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670A -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 Google Patents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670A
KR20080066670A KR1020087008061A KR20087008061A KR20080066670A KR 20080066670 A KR20080066670 A KR 20080066670A KR 1020087008061 A KR1020087008061 A KR 1020087008061A KR 20087008061 A KR20087008061 A KR 20087008061A KR 20080066670 A KR20080066670 A KR 20080066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heelchair
support member
fo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하루 도도
엔지 가세
류지 모리
Original Assignee
료비 가부시키가이샤
닛신이료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료비 가부시키가이샤, 닛신이료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료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 A61G5/081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folding side to side, e.g. reducing or expanding the overall width of the wheelchair
    • A61G5/0825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folding side to side, e.g. reducing or expanding the overall width of the wheelchair comprising a scissor-type frame, e.g. having pivoting cross bars for enabling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4Large wheels, e.g. higher than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100)는, 휠체어 프레임(5)에 대하여 이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석부(20), 상기 좌석부(20)를 절첩 가능하게 유지하는 좌석 유지부(30), 상기 좌석 유지부(30)를 통하여 상기 좌석부(20)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40), 상기 휠체어 프레임(5)의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휠체어 프레임(5)을 좌우 방향으로 절첩 가능한 한 쌍의 X자형 링크(25)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100)는, 상기 좌석 승강식 휠체어(100)를 절첩할 때, 상기 좌석부(20)의 양 단부와 X자형 링크(25)의 상단부의 선회 궤적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100)는, 매끄러운 절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COLLAPSIBLE WHEELCHAIR WITH LIFTABLE SEAT}
본 발명은, 승강 가능한 좌석부를 구비한,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에 승하차 할 때 이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시트부를 승강시키는 장치를 구비한,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68541호 및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126008호 참조).
이러한 종류의 휠체어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을 전후로 상대하여 설치된 절첩용 X자형 링크 장치로 연결하고, 시트부를 승강용 링크 장치로 시트부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에 연결하고, 전후의 X자형 링크의 각 교차부의 피벗 핀 사이에 지지 부재를 걸고, 시트부와 지지 부재 사이에 시트부를 승강시키는 신축 장치를 개재시킴으로써 구성된다. 또한, 전후의 절첩용 X자형 링크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힌지 및 X자형 링크의 교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시트부의 좌우 단부 및 X자형 링크의 단부가 좌우 방향 내측으로 선회하여, 휠체어를 좌우 방향으로 절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휠체어는, 상기 휠체어를 절첩할 때, 시트부의 좌우 단부와 X자형 링크의 상단부의 선회 궤적이 상이하게 되어 있어서, 설계상으로는, 휠체어 를 절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휠체어는, 시트부나 신축 장치의 각 연결이 간격을 가짐으로써 무리하게 느슨함을 발생시켜, 그 느슨함을 이용하여 휠체어를 절첩할 수 없는 설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휠체어는, 상기 느슨함의 영향에 의해, 주행중 또는 좌석면의 승강 중에 연결 부재가 서로 맞닿아 충격음을 발생하는 문제를 가지며, 절첩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휠체어를 매끄럽게 절첩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종래의 휠체어에서는, 링크 장치의 한쪽이 신축 장치의 로드 상단부에 장착된 기판의 상단부에 대하여 설치되고, 링크 장치의 다른 쪽이 시트부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어서, 링크 장치는 좌우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휠체어는, 링크 장치와 시트부의 간격이 필연적으로 좁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의 체중에 따라서는, 이용자가 좌석면에 착석했을 때 둔부가 좌석면을 통해 윙에 직접 접촉하므로, 장시간 앉아 있으면 둔부에 통증을 느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매끄럽게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는, 휠체어 프레임에 대하여 이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를 절첩 가능하게 유지하는 좌석 유지부, 상기 좌석 유지부를 통하여 상기 좌석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 및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휠체어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절첩 가능한 한 쌍의 X자형 링크를 