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555B1 -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555B1
KR101403555B1 KR1020130066854A KR20130066854A KR101403555B1 KR 101403555 B1 KR101403555 B1 KR 101403555B1 KR 1020130066854 A KR1020130066854 A KR 1020130066854A KR 20130066854 A KR20130066854 A KR 20130066854A KR 101403555 B1 KR101403555 B1 KR 101403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osture
disabled person
support
adjus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성
Original Assignee
김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성 filed Critical 김규성
Priority to KR102013006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55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바퀴를 구비하는 탈부착 이동장치에 체결 조립을 통해 부착되어, 장애인이 앉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로서, 등받이의 높이조절 구멍에 결합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장애인이 좌석에 앉은 자세에서 머리의 위치가 좌우로 고정되어야 할 경우에 대응하여 위치가 좌 또는 우로 조절되는 머리 받침대부; 장애인이 좌석에 앉을 때 고관절의 바른 자세를 위해 장애인 요추의 뒷부분을 받쳐주기 위해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하로의 기울임 및 깊이가 조절되는 요추 받침대부; 한 쌍의 팔 받침대와 각각 체결 고정되며, 장애인이 좌석에 앉을 때 장애인의 둔부 폭 크기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석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 상기 좌석의 선단 부위에 설치되어, 앉은 자세에서 장애인의 양 하지의 무릎과 대퇴부의 형상에 맞게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되는 한 쌍의 하지 무릎 받침대부; 및 상기 좌석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장애인이 앉은 자세에서 양발이 위치해야 할 양 발의 폭 위치 조절과 앞뒤 기울어짐의 각도 조절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발받침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에 따르면, 신체가 많이 변형된 장애인이 구축화된 자세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바른 자세로 교정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의 구축화된 자세의 점차적인 바른 자세로의 교정을 위해 머리 받침대의 좌우 기울기 조절과, 요추 받침대의 깊이 조절과, 좌판의 폭 조절과, 내전과 외전을 방지하는 지지대의 회전각도 조절 및 두 발의 받침대를 각각 독립적으로 높이와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애인의 변형된 신체 조건에 대응한 미세 조절이 가능하고, 자세 변형이 구축화된 장애인이 최초에 사용하여 점차 바른 자세로 개선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A SEATING AND POSITIONING AIDS APPARATUS HAVING ADJUSTING SEATING AND POSITIONING FOR THE DISABLED}
본 발명은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가 많이 변형된 장애인이 구축화된 자세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바른 자세로 교정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이 사용하는 자세유지 보조기구는 인체가 좌우대칭이 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간주하여 장애인이 앉은 자세에서 사용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고관절 각도 90°, 무릎 각도 90°, 및 발목 각도가 90°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이는, 뇌성마비나 뇌병변 장애를 가진 장애인의 자세가 이미 변형(이하 “구축화”라 칭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축화되어 있는 자세에서 점차 바른 자세로 교정해야 하는 데, 종래의 자세유지 보조기구는 인체의 좌우대칭에 부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장애인의 구축화된 자세에 자세유지 보조기구를 맞추어 사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즉, 자세 변형이 구축화된 장애인이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자세유지 보조기구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근육 긴장성이 완화되어 활동성(activity)에 상당한 제약을 받음으로써 학습이나 식사 등 일상생활에서 사용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구축화된 자세의 바른 자세로의 교정 또한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신체가 많이 변형된 장애인이 구축화된 자세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바른 자세로 교정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인의 구축화된 자세의 점차적인 바른 자세로의 교정을 위해 머리 받침대의 좌우 기울기 조절과, 요추 받침대의 깊이 조절과, 좌판의 폭 조절과, 내전과 외전을 방지하는 지지대의 회전각도 조절 및 두 발의 받침대를 각각 독립적으로 높이와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애인의 변형된 신체 조건에 대응한 미세 조절이 가능하고, 자세 변형이 구축화된 장애인이 최초에 사용하여 점차 바른 자세로 개선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는,
이동바퀴를 구비하는 탈부착 이동장치에 체결 조립을 통해 부착되어, 장애인이 앉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로서,
등받이의 높이조절 구멍에 결합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장애인이 좌석에 앉은 자세에서 머리의 위치가 좌우로 고정되어야 할 경우에 대응하여 위치가 좌 또는 우로 조절되는 머리 받침대부;
