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569B1 -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569B1
KR102331569B1 KR1020200040622A KR20200040622A KR102331569B1 KR 102331569 B1 KR102331569 B1 KR 102331569B1 KR 1020200040622 A KR1020200040622 A KR 1020200040622A KR 20200040622 A KR20200040622 A KR 20200040622A KR 102331569 B1 KR102331569 B1 KR 10233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edestal
bar
coupled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474A (ko
Inventor
송순영
Original Assignee
송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순영 filed Critical 송순영
Priority to KR1020200040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569B1/ko
Priority to PCT/KR2021/003002 priority patent/WO2021201458A1/ko
Publication of KR2021012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6Armrests mounted on or around the toi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대 작동기기 하부에 복수의 캐스터를 결합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활용 범위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캐스터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좌대 작동기기를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레벨러(leveler)를 부가 구성함으로써, 고정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동 좌대;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 상기 좌대 작동기기 하부에 결합되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Movable user standing assist device}
본 발명은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대 작동기기 하부에 복수의 캐스터를 결합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활용 범위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캐스터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좌대 작동기기를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레벨러(leveler)를 부가 구성함으로써, 고정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 또는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적당한 높이를 갖는 본체가 바닥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에 좌대가 설치되며, 이 좌대의 후단은 힌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상부로 절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좌대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덮개가 구비되어 용변구를 덮을 수 있도록 하였고, 본체의 후단에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양변기 또는 좌변기는 앉아서 용변을 보기에는 좋으나, 다양한 환자들, 하체에 힘이 없는 노약자들, 장애인들 경우에는 용변을 본 후 앉은 상태에서 일어서기까지의 행동에서 매우 힘겨움을 느끼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양변기 또는 좌변기 주위에 보조 횡간을 설치하여 이 횡간을 손으로 잡고 좌대에 앉거나 일어설 수 있도록 하였으나 하체에 힘이 없는 환자, 노약자, 장애인들은 대부분 팔에도 힘이 없어 횡간에 의지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669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 하체가 불편한 사람들이 용변을 본 후 앉은 상태에서 많은 힘을 가하지 않고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은 노약자 등이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노약자 등이 직접 힘을 가하여 동작시키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 힘을 가할 수 없는 환자들, 노약자들, 장애인들에게는 무용지물에 불과하고, 더 나아가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더 큰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은 단지 고정된 상태로 사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화장실 이외의 실내, 더 나아가 실외에서 사용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활용 범위와 활용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은 구조물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구성을 채택 적용하지 못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구조물의 변형 또는 이탈로 인하여 구조물의 파손 및 사용자의 부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669호(공고일자 : 2001년 10월 06일, 고안의 명칭 :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좌대 작동기기 하부에 복수의 캐스터를 결합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활용 범위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캐스터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좌대 작동기기를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레벨러(leveler)를 부가 구성함으로써, 고정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배치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안전바를 가동 좌대에 결합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 좌대의 하부에 탈부착될 수 있는 변기통을 추가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긴급 상황의 생리 현상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위해 동작하는 링크 조립체의 움직임을 지지하고 가이드할 수 있는 지지 가이드 블록을 구비함으로써, 링크 조립체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고, 가동 좌대 또는 사용자에 의한 하중으로 인한 링크 조립체의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 조립체의 측부에 인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는 가이드 바를 부가 구비함으로써, 하중으로 인한 링크 조립체의 변형 및 이탈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고, 이탈에 의한 파손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가 앉는 가동 좌대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구동하되, 회동 움직임이 미세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양변기 사용자가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제1 회동 링크와 제2 회동 링크가 동시에 작동 바를 동작시켜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양변기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함과 동시에 일어서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동 좌대;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 상기 좌대 작동기기 하부에 결합되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캐스터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좌대 작동기기가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벨러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동 좌대의 양측부에 체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안전바를 더 포함하되, 각각의 안전바는 상기 가동 좌대의 측부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대, 상기 수평대의 하단과 상기 가동 좌대의 측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대 및 상기 수평대의 전단 또는 전방측 수직대의 상단과 연결되되,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배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탈부착될 수 있는 변기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대 작동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수단,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 바를 동작시켜 상기 가동 좌대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링크 조립체 및 상기 링크 조립체의 움직임을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지지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 조립체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 링크와, 상기 제1 회동 링크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동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축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전후진 