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696A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696A
KR20210024696A KR1020190104138A KR20190104138A KR20210024696A KR 20210024696 A KR20210024696 A KR 20210024696A KR 1020190104138 A KR1020190104138 A KR 1020190104138A KR 20190104138 A KR20190104138 A KR 20190104138A KR 20210024696 A KR20210024696 A KR 20210024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ovable
bar
pedestal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253B1 (ko
Inventor
송순영
Original Assignee
송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순영 filed Critical 송순영
Priority to KR102019010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2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4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7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toi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양변기 사용자가 앉는 가동 좌대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구동하되, 회동 움직임이 미세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양변기 사용자가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양변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양변기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동 좌대; 상기 양변기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대 작동기기는, 상기 양변기에 인접하여 고정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수단;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 바를 동작시켜 상기 가동 좌대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링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Apparatus for lifting movable base of toilet}
본 발명은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양변기 사용자가 앉는 가동 좌대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구동하되, 회동 움직임이 미세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양변기 사용자가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 또는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적당한 높이를 갖는 본체가 바닥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에 좌대가 설치되며, 이 좌대의 후단은 힌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상부로 절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좌대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덮개가 구비되어 용변구를 덮을 수 있도록 하였고, 본체의 후단에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양변기 또는 좌변기는 앉아서 용변을 보기에는 좋으나, 다양한 환자들, 하체에 힘이 없는 노약자들, 장애인들 경우에는 용변을 본 후 앉은 상태에서 일어서기까지의 행동에서 매우 힘겨움을 느끼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양변기 또는 좌변기 주위에 보조 횡간을 설치하여 이 횡간을 손으로 잡고 좌대에 앉거나 일어설 수 있도록 하였으나 하체에 힘이 없는 환자, 노약자, 장애인들은 대부분 팔에도 힘이 없어 횡간에 의지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669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 하체가 불편한 사람들이 용변을 본 후 앉은 상태에서 많은 힘을 가하지 않고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은 노약자 등이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노약자 등이 직접 힘을 가하여 동작시키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 힘을 가할 수 없는 환자들, 노약자들, 장애인들에게는 무용지물에 불과하고, 더 나아가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더 큰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노약자 등이 쉽고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해서는 좌대를 수직으로 승강하는 움직임뿐만 아니라 회동하는 움직임도 조합해서 적용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소형인 기립 보조 장치가 제안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좌대에 대한 회동 움직임이 너무 많은 경우 노약자 등이 앞으로 넘어질 수 있고, 이 경우 노약자 등은 돌이킬 수 없는 더 큰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669호(공고일자 : 2001년 10월 06일, 고안의 명칭 :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양변기 사용자가 앉는 가동 좌대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구동하되, 회동 움직임이 미세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양변기 사용자가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 구조 및 조립 가능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설치, 해체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여 이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 좌대를 동작시키는 좌대 작동기기를 양변기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한 쌍으로 구성함으로써, 양변기 사용자의 몸무게와 상관없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과도한 부하로 인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영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제1 회동 링크와 제2 회동 링크가 동시에 작동 바를 동작시켜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양변기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함과 동시에 일어서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회동 링크를 제1 회동 링크에 비하여 더 길게 형성함과 동시에 제1 회동 링크와 제2 회동 링크를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가동 좌대의 회동 움직임을 발생하기 위한 구조를 대폭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 좌대의 양측뿐만 아니라 개폐 가능 구조로 가동 좌대의 상측 전방에 걸쳐 안전바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거동을 보조함과 동시에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경우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더욱더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 좌대의 상측 전방에 걸쳐 형성되는 안전바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관절 바로 구성함으로써, 안전바의 전방 중앙 부분의 연결을 해제한 경우, 안전바가 자중에 의하여 용이하고 자연스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더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양변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양변기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동 좌대; 상기 양변기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대 작동기기는, 상기 양변기에 인접하여 