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588B1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3588B1 KR102293588B1 KR1020200020490A KR20200020490A KR102293588B1 KR 102293588 B1 KR102293588 B1 KR 102293588B1 KR 1020200020490 A KR1020200020490 A KR 1020200020490A KR 20200020490 A KR20200020490 A KR 20200020490A KR 102293588 B1 KR102293588 B1 KR 1022935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seat
- movable
- toilet
- bar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6—Armrests mounted on or around the toile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동 좌대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가동 좌대에 체결되어 있는 안전바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양변기에 맞춰 가동 좌대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에 맞춰 안전바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양변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양변기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동 좌대, 상기 양변기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 상기 가동 좌대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배치되는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양변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양변기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동 좌대, 상기 양변기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 상기 가동 좌대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배치되는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동 좌대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가동 좌대에 체결되어 있는 안전바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양변기에 맞춰 가동 좌대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에 맞춰 안전바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 또는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적당한 높이를 갖는 본체가 바닥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에 좌대가 설치되며, 이 좌대의 후단은 힌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상부로 절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좌대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덮개가 구비되어 용변구를 덮을 수 있도록 하였고, 본체의 후단에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양변기 또는 좌변기는 앉아서 용변을 보기에는 좋으나, 다양한 환자들, 하체에 힘이 없는 노약자들, 장애인들 경우에는 용변을 본 후 앉은 상태에서 일어서기까지의 행동에서 매우 힘겨움을 느끼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양변기 또는 좌변기 주위에 보조 횡간을 설치하여 이 횡간을 손으로 잡고 좌대에 앉거나 일어설 수 있도록 하였으나 하체에 힘이 없는 환자, 노약자, 장애인들은 대부분 팔에도 힘이 없어 횡간에 의지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669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 하체가 불편한 사람들이 용변을 본 후 앉은 상태에서 많은 힘을 가하지 않고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은 노약자 등이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노약자 등이 직접 힘을 가하여 동작시키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 힘을 가할 수 없는 환자들, 노약자들, 장애인들에게는 무용지물에 불과하고, 더 나아가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더 큰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양변기 구조에 범용적으로 채택 적용할 수 있는 좌대의 위치 조정 구조를 가지지 못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바를 적용하지 않고 있으며,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안전바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종래에는 양변기에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양변기 좌대 리프팅 장치가 제안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가동 좌대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가동 좌대에 체결되어 있는 안전바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양변기에 맞춰 가동 좌대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에 맞춰 안전바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양변기 사용자가 앉는 가동 좌대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구동하되, 회동 움직임이 미세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양변기 사용자가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제1 회동 링크와 제2 회동 링크가 동시에 작동 바를 동작시켜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양변기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함과 동시에 일어서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양변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양변기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동 좌대, 상기 양변기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 상기 가동 좌대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배치되는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양변기에 인접하여 고정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수단 및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 바를 동작시켜 상기 가동 좌대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링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 링크와, 상기 제1 회동 링크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동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축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전후진 구동되되, 상기 제1 회동 링크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 좌대의 양측부에 체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전바가 더 구비되고, 상기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안전바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에 의하면, 가동 좌대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가동 좌대에 체결되어 있는 안전바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양변기에 맞춰 가동 좌대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에 맞춰 안전바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양변기의 형태 및 사용자의 체형에 무관하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양변기 사용자가 앉는 가동 좌대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구동하되, 회동 움직임이 미세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양변기 사용자가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제1 회동 링크와 제2 회동 링크가 동시에 작동 바를 동작시켜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양변기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함과 동시에 일어서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동작 전 상태(가동 좌대 하강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동작 후 상태(가동 좌대 상승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가동 좌대의 전후진 위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의 좌우 위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위치 조정 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위치 조정 수단의 외측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위치 조정 수단의 내측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동작 전 상태(가동 좌대 하강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동작 후 상태(가동 좌대 상승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가동 