포함하는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에서, 상기 좌석 유지부는, 일단이 상기 승강 유닛의 상부에 축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좌석부의 좌우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유지된 좌우 한 쌍의 윙을 포함하고, 상기 축과 상기 X자형 링크의 교차부가 상하 좌우 방향에서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좌석 승강식 휠체어의 절첩 동작에서, 상기 윙의 일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타단이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는 동시에, 상기 X자형 링크의 교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그 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좌석 승강식 휠체어가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에서, 상기 윙은, 상기 승강 유닛의 적어도 전후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는, 휠체어 프레임에 대하여 이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를 절첩 가능하게 유지하는 좌석 유지부, 상기 좌석 유지부를 통하여 상기 좌석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 및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휠체어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절첩 가능한 한 쌍의 X자형 링크를 포함하는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로서, 상기 좌석 유지부는, 상기 승강 유닛의 상부 좌우에 설치된 선회축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선회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유지된 좌우 한 쌍의 윙을 포함하고, 상기 윙은, 상기 선회축에 힌지 연결되는 내측 지지 부재, 좌석부의 단부와 접속되는 외측 지지 부재, 상기 내측과 외측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 지지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는 관절부, 및 상기 외측 지지 부재의 선회 범위를 규제하는 선회 규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 승강식 휠체어의 절첩 동작에서, 상기 관절부를 통하여 윙이 절곡되면서 상기 선회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좌석부의 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는 동시에, 상기 X자형 링크의 교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그 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좌석 승강식 휠체어가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에서, 상기 선회규제 부재는, 상기 내측 지지 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 지지 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선회 규제 부재가, 상기 외측 지지 부재의 내측 방향으로의 선회 범위를 규제하고, 상기 내측 지지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선회 규제 부재가, 상기 좌석 승강식 휠체어가 절첩되지 않고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외측 지지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외측 지지 부재가 안정된 고정 유지를 실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에서, 상기 좌석부는,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대하여 선회축을 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승강 유닛의 신축 동작에 의해 상기 좌석부가 상기 선회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선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는, 상기 좌석부와 휠체어 프레임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는 짧은 암, 상기 좌석부와 휠체어 프레임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는 긴 암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에서는, 상기 승강 유닛의 구동부가 상기 휠체어의 좌우 어느 한쪽의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배터리가 상기 구동부와 상이한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에 의하면, 휠체어를 절첩할 때, X자형 링크의 상단부와 좌석부의 단부의 선회 궤적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일치하므로, 관련되는 부재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지 않아, 매끄럽게 휠체어를 절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에 의하면, 예를 들면, 종래의 X자형 링크를 구비한 휠체어의 상기 X자형 링크의 폭에 대응시켜 승강 유닛을 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에 의하면, 휠체어를 접철할 때, X자형 링크의 상단부와 좌석부의 단부의 선회 궤적이 상이하게 되어도, 관절부에 의해, 관련되는 부재에 관한 불필요한 부하가 흡수 가능하므로, 매끄럽게 휠체어를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에 의하면, 승강 유닛의 신축 동작에 의해, 좌석부가 전방 경사 자세로 되므로, 이용자가 휠체어로부터 하차하기 쉬워져, 이용자의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에 의하면, 승강 유닛의 신축 동작에 의해, 좌석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전방 경사 자세로 되므로, 이용자를 휠체어로부터 하차시킬 때 보호자는 이용자를 휠체어로부터 하차시키기 쉬워져, 보호자의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한편, 이용자는 휠체어로부터 하차하기 쉬워져, 이용자의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휠체어의 중량 밸런스를 용이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a는 좌석 승강식 