장애인이 좌석에 앉을 때 고관절의 바른 자세를 위해 장애인 요추의 뒷부분을 받쳐주기 위해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하로의 기울임 및 깊이가 조절되는 요추 받침대부;
한 쌍의 팔 받침대와 각각 체결 고정되며, 장애인이 좌석에 앉을 때 장애인의 둔부 폭 크기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석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
상기 좌석의 선단 부위에 설치되어, 앉은 자세에서 장애인의 양 하지의 무릎과 대퇴부의 형상에 맞게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되는 한 쌍의 하지 무릎 받침대부; 및
상기 좌석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장애인이 앉은 자세에서 양발이 위치해야 할 양 발의 폭 위치 조절과 앞뒤 기울어짐의 각도 조절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발받침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머리 받침대부는,
장애인의 머리를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도록 곡면 형태로 구성되는 머리 받침대;
상기 머리 받침대의 후단에 체결되는 수직 연결 프레임; 및
상기 등받이의 높이조절 구멍을 통해 결합하여 상기 수직 연결 프레임이 조절된 높이로 체결되도록 하는 결합공과, 상기 수직 연결 프레임을 좌우로 위치 조절시키는 좌우 슬릿 조절공을 구성하는 머리 받침대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추 받침대부는,
좌석에 앉은 장애인 요추의 뒷부분을 받쳐주기 위한 요추 받침대;
상기 등받이의 요추 받침대 연결구멍을 매개로 상기 요추 받침대에 체결되는 요추 연결부; 및
상기 요추 연결부를 상기 등받이의 요추 높이 조절 구멍을 통해 높이 조절된 상태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요추 받침대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요추 받침대의 상하 기울임 각도 조절과 깊이를 조절하는 조절 구멍이 형성되는 요추 조절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받이는,
장애인의 상체를 좌우에서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상체 고정대가 더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 구멍의 양측면으로 상기 상체 고정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수직의 슬릿공과, 상기 수직의 슬릿공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기 상체 고정대의 가로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대 공간부를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는,
상기 한 쌍의 팔 받침대가 각각 체결 고정되는 좌판 폭 조절 측면부; 및
상기 좌판 폭 조절 측면부와 각각 체결되어, 상기 좌석의 중간 공간부에 삽입 체결되는 좌판 폭 조절 저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판 폭 조절 저면부는,
상기 좌석의 중간 공간부를 매개로 좌석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좌석의 좌우에서 인출 또는 삽입시키는 안내 가이드를 통해 좌석에 앉는 사람의 둔부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석은,
상기 좌석의 중심축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중심축 공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축 공의 선단으로 상기 좌석을 좌우로 방향 조정하기 위한 회전축 공을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하지 무릎 받침대부는,
각각이 내전방지 패드와 외전방지 패드를 하나의 쌍으로 구성하는 하지 무릎 받침대;
상기 하지 무릎 받침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하지 무릎 받침대의 내전방지 패드와 외전방지 패드 간의 폭 조절과 각도 조절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는 하지 무릎 받침 연결부; 및
상기 하지 무릎 받침 연결부를 상기 좌석의 선단에 형성된 각도 조절공에 체결하는 하지 무릎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발받침대부는,
각각이 상기 좌석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직의 가이드 공을 형성하는 발받침 수직 프레임;
수평의 가이드 공을 형성하며, 상기 수직의 가이드 공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발받침 연결부; 및
상기 발받침 연결부의 선단으로 장애인의 발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발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발받침 연결부는, 상기 발받침 수직 프레임에 형성된 수직의 가이드 공을 따라 상하로 높이 조절 및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발 받침대는, 상기 발받침 연결부의 선단에서 장애인의 발이 위치할 각도에 대응하여 좌우 이동 및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 받침대는,
상기 발받침 연결부의 선단에 형성하는 가로 공과 체결되는 세로 공을 형성하며, 장애인의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 띠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부착 이동장치는,
이동바퀴가 체결되어 구성되는 바퀴 프레임;
상기 바퀴 프레임과 체결 구성되며, 상기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좌석과 조립되는 좌석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좌석 지지 프레임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밀어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부착 이동장치는,