고정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수단;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 바를 동작시켜 상기 가동 좌대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링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대 작동기기는 상기 양변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 링크와, 상기 제1 회동 링크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동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축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전후진 구동되되, 상기 제1 회동 링크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회동 링크와 상기 제2 회동 링크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2 회동 링크는 상기 제1 회동 링크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양변기 사용자가 앉는 가동 좌대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구동하되, 회동 움직임이 미세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양변기 사용자가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가 탈부착 가능 구조 및 조립 가능 구조로 구성하기 때문에, 설치, 해체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여 이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좌대를 동작시키는 좌대 작동기기를 양변기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한 쌍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양변기 사용자의 몸무게와 상관없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과도한 부하로 인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제1 회동 링크와 제2 회동 링크가 동시에 작동 바를 동작시켜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양변기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함과 동시에 일어서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회동 링크를 제1 회동 링크에 비하여 더 길게 형성함과 동시에 제1 회동 링크와 제2 회동 링크를 평행하게 배치하기 때문에, 가동 좌대의 회동 움직임을 발생하기 위한 구조를 대폭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좌대의 양측뿐만 아니라 개폐 가능 구조로 가동 좌대의 상측 전방에 걸쳐 안전바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거동을 보조함과 동시에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경우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더욱더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좌대의 상측 전방에 걸쳐 형성되는 안전바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관절 바로 구성하기 때문에, 안전바의 전방 중앙 부분의 연결을 해제한 경우, 안전바가 자중에 의하여 용이하고 자연스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더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동작 전 상태(가동 좌대 하강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동작 후 상태(가동 좌대 상승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가동 좌대와 폐쇄 상태의 안전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가동 좌대와 개방 상태의 안전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동작 후 상태(가동 좌대 상승 상태)에서 안전바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동작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동작 전 상태(가동 좌대 하강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동작 후 상태(가동 좌대 상승 상태)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가동 좌대와 폐쇄 상태의 안전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가동 좌대와 개방 상태의 안전바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동작 후 상태(가동 좌대 상승 상태)에서 안전바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200)는 양변기(150)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가동 좌대(110)와 상기 양변기(15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양 변기(150)에 장착되되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양변기(150)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양변기(150)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일반적인 양변기에 구비되는 좌대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양변기에 구비되는 좌대와 별도로 구비되는 별도의 좌대일 수도 있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양변기(150)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가동 좌대(110)는 양변기 사용자의 엉덩이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매개체(별도의 좌대 등)가 개재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간접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양변기 사용자의 엉덩이가 접촉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안착부(11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동 좌대(110)가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동작에 따라 상승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안착부(111)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앞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부(111) 상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113)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113)는 네오플랜(neoprene)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양변기(150)에 장착되되, 고정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양변기(150)의 용변구 상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에 고정된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양변기(150)의 용변구 상에 안착된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은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동작 구동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에 앉아 있는 양변기(150) 사용자가 기립, 즉 일어설 수 있도록 승강 움직임 및(또는) 회동 움직임을 가진다.