구동되되, 상기 제1 회동 링크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에 의하면, 좌대 작동기기 하부에 복수의 캐스터를 결합 구성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활용 범위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캐스터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좌대 작동기기를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레벨러(leveler)를 부가 구성하기 때문에, 고정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배치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안전바를 가동 좌대에 결합 구성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좌대의 하부에 탈부착될 수 있는 변기통을 추가 구성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긴급 상황의 생리 현상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위해 동작하는 링크 조립체의 움직임을 지지하고 가이드할 수 있는 지지 가이드 블록을 구비하기 때문에, 링크 조립체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고, 가동 좌대 또는 사용자에 의한 하중으로 인한 링크 조립체의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링크 조립체의 측부에 인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는 가이드 바를 부가 구비하기 때문에, 하중으로 인한 링크 조립체의 변형 및 이탈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고, 이탈에 의한 파손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가 앉는 가동 좌대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구동하되, 회동 움직임이 미세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양변기 사용자가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제1 회동 링크와 제2 회동 링크가 동시에 작동 바를 동작시켜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양변기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함과 동시에 일어서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캐스터와 레벨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캐스터와 레벨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의 동작 전 상태(가동 좌대 하강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의 동작 후 상태(가동 좌대 상승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좌대 작동기기의 동작 전 상태(가동 좌대 하강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좌대 작동기기의 동작 후 상태(가동 좌대 상승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지지 가이드 블록의 사시도와 내부를 투명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가동 좌대의 전후진 위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의 좌우 위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위치 조정 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위치 조정 수단의 외측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위치 조정 수단의 내측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동작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가동 좌대(110)와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더 나아가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 하부에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캐스터(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에 장착되되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접촉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안착부(11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동 좌대(110)가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동작에 따라 상승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안착부(111)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앞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부(111) 상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네오플랜(neoprene)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고정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에 결합 장착된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은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동작 구동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기립, 즉 일어설 수 있도록 승강 움직임 및(또는) 회동 움직임을 가진다.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가동 좌대(110)가 승강 움직임만 가지거나 또는 회동 움직임만 가지거나 또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모두 가질 수 있도록 작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110)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 즉 수직 왕복 움직임에 해당하는 승강 움직임과 회전에 해당하는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발생하기 때문에, 외관을 해치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 하부에 결합되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캐스터(caster)(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스터(170)는 양측에 배치되는 좌대 작동기기(100)의 각 하부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부착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가동 좌대(110)에 착석한 상태에서 보호자 등에 의하여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는 이동될 수 있고,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는 환자, 장애인, 노약자 등 기본적으로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 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상기 환자 등이 착석한 상태에서 평상시에도 사용될 수 있고, 화장실의 양변기에 진입시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가 화장실의 양변기에 진입시켜 사용되는 경우, 양변기의 용변구가 상기 한 쌍의 좌대 작동기기(100) 내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를 이동 배치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가 화장실에 배치되어 지속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스터(170)가 바닥면(s)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가 바닥면(s)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벨러(leveler)(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벨러(180)는 상기 캐스터(170)를 구성하는 바퀴(175)의 하단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거나 더 하측에 위치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높이가 조정되어 상기 캐스터(170)의 바퀴(175)가 상기 바닥면(s)에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레벨러(18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를 이동 가능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캐스터(170)의 바퀴(175)가 바닥면(s)에 접촉되도록 높이가 조정되고,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를 고정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캐스터(170)의 바퀴(175)가 바닥면(s)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높이가 조정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벨러(180)는 상기 캐스터(170)와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스터(170)에 결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스터(170)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하부에 결합 부착되는 부착부(171)와, 상기 부착부(17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173) 및 상기 몸체(173)의 일측에 결합되는 바퀴(1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73)는 베어링(172)을 개재시켜 상기 부착부(171)의 하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바퀴(175)는 상기 