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600B1 -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600B1
KR102526600B1 KR1020220181811A KR20220181811A KR102526600B1 KR 102526600 B1 KR102526600 B1 KR 102526600B1 KR 1020220181811 A KR1020220181811 A KR 1020220181811A KR 20220181811 A KR20220181811 A KR 20220181811A KR 102526600 B1 KR102526600 B1 KR 102526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art
chair
type lift
lif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블라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블라이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블라이크
Priority to KR102022018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5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illumination, e.g.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의 받침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의자의 다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링크와,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링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가 하강시 압축되며, 압축해제시 상기 제1 지지부를 상승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크와 결합시 상기 제1 지지부의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연결링크와 결합해제시 상기 제1 지지부가 이동하도록 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NON-POWERED STANDING UP TYPED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 변기, 안전손잡이등 리프팅 기능이 필요한 장치에 적용하여 무동력으로 사용자의 기립을 지원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최근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생활보조, 의료보조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노인들은 거동의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아 이동 중에 부상을 당하거나, 침대나 의자 등에서 낙상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노인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경우에도 거동이나 기립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어 관련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9950호(2014년 8월 18일 공고)는 기립도우미형 의자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자받침대(10), 힙(heap)받침대(20), "X"형 링크바(30), 슬라이드 폴딩부(40), 유압쇼바(50)로 구성됨으로서, 별도의 장비나 도움없이도 의자 착석자가 자동으로 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단일의 유압쇼바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유압의 힘의 한계가 있으며, 유압쇼바가 의자받침대의 헤드부 중앙 사이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변기와 같은 장치에는 사용을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착석보조기구에 장착되어 무동력 방식으로 받침판을 상승시켜 사용자의 기립을 보조할 수 있는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높이가 가변되는 팔걸이부를 지지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기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또한, 주변의 조도에 따라 팔걸이부를 통해 조명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착석을 안내할 수 있는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의 받침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의자의 다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링크와,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링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가 하강시 압축되며, 압축해제시 상기 제1 지지부를 상승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크와 결합시 상기 제1 지지부의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연결링크와 결합해제시 상기 제1 지지부가 이동하도록 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는 하부로 지지판이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와의 연결위치를 조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는 일측에 T자 형의 접속구가 형성되어 상기 의자의 다리와 연결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승강부의 연결위치를 조절하도록 복수의 제1 돌기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잠금부에 걸려지는 제2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착석보조기구에 장착되어 무동력 방식으로 받침판을 상승시켜 사용자의 기립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높이가 가변되는 팔걸이부를 지지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기립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조도에 따라 팔걸이부를 통해 조명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착석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가 장착된 의자에서 구동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에 감지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에 통신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가 장착된 의자에서 구동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100)는 의자(10)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도 1에서 (a)는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100)가 상승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상승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100)는 제1 지지부(110), 제2 지지부(120), 연결링크(130), 승강부(140) 및 잠금부(15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11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10)의 받침판(11)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110)는 프레임을 사각형으로 배열시킨 형태로 중앙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10)는 받침판(11)과 끼움결합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지지부(110)는 받침판(11)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받침판(11)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지지부(110)는 후술하는 복수의 연결링크(130)와 연결된다. 이 경우, 연결링크(130)는 제1 지지부(110)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부(110)는 연결링크(130)에 의해 제2 지지부(120)에 지지된다.
제2 지지부(120)는 의자(10)의 다리(12)와 연결되어 제1 지지부(110)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120)는 복수의 프레임을 'ㅍ'자 형태로 중앙이 개구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지지부(120)의 4개의 돌출된 부위에는 의자(10)의 다리(12)와 연결될 수 있도록 T자 형태의 접속구가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의자(10)의 다리(12)는 4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지지부(120)와 의자(10)의 다리(12)는 직교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20)는 연결링크(130)에 의해 제1 지지부(110)와 연결된다. 제2 지지부(120)는 의자(10)의 다리(12)에 고정되어 제1 지지부(110)를 지지한다.
또한, 제2 지지부(120)에는 승강부(140)를 지지하는 지지판(121)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21)은 제2 지지부(12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21)은 길이에 따라 승강부(140)의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다. 지지판(121)의 크기 및 형상은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판(121)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판(121)과 승강부(140)가 연결되는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제2 지지부(120)에는 용변통지지부(12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용변통지지부(122)는 의자(10) 중 받침판(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용변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받침판(11)은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중앙이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변통은 용변통지지부(122)에 의해 지지되면서 의자(10)의 받침판(11)으로부터 배출되는 용변을 수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화장실에 가지 않고도 용변통을 이용하여 용변을 마치고, 보다 쉽게 기립을 할 수 있다.
