 상기 스토퍼(56)가 제1 가로 빔(17)에 가로막혀 더 이상 후퇴할 수 없을 지점까지만 후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6)가 제1 가로 빔(17)에 가로막혀 더 이상 후퇴할 수 없을 때 후크(53)의 말단이 제1 가로 빔(17)의 개구(18)(도 6 참조)를 뚫고 후방으로 돌출되며, 이 위치가 후크(53)의 잠금 위치이다. 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핀(51)이 전진하여 스토퍼(56)가 제1 가로 빔(17)에서 이격되고 후크(53)의 말단이 제1 가로 빔(17)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가 후크(53)의 해제 위치이다.
후크 핀(51)은 스프링 지지판(60)을 관통한다. 스프링 지지판(60)은 한 쌍의 스크류(screw)(61)를 매개로 제1 가로 빔(17)에 지지된다. 앞뒤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스크류(61)의 후단부는 제1 가로 빔(17)에 고정되고, 한 쌍의 스크류(61)의 전단부는 스프링 지지판(60)에 각각, 한 쌍의 너트(nut)(62, 63)에 의해 체결된다. 후크 핀(51) 외주에는 코일형 압축 스프링(coil type compression spring)인 후크 스프링(57)이 끼워지고, 상기 후크 스프링(57)은 상기 스프링 지지판(60)과 스토퍼(56) 사이에 개재된다. 후크 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 후크(53)는 잠금 위치로 향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다.
사용자는, 스프링 지지판(60)과 제1 가로 빔(17)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여, 후크 스프링(57)의 탄성력을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레버(70)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힘을 사용자의 근력 수준에 맞춰 조정할 수 있다. 즉, 스프링 지지판(60)을 스크류(61)에 체결하는 한 쌍의 너트(62, 63)를 스크류(61)에 대해 회전시키면, 스프링 지지판(60)과 제1 가로 빔(17) 사이의 거리가 변경된다. 제1 가로 빔(17)과 스프링 지지판(60)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지면 후크 스프링(57)이 과도하게 압축되므로, 후크(53)를 잠금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하기 위해 레버(7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근력이 약한 사용자는 레버(70)를 회전시킬 수 없어 혼자서 의자형 기립 보조기(10)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반면에, 제1 가로 빔(17)과 스프링 지지판(60)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지면 후크 스프링(57)이 거의 압축되지 않아서, 후크(53)를 잠금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위치 변경하기 위해 레버(7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너무 작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레버(70)가 너무 쉽게 회전하여 록킹 유닛(50)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팔 근력으로 무리 없이 레버(7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의 신뢰성도 유지되도록 제1 가로 빔(17)과 스프링 지지판(60) 사이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후크 핀(51)의 전단부(52)에는 캠 접촉 부재(59)가 끼워지고, 캠 접촉 부재(59)는 클립(clip)(58)에 의해 상기 후크 핀 전단부(52)에 고정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53)가 잠금 위치로 향하도록 후크 핀(51)이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즉 후크 스프링(57)에 의해 후크 핀(51)은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캠 접촉 부재(59)는 상기 편심 캠(65)의 외주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회전 샤프트(68)는 레버(70)는 한 쌍의 전후 연장 빔(16)에 각각 지지된 한 쌍의 회전 샤프트 지지 브라켓(7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편심 캠(65)은 상기 제2 회전 샤프트(68)의 중앙부에 고정 결합되고, 레버(70)는 상기 제2 회전 샤프트(68)의 일 측에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레버(70)는 제2 회전 샤프트(68)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회전 축선(RC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레버(70)가 회전하면 편심 캠(65)도 레버(70)의 회전 각도와 동일한 회전 각도로 동축(同軸) 회전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의자형 기립 보조기(10)에서는, 레버(70)의 손잡이 부분이 전방을 향할 때 제2 회전 샤프트(68)로부터 가장 가까운 편심 캠(65)의 외주면 지점과 캠 접촉 부재(59)가 접촉하여 후크 핀(51)이 전방으로 당겨지지 않으므로 후크(53)의 말단이 제1 가로 빔(17)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며 후크(53)는 잠금 위치에 위치한다(도 2 및 도 5 참조). 그러나, 사용자가 레버(70)를 잡고 반시계 방향으로 반바퀴, 즉 180° 회전시켜 레버(70)의 손잡이 부분이 후방으로 향하게 되면, 제2 회전 샤프트(68)로부터 가장 먼 편심 캠(65)의 외주면 지점과 캠 접촉 부재(59)가 접촉하여 후크 핀(51)이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후크(53)의 말단이 제1 가로 빔(17) 내부에 숨겨지며 후크(53)는 해제 위치에 위치한다(도 3 및 도 6 참조).