몸체(173)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는 이동 중에 방향 변경이 용이하고 조작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레벨러(180)는 상기 캐스터(170)의 몸체(173)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바퀴(175)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레벨러(180)는 회전 다이얼(181), 상기 회전 다이얼(181)의 하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결합되는 회전봉(183) 및 상기 회전봉(183)과 나사 결합되는 이동 블록(18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다이얼(181)은 상기 캐스터(170)의 몸체(173) 내측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회전 다이얼(181)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봉(183) 역시 회전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봉(183)과 나사 결합되는 이동 블록(185)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봉(183)은 상기 이동 블록(185)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 블록(185)은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벨러(180)의 이동 블록(185)의 하단이 상기 캐스터(170)의 바퀴(175)의 하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으면, 상기 바퀴(175)는 바닥면(s)에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이동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회전 다이얼(181)을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 블록(185)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동 블록(185)의 하단과 상기 바퀴(175)의 하단이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도 4의 (b) 참조), 상기 상기 회전 다이얼(181)을 특정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 블록(185)이 하측 방향으로 더 이동되어, 이동 블록(185)의 하단이 상기 바퀴(175)의 하단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도 4의 (c) 참조)). 도 4의 (c) 상태가 되면, 상기 이동 블록(185)이 바닥면(s)에 접촉된 상태가 되고, 상기 바퀴(175)는 바닥면(s)에서 이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더 이상 이동될 수 없고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상기 캐스터(170)에 대해 상기 레벨러(180)를 도 4의 (c) 상태로 조정하여 화장실의 양변기에 진입시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도 4의 (a) 상태로 조정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이동 가능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 등 거동이 자유롭지 못하는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에서 가동 좌대(110)에 착석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를 사용하는 경우, 긴급한 생리 활동(대변 또는 소변)으로 곤란함을 겪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탈부착될 수 있는 변기통(11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 양측 각각에는 상기 변기통(110)의 양측 에지 부분이 각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는 장착 블록(113)이 부착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좌대 작동기기(1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대(97)가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에 배치되는 연결대(97)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를 화장실 양변기에 진입시켜 사용하는 경우, 진입 과정에서 화장실의 양변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 사용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배치 구조 및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대 작동기기(100)는 기어 조립체 등 복잡한 구조를 채택 적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를 통해 상기 가동 좌대(11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의 동작 전 상태(가동 좌대 하강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동작 후 상태(가동 좌대 상승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좌대 작동기기의 동작 전 상태(가동 좌대 하강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동작 후 상태(가동 좌대 상승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 및 도 6에서 일측부의 가로 프레임을 제거하고 지지 가이드 블록의 단면이 보이도록 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기본적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수단(20),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링크 조립체(60) 및 상기 링크 조립체(60)의 움직임을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지지 가이드 블록(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외관을 좋게 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스(1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즉, 상술한 구동 수단(20), 링크 조립체(60) 및 지지 가이드 블록(30)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구동 수단(20), 링크 조립체(60) 및 지지 가이드 블록(30)은 기본적으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조립체(13)에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좌대 작동기기(1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동기화되어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동 좌대(110)를 동작시키는 좌대 작동기기(100)를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한 쌍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몸무게와 상관없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과도한 부하로 인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대 작동기기(100)는 양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에 각 좌대 작동기기(100)는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하나의 좌대 작동기기(100), 즉 상기 한 쌍의 좌대 작동기기(100) 중, 일측에 배치되는 하나의 좌대 작동기기(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관련된 설명은 나머지 하나의 좌대 작동기기(100)의 구성 및 동작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일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구동 수단(20), 상기 링크 조립체(60) 및 지지 가이드 블록(30)이 그 내부에서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케이스(10) 내부에는 상기 구동 수단(20) 및 상기 링크 조립체(60)의 각각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지지 가이드 블록(3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조립체(13)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 조립체(13)는 복수의 가로 프레임(15)과 이 가로 프레임(15)에 연결되는 복수의 세로 프레임(17)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가로 프레임(15)과 세로 프레임(17)은 프레임 조립체(13)가 견고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구동 수단(20), 상기 링크 조립체(60) 및 지지 가이드 블록(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동 수단(20)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링크 조립체(60)를 동작시켜 상기 링크 조립체(60)에 의하여 상기 가동 좌대(110)에 결합되는 작동 바(70)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가동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에 결합되는 상기 작동 바(70)를 동작시킨다.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작동 바(70)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7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119)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작동 바(7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119)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작동 바(7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 바(70)를 동작시켜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킨다.