휠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좌석 강하 시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b는 좌석 승강식 휠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좌석 상승 시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휠체어의 절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특히 절첩 동작 전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b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휠체어의 절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특히 절첩 동작 후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좌석 유지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좌석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좌석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6a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휠체어의 절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특히 절첩 동작 전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휠체어의 절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특히 절첩 동작 후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의 설명)
1, 2 사이드 프레임 3 캐스터
4 휠 5 휠체어 프레임
6 전방 지주 7 후방 지주
7a 상측 부재 7b 하측 부재
8 상부 연결 부재 9 하부 연결 부재
10 팔걸이 암 10a 팔걸이
12 발판 13 연결부
14 보조용 그립 15 등받이
15a 시트 18 좌석면 지지 바
19 지지 부재 20 좌석부
21 좌석면 시트 바 22 시트 부재
24 추축 25 X자형 링크 장치
26, 27 X자형 링크 30, 30a 좌석 유지부
31 연결핀 32, 65 윙
40 승강 유닛 41 피벗 핀
42 지지 부재 43 신축 장치
43a 로드 45 베이스체
46 연결핀 47 레버
48 가이드홈 49 지지 부재
50 브레이크 장치 51 브레이크 레버
52 암 52a 압착부
53 짧은 암 54 긴 암
55 링크 기구부 62 선회축
65 윙 66 관절부
67 내측 지지 부재 68 외측 지지 부재
69, 69a 선회 규제 부재 10O, 10Oa 휠체어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는,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인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의 휠체어(100)는, 휠체어 프레임(5)에 대하여 추축(24)을 통하여 장착되는 좌석부(20), 이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상기 좌석부(20)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좌석부(20)를 절첩 가능한 좌석 유지부(30), 상기 좌석 유지부(30)를 통하여 상기 추축(24)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좌석부(20)의 후방부를 상하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40), 상기 휠체어 프레임(5)의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 여 설치되며 상기 휠체어 프레임(5)을 좌우 방향으로 절첩 가능한 한 쌍의 X자형 링크(26, 27)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휠체어(100)는, 절첩 시에, X자형 링크(26, 27)가 그 교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각각 내측으로 선회하는 동시에, 좌석부(20)의 좌우 단부가 각각 상승하면서 내측으로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휠체어(100)는 좌우 방향(폭 방향)에 절첩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의 휠체어(100)는, 절첩 시에 있어서의 X자형 링크(26, 27)의 상단부의 선회 궤적과 좌석부(20)의 양쪽 단부의 선회 궤적이 소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휠체어(100)는, 절첩 동작에서, 관련되는 부재에 불필요한 부하를 주지 않아, 절첩 동작을 매끄럽게 행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휠체어(100)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 2)으로 이루어지는 휠체어 프레임(5)을 가지며, 각 사이드 프레임(1, 2)의 외측에는, 전후 각각에 캐스터(3) 및 휠(4)이 장착되어 있다.
각 사이드 프레임(1, 2)은, 전방 및 후방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되어 있는 전방 지주(6) 및 후방 지주(7), 상기 전방 지주(6) 및 후방 지주(7)를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상부 연결 부재(8) 및 하부 연결 부재(9), 상기 후방 지주(7)의 상부로부터 상부 연결 부재(8)의 전방 상부로 절곡하여 연결되는 팔걸이 암(1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팔걸이 암(10)에는 팔걸이(10a)가 장착되고, 전방 지주(6)의 하단부에는 발판(12)이 장착되어 있다. 후방 지주(7)는, 상측 부재(7a)와 하측 부재(7b)가 연결부(1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부(13)에서 상기 상측 부재(7a)가 도 1a 및 도 1b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절 곡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측 부재(7a)의 상단부는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보조자가 파지하기 위한 보조용 그립(14)이 장착되어 있다.