후크(53)가 상기 해제 위치인 때 사용자가 레버(70)를 손에서 놓으면, 압축된 후크 스프링(5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크(53)는 다시 잠금 위치로 복귀하고, 레버(70)와 편심 캠(65) 또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반바퀴 회전하여 도 5의 자세로 복귀한다. 요약하면, 레버(70)와 편심 캠(65)이 제2 회전 축선(RC2)을 중심으로 반바퀴 회전하는 동안, 후크(53)가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로 이동하게 된다.
후크 리시버(75)는 회전 프레임(25)의 후단부에 고정된 바(bar) 형태 부재이다. 후크 리시버(75)의 양 단부는 한 쌍의 체결구(77)에 의해 회전 프레임(25)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회전 프레임(25)의 후단부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한다.
회전 프레임(25)이 상술한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인 때 상기 후크 리시버(75)는 제1 가로 빔(17)에 근접하여 제1 가로 빔(17)보다 뒤에 위치하고, 후크(53)보다 약간 낮은 높이에 위치한다. 후크(53)의 말단부 상측면은 말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54)이고, 말단부 하측면은 후크 리시버(75)가 걸리는 걸림면(55)이다. 그리하여, 회전 프레임(25)이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이고 후크(53)가 잠금 위치이면, 후크 리시버(75)가 후크(53)의 걸림면(55)에 걸리고, 회전 프레임(25)은 상술한 기울어진 자세로 회전하지 않도록 록킹(locking)된다(도 2, 도 3, 및 도 5 참조).
회전 프레임(25)이 록킹되어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로 유지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시트(31)에 자신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자세로 앉아 레버(70)를 반바퀴 회전시키면, 후크(53)가 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후크 리시버(75)를 가로막는 걸림면(55)이 제거되므로, 회전 프레임(25)은 인장 스프링(4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회전 축선(RC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진 자세로 변경되며, 사용자는 시트(31)에 지지된 엉덩이가 올려져 쉽게 일어날 수 있다(도 1, 도 3, 및 도 6 참조).
한편, 사용자가 일어나면서 레버(70)를 손에서 놓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53)는 후크 스프링(5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잠금 위치로 이동하고, 레버(70)의 손잡이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전방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기울어진 자세의 시트(31)에 자신의 엉덩이를 대고 앉아 회전 프레임(25)이 기울어진 자세에서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로 복귀하면, 후크 리시버(75)가 후크(53)의 경사면(54)을 가압하여 후크(53)의 말단이 제1 가로 빔(17)의 내부로 숨겨지는 방향으로 후크(53)가 후퇴하다가 다시 돌출하여 잠금 위치로 복귀하면서 후크 리시버(75)가 후크(53)의 걸림면(55)에 다시 걸리게 된다. 따라서, 회전 프레임(25)은 기울어진 자세로 회전하지 않도록 다시 록킹(locking)된다(도 2, 도 3, 및 도 5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후크(53) 및 상기 후크 리시버(75)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의자형 기립 보조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다른 형태의 후크 및 후크 리시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의자형 기립 보조기(10)는 전기 에너지 공급 없이 사용자가 자신의 팔 힘으로 레버(70)를 움직이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31)가 앞으로 기울어져 사용자가 기립하는 자세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몸에 힘을 주어 일어서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앉은 자세에서 안전하고 쉽게 일어설 수 있다.
