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199U -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199U
KR20120000199U KR2020100006942U KR20100006942U KR20120000199U KR 20120000199 U KR20120000199 U KR 20120000199U KR 2020100006942 U KR2020100006942 U KR 2020100006942U KR 20100006942 U KR20100006942 U KR 20100006942U KR 20120000199 U KR20120000199 U KR 201200001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bled
electric wheelchair
support
sea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룡
Original Assignee
이재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룡 filed Critical 이재룡
Priority to KR2020100006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199U/ko
Publication of KR201200001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1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팔받침대가 양측에 설치된 전동휠체어를 운전할 수 있도록 상기 팔받침대의 선단부에 조작부가 설치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설치된 측면프레임에 하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결합프레임을 측면프레임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전동휠체어의 좌석에 앉은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받쳐줘 장애인이 상체를 의지하여 가눌 수 있도록 쿠션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전후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를 상기 결합프레임의 상단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반신을 자기 의지대로 가누지 못하는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받쳐줘 전동휠체어의 팔받침대에 팔을 올려놓고 그 팔을 이용하여 조작부의 작동레버를 조작할 수 있도록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휠체어의 좌석 선단부에 장애인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설치 구성하여 상반신을 가누지 못하는 장애인이 전동휠체어의 좌석에 앉았을때 상반신이 기울어지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손으로 안정감있게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애인이 좌석에서 미끄려져 이탈되어 다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Electronic wheelchair}
본 고안은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반신을 자기 의지대로 가누지 못하는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받쳐줘 전동휠체어의 팔받침대에 팔을 올려놓고 그 팔을 이용하여 조작부의 작동레버를 조작할 수 있도록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휠체어의 좌석 선단부에 장애인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설치 구성하여 상반신을 가누지 못하는 장애인이 전동휠체어의 좌석에 앉았을때 상반신이 기울어지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손으로 안정감있게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애인이 상기 좌석에서 미끄려져 이탈되어 다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은 신체에 장애가 있거나 정신적으로 결함이 있어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제약을 받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애인이 혼자 자유롭게 원하는 장소 및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기의 힘에 의해 이동되는 전동휠체어(100)가 개발되어 사용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휠체어(100)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전동휠체어(100)는 메인바디(101)의 상부면에는 장애인이 앉아서 등을 기댈 수 있는 좌석(102)과 등받이(103)가 설치되고, 상기 좌석(102)의 양측단에는 장애인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받침대(106)와 상기 팔받침대(106)의 선단부에는 작동레버(112)가 구비된 조작부(111)를 설치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01)의 저면에는 작동레버(112)의 작동에 의해 전,후 또는 좌,우로 회전되면서 전동휠체어(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전륜휠(114)과 구동휠(115)이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팔받침대(106)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조작부(111)는 장애인이 사용가능한 팔 위치에 따라 우측 또는 좌측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조작부(111)의 작동레버(112)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전동휠체어(100)가 이동되도록 전륜휠(114)과 구동휠(115)을 메인바디(101)의 저면 양측에 설치하는 데, 메인바디(101)의 내부에는 전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축전지가 설치되며, 상기 축전지에서 충전된 전기의 힘이 작동레버(111)의 작동에 따라 모터 및 기어를 회전시키고, 그 회전력이 구동휠(115)로 전달되어 장애인이 원하는 장소로 전동휠체어(100)를 운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01)의 상부면에 시트부(105)로 감싸진 사각 형태의 좌석(102)이 설치되고, 상기 좌석(102)의 후단에는 등받이(103)가 결합 되어 장애인이 좌석(102)에 앉은 상태에서 등받이(103)에 등을 기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석(102)의 양측에는 장애인의 팔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조작부(111)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전후로 길게 형성된 팔받침대(106)가 형성되는 데, 상기 팔받침대(106)는 좌석(107)의 양측에 설치된 측면프레임(107)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그 팔받침대(106)의 하부에 근접하게 전후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봉(113)을 고정브라켓(108)으로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봉(113)의 선단부에 조작부(111)를 설치 하므로서, 장애인은 팔받침대(106)에 팔을 올려놓은 후에 조작부(111)를 조작하여 전동휠체어(100)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메인바디(101)의 선단부에 한 쌍의 발받침대(104)를 설치한다.