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1, 2)의 후방 지주(7) 상부에는, 시트(15a)가 걸쳐져 배치되고, 상기 시트(15a)는 등받이(15)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연결 부재(8)의 내측을 따라 좌석부(20)의 좌우 양 단부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좌석면 지지 바(18)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좌석면 지지 바(18)는, 상부 연결 부재(8)에 장착되어 있는 지지 부재(19)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휠체어(100)는, 휠(4)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장치(50)는 특히, 휠체어(100)의 주차용으로 사용되며, 예를 들면, 휠(4) 전방의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2) 측방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의 고정구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50)는, 이용자가 조작하는 브레이크 레버(51), 링크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접속되는 암(52), 이 암(52)의 선회에 의해 휠(4)을 가압하는 압착부(52a)를 포함하고 있다. 브레이크 레버는 틸팅(tilting) 가능하게 기립 장착되어 있고, 압착부(52a)는 이 브레이크 레버(51)의 틸팅 동작에 따라 휠(4)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휠(4)의 회전을 로킹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레버(51)를 대략 수직으로 기립되게 하는(브레이크 레버(51)를 틸팅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것에 의해, 압착부(52a)가 휠(4)로부터 이격되어, 로킹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1, 2)은, 좌석부(20) 아래쪽에서 전후의 절첩용 X자형 링크 장치(25)를 통하여 연결되고,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폭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의 절첩용 X자형 링크 장치(25)는 각각 X자형 링크(26, 27)를 포함하고 있다. 각 X자형 링크(26, 27)의 하단부는 각각 사이드 프레임(1, 2)의 하부 연결 부재(9)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전후의 X자형 링크(26, 27)의 상단부는 좌석면 지지 바(18)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자형 링크(26, 27)를 좌우 방향으로 펼치면, 좌우의 좌석면 지지 바(18)가 각각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1, 2)의 상부 연결 부재(8)를 따라 정지하고, 착석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자형 링크(26, 27)를 좌우 방향으로 접으면, 좌우의 좌석면 지지 바(18)가 위쪽으로 인상되어 양 사이드 프레임(1, 2)이 좌우 방향으로 닫혀 합쳐진다.
좌석부(20)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좌석면 시트 바(21)와 좌우의 좌석면 시트 바(21) 사이에 걸쳐지는 유연한 시트 부재(2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좌석면 시트 바(21)는 상기 좌석면 지지 바(18)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석면 시트 바(21)는 전방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1, 2)에 대하여 추축(24)을 통하여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좌석부(20)의 아래쪽에는, 이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상기 좌석부(2O)를 유지하고, 또한 좌석부(20)를 좌우 방향으로 절첩 가능한 좌석 유지부(30), 및 상 기 좌석 유지부(30)를 통하여 좌석부(2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4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 유지부(30)는, 일단이 축으로서 기능하는 연결핀(31)으로 연결된 2개의 윙(32)이 좌우 대칭으로 대략 V자형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타단은 좌석면 시트 바(21)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윙(32)은, 연결핀(31)을 지지점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승강 유닛(40)은, X자형 링크(26, 27)에서의 각 교차부의 피벗 핀(41) 사이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는 지지 부재(42), 및 상기 지지 부재(42)의 바닥판에 핀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신축 장치(4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신축 장치(43)는, 구체적으로는 전동 액츄에이터이며, 로드(43a), 이 로드(43a)를 유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부, 및 로드(43a)를 신축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 장치(43)는,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로드(43a)가 실린더부 내를 왕복 운동함으로써 신축 장치(43)의 전체 길이가 신축된다. 신축 장치(43)의 로드(43a)에는, 로드(43a) 상부를 덮는 베이스체(45)가 핀 결합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전동 액츄에이터는, 도 1a 및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부가 전동 액츄에이터 본체의 하단부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전동 액츄에이터 본체의 전체 길이(L)가 약 230㎜이고 로드(43a)가 신축하는 스트로크가 약 100~120㎜인 종래의 전동 액츄에이터와 비교하여 전동 액츄에이터 본체의 전체 길이(L)가 짧고 소형이다. 이와 같이 소형의 전동 액츄에이터를 휠체어의 좌석부 승강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좌석부(20)까지의 높이가 40㎝인 클래스의 저상용의 휠체어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체(45)의 전후에는, 연결핀(31)에 의해 2개의 윙(32)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윙(32)은 적어도 베이스체(45)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체(45)의 전방에 윙(32)이 장착되어 있고, 전후에 배치되는 X자형 링크 장치(25)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신축 장치(43)의 로드(43a)의 상승에 따라 상기 로드(43a)가 윙(32)과 간섭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체(45)의 후방에만 윙(32)을 장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윙(32)의 구성(예를 들면, 굵기나 재질)에 대하여는, 적당히 최적인 것을 적용하면 된다.