상기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좌석과 조립 체결될 수 있는 휠체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에 따르면, 신체가 많이 변형된 장애인이 구축화된 자세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바른 자세로 교정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의 구축화된 자세의 점차적인 바른 자세로의 교정을 위해 머리 받침대의 좌우 기울기 조절과, 요추 받침대의 깊이 조절과, 좌판의 폭 조절과, 내전과 외전을 방지하는 지지대의 회전각도 조절 및 두 발의 받침대를 각각 독립적으로 높이와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애인의 변형된 신체 조건에 대응한 미세 조절이 가능하고, 자세 변형이 구축화된 장애인이 최초에 사용하여 점차 바른 자세로 개선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가 체결될 탈부착 이동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와 탈부착 이동장치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와 탈부착 이동장치가 체결된 상태의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머리 받침대부의 좌우 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요추 받침대부의 높이, 깊이, 및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한 쌍의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의 폭 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하지 무릎 받침대부의 폭 조절 및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발받침대부의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실제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가 체결될 탈부착 이동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와 탈부착 이동장치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와 탈부착 이동장치가 체결된 상태의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100)는, 머리 받침대부(110), 요추 받침대부(120),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130), 하지 무릎 받침대부(140), 및 발받침대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바퀴(11)를 구비하는 탈부착 이동장치(10)에 체결 조립을 통해 부착되어 장애인이 앉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뇌성마비나 뇌병변 장애를 가진 장애인의 자세가 이미 변형(이하 ‘구축화’라 칭함)되어 있는 경우에 장애인의 구축화 되어 있는 자세에서 점차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100)가 체결 조립되는 탈부착 이동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바퀴(11)가 체결되어 구성되는 바퀴 프레임(12)과, 바퀴 프레임(12)과 체결 구성되며,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100)의 좌석(170)과 조립되는 좌석 지지 프레임(13), 및 좌석 지지 프레임(13)의 후단에 연결되어,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밀어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프레임(1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탈부착 이동장치(10)는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100)의 좌석(170)과 조립 체결될 수 있는 휠체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100)와 탈부착 이동장치(10)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 구성을 나타낸다.
머리 받침대부(110)는, 등받이(160)의 높이조절 구멍(161)에 결합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장애인이 좌석(170)에 앉은 자세에서 머리의 위치가 좌우로 고정되어야 할 경우에 대응하여 위치가 좌 또는 우로 조절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머리 받침대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의 머리를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도록 곡면 형태로 구성되는 머리 받침대(111)와, 머리 받침대(111)의 후단에 체결되는 수직 연결 프레임(112), 및 등받이(160)의 높이조절 구멍(161)을 통해 결합하여 수직 연결 프레임(112)이 조절된 높이로 체결되도록 하는 결합공(113)과 수직 연결 프레임(112)을 좌우로 위치 조절시키는 좌우 슬릿 조절공(114)을 구성하는 머리 받침대 결합부(11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받침대부(110)는 등받이(160)에 체결 조립된 상태에서 장애인의 머리 위치에 맞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등받이(160)는 장애인의 상체를 좌우에서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상체 고정대(166)가 더 설치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 구멍(161)의 양측면으로 상체 고정대(166)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수직의 슬릿공(164)과, 수직의 슬릿공(164)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체 고정대(166)의 가로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대 공간부(165)를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요추 받침대부(120)는, 장애인이 좌석(170)에 앉을 때 고관절의 바른 자세를 위해 장애인 요추의 뒷부분을 받쳐주기 위해 등받이(16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하로의 기울임 및 깊이가 조절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요추 받침대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170)에 앉은 장애인 요추의 뒷부분을 받쳐주기 위한 요추 받침대(121)와, 등받이(160)의 요추 받침대 연결구멍(162)을 매개로 요추 받침대(121)에 체결되는 요추 연결부(122), 및 요추 연결부(122)를 등받이(160)의 요추 높이 조절 구멍(163)을 통해 높이 조절된 상태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며, 요추 받침대 연결구멍(162)을 통해 요추 받침대(121)의 상하 기울임 각도 조절과 깊이를 조절하는 조절 구멍(123)이 형성되는 요추 조절 결합부(12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요추 받침대부(120)는 깊이와 앞뒤 기울기가 조절되는 구성으로, 장애인이 의자(좌석)에 앉을 때 고관절의 바른 자세를 위해서 요추의 뒷부분을 받쳐 주는 요추 받침대(121)의 깊이를 조절하고, 