즉, 등받이(103)에 등을 기댈 수 있도록 좌석(102)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발받침대(104) 올려놓고, 팔받침대(106)에 팔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전동휠체어(100)를 장애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운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휠체어(100)의 문제점은 전동휠체어(100)은 좌석(102)에 앉은 장애인이 직접 조절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상반신을 가눌 수 없는 장애인은 전동휠체어(100)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받이(103)에 안전띠를 설치하고 그 안전띠를 이용하여 좌석(102)에 앉은 장애인의 상반신을 등받이(103)에 고정시켜 전동휠체어(1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상기 전동휠체어(10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팔을 팔받침대(106)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조작부(111)의 작동레버(112)를 전후 또는 좌우로 움직여야만 하는 데, 이때 팔받침대(106)에 올려진 팔이 아래로 떨어져 장애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전동휠체어(100)를 이동시키지 못함은 물론 상기 전동휠체어(100)가 정지 또는 이동중에 좌석(102)에서 미끄러져 다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작부가 설치된 팔받침대의 측면프레임에 지지부를 설치하므로서, 상반신을 자기 의지대로 가누지 못하는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지지부가 받쳐주고 그 팔을 팔받침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편안하게 조작부를 조작하기 때문에 장애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전동휠체어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전동휠체어의 좌석의 선단부에 이탈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의해 장애인이 전동휠체어의 좌석에 이탈되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팔받침대가 양측에 설치된 전동휠체어를 운전할 수 있도록 상기 팔받침대의 선단부에 조작부가 설치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설치된 측면프레임에 하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결합프레임을 측면프레임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전동휠체어의 좌석에 앉은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받쳐줘 장애인이 상체를 의지하여 가눌 수 있도록 쿠션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전후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를 상기 결합프레임의 상단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반신을 자기 의지대로 가누지 못하는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받쳐줘 전동휠체어의 팔받침대에 팔을 올려놓고 그 팔을 이용하여 조작부의 작동레버를 조작할 수 있도록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휠체어의 좌석 선단부에 장애인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설치 구성하여 상반신을 가누지 못하는 장애인이 전동휠체어의 좌석에 앉았을때 상반신이 기울어지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손으로 안정감있게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애인이 좌석에서 미끄려져 이탈되어 다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지지부의 높이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지지부의 높이조절부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지지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전동 휠체어에 장착되는 이탈방지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이탈방지수단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종래 기술과 동일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조작부(111)가 설치된 팔받침대(106)의 측면프레임(107)에 상반신을 가누지 못하는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받쳐줄 수 있는 지지부(1)와 그 장애인이 전동휠체어(100)의 좌석(102)에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부재(5)를 설치 구성하여 상반신을 가누지 못하는 장애인이 전동휠체어(100)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동휠체어(100)를 이동 또는 정지중에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1)는 쿠션으로 이루어지며 좌석(102)에 앉은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받쳐줘 상반신을 가누지 못하는 장애인이 좌석(102)에 똑바로 앉아 조작부(111)의 작동레버(112)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부(1)의 저면에 하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면서 저면에 결합브라켓(11)이 구비된 결합프레임(12)을 결합하고, 그 결합브라켓(11)을 이용하여 조작부(111)가 설치된 팔받침대(106)의 측면프레임(107)에 고정 결합한다.
즉, 지지부(1)가 상단에 설치된 결합프레임(12)을 조작부(111)가 설치된 측면프레임(107)에 결합하므로서, 지지부(1)가 팔받침대(106)의 내측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좌석(102)에 앉은 장애인의 겨드랑이가 도 5와 같이 지지부(1)에 받쳐져 장애인이 지지부(1)에 의지하여 상반신을 가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 형성된 측면프레임(12)에 높이조절수단(2)을 설치 구성하여 지지부(1)의 높이를 장애인의 신체에 알맞은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2)은 도 3의 (a)와 같이 지지부(1)가 결합되는 이동부(3)와 측면프레임(107)에 결합되는 케이스(21)로 분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1)의 상단에는 장방향으로 길게 삽입홈(22)을 요입 형성하여 지지부(1)가 상단에 결합 된 이동부(3)를 삽입홈(22)에 삽입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21)의 측면 상단에 장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홀(2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홀(23)에 끼워져 이동부(3)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그 조절된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4)를 케이스(21)의 양측면에 결합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재(4)는 제1고정부(41)의 일측면에 한 쌍의 결합돌기(42)를 상하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42)가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면에 결합보스(44)가 구비된 제2고정부(43)를 형성하며, 그 제1 및 제2고정부(41)(43)를 안내홀(23)의 양측에서 끼워 결합하다.