상기 작동 바(70)는 상기 결합 바(119)에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상기 결합 바(119)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링크 조립체(6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작동 바(70)의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 바(70)에게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작동 바(7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 좌대(110)는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119)를 매개하여 상기 작동 바(7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작동 바(70)와 탈부착이 용이하고, 이를 통해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의 조립 및 해체, 더 나아가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70)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1 회동 링크(40)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70)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동 링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회동 링크(40)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특히 상기 프레임 조립체(13)의 세로 프레임(1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회동 링크(50) 역시 일단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특히 상기 프레임 조립체(13)의 세로 프레임(1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만, 상기 제2 회동 링크(50)는 상기 제1 회동 링크(4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각 일단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특히 상기 프레임 조립체(13)의 세로 프레임(1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 수단(20)이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게 구동력을 가하면 상기 작동 바(70)는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작동 바(70)에 상기 결합 바(119)를 매개하여 결합되는 상기 가동 좌대(110)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축(21)은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 부하를 최소화시키고 구동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동 바(7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점에 인접한 부분, 즉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및 상기 제2 회동 링크(50)는 승강 움직임뿐만 아니라 회동 움직임도 함께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연결되는 상기 구동 수단(20) 역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수단(20)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특히 상기 프레임 조립체(13)의 세로 프레임(1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축(21)은 구동 수단(20)에 의하여 전후진 구동되되,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축(21)이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축(21)의 전후진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타단에 연결되는 상기 작동 바(70)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및 상기 제2 회동 링크(50)가 회동 움직임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연결되는 상기 구동 수단(20) 역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특히 상기 프레임 조립체(13)의 세로 프레임(17)에 직접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동 수단(20)은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등 다양한 형태의 구동기를 채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수단(20)은 구조적인 안정성 및 간섭 없는 동작을 고려하여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동 링크(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동 좌대(110)가 하강한 상태(도 5 및 도 7의 상태)에서 상기 작동 바(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가 과도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10) 내부 하측에는 상기 작동 바(70)의 하단을 지지하고 멈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 스토퍼(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작동 바(70) 및 링크 조립체(60)에 과부하가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스토퍼(11)와 별개 또는 병행하여 상기 가동 좌대(110) 하부에 지지 패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패드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동 좌대(110)가 안착되는 과정에서 충격이 흡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역시 상기 작동 바(70) 및 링크 조립체(60)에 과부하가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사용자의 거동을 보조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안전바(9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측부에 체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 측부에 결합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 하부의 연결단(91)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에 결합 형성되어 상측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안전바(90)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일측부에 결합 형성되는 일측 안전바(90)와 상기 가동 좌대(110)의 타측부에 결합 형성되는 타측 안전바(90)로 구성되며, 상기 일측부 안전바(90)와 상기 타측부 안전바(90)는 전방 끝부분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양측부의 안전바(9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안전바(90)의 구성 및 특징은 양측부 안전바(9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대(92)와, 상기 수평대(92)의 하단과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대(93) 및 상기 수평대(92)의 전단 또는 상기 한 쌍의 수직대(93) 중 전방측 수직대(93)의 상단과 연결되되,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배치되는 손잡이(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대(92)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팔걸이로 활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대(93)는 상기 수평대(92)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후방측 수직대(93)는 상기 수평대(92)의 일측 하단과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 뒤쪽 사이를 연결하고, 전방측 수직대(93)는 상기 수평대(92)의 타측 하단과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 앞쪽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손잡이(95)는 상기 수평대(92)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평대(92)와 둔각(θ)을 이루도록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95)가 상기 수평대(92)에 대해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가동 좌대(110)에 착석하는 과정 또는 기립하는 과정에서 더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양측부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 측부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면 견고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사용 중에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평대(92)에 팔을 걸쳐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동작 과정에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하중에 의한 구조적인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 가이드 블록(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 가이드 블록(30)은 특히 상기 링크 조립체(6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및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움직임을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 가이드 블록(30)은 상기 링크 조립체(6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및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끝부분을 지지한 상태로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프레임(15)에 상하 방향으로 견고하게 결합 배치된다.