그리고,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윙(32)의 선회 동작에 따라 시트 부재(22)는 전개된 상태로부터 대략 V자형으로 절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장치(43)가 수축 상태에 있으면 좌석부(20)가 상부 연결 부재(8)와 대략 동일한 높이의 위치로 하강하고,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장치(43)가 신장 상태에 있으면 좌석부(20)의 후방이 대략 팔걸이(10a)에 이르는 정도의 높이의 위치로 상승하고, 상기 좌석부(20)가 전방으로 약간 경사진다.
도 1a 내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핀(31)은, X자형 링크(26, 27)의 교차부와 높이(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 결과, 휠체어(100)의 절첩 동작에서, 좌석면 지지 바(18)으로 좌석면 시트 바(21)의 선회 궤적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휠체어(100)의 절첩 동작에서, 관련되는 부재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는 일 없이 매끄럽게 상기 휠체어를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핀(31) 및 X자형 링크(26, 27)의 교차부는, 완전 일치가 바람직하지만, 허용할 수 있는 범위이면 다소의 오차가 있어도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의 X자형 링크(26, 27)에는, 선단이 연결핀(46)으로 연결된 2개의 레버(47)가 좌우 대칭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핀(46)이 결합되는 가이드홈(48)이 지지 부재(42)의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형성된다.
2개의 레버(47)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뒤쪽의 X자형 링크 장치(25)와 지지 부재(42)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2개의 레버(47)의 일단들이 연결핀(46)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뒤쪽의 X자형 링크(26, 27)에 핀 결합되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연결핀(46)은 지지 부재(42)의 내부로 돌출되고, 가이드홈(48)에, 도시하지 않은 돌출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X자형 링크(26, 27)의 상부에는, 상기 X자형 링크(26, 27)의 위쪽으로부터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49)가 사이드 프레임(1, 2)의 각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휠체어(100)가 절첩되고 X자형 링크(26, 27)가 세로 방향으로 접혀 합쳐질 때, 연결핀(46)이 가이드홈(48)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슬라이드 이 동하면서 하강하므로, 지지 부재(42) 및 신축 장치(43)는 좌우의 어느 쪽으로도 경사지지 않고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휠체어(10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등받이(15)의 좌측에 승강 유닛(40)의 구동부를 구동하는 배터리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의 휠체어(100)의 구동부(부호 없음)가 하방 우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구동부가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터리는 등받이(15)의 우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휠체어(100)는, 승강 유닛의 구동부의 배치 위치(좌우 어느 한쪽)에 대하여 배터리가 상기 구동부와 상이한 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특히 중량이 있는 구동부와 배터리를 서로 상이한 좌우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휠체어(100)의 중량 밸런스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휠체어(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면 시트 바(21)와 좌석면 지지 바(18)에 대하여 전후에서 선회 가능하게 접속되는 대략 L자형의 짧은 암(53) 및 긴 암(5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승강용의 링크 기구부(55)를 구비할 ㅅ수도 있다. 짧은 암(53)은, 일단이 좌석면 시트 바(21)의 중앙 좌우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장착되고, 타단이 좌석면 지지 바(18)의 전방 좌우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장착되어 있다. 한편, 긴 암(54)은, 일단이 좌석면 시트 바(21)의 후방 좌우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장착되고, 타단이 좌석면 지지 바(18)의 중앙 좌우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신축 장치(43)의 신축에 의해, 짧은 암(53)과 긴 암(54)이 각각 좌석면 지지 바(18)의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선회하고, 도 4의 이점쇄선으로 나타 낸 바와 같이, 좌석부(20)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좌석부(20)의 후방부를 상승시켜, 좌석부(20)를 전방 경사 자세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휠체어로부터 하차하는 경우에, 상기 이용자를 휠체어(100)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휠체어(100)로부터 하차할 때 보호자는 상기 이용자를 휠체어(100)로부터 하차시키는 것이 용이해지고, 상기 보호자의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스스로 휠체어(100)로부터 하차하는 경우에는, 좌석부(2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하차가 쉬워져, 