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가동 좌대(110)가 승강 움직임만 가지거나 또는 회동 움직임만 가지거나 또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모두 가질 수 있도록 작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양변기(15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110)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양변기(15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 즉 수직 왕복 움직임에 해당하는 승강 움직임과 회전에 해당하는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발생하기 때문에, 외관을 해치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양변기(150)에 인접 배치될 수 있도록,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배치 구조 및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키면서 상기 양변기(150)의 측면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좌대 작동기기(100)는 기어 조립체 등 복잡한 구조를 채택 적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를 통해 상기 가동 좌대(11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기본적으로, 상기 양변기(150)에 인접하여 고정 장착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수단(20) 및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링크 조립체(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외관을 좋게 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스(1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즉, 상술한 구동 수단(20) 및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구동 수단(20) 및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연결 매체(예를 들어 고정 프레임 등)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케이스(10)에 직접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통해 구조를 더욱더 단순화시킬 수 있고, 조립 및 해체가 더욱더 용이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양변기(150)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좌대 작동기기(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변기(15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동기화되어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동 좌대(110)를 동작시키는 좌대 작동기기(100)를 양변기(150)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한 쌍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양변기(150) 사용자의 몸무게와 상관없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과도한 부하로 인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양변기(150)의 양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에 각 좌대 작동기기(100)는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하나의 좌대 작동기기(100), 즉 상기 한 쌍의 좌대 작동기기(100) 중, 상기 양변기(150)의 일측에 배치되는 하나의 좌대 작동기기(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관련된 설명은 나머지 하나의 좌대 작동기기(100)의 구성 및 동작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는 상기 양변기(150)의 일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에 해당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양변기(150)에 인접하여 고정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양변기(150)와 결합되어 고정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양변기(15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연결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구동 수단(20)과 상기 링크 조립체(60)가 그 내부에서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케이스(10) 내부에는 상기 구동 수단(20)과 상기 링크 조립체(60)의 각각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회동 연결핀(미도시)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수단(20)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링크 조립체(60)를 동작시켜 상기 링크 조립체(60)에 의하여 상기 가동 좌대(110)에 결합되는 작동 바(70)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가동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에 결합되는 상기 작동 바(70)를 동작시킨다.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작동 바(70)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7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작동 바(7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작동 바(7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 바(70)를 동작시켜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킨다.
상기 작동 바(70)는 상기 결합 바(120)에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상기 결합 바(12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링크 조립체(6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작동 바(70)의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 바(70)에게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작동 바(7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 좌대(110)는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120)를 매개하여 상기 작동 바(7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작동 바(70)와 탈부착이 용이하고, 이를 통해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조립 및 해체, 더 나아가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링크 조립체(60)는 상기 케이스(10)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70)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1 회동 링크(40)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10)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70)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동 링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회동 링크(40)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회동 링크(50) 역시 일단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만, 상기 제2 회동 링크(50)는 상기 제1 회동 링크(4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각 일단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 수단(20)이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게 구동력을 가하면 상기 작동 바(70)는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작동 바(70)에 상기 결합 바(120)를 매개하여 결합되는 상기 가동 좌대(110)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축(21)은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 부하를 최소화시키고 구동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동 바(7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점에 인접한 부분, 즉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및 상기 제2 회동 링크(50)는 승강 움직임뿐만 아니라 회동 움직임도 함께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연결되는 상기 구동 수단(20) 역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수단(20)은 상기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축(21)은 구동 수단(20)에 의하여 전후진 구동되되,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축(21)이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축(21)의 