상기 지지 가이드 블록(30)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동 링크(40)의 타단과 상기 제2 회동 링크(40)의 타단을 수용하는 가이드 공간(31)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 공간(31)에는 상기 제1 회동 링크(40)의 타단의 끝부분인 제1 돌출단(41)과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타단의 끝부분인 제2 돌출단(51)을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지지턱(3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 가이드 블록(30)은 상기 제1 회동 링크(40)의 타단과 상기 제2 회동 링크(40)의 타단이 상기 가이드 공간(31)으로 수용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상기 제1 회동 링크(40)의 타단과 상기 제2 회동 링크(40)의 타단이 진입한 부분)와 상측부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방부(3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돌출단(41)과 상기 제2 돌출단(51)은 상기 지지턱(33)에 접촉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되기 때문에, 부드러운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턱(33)은 상기 가이드 공간(31) 내에서 상기 제1 돌출단(41)과 상기 제2 돌출단(51)의 이동 경로를 따라 단차진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공간(31)은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40)의 움직임, 특히 상기 제1 회동 링크(40)의 타단과 상기 제2 회동 링크(40)의 타단 그리고 이들에 연결되는 상기 작동 바(70)의 움직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지지 가이드 블록(30)을 채택 적용함에 따라, 상기 링크 조립체(60)의 유연하고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고, 하중에 의한 링크 조립체(60)의 변형, 더 나아가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욱 강화시키고 예상치 못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바(35)를 더 포하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조립체(6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측부에 인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는 가이드 바(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 바(35)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속해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 조립체(13)를 구성하는 복수의 가로 프레임(15)에 결합된다.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상기 가이드 바(35)가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사선 방향으로도 배치될 수도 있고, 좌우 방향으로 연속해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35)는 상기 링크 조립체(6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부에 인접 배치된다. 하나의 측부에만 인접 배치된다면,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양측부 중, 외측부에 인접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가동 좌대(110)에 앉은 경우,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좌대 작동 기기(100) 각각에 대해 외측부 방향으로 하중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는 외측부 방향으로 벌어지는 힘을 받게 되어 변형 또는 이탈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변형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바(35)는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양측부 중, 외측부에는 반드시 인접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하중에 의한 파손 발생시, 파손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바(35)는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양측부에 각각 인접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가 한 쌍의 가이드 바(35)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양측부에 상기 가이드 바(35)를 인접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링크 조립체(60)의 측부에 인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는 가이드 바(35)를 부가 구비하기 때문에, 하중으로 인한 링크 조립체(60)의 변형 및 이탈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고, 이탈에 의한 파손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다양한 구조, 형태, 사이즈를 가지는 양변기에 진입되어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 좌대(110)는 위치 조정 수단(150)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상기 가동 좌대(11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술한 작동 바(7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결합 바(119)는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을 매개하여 상기 가동 좌대(1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상기 결합 바(119)와 상기 가동 좌대(11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가동 좌대(110)가 상기 결합 바(119)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측부에 체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안전바(90)를 더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사용자의 체격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양측 안전바(90)의 이격 거리가 조정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상기 안전바(9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 측부에는 상기 양측 안전바(9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대(93)의 하단에 해당하는 연결단(91)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15)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의 일 측부의 앞쪽과 뒤쪽에는 각각 상기 일측 안전바(9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대(93)의 연결단(91)이 각각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115)가 형성되고, 역시 상기 가동 좌대(110)의 타 측부의 앞쪽과 뒤쪽에는 각각 상기 타측 안전바(9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대(93)의 연결단(91)이 각각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수직대(93)의 연결단(91)은 수평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된 부분을 가지고, 상기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이 상기 대응하는 체결부(115)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115)는 상기 수직대의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에 해당하는 연결단(91)이 수평 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는 홈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각 체결부(115)의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 조정홀(116)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대(93)의 수평 연장 부분에 해당하는 연결단(91)이 상기 대응하는 체결부(115)로 삽입되면, 위치 고정핀 또는 고정 볼트(미도시) 등을 상기 간격 조정홀(116)과 상기 간격 조절홀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대(93)의 연결단(91)에 형성된 고정홀(미도시)에 삽입하여 상기 수직대를 상기 각 체결부(115)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대(93)의 연결단(91)은 상기 고정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과도 함께 고정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의 위치 조정에 따라, 상기 수직대(93)의 연결단(91)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안전바(9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양측의 안전바(90)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수직대(93)의 연결단(91)이 대응하는 체결부(115)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양측 안전바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추가적으로 상기 수직대(93)의 연결단(91)에 체결되어 상기 안전바(9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의 구성 및 결합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상기 결합 바(119)에 결합되는 브라켓(120),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이동 플레이트(130)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브라켓(120)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결합 바(119)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와 면접촉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브라켓(120)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와 이들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 바(119)는 상기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내로 삽입되고 그 상부가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각각에는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바(119)는 그 상단이 상기 브라켓(120)의 수평 플레이트에 접촉 밀착되고 그 둘레면이 상기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에 접촉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바(119)와 상기 한 쌍의 결합홀(121)을 관통하도록 체결 볼트 등으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브라켓(1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119)는 상기 결합홀(121)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 볼트 등이 삽입될 수 있는 