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994B1 - 휠체어 - Google Patents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994B1
KR101752994B1 KR1020160008699A KR20160008699A KR101752994B1 KR 101752994 B1 KR101752994 B1 KR 101752994B1 KR 1020160008699 A KR1020160008699 A KR 1020160008699A KR 20160008699 A KR20160008699 A KR 20160008699A KR 101752994 B1 KR101752994 B1 KR 10175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main body
front side
rear s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계민
임대환
박영종
이재신
서다솜
김혜은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8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positioning the whole seat forward or rearw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부에 앉은 사용자가 보행관련재활훈련을 위한 핸드레일, 보행기구 또는 휴식을 위한 침상 등으로 보다 용이하게 일어나면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휠체어{wheelchair}
본 발명은 시트부에 앉은 사용자가 보행관련재활훈련을 위한 핸드레일, 보행기구 또는 휴식을 위한 침상 등으로 보다 용이하게 일어나면서 이동할 수 있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휠체어는 노약자나 장애인이 제3자의 도움없이 원하는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전동휠체어는 크게,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일측에 설치된 조작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전동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하측 전면부에 설치되는 전륜부와; 상기 전륜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의 하측 후면문에 설치되는 후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최근에는 도로의 노면상태에 따라 후륜휠의 위치가 적절하게 변화되어 최적의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는 후륜휠의 위치가 변화되는 전동휠체어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446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4466호의 경우, 상기 시트부에 앉은 사용자가 보행 등의 재활훈련을 위해 병원의 벽면에 설치된 핸드레일 또는 보행기구로 일어나면서 이동하거나 휴식을 위해 침상으로 이동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44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시트부에 앉은 사용자가 보행관련재활훈련을 위한 핸드레일, 보행기구 또는 휴식을 위한 침상 등으로 보다 용이하게 일어나면서 이동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전륜부와 후륜부가 각각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시트부의 하부 전측과 상기 본체의 상부 전측에 각각 상부 전측과 하부 전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시트부의 하부 후측에 상부 후측이 전후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철식링크와; 상기 본체의 상부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접철식링크의 하부 후측에 전측이 축결합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에 의해 승강운동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좌대와, 상기 좌대의 후측에 구비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암레스트로 구성되는 시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트부재의 전측을 기준으로 후측을 상기 본체의 상부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틸팅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시트부재의 좌대의 전측은 상기 승강판의 상부 전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틸팅부는 후측이 상기 좌대의 측면 후측에 축결합되고, 전측이 상기 승강판의 측면 중간부에 축결합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부의 측면에 각각 암레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암레스트의 후측을 기준으로 상기 암레스트의 전측이 상기 암레스트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본체, 상기 시트부, 상기 승강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충격감지센서와, 상기 시트부에 구비되는 중량감지부로 구성되어 휠체어의 사고발생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휠체어의 사고발생여부를 알리는 알림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알림부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출력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음출력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알림부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시트부에 앉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고,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지정된 연락처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근거리통신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는 시트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시트부를 보행기구나 병원의 벽면에 설치된 핸드레일 또는 침상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틸팅부를 통해 상기 시트부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부위를 보행 등의 재활훈련을 위해 병원 등의 벽면에 설치된 핸드레일 또는 보행기구 등으로 밀어주거나 휴식을 위한 침상 등으로 밀어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시트부에 앉은 사용자가 주변의 도움없이도 상기 핸드레일나 보행기구 등으로 보다 용이하게 일어나면서 이동하여 보행관련재활훈련을 행하거나 침상 등으로 보다 용이하게 일어나면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시트부의 측면에 구비된 암레스트의 전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시트부에서 상기 핸드레일, 보행기구, 침상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시트부에 앉기 위해 상기 시트부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암레스트가 방해요소로 작용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상기 암레스트의 전측을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 뒤 상기 시트부의 측면 외부방향으로 제자리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승강부에 의해 시트부가 승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틸팅부에 의해 시트부재의 후측이 본체의 상부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암레스트의 전측이 상하회전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근거리통신부가 통신망을 통해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전송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휠체어(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시트부(20) 및 승강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10)의 하부 전측과 상기 본체(10)의 하부 후측에는 각각 전륜부(110)와 후륜부(120)가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시트부(2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시트부(20)의 