이용자의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또한, 휠체어(1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장치(43)의 상단부를 베이스체(45)에 고정하고 하단부를 지지 부재(42)에 고정하고, 상기 신축 장치(43)의 신축에 의해, 좌석면 시트 바(21)를 수평 상태로 유지한 채로 상하로 승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좌석면 시트 바(21)는, 베이스체(45)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윙(32)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좌석면 시트 바(21)의 전방이 강도가 부족하게 되는 것을 고려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좌석면 시트 바(21)의 전방을 신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신축 장치(43)의 신축에 따라 지지 부재가 신축하도록 하여 좌석면 시트 바(21)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좌석면 시트 바(21)에 대한 윙(32)의 장착 위치를 좌석면 시트 바(21)의 중앙 근방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어서, 좌석 유지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휠체어와 동 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좌석 유지부(30a)는, 일단이 베이스체(45)의 좌우에 설치된 선회축(62)에 장착된 힌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좌석면 시트 바(21)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윙(65)을 포함하고 있다. 이 윙(65)은, 선회축(62)에 힌지 연결되는 내측 지지 부재(67), 좌석면 시트 바(21)와 접속되는 외측 지지 부재(68), 이 지지 부재(67, 68) 사이에 배치되어 외측 지지 부재(68)를 상하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는 관절부(6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관절부(66)에 의해, 외측 지지 부재(68)가 내측 지지 부재(67)에 대하여 구부러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휠체어(100a)가 절첩될 때는, 상기 선회축(62)을 지지점으로 하여 좌석면 시트 바(21)가 좌우 방향 내측으로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관절부(66)의 상부 및 하부에는, 외측 지지 부재(68)의 선회 범위를 규제하는 동시에 외측 지지 부재(68)를 지지함으로써 외측 지지 부재(68)가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선회 규제 부재(69, 69a)가 좌우 각각에 장착되어 있다. 관절부(66)의 상부에 설치되는 선회 규제 부재(69)는, 일단이 내측 지지 부재(67)의 상부에 장착되고, 타단이 적어도 관절부(66)을 지나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선회 규제 부재(69)의 타단 측의 아래쪽에 의해, 외측 지지 부재(68)의 내측 방향으로의 선회 범위가 규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관절부(66)의 하부에 설치되는 선회 규제 부재(69a)는, 일단이 내측 지지 부재(67)의 하부에 장착되고, 타단이 적어도 관절부(66)를 지나 외측으로 연 장되어 배치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선회 규제 부재(69a)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체어(100a)가 절첩되지 않고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외측 지지 부재(68)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휠체어(100a)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외측 지지 부재(68)가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선회 규제 부재(69a)에 대하여는, 타단 측의 위쪽에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면에 의해 외측 지지 부재(68)가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선회 규제 부재(69, 69a)는, 모두 용접 고정에 의해 내측 지지 부재(67)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되어 윙(65)의 안정된 동작을 보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휠체어(100a)는, 절첩 동작에서, 상기 관절부(66)를 통하여 윙(65)이 절곡되면서 상기 선회축(62)을 지지점으로 하여 좌석부(20)의 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는 동시에, 상기 X자형 링크(26, 27)의 교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그 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여 절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절첩 시에 있어서의, 좌석면 시트 바(21)와 좌석면 지지 바(18)의 선회 궤적이 상이한 경우라도, 상기 관절부(66)가, 휠체어(100a)를 절첩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부재들의 비틀림이나 뒤틀림 등의 부하를 흡수하기 위하여, 휠체어(10Oa)의 절첩을 매끄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a 내지 도 2b에 나타낸 휠체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휠체어로의 승강에 대하여)
도 1a 내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장치(43)를 신축시켜서 좌석부(20)을 하강시키면, 좌석면 시트 바(21)가 좌석면 지지 바(18)의 위에 놓임으로 써 좌석부(20)가 착석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신축 장치(43)를 늘려서 좌석 유지부(30)를 통하여 좌석부(20)를 상승 시키면, 추축(24)을 지지점으로 하여 좌석부(20)의 후방부가 상승하고, 좌석부(20)가 전방 경사 자세로 된다.
