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7210A - 안전 시트 - Google Patents
안전 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17210A KR20240117210A KR1020230009301A KR20230009301A KR20240117210A KR 20240117210 A KR20240117210 A KR 20240117210A KR 1020230009301 A KR1020230009301 A KR 1020230009301A KR 20230009301 A KR20230009301 A KR 20230009301A KR 20240117210 A KR20240117210 A KR 202401172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support
- safety seat
- base
- connecting ro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6—Armrests mounted on or around the toil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환자 또는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대가 사용자의 착석 및 거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안전 시트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변기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있어서, 변기에 체결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 방향, 하측 방향 및 후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안전 시트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변기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있어서, 변기에 체결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 방향, 하측 방향 및 후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기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환자 또는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대가 사용자의 착석 및 거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 또는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적당한 높이를 갖는 본체가 바닥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에 좌대가 설치되며, 이 좌대의 후단은 힌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상부로 절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좌대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덮개가 구비되어 용변구를 덮을 수 있도록 하였고, 본체의 후단에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양변기 또는 좌변기는 앉아서 용변을 보기에는 좋으나, 다양한 환자들, 하체에 힘이 없는 노약자들, 장애인들 경우에는 용변을 본 후 앉은 상태에서 일어서기까지의 행동에서 매우 힘겨움을 느끼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양변기 또는 좌변기 주위에 보조 횡간을 설치하여 이 횡간을 손으로 잡고 좌대에 앉거나 일어설 수 있도록 하였으나 하체에 힘이 없는 환자, 노약자, 장애인들은 대부분 팔에도 힘이 없어 횡간에 의지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9491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가동 좌대에 결합되는 안전바를 구비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의 가동 좌대에 결합된 안전바는 환자 또는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가동 좌대에 착석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착석 또는 기립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거동을 보조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가동 좌대에 결합된 안전바는 거동이 매우 불편하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지 착석이 가능한 사용자에게는 착석 및 기립하는 과정에서 장애 또는 걸림돌로 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동이 매우 불편하여 측방향으로 착석하는게 편한 사용자 또는 다른 사람이 들거나 안아서 좌대에 착석해야할 정도의 사용자에게는 상기 안전바가 이동 또는 거동에 장애가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대가 사용자의 착석 및 거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안전 시트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변기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있어서, 변기에 체결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 방향, 하측 방향 및 후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변기에 수평하게 체결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양측단 각각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부의 양측 각각에는 가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에는 회동축 핀이 삽입되는 제1 회동축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각 지지대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상단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지지하거나 팔을 걸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팔걸이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봉은 상기 가동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축 핀을 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봉의 하측부에는 상기 제1 회동축 홀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축 핀이 삽입되는 제2 회동축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에는 상기 제1 회동축 홀의 하측 방향으로 스토퍼 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기 스토퍼 홀에는 스토퍼 핀이 삽입 장착되며, 상기 스토퍼 핀은 상기 지지대의 가동전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의 후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에는 상기 제1 회동축 홀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제1 고정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에는 상기 제1 고정홀에 대응하여 제2 고정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고정홀 및 제2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대에 연결되어 바닥, 벽면 및 천정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 고정되는 안전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안전 시트에 의하면,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지지대가 사용자의 착석 및 거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가 변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제1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제2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제1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제2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안전 시트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동작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1)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변기(1)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 또는 결합되어 환자 또는 노약자 등이 변기 또는 휠체어에 착석하는 과정 또는 착석한 후에 자세를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지지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변기(1)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변기 등의 사용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도 1은 안전 시트(100)의 동작전 상태(지지대(30)의 동작전 상태)에 해당하고 도 2는 안전 시트(100)의 동작후 상태(지지대(30)의 동작후 상태)에 해당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변기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있어서, 변기(1)에 체결되는 베이스(10) 및 상기 베이스(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변기(1)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베이스(10)는 사용자의 엉덩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가 변기(1)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10)는 변기구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10)가 상기 변기(1)에 체결된 후, 사용자의 엉덩이를 안착시킬 수 있는 별도의 변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10)에 체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에는 변기(1)에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홀(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변기(1)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변기(1)의 변기구에 장착되어 엉덩이에 접촉되는 변기 커버를 제거하고 상기 베이스(10)를 상기 변기구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0)의 후측에는 체결 홀(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10)의 양측에는 각각 사용자의 자세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대(30)가 배치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는 상기 베이스(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도 있고 팔을 걸칠 수도 있으며 겨드랑이를 거치할 수도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는 상기 베이스(10)에 착석한 사용자의 자세를 고정할 수 있고 지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잡거나 지지하여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베이스(1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애로 작용할 수도 있다. 특히 스스로 거동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상기 베이스(10)에 착석할 수 있을 정도의 중증 환자는 다른 사람이 부축하거나 안아서 상기 베이스(10)에 착석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중증 환자의 이동에 장애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상기 지지대(30)의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10)의 외측 방향, 하측 방향 및 후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또는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10)로 진입하여 착석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10)로부터 이탈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 지지대(30)가 장애로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베이스(10)의 외측 방향, 하측 방향 및 후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도록 장착한다.