하부와 상기 본체(10)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20)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 상기 시트부(20) 및 상기 승강부(30)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휠체어(1)는 상기 시트부(20)에 앉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일반 휠체어 또는 상기 전륜부(110) 또는 후륜부(120)와 연결되는 전동모터 등의 구동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는 전동휠체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부(30)는 크게, 접철식링크(310)와 실린더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X'형태의 상기 접철식링크(310)의 상부 전측과 하부 전측은 각각 상기 시트부(20)의 후술할 승강판(200)의 하부 전측과 상기 본체(10)의 상부 전측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철식링크(310)의 상부 후측은 상기 시트부(20)의 승강판(200)의 하부 후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시트부(20)의 승강판(200)의 하부 후측에 상기 승강판(20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가이드레일(20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201)에 상기 가이드레일(201)을 따라 전후이동하능하게 결합되는 전후이동몸체(2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철식링크(310)의 상부 후측은 상기 전후이동몸체(202)의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320)의 실린더몸체(321)는 상기 본체(10)의 상부 후측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된 상태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몸체(321)의 로드(322)의 전측은 상기 접철식링크(310)의 하부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승강부에 의해 시트부가 승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승강부(30)의 실린더부재(320)의 로드(322)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20)가 상기 본체(1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20)는 승강판(200)과 시트부재(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판(200)은 상기 승강부(30)의 접철식링크(3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3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210)는 좌대(211), 등받이(212) 및 암레스트(2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대(211)는 상기 승강판(200)의 상부에 수평안착구비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안착지지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212)는 상기 좌대(211)의 후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213)는 상기 등받이(212)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부위를 안착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시트부재(210)의 전측을 기준으로 상기 시트부재(210)의 후측을 상기 본체(10)의 상부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틸팅부(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210)의 좌대(211)의 하부 전측은 상기 승강판(200)의 상부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틸팅부(40)는 상기 시트부(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실린더부재(4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410)의 실린더몸체(411)의 전측은 상기 승강판(200)의 일측면 중간부와 타측면 중간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몸체(411)의 후측 내부에 전측이 일정길이로 인입되는 로드(412)의 후측은 상기 좌대(211)의 일측면 후측 및 타측면 후측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틸팅부에 의해 시트부재의 후측이 본체의 상부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틸팅부(40)의 실린더부재(410)의 로드(412)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시트부재(210)의 후측이 상기 본체(10)의 상부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도 4는 암레스트의 전측이 상하회전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시트부(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암레스트(213)의 후측을 기준으로 상기 암레스트(213)의 전측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암레스트(213)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20)의 시트부재(210)의 등받이(212)의 일측면 하측과 타측면 하측에는 상기 암레스트(213)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14)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14)의 상부에 상기 암레스트(213)의 후측이 축결합될 수 있고, 상기 지지대(214)의 상부 전측에는 상기 암레스트(213)의 후측 하부면을 안착지지하는 지지판(215)이 상기 지지대(214)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휠체어(1)로 가해지는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휠체어(1)의 사고발생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50)는 충격감지센서(510)와 중량감지부(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지센서(510)는 상기 본체(10), 상기 시트부(20) 및 상기 승강부(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휠체어(1)로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로드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중량감지부(520)는 상기 시트부(20)의 좌대(211)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20)의 좌대(211)에 앉은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출부(50)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휠체어(1)의 사고발생여부를 알리는 알림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60)는 상기 본체(10), 상기 시트부(20) 및 상기 승강부(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경보음출력부재(610)와, 빛을 발광하는 경광등 등의 발광부재(6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출부(50)의 검출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7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경보음출력부재(610)와 상기 발광부재(6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지센서(510)가 상기 본체(10), 상기 시트부(20) 및 상기 승강부(30) 중 어느 하나로 가해진 외부충격을 감지하고,
상기 본체(10), 상기 시트부(20) 및 상기 승강부(30) 중 어느 하나로 가해진 외부충격에 의해 사용자의 엉덩이가 들썩여 상기 중량감지부(520)가 감지하는 사용자의 하중값에 변화가 생길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보음출력부재(610)는 경보음을 출력 및 상기 발광부재(620)가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지센서(510)가 외부충격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중량감지부(520)가 감지하는 사용자의 하중값에 변화가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보음출력부재(610)와 상기 발광부재(620)는 작동정지될 수 있다.