대응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브라켓(120)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면접촉된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120)의 수평 플레이트에는 제1 고정홀(123)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20)의 수평 플레이트 상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두 개의 제1 고정홀(123)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20)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고정홀(123)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는 전후 위치 조정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홀(123)이 상기 브라켓(120)에 두 개 형성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131) 역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두 개 형성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브라켓(120), 구체적으로 수평 플레이트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배치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전후 위치 조정홀(131)을 구비하고,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13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131)과 상기 제1 고정홀(123)이 대응되도록 상기 브라켓(120) 상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131)과 상기 제1 고정홀(123)에 체결 볼트 등을 삽입 체결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상기 브라켓(12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때, 먼저 상기 체결 볼트 등을 푼 다음,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상기 브라켓(120), 구체적으로 수평 플레이트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체결 볼트 등을 다시 조여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로 상기 브라켓(120)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전후 위치 조정홀(131)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브라켓(120)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술한 가동 좌대(110)에 결합되고 더 나아가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에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전후 방향으로의 양 측단에는 제1 체결홀(1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홀(133)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의 전후 방향으로의 양 측단에도 제2 체결홀(145)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홀(133)과 상기 제2 체결홀(145)은 서로 대응된 상태로 체결 볼트 등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면접촉된 상태로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볼트 등은 상기 제1 체결홀(133)과 상기 제2 체결홀(145)을 삽입 관통할 뿐 아니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에도 삽입 관통하여 체결한다. 결국,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하부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를 밀착 고정시킨 상태로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부착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되면, 상기 가동 좌대(110) 역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좌대(110)는 양측부에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바(9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볼트 등을 통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140)와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14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면, 결국 상기 가동 좌대(110) 역시 상기 안전바(9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가 밀착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는 제3 고정홀(135)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에는 제4 고정홀(147)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3 고정홀(135)과 상기 제4 고정홀(147)을 대응시킨 상태로 체결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제3 고정홀(135)에 대응하는 제4 고정홀(147)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홀(133)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145)을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자신의 제2 체결홀(145)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홀(133)에 대응한 상태로 체결 볼트 등을 통해 체결되고, 자신의 제4 고정홀(147)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3 고정홀(135)에 대응한 상태로 고정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브라켓(12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20)을 지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20)의 측면부, 즉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대향 플레이트에 밀착 배치되는 돌출편(141)을 구비한다. 상기 돌출편(141)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의 돌출편(141)이 상기 브라켓(120)의 측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이탈 또는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편(141)이 상기 브라켓(120)을 지지함과 동시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에 의한 상기 브라켓(12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 사이의 결합력은 더욱더 강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돌출편(141)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구조의 지지 위치 조정홀(143)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편(141)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에 대응하여 상기 브라켓(120)에는, 구체적으로 대향 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고정홀(1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과 상기 제2 고정홀(125)이 대응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 볼트 등을 통해 삽입 체결함으로써, 상기 돌출편(141)과 상기 대향 플레이트를 고졍 결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120)에도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12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 사이의 결합력을 보강 또는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홀(125)은 상기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상기 돌출편(141)에 밀착되는 대향 플레이트)에만 형성되도 무관하지만, 상기 브라켓(120)과 상기 결합 바(119)의 결합력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별도의 고정 볼트 등은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과 상기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고정홀(125)을 삽입 관통하여 체결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돌출편(141)은 상기 대향 플레이트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결합 바(119)는 상기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내에서 더 강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바(119)는 상기 별도의 고정 볼트 등이 삽입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은 상기 제2 고정홀(125)과 달리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고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면, 별도의 고정 볼트 등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홀(125)과 삽입 체결되는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의 삽입 위치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고 상기 돌출편(141)이 상기 대향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결합 구조를 통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브라켓(120) 상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120)과의 결합력이 보강 및 강화될 수 있고,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가동 좌대(110)에 결합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체결부(115)에 삽입 결합되는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에 체결 볼트 등을 통해 체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되면, 결국 상기 가동 가동 좌대(110)와 상기 안전바(90)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안전바(90)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술한 위치 조정 수단(15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바(9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에 연결되어 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안전바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전후 위치 조정홀(131)에 대응하여 상기 브라켓(120), 구체적으로 수평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고정홀(123)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131)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구조를 가지는 반면, 상기 제1 고정홀(123)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구조를 가진다.