요추 받침대(121)의 앞뒤 기울임(tilting)을 통해 기울임이 조절되며, 척추의 후만 증세를 교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자세 개선 시에 수시로 요추 받침대(121)의 깊이를 조절하여 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130)는, 한 쌍의 팔 받침대(131)와 각각 체결 고정되며, 장애인이 좌석에 앉을 때 장애인의 둔부 폭 크기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석(17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130)는 한 쌍의 팔 받침대(131)가 각각 체결 고정되는 좌판 폭 조절 측면부(132), 및 좌판 폭 조절 측면부(132)와 각각 체결되어 좌석(170)의 중간 공간부에 삽입 체결되는 좌판 폭 조절 저면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좌판 폭 조절 저면부(133)는 좌석(170)의 중간 공간부를 매개로 좌석(170)에 고정 설치되고, 좌석(170)의 좌우에서 인출 또는 삽입시키는 안내 가이드를 통해 좌석(170)에 앉는 사람의 둔부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좌석(1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170)의 중심축(171)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중심축 공(172)을 형성하고, 중심축 공(172)의 선단으로 좌석(170)을 좌우로 방향 조정하기 위한 회전축 공(174)을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즉, 한 쌍의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130)는 의자(좌석)에 앉는 사람의 둔부 폭과 방향에 따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장애인의 팔 받침대(131)의 폭 조절(adjusting width)과 일치되어 좌석(170)의 폭도 비례되어 조절되도록 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170)의 위치방향에 따라 회전(rotation)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지 무릎 받침대부(140)는, 좌석(170)의 선단 부위에 설치되어, 앉은 자세에서 장애인의 양 하지의 무릎과 대퇴부의 형상에 맞게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지 무릎 받침대부(14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내전방지 패드(141)와 외전방지 패드(142)를 하나의 쌍으로 구성하는 하지 무릎 받침대(143)와, 하지 무릎 받침대(143)와 각각 연결되어, 하지 무릎 받침대(143)의 내전방지 패드(141)와 외전방지 패드(142) 간의 폭 조절과 각도 조절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는 하지 무릎 받침 연결부(144), 및 하지 무릎 받침 연결부(144)를 좌석(170)의 선단에 형성된 각도 조절공(175)에 체결하는 하지 무릎 체결부(14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하지 무릎 받침대부(140)는 장애인의 양 하지의 폭(width) 조절과 각도 조절(rotation)이 가능하여 양 하지의 내전(adduction)과 외전(abduction)을 방지하며, 앉은 자세에서 양 하지의 무릎부위가 위치해야 할 폭과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좌석(170)과 연결되어 장애인의 앉은 자세에서 하지가 내부로 꼬이는 현상(내전 adduction)이나 외부로 뻗치는 현상(abduction)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전이나 외전이 구축화되어 있는 장애인에게는 최초에 편한 각도로 위치하고, 점차 정상적인 자세로 조절함으로써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무릎과 대퇴부의 형상에 맞게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발받침대부(150)는, 좌석(17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장애인이 앉은 자세에서 양발이 위치해야 할 양 발의 폭 위치 조절과 앞뒤 기울어짐의 각도 조절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발받침대부(15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좌석(170)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직의 가이드 공(151)을 형성하는 발받침 수직 프레임(152)과, 수평의 가이드 공(153)을 형성하며, 수직의 가이드 공(151)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발받침 연결부(155), 및 발받침 연결부(155)의 선단으로 장애인의 발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발 받침대(1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발받침 연결부(155)는 발받침 수직 프레임(152)에 형성된 수직의 가이드 공(151)을 따라 상하로 높이 조절 및 각도가 조절되고, 발 받침대(158)는 발받침 연결부(155)의 선단에서 장애인의 발이 위치할 각도에 대응하여 좌우 이동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발 받침대(158)는 발받침 연결부(155)의 선단에 형성하는 가로 공(154)과 체결되는 세로 공(156)을 형성하며, 장애인의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 띠 부재(157)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발받침대부(150)는 장애인의 양 발의 폭 조절과 앞뒤 기울어짐,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성으로, 앉은 자세에서 양발이 위치해야 할 폭과 높이 및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좌석(170)과 연결되어 각각의 발이 위치해야 할 지점과 발의 각도에 맞게 발 받침대(158)를 위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장애인의 양 하지의 내전이나 외전이 개선되는 과정에 따라 발이 위치해야 할 위치와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머리 받침대부의 좌우 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머리 받침대부(110)의 구성이 정 자세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머리 받침대부(110)의 구성이 장애인의 머리 위치에 맞게 좌우로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요추 받침대부의 높이, 깊이, 