좌대의 전후진 위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의 좌우 위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위치 조정 수단 및 가동 좌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위치 조정 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위치 조정 수단의 외측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위치 조정 수단의 내측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동작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동작 전 상태(가동 좌대 하강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동작 후 상태(가동 좌대 상승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200)는 양변기(190)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가동 좌대(110)와 상기 양변기(19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양 변기(150)에 장착되되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양변기(190)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양변기(150)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일반적인 양변기에 구비되는 좌대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양변기에 구비되는 좌대와 별도로 구비되는 별도의 좌대일 수도 있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양변기(190)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가동 좌대(110)는 양변기 사용자의 엉덩이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매개체(별도의 좌대 등)가 개재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간접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양변기 사용자의 엉덩이가 접촉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안착부(11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동 좌대(110)가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동작에 따라 상승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안착부(111)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앞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부(111) 상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113)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113)는 네오플랜(neoprene)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양변기(190)에 장착되되, 고정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양변기(150)의 용변구 상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에 고정된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양변기(190)의 용변구 상에 안착된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은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동작 구동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에 앉아 있는 양변기(190) 사용자가 기립, 즉 일어설 수 있도록 승강 움직임 및(또는) 회동 움직임을 가진다.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가동 좌대(110)가 승강 움직임만 가지거나 또는 회동 움직임만 가지거나 또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모두 가질 수 있도록 작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양변기(19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110)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양변기(19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 즉 수직 왕복 움직임에 해당하는 승강 움직임과 회전에 해당하는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발생하기 때문에, 외관을 해치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양변기(190)에 인접 배치될 수 있도록,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배치 구조 및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키면서 상기 양변기(190)의 측면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좌대 작동기기(100)는 기어 조립체 등 복잡한 구조를 채택 적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를 통해 상기 가동 좌대(11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기본적으로, 상기 양변기(190)에 인접하여 고정 장착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수단(20) 및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링크 조립체(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외관을 좋게 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스(1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즉, 상술한 구동 수단(20) 및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구동 수단(20) 및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연결 매체(예를 들어 고정 프레임 등)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케이스(10)에 직접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통해 구조를 더욱더 단순화시킬 수 있고, 조립 및 해체가 더욱더 용이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양변기(190)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좌대 작동기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변기(19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동기화되어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동 좌대(110)를 동작시키는 좌대 작동기기(100)를 양변기(190)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한 쌍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양변기(190) 사용자의 몸무게와 상관없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과도한 부하로 인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양변기(190)의 양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에 각 좌대 작동기기(100)는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하나의 좌대 작동기기(100), 즉 상기 한 쌍의 좌대 작동기기(100) 중, 상기 양변기(190)의 일측에 배치되는 하나의 좌대 작동기기(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관련된 설명은 나머지 하나의 좌대 작동기기(100)의 구성 및 동작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양변기(190)의 일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에 해당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양변기(190)에 인접하여 고정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양변기(190)와 결합되어 고정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양변기(19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연결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구동 수단(20)과 상기 링크 조립체(60)가 그 내부에서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케이스(10) 내부에는 상기 구동 수단(20)과 상기 링크 조립체(60)의 각각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회동 연결핀(미도시)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수단(20)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링크 조립체(60)를 동작시켜 상기 링크 조립체(60)에 의하여 상기 가동 좌대(110)에 결합되는 작동 바(70)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가동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에 결합되는 상기 작동 바(70)를 동작시킨다.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작동 바(70)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7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119)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작동 바(7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119)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작동 바(7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 바(70)를 동작시켜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킨다.
