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161B1 -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 - Google Patents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161B1
KR101965161B1 KR1020120135128A KR20120135128A KR101965161B1 KR 101965161 B1 KR101965161 B1 KR 101965161B1 KR 1020120135128 A KR1020120135128 A KR 1020120135128A KR 20120135128 A KR20120135128 A KR 20120135128A KR 101965161 B1 KR101965161 B1 KR 101965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tanding
unit
mounting surface
sea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072A (ko
Inventor
세이이치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바바카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바바카구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바바카구
Publication of KR2013006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1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9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additional seat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height of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ope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착좌자의 기립, 착좌를 용이하게 하고, 착좌자의 방향을 바꿀 수 있고, 착좌자를 앞으로, 뒤로 기울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좌부유닛에의 착좌자의 기립을 보조하는 기립보조기구와 기립보조기구를 승강시키는 구동기구와 좌부유닛을 회전시켜 좌부유닛에 착좌하고 있는 착좌자의 방향을 바꾸는 방향변경기구와 착좌장치의 설치면에 설치 가능한 베이스와 기립보조기구의 상승 중 또는 강하 중에 그 상승 또는 강하를 정지시키는 우선기구를 형성했다. 방향변경기구는 설치면에 설치하면 좌부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설치면에서 분리되면 좌부유닛이 회전될 수 없다. 우선기구는 조작부를 조작하면 우선구동부가 작동하여 상승 중 또는 강하 중의 기립보조기구 및 좌부유닛을 정지시킨다.

Description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Chair with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좌의자(座椅子), 테이블용 의자, 소파 등의 착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의자에 착좌하고 있는 착좌자의 기립을 보조할 수 있는 기립보조기능과 자리를 회전시켜 착좌자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방향변경기구를 구비한 착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착좌장치에는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다. 고령화가 진행되는 요즈음은 하반신이 약해진 고령자라도 용이하게 기립이나 착좌가 가능한 기능을 구비한 착좌장치(일본 특허 공보 특개2003-19055호 : 특허 문헌 1)나, 앉은 상태로 착좌자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회전 기능을 구비한 착좌장치(일본 특허 공보 특개 2003-61775호: 특허 문헌 2)등, 보조기능이 부착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3-1905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3-61775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1 기재의 발명은, 무릎이나 하반신이 약해진 연배자나 장애자 등이 일어서는 것을 보조하여, 일어설 때의 부담을 줄여 부드럽게, 안전하고, 확실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한 승강의자에 관한 것이다(단락번호 0004). 이 승강의자는 구동기구에 의하여 좌부(座部, 좌부틀과 좌부본체)를 승강할 수 있는 것이며, 좌부본체를 소정 높이의 위치에서 자동으로 앞으로 기울이는 전경기구(前傾機具)와, 좌부본체가 소정의 전경각도가 되면 전경기구를 정지시키는 각도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이다(단락번호0005). 상기 특허 문헌2 기재의 발명은, 침대나 의자 등으로부터 옮겨 타기 쉽고, 앉은 상태로도 작업하기 쉽도록 몸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승강의자에 관한 것이다(단락번호 0004). 이 승강의자는, 승강구동기구에 의해 승강하는 좌부유닛을 구비하고, 해당 좌부유닛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45° 내지 90°의 각도로 전후로 돌아가게 한 것이다(단락번호 0005).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착좌하고 있는 사람이 용이하게 기립 가능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보조기능 부착 착좌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는, 착좌자가 착좌 가능한 좌부유닛을 구비한 착좌장치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 것이다.