상기 브라켓(120) 상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좌우 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하여 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131)과 상기 제1 고정홀(123)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12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결합하는 고정 볼트 등을 조임 해제한 다음,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한 후, 다시 상기 고정 볼트 등을 조여서 상기 브라켓(120) 상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한다.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면,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연결된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은 상기 가동 좌대(110)의 체결부(115)에 삽입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이 상기 체결부(115)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정된다. 한편,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제1 체결홀(133),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의 제2 체결홀(145)을 삽입 체결되는 체결 볼트 등은 상기 체결부(115)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을 관통한 후 상기 체결부(115)에 형성되는 간격 조정홀(116)에 관통 체결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되면,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 돌출편(141)을 통해 상기 브라켓(120), 구체적으로 대향 플레이트 중 하나를 밀착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40) 역시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제1 체결홀(133)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2 체결홀(145)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구조를 가진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40)의 제4 고정홀(147)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제3 고정홀(135) 역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됨에 따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브라켓(120)을 밀착 지지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 역시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2 체결홀(145)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제3 고정홀(135)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 조정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 조정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 조정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 조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에 의하면, 가동 좌대(11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가동 좌대(110)에 체결되어 있는 안전바(9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양변기에 맞춰 가동 좌대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에 맞춰 안전바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양변기의 형태 및 사용자의 체형에 무관하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한편, 도 12,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20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결합되는 보강 바(1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사용자의 무게로 인하여 하측 방향으로 휨 또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강 바(16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결합되어 가동 좌대(110)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5에 도시된 상기 보강 바(16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후단에만 배치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전단과 후단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배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바(16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에 양측단이 대응되어 걸쳐진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지지 스토퍼
13 : 프레임 조립체 15 : 가로 프레임
17 : 세로 프레임 20 : 구동 수단
21 : 구동축 30 : 지지 가이드 블록
31 : 가이드 공간 32 : 개방부
33 : 지지턱 35 : 가이드 바
40 : 제1 회동 링크 41 : 제1 돌출단
50 : 제2 회동 링크 51 : 제2 돌출단
60 : 링크 조립체 70 : 작동 바
90 : 안전바 91 : 연결단
92 : 수평대 93 : 수직대
95 : 손잡이 97 : 연결대
100 : 좌대 작동기기 110 : 가동 좌대
111 : 안착부 113 : 장착 블록
115 : 체결부 117 : 변기통
116 : 간격 조정홀 119 : 결합 바
120 : 브라켓 121 : 결합홀
123 : 제1 고정홀 125 : 제2 고정홀
130 : 이동 플레이트 131 : 전후 위치 조정홀
133 : 제1 체결홀 135 : 제3 고정홀
140 : 지지 플레이트 141 : 돌출편
143 : 지지 위치 조정홀 145 : 제2 체결홀
147 : 제4 고정홀 150 : 위치 조정 수단
160 : 보강 바 170 : 캐스터(caster)
171 : 부착부 172 : 베어링
173 : 몸체 175 : 바퀴
180 : 레벨러(leveler) 181 : 회전 다이얼
183 : 회전봉 185 : 이동 블록
200 :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Claims (5)

  1.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동 좌대;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 상기 좌대 작동기기 하부에 결합되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대 작동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수단,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 바를 동작시켜 상기 가동 좌대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링크 조립체 및 상기 링크 조립체의 움직임을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지지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동 좌대의 양측부에 체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안전바 및 상기 가동 좌대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배치되는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안전바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결합 바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브라켓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홀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는 전후 위치 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부착 결합되고, 상기 가동 좌대는 상기 안전바의 연결단과 결합되고, 상기 안전바의 연결단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부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의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대향 플레이트에 밀착 배치되는 돌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좌대 작동기기가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벨러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탈부착될 수 있는 변기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5. 삭제