및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요추 받침대부(120)의 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6의 (b)는 요추 받침대부(120)의 깊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내며, 도 6의 (c)는 요추 받침대부(120)의 상하 기울임 각도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한 쌍의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의 폭 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한 쌍의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130)의 폭 조절이 이루어지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한 쌍의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130)를 좌우로 벌려 좌석(170)의 폭 조절을 통해 좁아지도록 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의 (c)는 좌석(170)의 중심축(171)과 회전축(173)을 이용하여 좌로 방향을 조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d)는 좌석(170)의 중심축(171)과 회전축(173)을 이용하여 우로 방향을 조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하지 무릎 받침대부의 폭 조절 및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하지 무릎 받침대부(140)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 9는 하지 무릎 받침대부(140)를 평면도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9의 (a)는 하지 무릎 받침대부(14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9의 (b)는 하지 무릎 받침대부(140)의 각도 조절이 오른발만 바깥쪽으로 각도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9의 (c)는 하지 무릎 받침대부(140)의 내전방지 패드(141)와 외전방지 패드(142)로 구성되는 하지 무릎 받침대(143)의 폭을 넓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발받침대부의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발받침대부(150)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0의 (a)와 (b)는 발받침대부(150)의 발받침 연결부(155)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의 (c)와 (d)는 발받침대부(150)의 발받침 연결부(155)의 각도 조절이 상하로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발받침대부(150)의 평면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도 11의 (a)는 장애인의 사용자 발이 위치하는 정위치를 나타내고, 도 11의 (b)는 장애인의 사용자 발이 바깥으로 위치 조절된 상태에서 따라 발 받침대(158)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1의 (b)는 장애인의 사용자 발 중 오른 발이 각도 조절된 상태에 따라 발 받침대(158)의 위치가 각도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의 실제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100)와 탈부착 이동장치(10)가 결합된 전체 구성의 실제 구성 일례를 나타내고, 도 13은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100) 중 머리 받침대부(110)의 좌우 기울어지는 각도 조절 상태의 실제 구성 일례를 나타내며, 도 14는 요추 받침대부(120)의 설치 및 기울기 조절된 상태의 실제 구성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는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130)의 폭 조절의 상태의 실제 구성 일례를 나타내고, 도 16은 하지 무릎 받침대부(140)의 폭과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상태의 실제 구성 일례를 나타내며, 도 17은 발받침대부(150)의 양 발의 폭 조절과 앞뒤 기울어짐, 높이 및 각도조절의 상태의 실제 구성 일례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탈부착 이동장치 11: 이동바퀴
12: 바퀴 프레임 13: 좌석 지지 프레임
14: 손잡이 프레임
100: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110: 머리 받침대부
111: 머리 받침대 112: 수직 연결 프레임
113: 결합공 114: 좌우 슬릿 조절공
115: 머리 받침대 결합부 120: 요추 받침대부
121: 요추 받침대 122: 요추 연결부
123: 조절 구멍 124: 요추 조절 결합부
130: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 131: 팔 받침대
132: 좌판 폭 조절 측면부 133: 좌판 폭 조절 저면부
140: 하지 무릎 받침대부 141: 내전방지 패드
142: 외전방지 패드 143: 하지 무릎 받침대
144: 하지 무릎 받침 연결부 145: 하지 무릎 체결부
150: 발받침대부 151: 수직의 가이드 공
152: 발받침 수직 프레임 153: 수평의 가이드 공
154: 가로 공 155: 발받침 연결부
156: 세로 공 157: 고정 띠 부재
158: 발 받침대 160: 등받이
161: 높이조절 구멍 162: 요추 받침대 연결구멍
163: 요추 높이 조절 구멍 164: 수직의 슬릿공
165: 고정대 공간부 166: 상체 고정대
170: 좌석 171: 중심축
172: 중심축 공 173: 회전축
174: 회전축 공 175: 각도 조절공

Claims (11)

  1. 이동바퀴(11)를 구비하는 탈부착 이동장치(10)에 체결 조립을 통해 부착되어, 장애인이 앉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로서,
    등받이(160)의 높이조절 구멍(161)에 결합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장애인이 좌석(170)에 앉은 자세에서 머리의 위치가 좌우로 고정되어야 할 경우에 대응하여 위치가 좌 또는 우로 조절되는 머리 받침대부(110);
    장애인이 좌석(170)에 앉을 때 고관절의 바른 자세를 위해 장애인 요추의 뒷부분을 받쳐주기 위해 상기 등받이(16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하로의 기울임 및 깊이가 조절되는 요추 받침대부(120);
    한 쌍의 팔 받침대(131)와 각각 체결 고정되며, 장애인이 좌석에 앉을 때 장애인의 둔부 폭 크기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석(17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130);