연결링크(130)는 일측이 제1 지지부(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지지부(120)와 연결된다. 연결링크(130)는 제1 지지부(110)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연결링크(130)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로 제1 지지부(110) 및 제2 지지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링크(130)는 제1 지지부(110) 및 제2 지지부(120)와 회전볼트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연결링크(130)가 제1 지지부(110)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결링크(130)는 제1 지지부(110)를 제2 지지부(120)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링크(130)의 일측에는 제1 돌기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부(131)는 후술하는 승강부(140)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제1 돌기부(13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돌기부(131)는 연결링크(130) 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승강부(140)와의 연결지점을 변경시켜 승강부(140)의 압력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연결링크(130)와 제1 돌기부(131)와의 연결지점을 변경하여 승강부(14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최적의 상승 압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연결링크(130)의 일측에는 제2 돌기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부(132)는 후술하는 잠금부(150)에서 연결링크(13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걸려지는 구성이다. 이 경우, 제2 돌기부(132)는 동일한 연결링크(130) 상에 제1 돌기부(131)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연결링크(130)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돌기부(132)가 잠금부(150)와 결합하는 경우 연결링크(130)의 이동이 제한되어 제1 지지부(110)의 이동도 제한된다. 제2 돌기부(132)가 잠금부(150)와 결합해제되는 경우 연결링크(130)의 이동이 해제되어 제1 지지부(110)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승강부(140)는 일측이 제2 지지부(120)와 연결되고 타측이 연결링크(13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승강부(140)는 탄성스프링, 공압, 유압, 가스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되면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승강부(140)는 1개로 구성되어 복수의 연결링크(13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부(140)는 연결링크(130)의 제1 돌기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승강부(140)는 제1 지지부(110)가 하강시 압축되며, 압축해제시 제1 지지부(110)를 상승시킨다. 승강부(140)의 일측은 제2 지지부(120)의 지지판(121)과 연결되어 지지되고, 타측은 연결링크(130)와 연결된다. 이 경우, 승강부(140)는 연결링크(130)의 이동에 따라 압축해제되게 된다. 연결링크(130)는 제1 지지부(11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지지부(110)의 이동에 따라 승강부(140)가 압축 또는 압축해제될 수 있다.
잠금부(150)는 제2 지지부(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연결링크(130)와 결합시 제1 지지부(110)의 이동을 구속한다. 연결링크(130)는 제1 지지부(110)와 연결되므로, 연결링크(130)의 이동이 구속되면 제1 지지부(110)의 이동이 제한된다. 잠금부(150)는 제1 지지부(110)가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하면 연결링크(130)의 제2 돌기부(132)와 결합하여 그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잠금부(150)는 연결링크(130)와 결합해제시 제1 지지부(110)가 이동하도록 한다. 잠금부(150)는 연결링크(130)의 제2 돌기부(132)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승강부(1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지지부(110)가 승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잠금부(150)(130)는 레버(151)와 걸림쇠(152)를 포함한다. 잠금부(150)의 일측에는 레버(15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쇠(152)가 형성된다. 이 경우, 레버(151)는 잠금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걸림쇠(152)는 잠금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151)와 잠금부(15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레버(151)가 하강하면 잠금부(150)는 상승하고, 레버(151)가 상승하면 잠금부(150)는 하강한다. 여기서, 잠금부(150)의 중심에는 코일스프링이 형성되어 레버(151)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걸림쇠(152)는 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링크(130)의 제2 돌기부(132)와 걸려질 수 있다. 레버(151)가 하강하면 걸림쇠(152)가 후퇴하면서 제1 지지부(110)는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받침판(11)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받침판(11)이 하강하면서 연결링크(130)의 제2 돌기부(132)가 걸림쇠(152)에 걸려지면서 그 이동이 제한된다. 이 경우, 탄성스프링은 걸림쇠(152)가 잠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고, 레버(151)가 하강하면서 압축되면서 걸림쇠(152)가 잠금해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받침판(11)에 착석한 상태에서 레버(151)를 하강시키면 걸림쇠(152)가 연결링크(130)를 잠금해제 하여 제1 지지부(110) 및 받침판(11)을 상승시키면서 사용자의 기립을 보조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에 감지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100)는 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제2 지지부(120)의 일측에 받침판(11)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60)는 접촉센서(161)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복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160)는 받침판(11)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감지부(160)는 잠금부(150)의 레버(151)가 하강하면서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에도 받침판(11)의 접촉이 감지되면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승강부(140)의 고장으로 받침판(11)이 승강하지 않음을 경고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경고신호는 부저와 연결되어 소리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감지부(160)의 경고신호를 통해 승강부(14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60)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60)는 조도센서(162)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주변의 조도가 기 설정치 미만으로 어두워지면 의자(10)에 형성된 조명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야간에 사용자가 어두어서 낙상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감지부(160)는 접촉센서(161) 및 조도센서(162)를 함께 이용하여 받침판(11)이 바닥면이 접촉되면 조명을 출력되도록 하되, 조도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면 조명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하면서 