KR1020200040622A 2020-04-03 2020-04-03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KR102331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622A KR102331569B1 (ko) 2020-04-03 2020-04-03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PCT/KR2021/003002 WO2021201458A1 (ko) 2020-04-03 2021-03-11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622A KR102331569B1 (ko) 2020-04-03 2020-04-03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474A KR20210123474A (ko) 2021-10-14
KR102331569B1 true KR102331569B1 (ko) 2021-11-25

Family

ID=7792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622A KR102331569B1 (ko) 2020-04-03 2020-04-03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1569B1 (ko)
WO (1) WO20212014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3302A (ko) 2022-12-05 2024-06-12 이재구 치과 또는 내시경의사 진료보조를 위한 팔보조기기의 미세조절 이동기능을 구비한 무빙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5962B (zh) * 2022-01-17 2023-11-03 仙居县馨乐家纺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神经内科辅助患者排泄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569B2 (ja) * 1995-06-12 2001-05-14 日本鋼管株式会社 鋼材表面に生じた異常部の発生原因検出方法
KR101629101B1 (ko) * 2014-12-03 2016-06-0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관절 환자용 의자
KR101752994B1 (ko) * 2016-01-25 2017-07-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
KR101931327B1 (ko) * 2017-07-21 2018-12-20 주식회사 네오탑 변기 보조 장치
KR102022607B1 (ko) * 2018-06-27 2019-09-18 (주)링크옵틱스 긴급호출신호 송출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좌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KR102062486B1 (ko) * 2019-04-01 2020-01-03 송순영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1804Y2 (ja) * 1990-03-05 1996-06-19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プロジェクタ用スタンド
KR19980032384U (ko) * 1996-12-03 1998-09-05 안규락 다기능 이송 고정구(uni-foot)
KR200232669Y1 (ko) 2001-03-08 2001-10-06 조현성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
KR20120003933U (ko) * 2010-11-26 2012-06-05 정주연 재활용 의자
JP3166569U (ja) * 2010-12-27 2011-03-10 財團法人自行車曁健康科技工業研究發展中心 便器からの立ち上がりを補助する電動椅子
KR101332096B1 (ko) * 2011-11-04 2013-11-22 이덕우 테이블 지지장치
KR20140088757A (ko) * 2013-01-03 2014-07-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립 보조형 휠체어
KR102490256B1 (ko) * 2016-04-18 2023-01-19 코웨이 주식회사 변좌 리프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569B2 (ja) * 1995-06-12 2001-05-14 日本鋼管株式会社 鋼材表面に生じた異常部の発生原因検出方法
KR101629101B1 (ko) * 2014-12-03 2016-06-0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관절 환자용 의자
KR101752994B1 (ko) * 2016-01-25 2017-07-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
KR101931327B1 (ko) * 2017-07-21 2018-12-20 주식회사 네오탑 변기 보조 장치
KR102022607B1 (ko) * 2018-06-27 2019-09-18 (주)링크옵틱스 긴급호출신호 송출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좌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KR102062486B1 (ko) * 2019-04-01 2020-01-03 송순영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3302A (ko) 2022-12-05 2024-06-12 이재구 치과 또는 내시경의사 진료보조를 위한 팔보조기기의 미세조절 이동기능을 구비한 무빙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1458A1 (ko) 2021-10-07
KR20210123474A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7073B2 (ja) 洋式便器使用者の起立補助装置
KR102331569B1 (ko)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KR102259491B1 (ko)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JP2014030692A (ja) 歩行器兼用車椅子
TW201919556A (zh) 起立輔助裝置及安裝其之輪椅
KR100740424B1 (ko) 승강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JP2017185204A (ja) 起立補助装置
KR102320543B1 (ko)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KR102311253B1 (ko)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KR20220030058A (ko) 환자 이송용 베드 휠체어
KR102293588B1 (ko)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JP4498980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102359574B1 (ko)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KR102207606B1 (ko) 안전바를 구비한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JP7093589B1 (ja) 移乗補助椅子
KR102597869B1 (ko) 안전 시트를 구비한 양변기 장치
KR102220350B1 (ko)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KR20100029804A (ko) 양변기용 안전장치
JP3239442U (ja) 車椅子及び車椅子ユニット
JP2024024990A (ja) 車椅子及び車椅子ユニット
KR101856076B1 (ko) 스탠드 테이블
KR102597868B1 (ko) 안전 시트
CN212879107U (zh) 一种可调节助力马桶椅
JP3231125U (ja) 椅子
JP6852423B2 (ja) 入浴介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