    상기 좌석(170)의 선단 부위에 설치되어, 앉은 자세에서 장애인의 양 하지의 무릎과 대퇴부의 형상에 맞게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되는 한 쌍의 하지 무릎 받침대부(140); 및
    상기 좌석(17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장애인이 앉은 자세에서 양발이 위치해야 할 양 발의 폭 위치 조절과 앞뒤 기울어짐의 각도 조절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발받침대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받침대부(110)는,
    장애인의 머리를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도록 곡면 형태로 구성되는 머리 받침대(111);
    상기 머리 받침대(111)의 후단에 체결되는 수직 연결 프레임(112); 및
    상기 등받이(160)의 높이조절 구멍(161)을 통해 결합하여 상기 수직 연결 프레임(112)이 조절된 높이로 체결되도록 하는 결합공(113)과, 상기 수직 연결 프레임(112)을 좌우로 위치 조절시키는 좌우 슬릿 조절공(114)을 구성하는 머리 받침대 결합부(115)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 받침대부(120)는,
    좌석(170)에 앉은 장애인 요추의 뒷부분을 받쳐주기 위한 요추 받침대(121);
    상기 등받이(160)의 요추 받침대 연결구멍(162)을 매개로 상기 요추 받침대(121)에 체결되는 요추 연결부(122); 및
    상기 요추 연결부(122)를 상기 등받이(160)의 요추 높이 조절 구멍(163)을 통해 높이 조절된 상태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요추 받침대 연결구멍(162)을 통해 상기 요추 받침대(121)의 상하 기울임 각도 조절과 깊이를 조절하는 조절 구멍(123)이 형성되는 요추 조절 결합부(12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60)는,
    장애인의 상체를 좌우에서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상체 고정대(166)가 더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 구멍(161)의 양측면으로 상기 상체 고정대(166)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수직의 슬릿공(164)과, 상기 수직의 슬릿공(164)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기 상체 고정대(166)의 가로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대 공간부(165)를 더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좌판 폭 조절 받침대부(130)는,
    상기 한 쌍의 팔 받침대(131)가 각각 체결 고정되는 좌판 폭 조절 측면부(132); 및
    상기 좌판 폭 조절 측면부(132)와 각각 체결되어, 상기 좌석(170)의 중간 공간부에 삽입 체결되는 좌판 폭 조절 저면부(133)를 포함하며,
    상기 좌판 폭 조절 저면부(133)는,
    상기 좌석(170)의 중간 공간부를 매개로 좌석(17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좌석(170)의 좌우에서 인출 또는 삽입시키는 안내 가이드를 통해 좌석(170)에 앉는 사람의 둔부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170)은,
    상기 좌석(170)의 중심축(171)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중심축 공(172)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축 공(172)의 선단으로 상기 좌석(170)을 좌우로 방향 조정하기 위한 회전축 공(174)을 더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지 무릎 받침대부(140)는,
    각각이 내전방지 패드(141)와 외전방지 패드(142)를 하나의 쌍으로 구성하는 하지 무릎 받침대(143);
    상기 하지 무릎 받침대(143)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하지 무릎 받침대(143)의 내전방지 패드(141)와 외전방지 패드(142) 간의 폭 조절과 각도 조절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는 하지 무릎 받침 연결부(144); 및
    상기 하지 무릎 받침 연결부(144)를 상기 좌석(170)의 선단에 형성된 각도 조절공(175)에 체결하는 하지 무릎 체결부(145)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받침대부(150)는,
    각각이 상기 좌석(170)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직의 가이드 공(151)을 형성하는 발받침 수직 프레임(152);
    수평의 가이드 공(153)을 형성하며, 상기 수직의 가이드 공(151)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발받침 연결부(155); 및
    상기 발받침 연결부(155)의 선단으로 장애인의 발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발 받침대(158)를 포함하되,
    상기 발받침 연결부(155)는, 상기 발받침 수직 프레임(152)에 형성된 수직의 가이드 공(151)을 따라 상하로 높이 조절 및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발 받침대(158)는, 상기 발받침 연결부(155)의 선단에서 장애인의 발이 위치할 각도에 대응하여 좌우 이동 및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대(158)는,
    상기 발받침 연결부(155)의 선단에 형성하는 가로 공(154)과 체결되는 세로 공(156)을 형성하며, 장애인의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 띠 부재(157)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이동장치(10)는,
    이동바퀴(11)가 체결되어 구성되는 바퀴 프레임(12);
    상기 바퀴 프레임(12)과 체결 구성되며, 상기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100)의 좌석(170)과 조립되는 좌석 지지 프레임(13); 및
    상기 좌석 지지 프레임(13)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밀어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프레임(14)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이동장치(10)는,