상기 작동 바(70)는 상기 결합 바(119)에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상기 결합 바(119)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링크 조립체(6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작동 바(70)의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 바(70)에게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작동 바(7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 좌대(110)는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119)를 매개하여 상기 작동 바(7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작동 바(70)와 탈부착이 용이하고, 이를 통해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조립 및 해체, 더 나아가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케이스(10)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70)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1 회동 링크(40)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10)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70)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동 링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회동 링크(40)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회동 링크(50) 역시 일단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만, 상기 제2 회동 링크(50)는 상기 제1 회동 링크(4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각 일단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 수단(20)이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게 구동력을 가하면 상기 작동 바(70)는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작동 바(70)에 상기 결합 바(119)를 매개하여 결합되는 상기 가동 좌대(110)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축(21)은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 부하를 최소화시키고 구동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동 바(7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점에 인접한 부분, 즉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및 상기 제2 회동 링크(50)는 승강 움직임뿐만 아니라 회동 움직임도 함께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연결되는 상기 구동 수단(20) 역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수단(20)은 상기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축(21)은 구동 수단(20)에 의하여 전후진 구동되되,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축(21)이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축(21)의 전후진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타단에 연결되는 상기 작동 바(70)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및 상기 제2 회동 링크(50)가 회동 움직임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연결되는 상기 구동 수단(20) 역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직접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동 수단(20)은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등 다양한 형태의 구동기를 채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수단(20)은 구조적인 안정성 및 간섭 없는 동작을 고려하여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동 링크(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동 좌대(110)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함께 가지도록 동작되기 때문에,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119)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작동 바(70) 역시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이 함께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2 회동 링크(50)는 상기 제1 회동 링크(40)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는 상호 평행하도록 각각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길이(상기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점과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점 사이의 거리)가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동 링크(40)의 길이(상기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점과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점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배치 관계 및 길이 차이로 인하여, 상기 가동 좌대(11)는 하강 상태(도 2의 상태)에서 상승 상태(도 3의 상태)로 이동하면서,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함께 가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 좌대(110)가 하강한 상태(도 2의 상태)에서 상기 작동 바(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가 과도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10) 내부 하측에는 상기 작동 바(70)의 하단을 지지하고 멈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 스토퍼(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작동 바(70) 및 링크 조립체(60)에 과부하가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스토퍼(11)와 별개 또는 병행하여 상기 가동 좌대(110) 하부에 지지 패드(11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패드(117)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동 좌대(110)가 양변기(190)의 용변구 상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충격이 흡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역시 상기 작동 바(70) 및 링크 조립체(60)에 과부하가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200)는 사용자의 거동을 보조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안전바(9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측부에 체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 측부에 결합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 하부의 연결단(91)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에 결합 형성되어 상측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안전바(90)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일측부에 결합 형성되는 일측 안전바(90)와 상기 가동 좌대(110)의 타측부에 결합 형성되는 타측 안전바(90)로 구성되며, 상기 일측부 안전바(90)와 상기 타측부 안전바(90)는 전방 끝부분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양측부의 안전바(9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안전바(90)의 구성 및 특징은 양측부 안전바(9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대(92)와, 상기 수평대(92)의 하단과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대(93)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대(92)는 사용자가 양변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팔걸이로 활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대(93)는 상기 수평대(92)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나는 상기 수평대(92)의 일측 하단과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 뒤쪽 사이를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수평대(92)의 타측 하단과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 앞쪽 사이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연결되는 양측부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 측부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면 견고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사용 중에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양변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평대(92)에 팔을 걸쳐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200)는 다양한 구조, 형태, 사이즈를 가지는 양변기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 좌대(110)는 위치 조정 수단(150)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상기 가동 좌대(11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술한 작동 바(7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결합 바(119)는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을 매개하여 상기 가동 좌대(1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상기 결합 바(119)와 상기 가동 좌대(11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가동 좌대(110)가 상기 결합 바(119)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측부에 체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안전바(90)를 더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양변기(190) 사용자의 체격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양측 안전바(90)의 이격 거리가 조정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상기 안전바(9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 측부에는 상기 양측 안전바(9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대(93)의 하단에 해당하는 연결단(91)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15)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의 일 측부의 앞쪽과 뒤쪽에는 각각 상기 일측 안전바(9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대(93)의 연결단(91)이 각각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115)가 형성되고, 역시 상기 가동 좌대(110)의 타 측부의 앞쪽과 뒤쪽에는 각각 상기 타측 안전바(9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대(93)의 연결단(91)이 각각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수직대(93)의 연결단(91)은 수평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된 부분을 가지고, 상기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이 상기 대응하는 체결부(115)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115)는 상기 수직대의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에 해당하는 연결단(91)이 수평 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는 홈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각 체결부(115)의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 조정홀(116)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대(93)의 수평 연장 부분에 해당하는 연결단(91)이 상기 대응하는 체결부(115)로 삽입되면, 위치 고정핀 또는 고정 볼트(미도시) 등을 상기 간격 조정홀(116)과 상기 간격 조절홀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대(93)의 연결단(91)에 형성된 고정홀(미도시)에 삽입하여 상기 수직대를 상기 각 체결부(115)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대(93)의 연결단(91)은 상기 고정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과도 함께 고정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의 위치 조정에 따라, 상기 수직대(93)의 연결단(91)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안전바(9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양측의 