조도가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에만 조명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에 통신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100)는 통신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외부의 사용자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지그비, 3G, 4G, 5G와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70)는 감지부(16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단말이나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160)를 통해 받침판(11)의 접촉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신호를 사용자단말이나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승강부(140)의 고장으로 받침판(11)이 승강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받침판(11)에 너무 오래 착석하거나 착석한 후 의식을 잃는 등의 상황을 경고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의자
11 : 받침판
12 : 다리
100 : 리프트장치
110 : 제1 지지부
120 : 제2 지지부
121 : 지지판
122 : 용변통지지부
130 : 연결링크
131 : 제1 돌기부
132 : 제2 돌기부
140 : 승강부
150 : 잠금부
151 : 레버
152 : 걸림쇠
160 : 감지부
161 : 접촉센서
162 : 조도센서
170 : 통신부

Claims (5)

  1.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10)의 받침판(11)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10);
    상기 의자(10)의 다리(12)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11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120);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지지부(120)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링크(130);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12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링크(130)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110)가 하강시 압축되며, 압축해제시 상기 제1 지지부(110)를 상승시키는 승강부(140);
    상기 제2 지지부(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크(130)와 결합시 상기 제1 지지부(110)의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연결링크(130)와 결합해제시 상기 제1 지지부(110)가 이동하도록 하는 잠금부(150); 및
    상기 제2 지지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접촉센서(161)가 상기 받침판(11)의 바닥면과 접촉하며, 상기 잠금부(150)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받침판(11)의 접촉이 감지되면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받침판(11)의 바닥면이 상기 접촉센서(161)와 접촉하면 조명을 출력하도록 하되, 조도센서(162)를 이용하여 주변의 조도가 기 설정치 미만이면 상기 조명을 오프시키는 감지부(160)를 포함하는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120)는,
    하부로 지지판이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140)와의 연결위치를 조절시키는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120)는,
    일측에 T자 형의 접속구가 형성되어 상기 의자(10)의 다리(12)와 연결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130)는,
    상기 승강부(140)의 연결위치를 조절하도록 복수의 제1 돌기부(131)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130)는,
    상기 잠금부(150)에 걸려지는 제2 돌기부(132)가 형성되는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100).
KR1020220181811A 2022-12-22 2022-12-22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 KR102526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811A KR102526600B1 (ko) 2022-12-22 2022-12-22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811A KR102526600B1 (ko) 2022-12-22 2022-12-22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600B1 true KR102526600B1 (ko) 2023-04-27

Family

ID=8610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811A KR102526600B1 (ko) 2022-12-22 2022-12-22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6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372U (ja) * 2000-01-18 2000-07-28 敏昭 篠田 介護用椅子
JP3156361U (ja) * 2008-10-17 2009-12-24 富堡工業股▲ふん▼有限公司 着席・起立補助装置
KR20180038423A (ko) * 2018-01-22 2018-04-16 주식회사 에이치엔이 기립 보조 의자
KR20190024417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컴포트 기립 보조 의자
KR20190063218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컴포트 기립 보조 의자
KR20200067900A (ko) * 2017-12-20 2020-06-12 주식회사 에이치엔이 기립 보조 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372U (ja) * 2000-01-18 2000-07-28 敏昭 篠田 介護用椅子
JP3156361U (ja) * 2008-10-17 2009-12-24 富堡工業股▲ふん▼有限公司 着席・起立補助装置
KR20190024417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컴포트 기립 보조 의자
KR20190063218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컴포트 기립 보조 의자
KR20200067900A (ko) * 2017-12-20 2020-06-12 주식회사 에이치엔이 기립 보조 의자
KR20180038423A (ko) * 2018-01-22 2018-04-16 주식회사 에이치엔이 기립 보조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8171B2 (en) Lift chair
US6822571B2 (en) Patient movement detection system for a bed including a load cell mounting assembly
US3473174A (en) Seat construction
US8336134B2 (en) Bed with mobile lift docking
JP2020508704A (ja) 老弱者用歩行補助器
EP3764968A1 (en) Patient transfer system
KR102526600B1 (ko) 무동력 기립지원형 리프트장치
KR101752994B1 (ko) 휠체어
EP3494945A1 (en) Wheelchair with integrated transfer device
WO2002034193A1 (fr) Fauteuil roulant
CN210644379U (zh) 一种辅助膝关节无力人群坐起的椅子
KR102220350B1 (ko)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US6185761B1 (en) Apparatus for raising a person
JPH08196573A (ja) 介護移動装置
JP2006340955A (ja) 入浴装置
US5421639A (en) Lifting device for invalids
JPH10225489A (ja) 介護車
KR102682298B1 (ko) 거동 불편자를 위한 목욕용 휠체어
KR102196812B1 (ko) 음성인식 기반의 변기용 스마트 리프트 의자
JP2001137297A (ja) 椅子型床走行リフト
JP2019017535A (ja) 入浴補助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240216195A1 (en) Personal Lift Chair
JPH0638851A (ja) 椅 子
JP2022150440A (ja) 移動支援装置、移動支援方法、及び移動支援プログラム
JPH08676A (ja) 医療用ベッドのステップつき安全さ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