상기 베이스(10)의 외측 방향은 상기 베이스(10)로부터 멀어지는 측방향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상기 지지대(30)가 회동되어 외측으로 접어질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하측 방향은 상기 베이스(10)가 하부 방향에 해당되고,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상기 지지대(30)가 하측 방향으로 승강 또는 슬라이딩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후측 방향은 도 2,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진입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베이스(10)의 후방에 해당되고,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 중 적어도 하나가 후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젖혀지거나, 슬라이딩 또는 접어지도록 동작한다.
상기 한쌍의 지지대(3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세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 및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 중 적어도 하나를 후측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한 쌍의 지지대(30) 중, 적어도 하나를 후측 방향으로 젖혀지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 중, 적어도 하나가 후측 방향으로 젖혀지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안전 시트(100)의 베이스(10) 및 지지대(3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변기(1)에 수평하게 체결되는 수평부(11) 및 상기 수평부(11)의 양측단 각각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13)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부(11)의 양측 각각에는 가동홀(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13)에는 회동축 핀(51)이 삽입되는 제1 회동축 홀(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지지대(30)는 연결봉(31) 및 상기 연결봉(31)의 상단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지지하거나 팔을 걸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팔걸이(33)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봉(31)은 상기 가동홀(12)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축 핀(51)을 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봉(31)의 하측부에는 상기 제1 회동축 홀(15)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축 핀(51)이 삽입되는 제2 회동축 홀(35)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11)는 체결홀(3)이 형성되어 볼트 등을 통해 상기 변기(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1)는 상기 변기(1)에 수평한 상태로 견고하게 체결된다. 상기 수직부(13)는 상기 수평부(11)의 양측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특히 하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부(11)의 양측 각각에는 상기 연결봉(31)이 통과한 상태로 상기 회동축 핀(51)을 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는 가동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가동홀(12)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홀(12)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봉(31)은 가동전 상태에서 상기 가동홀(12)을 구획하는 내측면 중 전측 내측면에 접촉 지지되고, 가동후 상태에서 후측 내측면에 접촉 지지된다.
상기 가동홀(12)을 통과한 상기 연결봉(31)의 하측부는 상기 회동축 핀(51)을 매개로 하여 상기 수직부(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부(13)에는 제1 회동축 홀(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동축 홀(15)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봉(31)의 하측부에는 제2 회동축 홀(35)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 핀(51)이 상기 제1 회동축 홀(15)과 상기 제2 회동축 홀(35)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연결봉(31)은 상기 가동홀(12)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하부측이 상기 회동축 핀(5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봉(31)은 상기 회동축 핀(51)을 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동작전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홀(12)의 전측 내측면에 접촉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동작후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홀(12)의 후측 내측면에 접촉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연결봉(31)과 상기 팔걸이(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31)과 상기 팔걸이(3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연결봉(31)과 상기 팔걸이(33)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대략 90도 전후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걸이(33)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착용감과 안정감을 위하여 안착대(34)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대(34)는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형태 및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봉(31)은 상기 지지대(30)의 가동전 상태에서 상기 가동홀(12)의 전측 내측면에 접촉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대(30)의 가동전 상태에서 상기 가동홀(12)의 전측 내측면이 스토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안전 시트(100)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봉(31)이 상기 가동홀(12)의 전측 내측면에 강하게 가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봉(31)의 외관이 불량해지고 손상이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상기 수평부(11)의 