안전바(90)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수직대(93)의 연결단(91)이 대응하는 체결부(115)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양측 안전바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추가적으로 상기 수직대(93)의 연결단(91)에 체결되어 상기 안전바(9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의 구성 및 결합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상기 결합 바(119)에 결합되는 브라켓(120),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이동 플레이트(130)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브라켓(120)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결합 바(119)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와 면접촉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브라켓(120)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와 이들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 바(119)는 상기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내로 삽입되고 그 상부가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각각에는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바(119)는 그 상단이 상기 브라켓(120)의 수평 플레이트에 접촉 밀착되고 그 둘레면이 상기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에 접촉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바(119)와 상기 한 쌍의 결합홀(121)을 관통하도록 체결 볼트 등으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브라켓(1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119)는 상기 결합홀(121)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 볼트 등이 삽입될 수 있는 대응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브라켓(120)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면접촉된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120)의 수평 플레이트에는 제1 고정홀(123)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20)의 수평 플레이트 상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두 개의 제1 고정홀(123)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20)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고정홀(123)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는 전후 위치 조정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홀(123)이 상기 브라켓(120)에 두 개 형성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131) 역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두 개 형성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브라켓(120), 구체적으로 수평 플레이트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배치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전후 위치 조정홀(131)을 구비하고,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13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131)과 상기 제1 고정홀(123)이 대응되도록 상기 브라켓(120) 상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131)과 상기 제1 고정홀(123)에 체결 볼트 등을 삽입 체결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상기 브라켓(12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때, 먼저 상기 체결 볼트 등을 푼 다음,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상기 브라켓(120), 구체적으로 수평 플레이트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체결 볼트 등을 다시 조여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로 상기 브라켓(120)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전후 위치 조정홀(131)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브라켓(120)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술한 가동 좌대(110)에 결합되고 더 나아가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에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전후 방향으로의 양 측단에는 제1 체결홀(1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홀(133)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의 전후 방향으로의 양 측단에도 제2 체결홀(145)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홀(133)과 상기 제2 체결홀(145)은 서로 대응된 상태로 체결 볼트 등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면접촉된 상태로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볼트 등은 상기 제1 체결홀(133)과 상기 제2 체결홀(145)을 삽입 관통할 뿐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에도 삽입 관통하여 체결한다. 결국,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하부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를 밀착 고정시킨 상태로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부착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되면, 상기 가동 좌대(110) 역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좌대(110)는 양측부에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바(9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볼트 등을 통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140)와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14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면, 결국 상기 가동 좌대(110) 역시 상기 안전바(9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가 밀착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는 제3 고정홀(135)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에는 제4 고정홀(147)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3 고정홀(135)과 상기 제4 고정홀(147)을 대응시킨 상태로 체결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제3 고정홀(135)에 대응하는 제4 고정홀(147)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홀(133)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145)을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자신의 제2 체결홀(145)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홀(133)에 대응한 상태로 체결 볼트 등을 통해 체결되고, 자신의 제4 고정홀(147)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3 고정홀(135)에 대응한 상태로 고정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브라켓(12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20)을 지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20)의 측면부, 즉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대향 플레이트에 밀착 배치되는 돌출편(141)을 구비한다. 상기 돌출편(141)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의 돌출편(141)이 상기 브라켓(120)의 측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이탈 또는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편(141)이 상기 브라켓(120)을 지지함과 동시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에 의한 상기 브라켓(12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 사이의 결합력은 더욱더 강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돌출편(141)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구조의 지지 위치 조정홀(143)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편(141)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에 대응하여 상기 브라켓(120)에는, 구체적으로 대향 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고정홀(1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과 상기 제2 고정홀(125)이 대응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 볼트 등을 통해 삽입 체결함으로써, 상기 돌출편(141)과 상기 대향 플레이트를 고졍 결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120)에도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12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 사이의 결합력을 보강 또는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홀(125)은 상기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상기 돌출편(141)에 밀착되는 대향 플레이트)에만 형성되도 무관하지만, 상기 브라켓(120)과 상기 결합 바(119)의 결합력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별도의 고정 볼트 등은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과 상기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고정홀(125)을 삽입 관통하여 체결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돌출편(141)은 상기 대향 플레이트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결합 바(119)는 상기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내에서 더 강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바(119)는 상기 별도의 고정 볼트 등이 삽입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은 상기 제2 고정홀(125)과 달리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고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면, 별도의 고정 볼트 등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홀(125)과 삽입 체결되는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의 삽입 위치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지지 위치 조정홀(143)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고 상기 돌출편(141)이 상기 대향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결합 구조를 통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브라켓(120) 상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120)과의 결합력이 보강 및 강화될 수 있고,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가동 좌대(110)에 결합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체결부(115)에 삽입 결합되는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에 체결 볼트 등을 통해 체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되면, 결국 상기 가동 가동 좌대(110)와 상기 안전바(90)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안전바(90)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술한 위치 조정 수단(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바(9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은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에 연결되어 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안전바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전후 위치 조정홀(131)에 대응하여 상기 브라켓(120), 구체적으로 수평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고정홀(123)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131)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구조를 가지는 반면, 상기 제1 고정홀(123)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구조를 가진다.