이와 같이 좌석부(2O)를 전방 경사 자세로 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는 휠체어에 용이하게 승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휠체어의 절첩 동작에 대하여)
휠체어를 절첩할 때는, 좌석부를 약간 부상시킨 후,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1, 2)을 내측으로 접어 맞춘다. 이로써, X자형 링크(26, 27)의 단부가 교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내측으로 절첩되고, 좌석면 지지 바(18)가 상승한다. 이 좌석면 지지 바(18)의 상승에 따라 좌석면 시트 바(21)가 상승하면서, 연결핀(31)을 지지점으로 하여 윙(32)이 내측으로 절첩된다.
이 때, 좌석면 지지 바(18)와 좌석면 시트 바(21)의 선회 궤적은, 소정 간격을 가지고 일치하므로, 절첩 시에, 관련되는 부재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지 않아, 매끄럽게 휠체어를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a 및 도 1b의 휠체어가, 도 4에 나타낸 링크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레버 및 가이드홈이 뒤쪽의 X자형 링크에 장착되어 있지만, 앞쪽이라도 상관없다.

Claims (7)

  1. 휠체어 프레임에 대하여 이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를 절첩 가능하게 유지하는 좌석 유지부,
    상기 좌석 유지부를 통하여 상기 좌석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 및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휠체어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절첩 가능한 한 쌍의 X자형 링크
    를 포함하는,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좌석 유지부는,
    일단이 상기 승강 유닛의 상부에 축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좌석부의 좌우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유지된 좌우 한 쌍의 윙을 포함하고,
    상기 축과 상기 X자형 링크의 교차부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좌석 승강식 휠체어의 절첩 동작에서, 상기 윙의 일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타단이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는 동시에, 상기 X자형 링크의 교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그 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좌석 승강식 휠체어가 절첩되는,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은, 상기 승강 유닛의 적어도 전후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3. 휠체어 프레임에 대하여 이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를 절첩 가능하게 유지하는 좌석 유지부,
    상기 좌석 유지부를 통하여 상기 좌석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 및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휠체어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절첩 가능한 한 쌍의 X자형 링크
    를 포함하는,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좌석 유지부는, 상기 승강 유닛의 상부 좌우에 설치되는 선회축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선회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유지된 좌우 한 쌍의 윙을 포함하고,
    상기 윙은, 상기 선회축에 힌지 연결되는 내측 지지 부재, 상기 좌석부의 단부와 접속되는 외측 지지 부재, 상기 내측 지지 부재와 외측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 지지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는 관절부, 및 상기 외측 지지 부재의 선회 범위를 규제하는 선회 규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 승강식 휠체어의 절첩 동작에서, 상기 관절부를 통하여 상기 윙이 절곡되면서 상기 선회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좌석부의 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는 동시에, 상기 X자형 링크의 교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그 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좌석 승강식 휠체어가 절첩되는,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규제 부재는, 상기 내측 지지 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 지지 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선회 규제 부재가, 상기 외측 지지 부재의 내측 방향으로의 선회 범위를 규제하고,
    상기 내측 지지 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선회 규제 부재가, 상기 좌석 승강식 휠체어가 절첩되지 않고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외측 지지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외측 지지 부재가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는,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대하여 추축을 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승강 유닛의 신축 동작에 의해 상기 좌석부가 상기 추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선회하는,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와 휠체어 프레임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는 짧은 암, 및 상기 좌석부와 휠체어 프레임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는 긴 암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링크 기구를 포함하는,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의 구동부가 상기 휠체어의 좌우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배터리가 상기 구동부와 상이한 쪽에 배치되어 있는,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KR1020087008061A 2005-10-14 2006-09-12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KR200800666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00555 2005-10-14