이와 같이 케이스(21)의 양측면에 결합된 고정부재(4)를 이용하여 지지부(1)가 결합 된 이동부(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이동부(3)의 측면 상단에 가이드수단(6)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수단(6)에 고정부재(4)의 결합돌기(42)가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수단(6)은 이동부(3) 측면 상단에 장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이동홀(31)을 상하 방향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홀(31)의 일측에는 다수의 이동홀(31)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유동홀(34)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홀(31)의 타측단에 상측 방향으로 고정단(32)이 구비되도록 고정홈(33)을 형성하여 이동된 지지부(1)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동부(3)와 케이스(21)의 측면에 각각 가이드수단(6)과 안내홀(23)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수단(6)과 안내홀(23)에 고정부재(4)의 고정돌기(42)를 끼우며, 그 고정부재(4)를 좌우로 이동시켜 이동부(3)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부(3)와 케이스(21)로 구성되는 결합프레임(12)에 높이조절수단(3)을 설치 구성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3)을 이용하여 지지부(1)의 높이를 가변시키므로서, 전동휠체어(100)에 앉은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상기 지지부(1)가 완전히 밀착시키고, 그 밀착된 지지부(1)에 의해 장애인의 상반신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반신을 가눌 수 없는 장애인도 전동휠체어(100)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1)가 장애인의 팔을 지지하여 팔받침대(106)에서 팔이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을 방지하므로서, 전동휠체어(100)의 사고를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있다
이때 케이스(21)와 제2고정부(43) 사이에 외측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탄발스프링(35)을 결합하므로서, 상기 탄발스프링(35)에 의해 제1고정부(41)가 케이스(21)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전동휠체어(100)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고정부재(4)에 의해 다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석(102)의 선단 상부면에 도 6과 같이 쿠션재질로 이루어진 이탈방지부재(5)를 설치하여 지지부(1)에 의해 상반신을 받쳐진 장애인의 하반신이 상기 이탈방지부재(5)에 의해 지지 되어 전동휠체어(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5)는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는 이탈방지부(54)를 좌석(102)의 선단 상부면에 설치하는 데, 상기 좌석(102)의 선단 상부면에 가이드홈(53)이 구비된 가이드부(52)가 돌출 형성된 판 형태의 결합프레임(51)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53)의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이탈방지부(54)의 저면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끼움부(54)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끼움부(53)를 가이드홈(53)에 끼워 이탈방지부(54)를 고정 결합한다.
이때, 결합프레임(51)에 결합 된 이탈방지부(54)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끼움부(53)를 중심으로 이동방지부(560)를 이탈방지부(54)의 저면 양측에 돌출 형성한다.
또한, 도 7과 같이 결합프레임(51)을 시트부(105)로 감싸므로서, 장애인인 결합프레임(51)에 의해 다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애인을 전동휠체어(100)의 좌석(102)에 앉힌 후에 도 7과 같이 가이드홈(53)의 내측으로 끼움부(54)를 끼워 이탈방지부(54)를 좌석(102)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좌석(102)에 앉은 장애인의 팔을 들어올려 도 5와 같이 지지부(1)의 상단이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받쳐주도록 한 후에 장애인의 팔을 팔받침대(106)에 올려놓아 조작부(111)의 작동레버(112)를 장애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장애인의 겨드랑이가 지지부(1)에 밀착되지 않았으면 높이조절수단(2)를 이용하여 지지부(1) 높이를 조절하는 데, 상기 높이조절수단(2)을 이용하여 지지부(1)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3의 (b)와 같이 고정부재(4)의 제2고정부(43)를 손으로 살짝 누른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이동부(3)를 잡고 위로 올린다.