전후진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타단에 연결되는 상기 작동 바(70)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수단(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및 상기 제2 회동 링크(50)가 회동 움직임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1 회동 링크(40)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연결되는 상기 구동 수단(20) 역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직접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동 수단(20)은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등 다양한 형태의 구동기를 채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수단(20)은 구조적인 안정성 및 간섭 없는 동작을 고려하여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동 링크(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동 좌대(110)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함께 가지도록 동작되기 때문에, 상기 가동 좌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작동 바(70) 역시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이 함께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에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2 회동 링크(50)는 상기 제1 회동 링크(40)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는 상호 평행하도록 각각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길이(상기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점과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점 사이의 거리)가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동 링크(40)의 길이(상기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점과 상기 작동 바(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점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회동 링크(40)와 상기 제2 회동 링크(50)의 배치 관계 및 길이 차이로 인하여, 상기 가동 좌대(11)는 하강 상태(도 2의 상태)에서 상승 상태(도 3의 상태)로 이동하면서,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함께 가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 좌대(110)가 하강한 상태(도 2의 상태)에서 상기 작동 바(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가 과도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10) 내부 하측에는 상기 작동 바(70)의 하단을 지지하고 멈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 스토퍼(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작동 바(70) 및 링크 조립체(60)에 과부하가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스토퍼(11)와 별개 또는 병행하여 상기 가동 좌대(110) 하부에 지지 패드(11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패드(117)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동 좌대(110)가 양변기(150)의 용변구 상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충격이 흡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역시 상기 작동 바(70) 및 링크 조립체(60)에 과부하가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200)는 사용자의 거동을 보조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안전바(9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상측으로 결합 형성되고 상측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측 전방 부분이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안전바(90)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일측 안전바(90)와 상기 가동 좌대(110)의 타측에 결합 형성되는 타측 안전바(90)로 구성되며, 상기 일측 안전바(90)와 상기 타측 안전바(90)의 전방 끝부분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는 양측의 안전바(90)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전방 부분이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5 및 도 6은 양측의 안전바(90)가 서로 분리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상측 전방 부분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4는 양측 안전바(90)의 전방 끝부분이 서로 결합되어 안전바(90)의 상측 전방 부분이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5 및 도 6은 양측 안전바(90)의 전방 끝부분이 서로 분리되어 안전바(90)의 상측 전방 부분이 폐쇄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양측의 안전바(9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안전바(90)의 구성 및 특징은 양측 안전바(9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양측의 안전바는 끝 부분에서 서로 착탈 가능 구조로 결합되기 때문에, 각각의 끝단, 구체적으로 제4 관절바(99)의 타단의 구조만이 서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측 안전바(90)의 제4 관절바(99)의 타단과 상기 타측 안전바(90)의 제4 관절바(99)의 타단은 상호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안전바(90)는 고정 연결 부분과 관절 연결 부분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연결 부분은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대(91)와, 상기 수평대(91)의 하단과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대(92)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대(91)는 사용자가 양변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팔걸이로 활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대(92)는 상기 수평대(91)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나는 상기 수평대(91)의 일측 하단과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 뒤쪽 사이를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수평대(91)의 타측 하단과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 앞쪽 사이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연결되는 양측 안전바(90)의 각 고정 연결 부분은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 측부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면 견고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사용 중에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양변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평대(91)에 팔을 걸쳐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양측 안전바(90)의 각 관절 연결 부분은 상기 고정 연결 부분,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대(91)의 타단(도 2 및 도 3에서 왼쪽을 향하는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상측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양측 안전바(90)의 각 관절 