JP2005300555 2005-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670A true KR20080066670A (ko) 2008-07-16

Family

ID=3794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061A KR20080066670A (ko) 2005-10-14 2006-09-12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07043268A1 (ko)
KR (1) KR20080066670A (ko)
CN (1) CN101287435A (ko)
TW (1) TW200724120A (ko)
WO (1) WO200704326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1568A2 (ko) * 2011-03-10 2012-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이식 전동 휠체어
KR101629101B1 (ko) * 2014-12-03 2016-06-0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관절 환자용 의자
KR20190063218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컴포트 기립 보조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490B1 (ko) * 2009-01-09 2012-01-05 정인창 배설물 처리장치
TWI577363B (zh) * 2015-07-17 2017-04-11 Gigantex Composite Technologiesco Ltd Folding wheelchair
KR101752994B1 (ko) * 2016-01-25 2017-07-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
TW201912138A (zh) * 2017-08-23 2019-04-01 劉國禎 收折式輪椅架
CN109431702A (zh) * 2017-08-28 2019-03-08 江苏君悦智能轮椅科技有限公司 便携式可升降轮椅
CN109620568A (zh) * 2019-01-29 2019-04-16 吴小勤 可升降折叠轮椅
USD976763S1 (en) 2021-02-10 2023-01-31 Drive Devilbiss Healthcare Rollator
US11559459B2 (en) 2021-02-16 2023-01-24 Drive Devilbiss Healthcare Roll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1799A (ja) * 1995-08-01 1997-02-10 Ryobi Ltd 一人通行用二重ドア装置
JP3056977U (ja) * 1998-08-24 1999-03-09 耕作 池田 着座電動起き上がり装置
JP3068541U (ja) * 1999-10-27 2000-05-12 民人 木原 着座前傾装置
JP2002126008A (ja) * 2000-10-24 2002-05-08 Morita Kunihiro 車椅子の座面昇降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1568A2 (ko) * 2011-03-10 2012-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이식 전동 휠체어
WO2012121568A3 (ko) * 2011-03-10 2012-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이식 전동 휠체어
KR101629101B1 (ko) * 2014-12-03 2016-06-0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관절 환자용 의자
KR20190063218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컴포트 기립 보조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87435A (zh) 2008-10-15
TW200724120A (en) 2007-07-01
WO2007043268A1 (ja) 2007-04-19
JPWO2007043268A1 (ja)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6670A (ko) 절첩 가능한 좌석 승강식 휠체어
JP5087975B2 (ja) 車両用シート
TW200417363A (en) Fold-up wheelchair and elevating apparatus of the same
CN114557834A (zh) 辅助装置及辅助方法
JP2006320483A (ja) 車椅子
JP2003062015A (ja) リクライニング式車椅子
KR20080013858A (ko) 좌석 승강 휠체어, 좌석 승강 휠체어의 브레이크 장치, 및좌석 승강용 액츄에이터의 작동 정지 장치
JP2000300611A (ja) 起立介助椅子
JP2006204606A (ja) 車椅子
KR100471041B1 (ko)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
CN101288616B (zh) 具有离地距离可变化的脚踏板的垂直式座椅
JP2008259757A (ja) 折り畳み可能な座席昇降式車椅子
CN113576191A (zh) 双电机分控型高承载零重力老人椅铁架
CN113384407A (zh) 一种具有辅助升降与站立功能的轮椅
JP2000300612A (ja) 起立介助椅子の座部駆動ユニット
JP3162642B2 (ja) 理美容椅子
JP4140934B2 (ja) 車椅子
JP4775018B2 (ja) 電動車椅子
JP4147569B2 (ja) 車椅子
JPH07108857A (ja) シート構造
JP2019154508A (ja) 車椅子用のティッピングレバー
JP4536387B2 (ja) 椅子
CN219049199U (zh) 助行椅
KR102445549B1 (ko) 기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JP3543962B2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