도 6은 근거리통신부가 통신망을 통해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전송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루투스, 와이파이, LTE 등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트부(20)에 앉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 등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80)와 연동되는 근거리 통신부(100)가 상기 본체(10), 상기 시트부(20), 상기 승강부(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100)는 상기 검출부(50)의 검출신호, 즉, 상기 검출부(50)가 상기 휠체어(1)에 가해진 외부충격을 검출한 경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검출부(50)의 검출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80)에 지정된 연락처에 해당하는 관리자 단말기(90)로 SMS, MMS 문자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90)를 소지하는 관리자는 사용자의 보호자, 의사, 간호사, 119대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90)로 문자전송된 상기 검출부(50)의 검출신호를 통해 외부충격에 의해 사고가 발생된 상기 휠체어(1)의 사용자에 대한 응급활동을 신속히 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는 상기 시트부(20)를 승강시키는 상기 승강부(30)와, 상기 시트부(20)를 보행기구나 병원의 벽면에 설치된 핸드레일 또는 침상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상기 틸팅부(40)를 통해 상기 시트부(2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부위를 보행 등의 재활훈련을 위해 병원 등의 벽면에 설치된 핸드레일 또는 보행기구 등으로 밀어주거나 휴식을 위한 침상 등으로 밀어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시트부(20)에 앉은 사용자가 주변의 도움없이도 상기 핸드레일나 보행기구 등으로 보다 용이하게 일어나면서 이동하여 보행관련재활훈련을 행하거나 침상 등으로 보다 용이하게 일어나면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20)의 측면에 구비된 상기 암레스트(213)의 전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시트부(20)에서 상기 핸드레일, 보행기구, 침상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시트부(20)에 앉기 위해 상기 시트부(20)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암레스트(213)가 방해요소로 작용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상기 암레스트(213)의 전측을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 뒤 상기 시트부(20)의 측면 외부방향으로 제자리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본체, 20; 시트부,
30; 승강부.

Claims (3)

  1.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전륜부와 후륜부가 각각 구비되는 본체와;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상부 전측에 전측이 축결합되는 좌대와 상기 좌대의 후측에 구비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일측면 하측과 타측면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대의 상부에 후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전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암레스트로 구성되는 시트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하부 전측과 상기 본체의 상부 전측에 각각 상부 전측과 하부 전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시트부의 하부 후측에 상부 후측이 전후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철식링크와, 상기 본체의 상부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접철식링크의 하부 후측에 전측이 축결합되는 실린더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시트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좌대의 측면 후측에 후측이 축결합되고 전측이 상기 승강판의 측면 중간부에 축결합되는 실린더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시트부재의 전측을 기준으로 후측을 상기 본체의 상부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틸팅부와;
    상기 본체, 상기 시트부 및 상기 승강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충격감지센서와, 상기 시트부의 좌대에 구비되는 중량감지부로 구성되어 외부충격에 의한 사고발생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외부충격에 의한 사고발생여부를 알리기 위해 상기 본체, 상기 시트부 및 상기 승강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출력부재와,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로 이루어지는 알림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 상기 시트부 및 상기 승강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고, 상기 검출부가 외부충격을 검출한 경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지정된 관리자 단말기 연락처로 문자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2. 삭제
  3. 삭제