연결 부분은 상기 가동 좌대(110)의 상측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각 끝 부분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양측 안전바(90)의 각 관절 연결 부분은 제1 관절 바(93), 제2 관절 바(95), 제3 관절 바(97) 및 제4 관절 바(99)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관절 바(93)의 일단은 상기 수평대(91)의 타단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관절 바(95)와 제1 회전 연결부(94)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2 관절 바(95)의 일단은 제1 관절 바(93)의 타단과 상기 제1 회전 연결부(94)를 통해 가상의 제1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360°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상의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관절 바(93)의 중심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회전축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2 관절 바(95)는 상기 제1 관절 바(93)에 대해 상기 가상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360°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3 관절 바(97)의 일단은 상기 제2 관절 바(95)의 타단과 제2 회전 연결부(96)를 통해 가상의 제2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관절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상의 제2 회전축은 상기 제3 관절 바(97)와 연결되는 상기 제2 관절 바(95) 부분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회전축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3 관절 바(97)는 상기 제2 관절 바(95)에 대해 상기 가상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4 관절 바(99)의 일단은 상기 제3 관절 바(97)의 타단과 제3 회전 연결부(98)를 통해 가상의 제3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관절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상의 제3 회전축은 상기 제4 관절 바(99)와 연결되는 상기 제3 관절 바(97) 부분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회전축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4 관절 바(99)는 상기 제3 관절 바(97)에 대해 상기 가상의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제2 회전축과 상기 가상의 제3 회전축은 각각 제2 회전 연결부(96)와 상기 제3 회전 연결부(98)에 형성된 회전축에 해당하여 위치를 서로 달리하지만,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상기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동작 전 상태(가동 좌대 하강 상태, 도 2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측의 안전바(90)의 전방 부분을 분리하여 상호 멀어지도록 외력을 가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측 안전바(90)의 제3 관절 바(97)와 상기 제4 관절 바(99)가 안전바(90)의 전방 부분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가상의 제2 회전축과 상기 가상의 제3 회전축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3 관절 바(97)와 상기 제4 관절 바(99)가 안전바(90)의 전방 부분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양측 안전바(90)의 각 제4 관절 바(9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일측 안전바(90)의 제4 관절 바(99)의 타단과 상기 타측 안전바(90)의 제4 관절 바(99)의 타단은 동일한 구조가 아니고, 상호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호 착탈 구조는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측 안전바(90)의 제4 관절 바(99)의 타단이 상기 타측 안전바(90)의 제4 관절 바(99)의 타단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고, 누름 버튼을 누르고 서로 멀어지도록 당기면 분리 또는 해체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의 동작 후 상태(가동 좌대 상승 상태)에서 양측 안전바(90)를 분리하여 안전바(90)의 전방 부분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가동 좌대(110)의 상승 상태에서 양측 안전바(90)의 연결 부분(구체적으로 양측 제4 관절 바(99)의 타단)을 해체 또는 분리하면, 관절 연결 부분(특히 제3 관절 바(97)와 제4 관절 바(99))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3 관절 바(97)와 제4 관절 바(99)와 연결되는 상기 제2 관절 바(95)가 상기 제1 관절 바(93)에 대해 가상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3 관절 바(97)와 제4 관절 바(99)는 각각 제2 회전 연결부(96)와 제3 회전 연결부(98)를 통해 회전되어 하측으로 꺽여서 축 쳐진 상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안전바(90)의 전방 부분이 개방된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밖으로 걸어서 나올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안전바(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 측부에 하나씩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일측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일 측부에 연결되고 타측 안전바(9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타 측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양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가동 좌대(11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양측의 안전바(90), 특히 양측의 수평대(91)에 팔을 걸쳐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양변기(150) 사용자의 체격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양측 안전바(90)의 이격 거리가 조정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 측부에는 상기 양측 안전바(9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대(92)의 하단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15)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의 일 측부의 앞쪽과 뒤쪽에는 각각 상기 일측 안전바(9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대(92)의 하단이 각각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115)가 형성되고, 역시 상기 가동 좌대(110)의 타 측부의 앞쪽과 뒤쪽에는 각각 상기 타측 안전바(9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대(92)의 하단이 각각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수직대(92)의 하측은 수평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된 부분을 가지고, 상기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이 상기 대응하는 체결부(115)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115)는 상기 수직대의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을 수평 방향(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는 홈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각 체결부(115)의 상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간격 조정홀(116)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6에서는 하나의 간격 조정홀(116)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실제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대(92)의 하측 수평 연장 부분이 상기 대응하는 체결부(115)로 삽입되면, 위치 고정핀(미도시)을 상기 간격 조정홀(116)과 상기 간격 조절홀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대의 하측 수평 연장 부분에 형성된 고정홀(미도시)에 삽입하여 상기 수직대를 상기 각 체결부(115)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양측의 안전바(90)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수직대(92)의 하측 수평 연장 부분이 대응하는 체결부(115)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양측 안전바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양 측의 안전바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바(90)의 관절 연결 부분이 각 관절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문제되지 않고 양측 안전바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지지 스토퍼