    상기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100)의 좌석(170)과 조립 체결될 수 있는 휠체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KR1020130066854A 2013-06-12 2013-06-12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03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854A KR101403555B1 (ko) 2013-06-12 2013-06-12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854A KR101403555B1 (ko) 2013-06-12 2013-06-12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555B1 true KR101403555B1 (ko) 2014-06-11

Family

ID=5113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85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3555B1 (ko) 2013-06-12 2013-06-12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5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70B1 (ko) 2014-12-18 2016-02-16 주식회사 포트 자세 보조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시트백 구조
KR102030822B1 (ko) 2019-01-24 2019-10-10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친환경 diy 훈련 보조기기
KR102080772B1 (ko) * 2019-04-05 2020-02-24 연성은 시트 시스템
KR20210123600A (ko) 2020-04-03 2021-10-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노인 넘어짐 예방을 위한 화장실 자세 보조 및 응급알람 시스템
KR20220036024A (ko) * 2020-09-15 2022-03-22 방문균 자세 보정용 휠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4181A (ja) 2005-08-23 2007-03-08 Pigeon Tahira Kk 車椅子
JP2008237295A (ja) 2007-03-26 2008-10-09 Fuji Iryoki:Kk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20110012044A (ko) * 2009-07-29 2011-02-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체간 및 골반 정상화를 위한 재활치료용 교정기구
KR20120000199U (ko) * 2010-06-30 2012-01-05 이재룡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4181A (ja) 2005-08-23 2007-03-08 Pigeon Tahira Kk 車椅子
JP2008237295A (ja) 2007-03-26 2008-10-09 Fuji Iryoki:Kk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20110012044A (ko) * 2009-07-29 2011-02-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체간 및 골반 정상화를 위한 재활치료용 교정기구
KR20120000199U (ko) * 2010-06-30 2012-01-05 이재룡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70B1 (ko) 2014-12-18 2016-02-16 주식회사 포트 자세 보조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시트백 구조
KR102030822B1 (ko) 2019-01-24 2019-10-10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친환경 diy 훈련 보조기기
KR102080772B1 (ko) * 2019-04-05 2020-02-24 연성은 시트 시스템
KR20210123600A (ko) 2020-04-03 2021-10-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노인 넘어짐 예방을 위한 화장실 자세 보조 및 응급알람 시스템
KR20220036024A (ko) * 2020-09-15 2022-03-22 방문균 자세 보정용 휠체어
KR102400645B1 (ko) 2020-09-15 2022-05-19 방문균 자세 보정용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5127A (en) Therapeutic and rehabilitative carriage
US4753482A (en) Customized modular seating system
US8801638B2 (en) Delordosation device
US20050264069A1 (en) Seat subportion adjustable in relative height and/or angle and backrest adjustable in shape based on user contact pressure
KR101403555B1 (ko)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KR101482769B1 (ko) 자세보조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KR101618638B1 (ko) 자세교정용 어깨걸이 의자
US20010040402A1 (en) Adjustable split seat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1399283B1 (ko)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US5836652A (en) Invalid chair with pivotal foot rest
US4275714A (en) Spinal positioning couch
US20040251725A1 (en) Chairs
CN210078079U (zh) 一种可调节的坐姿椅
US20210282994A1 (en) Assistant for stabilizing, mobilizing and securing a patient
US6601922B2 (en) Apparatus with lower leg restraints for contributing to support of a handicapped person
KR100435846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357018Y1 (ko) 허리 교정용 의자
KR20110000141U (ko) 다기능 자세조절 의자
RU2262914C1 (ru) Кресло-сиденье для реабилитации больного церебральным параличом
CN114948574B (zh) 一种眼科椅
KR101473876B1 (ko)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RU198211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регулируемая опора для детей-инвалидов
KR200306659Y1 (ko) 좌변기용 보조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