KR1020160008699A 2016-01-25 2016-01-25 휠체어 KR10175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699A KR101752994B1 (ko) 2016-01-25 2016-01-25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699A KR101752994B1 (ko) 2016-01-25 2016-01-25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994B1 true KR101752994B1 (ko) 2017-07-04

Family

ID=5935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699A KR101752994B1 (ko) 2016-01-25 2016-01-25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9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5369A (en) * 2019-08-20 2020-01-08 Marsden Weighing Machine Group Ltd Weighing apparatus
KR20210123600A (ko) * 2020-04-03 2021-10-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노인 넘어짐 예방을 위한 화장실 자세 보조 및 응급알람 시스템
KR20210123474A (ko) * 2020-04-03 2021-10-14 송순영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KR102475868B1 (ko) * 2021-10-19 2022-12-07 주식회사 케이티 응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동 휠체어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5973A (ja) * 1998-10-26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昇降座椅子
JP2004129785A (ja) 2002-10-09 2004-04-30 Pentax Corp 内視鏡湾曲操作装置のブレーキ力調整機構
JP2004129795A (ja) * 2002-10-09 2004-04-30 Araco Corp 補助機能を備えたシート
JP2005177333A (ja) * 2003-12-22 2005-07-07 Itoki Crebio Corp 起立補助機能付き椅子
WO2007043268A1 (ja) * 2005-10-14 2007-04-19 Ryobi Ltd. 折り畳み可能な座席昇降式車椅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5973A (ja) * 1998-10-26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昇降座椅子
JP2004129785A (ja) 2002-10-09 2004-04-30 Pentax Corp 内視鏡湾曲操作装置のブレーキ力調整機構
JP2004129795A (ja) * 2002-10-09 2004-04-30 Araco Corp 補助機能を備えたシート
JP2005177333A (ja) * 2003-12-22 2005-07-07 Itoki Crebio Corp 起立補助機能付き椅子
WO2007043268A1 (ja) * 2005-10-14 2007-04-19 Ryobi Ltd. 折り畳み可能な座席昇降式車椅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5369A (en) * 2019-08-20 2020-01-08 Marsden Weighing Machine Group Ltd Weighing apparatus
GB2575369B (en) * 2019-08-20 2020-10-07 Marsden Weighing Machine Group Ltd Weighing apparatus
KR20210123600A (ko) * 2020-04-03 2021-10-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노인 넘어짐 예방을 위한 화장실 자세 보조 및 응급알람 시스템
KR20210123474A (ko) * 2020-04-03 2021-10-14 송순영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KR102331569B1 (ko) * 2020-04-03 2021-11-25 송순영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KR102337775B1 (ko) * 2020-04-03 2021-12-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노인 넘어짐 예방을 위한 화장실 자세 보조 및 응급알람 시스템
KR102475868B1 (ko) * 2021-10-19 2022-12-07 주식회사 케이티 응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동 휠체어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994B1 (ko) 휠체어
KR102269093B1 (ko) 승하차가 용이한 휠체어
US10188245B2 (en) Toilet
US20190167497A1 (en) Wheelchair with integrated transfer device
KR101800553B1 (ko) 노약자 및 장애인 전용 전동의자
KR102306638B1 (ko) 기립보조의자
JP3166569U (ja) 便器からの立ち上がりを補助する電動椅子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KR100805743B1 (ko) 전동 기립형 휠체어
KR20170061926A (ko) 장애물을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삼단 상하운동 바퀴를 구비한 전동휠체어
JP3058272B2 (ja) 電動車椅子
KR200472158Y1 (ko) 차량용 회전 의자
JPH10225489A (ja) 介護車
KR200420167Y1 (ko) 휠체어 좌석 자동 승강장치
JP3229071U (ja) 電動昇降椅子用挟まれ防止安全装置
KR20240036396A (ko)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KR102526600B1 (ko)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
KR20140020458A (ko) 착석 가이드 장치
KR102660429B1 (ko) 앉고서는 것이 불편한 사람을 위한 좌변기 및 휠체어용 승강형 좌대
KR20120102889A (ko) 전동 휠체어
KR102155358B1 (ko) 팔걸이 동작메커니즘을 구비한 전동 휠체어
KR20130003231A (ko) 좌변기 시트 어셈블리
KR101012092B1 (ko) 환자용 변기의자
AU2018217134B2 (en) Toilet
JP2011087611A (ja) 起立援助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