상기 의자형 기립 보조기(10)는 전력을 소모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가벼워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휴대나 운반이 용이하며, 제조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전기 공급이 되지 않는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기립 보조기 11: 베이스
25: 회전 프레임 31: 시트
41: 인장 스프링 43: 에어 댐퍼
50: 록킹 유닛 53: 후크
57: 후크 스프링 65: 편심 캠
70: 레버 75: 후크 리시버

Claims (7)

  1.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base);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seat)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아져 기울어진 자세가 되도록 회전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된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프레임이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로 유지되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을 잠그고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에만 상기 회전 프레임의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 유닛(locking unit);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것으로,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후크(hook)와, 상기 회전 프레임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이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이고 상기 후크가 잠금 위치인 경우에 상기 후크에 걸리는 후크 리시버(hook receiver)와, 상기 후크를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중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시트에 자신의 엉덩이를 지지하고 앉았을 때 자신의 손으로 조작할 수 있게 배치된 레버(lever)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기립 보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후크가 상기 잠금 위치로 향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후크 스프링(hook spring), 및 상기 레버의 회전 샤프트에 편심 고정되어 상기 레버가 회전할 때 동축(同軸) 회전하는 편심 캠(cam)을 더 구비하고,
    상기 레버의 회전으로 상기 편심 캠이 회전하면, 상기 후크가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기립 보조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캠이 반바퀴 회전하는 동안, 상기 후크가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기립 보조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일 측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후크가 잠금 위치인 때 상기 회전 프레임이 기울어진 자세에서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로 복귀하면, 상기 후크 리시버가 경사면을 가압하여 상기 후크가 후퇴하다가 다시 돌출하여 상기 잠금 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후크 리시버가 상기 후크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기립 보조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자신의 전단부에서 하향 연장된 한 쌍의 스프링 지지 빔(beam)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이 탄성 바이어스되게 탄성 가압하는 수단은,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지지 빔에 양 단부가 지지된 제1 스프링 체결 로드(rod)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제2 스프링 체결 로드와, 상기 제1 스프링 체결 로드 및 상기 제2 스프링 체결 로드에 자신의 전단과 후단이 체결 지지된 인장 스프링(extension spring)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기립 보조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 체결 로드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여, 상기 회전 프레임이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인 때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기립 보조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이 상기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에서 상기 기울어진 자세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스프링 체결 로드 및 상기 제2 스프링 체결 로드 사이에 개재되는 에어 댐퍼(air damp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기립 보조기.
KR1020160106369A 2016-08-22 2016-08-22 의자형 기립 보조기 KR101838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69A KR101838104B1 (ko) 2016-08-22 2016-08-22 의자형 기립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69A KR101838104B1 (ko) 2016-08-22 2016-08-22 의자형 기립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98A true KR20180021598A (ko) 2018-03-05
KR101838104B1 KR101838104B1 (ko) 2018-03-13

Family

ID=6166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369A KR101838104B1 (ko) 2016-08-22 2016-08-22 의자형 기립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472B1 (ko) * 2020-11-18 2021-07-21 혜성산업(주) 관람석 의자용 수동 잠금장치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312A (ko) 2020-09-29 2022-04-05 김종림 상하 수직이동이 가능한 기립보조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472B1 (ko) * 2020-11-18 2021-07-21 혜성산업(주) 관람석 의자용 수동 잠금장치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104B1 (ko) 201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7026A (en) Mobile rocking wheelchair with position locking means
JP2003521956A (ja) 椅子機構
US20060103221A1 (en) Ergonomic chair
KR100872907B1 (ko)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조정이 가능한 의자
KR101838104B1 (ko) 의자형 기립 보조기
US5383709A (en) Orthopedic chair with forwardly and rearwardly inclined positions
JP6923982B2 (ja) 起立補助椅子及び車椅子
KR101920805B1 (ko) 기립 보조 의자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100886181B1 (ko) 장애인용 의자
KR102130551B1 (ko) 기립 보조 의자
KR102002423B1 (ko) 거꾸리 의자
US10500112B1 (en) Dynamic support system for a chair to provide a user multiple supported positions
KR101581290B1 (ko) 이중 지렛대를 이용한 기립 보조 의자
WO2001013768A1 (fr) Dispositif de support de la taille utilise en position debout
KR101495856B1 (ko) 장애인용 의자
JP7035195B2 (ja) 起立補助椅子
KR20180038176A (ko) 기립 보조 의자
JP2005137639A (ja) 起立補助椅子
JPH0325635Y2 (ko)
KR20090002049U (ko) 전동 승강 의자
JP2004113454A (ja) 椅子
JPH11318988A (ja) 椅 子
WO2013187819A1 (en) Lift chair for assisting user when moving between seated and standing positions
GB2409808A (en) Get-up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