하부에서 스토핑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부(13)에는 상기 제1 회동축 홀(35)의 하측 방향으로 스토퍼 홀(17)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기 스토퍼 홀(17)에는 스토퍼 핀(53)이 삽입 장착되며, 상기 스토퍼 핀(53)은 상기 지지대(30)의 가동전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31)의 후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13)는 상기 수평부(11)의 양측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핀(53)이 삽입 체결될 수 있는 스토퍼 홀(17)이 상기 제1 회동축 홀(35)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13)에 형성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의 동작전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31)의 하측부는 상기 스토퍼 핀(53)에 의해 스토핑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핀(53)은 상기 지지대(30)의 동작전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31)의 후측면을 접촉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30)가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스토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31)은 상기 가동홀(12)의 전측 내측면에 강하게 가압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외부에서 보여지는 부분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한 쌍의 지지대(30) 중, 어느 하나는 젖혀지는 가동 상태가 아닌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한 쌍의 지지대(30) 중, 일측 지지대(30a)는 가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타측 지지대(30b)는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상태는 상기 지지대(30)가 회동되지 않고 젖혀지지 않는 상태, 즉 위치 또는 배치 상태가 가변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 중 어느 하나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부(13)에는 상기 제1 회동축 홀(15)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제1 고정홀(19)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31)에는 상기 제1 고정홀(19)에 대응하여 제2 고정홀(39)이 더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3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고정홀(19) 및 제2 고정홀(39)에 삽입되는 고정핀(5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홀(19)은 상기 수직부(13)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회동축 홀(15)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인접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홀(39)은 상기 연결봉(31)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회동축 홀(35)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인접 형성되되, 상기 제1 고정홀(19)에 대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핀(55)을 상기 제1 고정홀(19) 및 제2 고정홀(39)에 삽입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0),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봉(31)은 하측 부분에서 상기 회동축 핀(51)과 상기 고정핀(5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두 지점에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30)의 가동전 상태가 지속되는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0)의 고정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30)는 가동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 핀(53)이 없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고정핀(55)이 상기 지지대(30)의 스토핑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되는 구성품인 상기 스토퍼 핀(53) 및 상기 고정핀(55)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 공통으로 하나만을 사용하는 구성을 채택 적용한다. 이를 통해, 사용되는 구성품을 줄이고 사용되는 구성품의 분실 가능성을 없애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스토퍼 홀(17)의 크기 및 형상과 상기 제1 고정홀(19) 및 제2 고정홀(39)의 크기 및 형상을 동일하게 형성하며, 상기 스토퍼 핀(53) 및 상기 고정핀(55) 중 어느 하나만을 적용하는 구성을 채택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 핀(53) 및 상기 고정핀(55)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통합 사용핀을 채택 적용하고, 상기 지지대(30)의 가동 가능 상태에서는 상기 통합 사용핀을 상기 스토퍼 홀(17)에 삽입 체결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지대(30)의 가동 불가 상태, 즉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합 사용핀을 상기 스토퍼 홀(17)로부터 빼내서 상기 제1 고정홀(19) 및 제2 고정홀(39)에 삽입 체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되는 구성품을 줄이고 사용되는 구성품의 분실 가능성을 없애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지지대(30)를 잡고 상기 안전 시트(100)에 착석하고 상기 안전 시트(100)로부터 일어날 수 있는데, 현실적으로 중증 환자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상기 지지대(30)의 보조만으로 거동이 어려울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거동을 더욱더 보조하기 위한 안전봉(70)을 채택 적용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트(100)는 상기 고정핀(55)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대(30)에 연결되어 바닥, 벽면 및 천정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 고정되는 안전봉(7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봉(70)은 사용 안정성 및 견고한 체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반드시 가동 불가 상태, 즉 고정 상태에 있는 지지대(30)에 연결된다.