20 : 구동 수단 21 : 구동축
40 : 제1 회동 링크 50 : 제2 회동 링크
60 : 링크 조립체 70 : 작동 바
90 : 안전바 91 : 수평대
92 : 수직대 93 : 제1 관절 바
94 : 제1 회전 연결부 95 : 제2 관절 바
96 : 제2 회전 연결부 97 : 제3 관절 바
98 : 제3 회전 연결부 99 : 제4 관절 바
100 : 좌대 작동기기 110 : 가동 좌대
111 : 안착부 113 : 미끄럼 방지 패드
115 : 체결부 116 : 간격 조정홀
117 : 지지 패드 120 : 결합 바
150 : 양변기 200 :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Claims (4)

  1. 양변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양변기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동 좌대;
    상기 양변기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대 작동기기는,
    상기 양변기에 인접하여 고정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수단;
    상기 가동 좌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 바를 동작시켜 상기 가동 좌대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링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대 작동기기는 상기 양변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 링크와, 상기 제1 회동 링크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바에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동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축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전후진 구동되되, 상기 제1 회동 링크 또는 상기 제2 회동 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 링크와 상기 제2 회동 링크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2 회동 링크는 상기 제1 회동 링크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KR1020190104138A 2019-08-26 2019-08-26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KR102311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138A KR102311253B1 (ko) 2019-08-26 2019-08-26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138A KR102311253B1 (ko) 2019-08-26 2019-08-26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696A true KR20210024696A (ko) 2021-03-08
KR102311253B1 KR102311253B1 (ko) 2021-10-08

Family

ID=7518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138A KR102311253B1 (ko) 2019-08-26 2019-08-26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869B1 (ko) * 2022-02-03 2023-11-03 (주)조은케어 안전 시트를 구비한 양변기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8145A (ja) * 1995-10-20 1997-04-28 Toto Ltd 介助機能付用便装置
KR200232669Y1 (ko) 2001-03-08 2001-10-06 조현성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
JP2006095085A (ja) * 2004-09-29 2006-04-13 Toto Ltd 便座昇降装置
KR101217875B1 (ko) * 2011-07-06 2013-01-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감지 및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기립보조 안전손잡이
KR20150102606A (ko) * 2014-02-28 2015-09-07 (주) 에스엠하이테크 상하 위치조절형 좌대
JP2018153371A (ja) * 2017-03-17 2018-10-04 株式会社 シコク 便座装置
KR102062486B1 (ko) * 2019-04-01 2020-01-03 송순영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8145A (ja) * 1995-10-20 1997-04-28 Toto Ltd 介助機能付用便装置
KR200232669Y1 (ko) 2001-03-08 2001-10-06 조현성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
JP2006095085A (ja) * 2004-09-29 2006-04-13 Toto Ltd 便座昇降装置
KR101217875B1 (ko) * 2011-07-06 2013-01-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감지 및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기립보조 안전손잡이
KR20150102606A (ko) * 2014-02-28 2015-09-07 (주) 에스엠하이테크 상하 위치조절형 좌대
JP2018153371A (ja) * 2017-03-17 2018-10-04 株式会社 シコク 便座装置
KR102062486B1 (ko) * 2019-04-01 2020-01-03 송순영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253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7073B2 (ja) 洋式便器使用者の起立補助装置
KR102039276B1 (ko)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KR101437374B1 (ko) 가변형 휠체어
JPH0661350B2 (ja) パワーアシスト便座
WO2012036131A1 (ja) 介護用車椅子
KR102128494B1 (ko) 일어나는 것을 돕는 의자
KR102259491B1 (ko)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KR102311253B1 (ko)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JP2007090020A (ja) 自力乗り移り車椅子
KR100740424B1 (ko) 승강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WO2002034193A1 (fr) Fauteuil roulant
KR20220030058A (ko) 환자 이송용 베드 휠체어
KR102207606B1 (ko) 안전바를 구비한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KR102331569B1 (ko)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KR102220350B1 (ko)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KR102359574B1 (ko)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KR102597869B1 (ko) 안전 시트를 구비한 양변기 장치
KR102293588B1 (ko)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KR20180093416A (ko) 노약자용 기립 보조의자
JP2005137639A (ja) 起立補助椅子
KR102597868B1 (ko) 안전 시트
KR20190094545A (ko) 착석과 기립을 보조하는 의자
JP2008073420A (ja) 椅子兼用ベッド
JP2005095231A (ja) 立ち上がり補助装置
KR20230132140A (ko) 분리 가능한 휠체어를 포함하는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