상기 이동부(3)가 위로 이동함에 따라서 도 4의 (b)와 같이 결합돌기(42)의외주면을 감싸는 고정홈(33)은 이동부(3)를 따라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결합돌기(42)가 이동홀(31)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결합돌기(42)는 안내홀(23)에 의해 이동부(3)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상태에서 고정부재(4)를 도 (c)와 같이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돌기(42)를 이동홀(31)과 연통되어 있는 유동홀(34)에 위치시킨 후에 도 4의 (c)와 같이 이동부(3)를 잡은 손에 힘을 가해 상기 이동부(3)를 위로 올려 도 5와 같이 장애인의 겨드랑이에 지지부(1)를 밀착시킨다.
상기 지지부(1)가 장애인의 겨드랑이에 밀착되면 도 4의 (e)와 같이 고정부재(4)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에 이동부(3)를 잡은 손을 놓아 지지부(1)와 이동부(3)의 하중에 의해 고정홈(33)이 결합돌기(42)에 끼워져 지지부(1)의 높이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작부(111)가 설치된 전동휠체어(100)의 측면프레임(107)에 상반신을 가눌 수 없는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받쳐줄 수 있도록 지지부(1)를 설치 구성하므로서, 상반신을 가눌 수 없는 장애인도 전동휠체어(100)를 운전하여 본인이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반신이 전동휠체어(100)에서 무너지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전동휠체어(100)의 운행 중에 잘못 운전으로 인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에 의해 겨드랑이가 받쳐진 장애인의 하반신을 이탈방지부재(5)가 지지하므로서, 상기 이탈방지부재(5)에 의해 장애인이 좌석(102)에서 떨어져 다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미 도시되었지만 지지부(1)에 안전밸트를 설치 구성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한편, 상기 조작부(111)가 설치된 팔받침대(106)의 측면프레임(107)에 설치할 수 있거나 또는 팔받침대(106)가 설치된 측면프레임(107)의 양측에 다 설치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1: 지지부, 2: 높이조절수단,
3: 이동부, 4: 고정부재,
5: 이탈방지부재, 100: 전동휠체어,
111: 조작부, 11: 결합브라켓,
21: 케이스, 22: 삽입홈,
23: 안내홀, 31: 이동홀,
32: 고정단, 33: 고정홈,
34: 연동홀, 35: 탄발스프링,
41: 제1고정부, 42: 결합돌기,
43: 제2고정부, 44: 결합보스,
51: 결합프레임, 52: 가이드부,
53: 가이드홈, 54: 이탈방지부,
55: 끼움홈, 56: 이동방지부,
101: 메인바디, 102: 좌석,
103: 등받이, 104: 발받침대,
105: 시트부, 106: 팔받침대,
107: 고정브라켓, 112: 작동레버,
113: 가이드봉, 114: 전륜휠,
115: 구동휠,

Claims (3)

  1. 팔받침대(106)가 양측에 설치된 전동휠체어(100)를 운전할 수 있도록 상기 팔받침대(106)의 선단부에 조작부(111)가 설치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11)가 설치된 팔받침대(106)의 하부구조를 이루는 측면프레임(107)에 하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결합프레임(12)을 고정 결합하고,
    상기 전동휠체어(100)의 좌석(102)에 앉은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받쳐줘 장애인이 상체를 의지하여 가눌 수 있도록 전후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1)를 상기 결합프레임(12)의 상단에 결합하여 지지부(1)가 팔받침대(106)의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팔받침대(106) 보다 높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102)에서 장애인이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부(54)가 구비된 이탈방지부재(5)를 좌석(102)에 설치 구성하되,
    상기 이탈방지부재(5)는 가이드홈(53)이 구비된 가이드부(52)가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판 형태의 결합프레임(51)을 좌석(102)의 선단 상부면에 결합하고,
    상기 이탈방지부(54)의 저면에 가이드홈(53)에 끼워지도록 일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끼움부(55)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끼움부(55)를 중심으로 이탈방지부(54)의 저면 양측에 각각 이동방지부(56)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21)을 결합프레임(12)에 더 형성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2)은
    결합프레임(12)을 지지부(1)의 하측에 연결된 이동부(3)와 측면프레임(107)에 결합되는 케이스(21)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21)에는 이동부(3)가 삽입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삽입홈(22)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21)의 상단에 장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홀(23)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홀(23)로 끼워져 이동부(3)의 설치 높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를 더 구성하되,
    상기 고정부재(4)는 한 쌍의 결합돌기(42)가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고정부(41)와 상기 결합돌기(42)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보스(44)가 일측에 형성된 제2고정부(43)로 구성하여 안내홀(23)의 양측에서 제1고정부(41)와 제2고정부(43)를 끼워 결합하고,