상기 안전봉(70)은 상기 고정 상태의 지지대(30), 특히 팔걸이(33)의 전단에 연결되되, 양측이 바닥, 벽면 및 천정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안전봉(70)은 상기 고정 상태의 지지대(30) 및 바닥 등에 연결 고정되어 견고하고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안전봉(70)은 지지봉(71), 상기 지지봉(71)의 양측단에 연결되는 흡착부(73) 및 상기 지지봉(71)과 상기 지지대(30), 특히 팔걸이(33)의 전단을 연결하는 연결구(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71)은 직선형 또는 굴곡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71)이 바닥과 천정에 부착 지지되는 경우에는 직선형이 바람직하고, 바닥과 벽변에 부착 지지되는 경우에는 굴곡형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부(73)는 상기 지지봉(71)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바닥, 천정, 벽면 중 어느 하나에 흡착된다. 상기 흡착부(73)는 진공 흡착 또는 점착 흡착 등을 통해 상기 바닥 등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75)는 상기 지지봉(71)과 상기 팔걸이(33)의 전단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으로 채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변기
3 : 체결홀
10 : 베이스 11 : 수평부
12 : 가동홀 13 : 수직부
15 : 제1 회동축 홀 17 : 스토퍼 홀
19 : 제1 고정홀
30 : 지지대 31 : 연결봉
33 : 팔걸이 34 : 안착대
35 : 제2 회동축 홀 39 : 제2 고정홀
51 : 회동축 핀 53 : 스토퍼 핀
55 : 고정핀
70 : 안전봉 71 : 지지봉
73 : 흡착부 75 : 연결구
100 : 안전 시트
10 : 베이스 11 : 수평부
12 : 가동홀 13 : 수직부
15 : 제1 회동축 홀 17 : 스토퍼 홀
19 : 제1 고정홀
30 : 지지대 31 : 연결봉
33 : 팔걸이 34 : 안착대
35 : 제2 회동축 홀 39 : 제2 고정홀
51 : 회동축 핀 53 : 스토퍼 핀
55 : 고정핀
70 : 안전봉 71 : 지지봉
73 : 흡착부 75 : 연결구
100 : 안전 시트
Claims (5)
- 변기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트에 있어서,
변기에 체결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 방향, 하측 방향 및 후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또는 배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변기에 수평하게 체결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양측단 각각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부의 양측 각각에는 가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에는 회동축 핀이 삽입되는 제1 회동축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각 지지대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상단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지지하거나 팔을 걸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팔걸이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봉은 상기 가동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축 핀을 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봉의 하측부에는 상기 제1 회동축 홀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축 핀이 삽입되는 제2 회동축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에는 상기 제1 회동축 홀의 하측 방향으로 스토퍼 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기 스토퍼 홀에는 스토퍼 핀이 삽입 장착되며, 상기 스토퍼 핀은 상기 지지대의 가동전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의 후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에는 상기 제1 회동축 홀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제1 고정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에는 상기 제1 고정홀에 대응하여 제2 고정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고정홀 및 제2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대에 연결되어 바닥, 벽면 및 천정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 고정되는 안전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9301A KR20240117210A (ko) | 2023-01-25 | 2023-01-25 | 안전 시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9301A KR20240117210A (ko) | 2023-01-25 | 2023-01-25 | 안전 시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17210A true KR20240117210A (ko) | 2024-08-01 |
Family
ID=9237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9301A KR20240117210A (ko) | 2023-01-25 | 2023-01-25 | 안전 시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17210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9491B1 (ko) | 2020-02-19 | 2021-06-01 | 송순영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
-
2023
- 2023-01-25 KR KR1020230009301A patent/KR2024011721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9491B1 (ko) | 2020-02-19 | 2021-06-01 | 송순영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2486B1 (ko) |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 |
US7540565B2 (en) | Lift chair | |
JP2011217995A (ja) | 折り畳み式介護用車椅子 | |
KR102038996B1 (ko) | 목욕용 의자 | |
KR20240117210A (ko) | 안전 시트 | |
JP6872989B2 (ja) | 介助装置 | |
KR102597868B1 (ko) | 안전 시트 | |
JP3173273U (ja) | 起立動作補助機能付き椅子 | |
JP5057772B2 (ja) | 椅子 | |
JP4435583B2 (ja) | 簡易便器 | |
JP2922197B1 (ja) | 椅 子 | |
JP2023007816A (ja) | トイレ用手摺り装置 | |
JP6241926B2 (ja) | 車椅子固定装置 | |
KR102597869B1 (ko) | 안전 시트를 구비한 양변기 장치 | |
JPH10127697A (ja) | 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構造 | |
JP3852547B2 (ja) | 着座式便器用肘掛け装置 | |
JP2002209798A (ja) | 手摺装置 | |
KR20210024696A (ko)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 |
JP2572943B2 (ja) | 起立補助椅子 | |
KR102207606B1 (ko) | 안전바를 구비한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 |
JP7054290B1 (ja) | トイレ用手摺り装置 | |
JP4140934B2 (ja) | 車椅子 | |
KR102530064B1 (ko) |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변기 착석 보조장치 | |
JP3295798B2 (ja) | 点滴・人工透析用椅子 | |
WO2020235561A1 (ja) | 介助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