상기 브라켓(120) 상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좌우 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하여 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131)과 상기 제1 고정홀(123)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120)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결합하는 고정 볼트 등을 조임 해제한 다음,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한 후, 다시 상기 고정 볼트 등을 조여서 상기 브라켓(120) 상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한다.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면,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연결된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은 상기 가동 좌대(110)의 체결부(115)에 삽입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이 상기 체결부(115)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정된다. 한편,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제1 체결홀(133),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의 제2 체결홀(145)을 삽입 체결되는 체결 볼트 등은 상기 체결부(115)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을 관통한 후 상기 체결부(115)에 형성되는 간격 조정홀(116)에 관통 체결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안전바(90)의 연결단(91)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되면,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 돌출편(141)을 통해 상기 브라켓(120), 구체적으로 대향 플레이트 중 하나를 밀착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40) 역시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제1 체결홀(133)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2 체결홀(145)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구조를 가진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40)의 제4 고정홀(147)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제3 고정홀(135) 역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됨에 따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브라켓(120)을 밀착 지지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 역시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제2 체결홀(145)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제3 고정홀(135)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 조정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 조정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가 상기 브라켓(120) 상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 조정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부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 조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200)에 의하면, 가동 좌대(11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가동 좌대(110)에 체결되어 있는 안전바(9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양변기에 맞춰 가동 좌대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에 맞춰 안전바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양변기의 형태 및 사용자의 체형에 무관하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한편,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20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결합되는 보강 바(1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사용자의 무게로 인하여 하측 방향으로 휨 또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강 바(16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결합되어 가동 좌대(110)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9에 도시된 상기 보강 바(16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후단에만 배치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전단과 후단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배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바(16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위치 조정 수단(150)에 양측단이 대응되어 걸쳐진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지지 스토퍼
20 : 구동 수단 21 : 구동축
40 : 제1 회동 링크 50 : 제2 회동 링크
60 : 링크 조립체 70 : 작동 바
90 : 안전바 91 : 연결단
92 : 수평대 93 : 수직대
100 : 좌대 작동기기 110 : 가동 좌대
111 : 안착부 113 : 미끄럼 방지 패드
115 : 체결부 116 : 간격 조정홀
117 : 지지 패드 119 : 결합 바
120 : 브라켓 121 : 결합홀
123 : 제1 고정홀 125 : 제2 고정홀
130 : 이동 플레이트 131 : 전후 위치 조정홀
133 : 제1 체결홀 135 : 제3 고정홀
140 : 지지 플레이트 141 : 돌출편
143 : 지지 위치 조정홀 145 : 제2 체결홀
147 : 제4 고정홀 150 : 위치 조정 수단
160 : 보강 바 190 : 양변기
200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20 : 구동 수단 21 : 구동축
40 : 제1 회동 링크 50 : 제2 회동 링크
60 : 링크 조립체 70 : 작동 바
90 : 안전바 91 : 연결단
92 : 수평대 93 : 수직대
100 : 좌대 작동기기 110 : 가동 좌대
111 : 안착부 113 : 미끄럼 방지 패드
115 : 체결부 116 : 간격 조정홀
117 : 지지 패드 119 : 결합 바
120 : 브라켓 121 : 결합홀
123 : 제1 고정홀 125 : 제2 고정홀
130 : 이동 플레이트 131 : 전후 위치 조정홀
133 : 제1 체결홀 135 : 제3 고정홀
140 : 지지 플레이트 141 : 돌출편
143 : 지지 위치 조정홀 145 : 제2 체결홀