    상기 이동부(3)의 상단에는 고정부재(4)가 끼워져 지지부(1)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가이드수단(6)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수단(6)은 이동부(3) 상에 장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이동홀(31)을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며, 그 이동홀(31)의 일측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유동홀(34)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홀(31)로 끼워진 고정부재(4)의 결합돌기(42)가 유동홀(34)에 안내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이동홀(3)의 타측 끝단에는 상측 방향으로 고정홈(33)을 형성하여 높이 조절된 상태에서 결합돌기(42)가 고정홈(33)에 끼워져 지지부(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21)와 제2고정부(43)의 사이에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발스프링(35)을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21)의 내측에 제1고정부(41)가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KR2020100006942U 2010-06-30 2010-06-30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KR201200001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42U KR20120000199U (ko) 2010-06-30 2010-06-30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42U KR20120000199U (ko) 2010-06-30 2010-06-30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199U true KR20120000199U (ko) 2012-01-05

Family

ID=5804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942U KR20120000199U (ko) 2010-06-30 2010-06-30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199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555B1 (ko) * 2013-06-12 2014-06-11 김규성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KR20180042070A (ko) 2016-10-17 2018-04-25 장원 천정부가 구비된 이동체
KR20190044733A (ko) 2017-10-22 2019-05-02 장원 천정부가 구비된 이동체
KR20190060238A (ko) 2017-11-24 2019-06-03 진동규 모듈형 전동 휠체어 및 휠체어용 구동 모듈
KR20220125040A (ko) 2021-03-04 2022-09-14 토도웍스 주식회사 사용자의 장애에 따라 최적의 휠체어 조작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17797A (ko) * 2022-02-03 2023-08-10 (주)조은케어 안전 시트
KR20230117798A (ko) * 2022-02-03 2023-08-10 (주)조은케어 안전 시트를 구비한 양변기 장치
KR20240055232A (ko) 2022-10-19 2024-04-29 주식회사 휴비시스 전동 휠체어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555B1 (ko) * 2013-06-12 2014-06-11 김규성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KR20180042070A (ko) 2016-10-17 2018-04-25 장원 천정부가 구비된 이동체
KR20190044733A (ko) 2017-10-22 2019-05-02 장원 천정부가 구비된 이동체
KR20190060238A (ko) 2017-11-24 2019-06-03 진동규 모듈형 전동 휠체어 및 휠체어용 구동 모듈
KR20220125040A (ko) 2021-03-04 2022-09-14 토도웍스 주식회사 사용자의 장애에 따라 최적의 휠체어 조작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17797A (ko) * 2022-02-03 2023-08-10 (주)조은케어 안전 시트
KR20230117798A (ko) * 2022-02-03 2023-08-10 (주)조은케어 안전 시트를 구비한 양변기 장치
KR20240055232A (ko) 2022-10-19 2024-04-29 주식회사 휴비시스 전동 휠체어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0199U (ko)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US2010021966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Lift Assistance
KR101965161B1 (ko)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
KR101437374B1 (ko) 가변형 휠체어
JP2011172898A (ja) 介護用リフト
JP2007181639A (ja) 起立補助椅子
JP5807311B2 (ja) 起立補助機能をもった椅子座面、及び、それを用いた椅子
KR101010010B1 (ko) 전동 휠체어 시트 평행자세 자동조절 장치
KR102150594B1 (ko) 휠체어
US8210295B2 (en) Electric wheelchair
KR20190024417A (ko) 기립 보조 의자
KR102035211B1 (ko) 좌변 보조장치
KR102130551B1 (ko) 기립 보조 의자
CN105748216A (zh) 一种自动升降轮椅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KR20230076640A (ko) 실내 이동식 의자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JP6224981B2 (ja) 移乗補助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介護器具
JPH10225489A (ja) 介護車
JP2005137639A (ja) 起立補助椅子
KR101244451B1 (ko) 휠체어 사용자의 하중을 이용한 휠체어 제동장치
WO2015029132A1 (ja) 移動用リフト
JP2018175130A (ja) 移乗介護椅子
KR100898390B1 (ko)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KR101668388B1 (ko) 운전자 겨드랑이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