147 : 제4 고정홀 150 : 위치 조정 수단
160 : 보강 바 190 : 양변기
200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Claims (4)
- 양변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양변기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동 좌대;
상기 양변기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
상기 가동 좌대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배치되는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대 작동기기는,
상기 양변기에 인접하여 고정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수단 및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 바를 동작시켜 상기 가동 좌대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링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동 좌대의 양측부에 체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전바가 더 구비되고, 상기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안전바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결합 바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브라켓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홀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는 전후 위치 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 위치 조정홀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부착 결합되고,
상기 가동 좌대는 상기 안전바의 연결단과 결합되고, 상기 안전바의 연결단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부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의 한 쌍의 대향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대향 플레이트에 밀착 배치되는 돌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 링크와, 상기 제1 회동 링크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동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축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전후진 구동되되, 상기 제1 회동 링크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0490A KR102293588B1 (ko) | 2020-02-19 | 2020-02-19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0490A KR102293588B1 (ko) | 2020-02-19 | 2020-02-19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3588B1 true KR102293588B1 (ko) | 2021-08-24 |
Family
ID=7750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0490A KR102293588B1 (ko) | 2020-02-19 | 2020-02-19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358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2669Y1 (ko) | 2001-03-08 | 2001-10-06 | 조현성 |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 |
JP2009297445A (ja) * | 2008-06-17 | 2009-12-24 | Toto Ltd |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
KR20100029804A (ko) * | 2010-02-19 | 2010-03-17 | 신주철 | 양변기용 안전장치 |
KR102062486B1 (ko) * | 2019-04-01 | 2020-01-03 | 송순영 |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
-
2020
- 2020-02-19 KR KR1020200020490A patent/KR1022935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2669Y1 (ko) | 2001-03-08 | 2001-10-06 | 조현성 |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 |
JP2009297445A (ja) * | 2008-06-17 | 2009-12-24 | Toto Ltd |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
KR20100029804A (ko) * | 2010-02-19 | 2010-03-17 | 신주철 | 양변기용 안전장치 |
KR102062486B1 (ko) * | 2019-04-01 | 2020-01-03 | 송순영 |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9491B1 (ko)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 |
KR102062486B1 (ko) |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 |
US4587678A (en) | Toilet seat booster | |
JP6923982B2 (ja) | 起立補助椅子及び車椅子 | |
KR102331569B1 (ko) |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 |
US6154896A (en) | Heavy duty power-assisted toilet seat lift assembly | |
CN111387868A (zh) | 一种马桶助力装置 | |
KR102359574B1 (ko) |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 |
KR102293588B1 (ko)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 |
KR102311253B1 (ko)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 |
KR102207606B1 (ko) | 안전바를 구비한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 |
CN105147176A (zh) | 一种坐椅式坐便架 | |
KR102597869B1 (ko) | 안전 시트를 구비한 양변기 장치 | |
KR101838105B1 (ko) | 기립 보조기 | |
CN212698690U (zh) | 一种马桶助力装置 | |
JP2005137639A (ja) | 起立補助椅子 | |
CN212879107U (zh) | 一种可调节助力马桶椅 | |
KR102597868B1 (ko) | 안전 시트 | |
CN209966243U (zh) | 一种助力起身马桶椅 | |
JP2021505306A (ja) | 起立補助椅子 | |
KR20130037603A (ko) | 환자용 좌변의자 | |
CN211186988U (zh) | 一种老年护理淋浴椅 | |
KR20240117210A (ko) | 안전 시트 | |
JP3552697B2 (ja) | 椅子等の座部装置 | |
TWM626865U (zh) | 具有站立輔助功能的座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