좌부유닛에 착좌자의 기립을 보조하는 기립보조기구와 기립보조기구를 승강구동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좌부유닛을 회전시켜 해당 좌부유닛에 착좌하고 있는 착좌자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방향변경기구와, 착좌 장치의 설치면(플로어링(flooring), 다다미 등)에 설치 가능한 베이스와, 상기 기립보조기구의 상승 중 또는 강하 중에 그 상승 또는 강하를 정지시키는 우선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립보조기구는 좌부유닛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구는 기립보조기구의 배면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구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해당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이동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립보조 기구는 몇 개의 링크를 구비하고, 이들 링크 중의 일부의 링크의 선단측이 상기 좌부유닛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의 링크의 후단측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의 링크의 후단측이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어서, 해당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상승하면 상기 좌부유닛에 연결된 몇 개의 링크의 선단측이 상승하여 상기 좌부유닛을 상승시켜,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강하하면 상기 좌부유닛에 연결된 몇 개의 링크의 선단측이 강하하여 상기 좌부유닛을 강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방향변경기구는 회전 가능한 회전체이며, 해당 회전체는 기립보조기구의 하부 방향에 돌출되어 있어 해당 기립보조기구의 승강에 따라 승강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설치면에 접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기립보조기구를 강하시켜 상기 회전체를 상기 설치면에 접지시키면 설치면에서 분리되고, 상기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기립보조기구를 상승시켜 상기 회전체를 상기 설치면에서 분리되면 설치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설치면에 접지하여 상기 베이스가 설치면에서 분리되면 좌부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가 설치면에 접지하면 상기 설치면에서 분리되어 좌부유닛을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우선기구는 수동조작부와 우선구동부(예를 들면,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하여 조작부를 조작하면 우선구동부가 작동하여, 상승 중 또는 강하 중의 기립보조기구의 상승 또는 강하를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고, 조작부는 착좌유닛에 착좌자가 조작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는, 기본적 구성이 상기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와 동일하고, 상기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의 우선기능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기립보조기구, 구동기구, 방향변경기구의 외주를 피복하는 커버를 형성하고, 그 커버를 기립보조기구의 승강에 따라 신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우선기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는, 상기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에 있어서, 구동기구가, 기립보조기구를 앞으로 기울여 기립보조기구에 연결되어 있는 좌부유닛을 앞으로 기울이게 할 수도 있고, 기립보조기구를 뒤로 기울이면 기립보조기구에 연결되어 있는 좌부유닛이 뒤로 기울이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 기구부착 착좌장치에 있어서, 회전체에 해당 회전체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형성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에 있어서, 좌부유닛에 팔걸이가 형성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좌부유닛이, 착좌자가 일어서기 쉬운 위치까지 상승하고, 내리기 쉬워지는 위치까지 강하하므로, 착좌자의 기립, 착좌가 용이하게 된다.
(2) 좌부유닛이 임의의 높이에서 앞, 뒤로 기울여지기 때문에 앉아 있는 사람이 일어나기 쉽게 되고, 착좌하기 쉬워진다.
(3) 회전체를 경화시켜 설치면에 접지시키면, 좌부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좌부유닛에 착좌하고 있는 사람이, 내리거나 착좌하거나 하기 쉬워지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4) 베이스가 설치면까지 강하하여 회전체가 설치면에서 분리되면, 좌부유닛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좌부유닛이 상승할 때에 부주의하게 회전되는 일이 없어 안전하다.
(5) 기립보조기구의 승강에 의한 좌부유닛의 상승 중 또는 강하 중에, 그 상승 또는 강하를 정지시키는 우선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하다. 특히, 강하 중의 좌부유닛의 하부에 리모컨 코드나 착좌자의 의류, 착좌자가 착용하고 있는 끈 등이 끼일(물려들을) 것 같은 경우에, 강하를 긴급 정지시켜 그러한 물려들어가는 것을 방지 할 수도 있다.
(6) 우선기구의 조작부가 착좌유닛에 착좌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하기 쉽고, 긴급조작에 대응하기 쉽다.
(7) 회전체에 그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형성했기 때문에, 좌부유닛이 필요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아 안전하다.
(8) 기립보조기구, 구동기구, 방향변경기구의 외주를 피복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착좌자의 의류나 팔걸이 커버 등이 이들 기구에 물려들어가는 일이 없어 안전하다.
(9) 좌부유닛이 팔걸이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착좌자가 안정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착좌장치가 제일 낮은 위치(최저위치)에 있는 상태의 측면 설명도이고, (b)는 좌부유닛이 수평으로 상승하는 도중의 측면 설명도이고, (c)는 좌부유닛이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개략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조립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회전체를 착좌장치의 설치면에 접지하여, 베이스를 그 설치면에서 분리되어 착좌장치를 회전 가능하게 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좌부유닛을 상승시켜 좌부유닛을 앞으로 기울인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착좌장치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고, (b)는 좌부유닛을 상승시킨 상태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이며, 우선기구를 구비한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에 있어서, 좌부유닛에 우선기능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에 있어서, 좌부유닛에 우선기능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배면에서 보았을 때의 설명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로, 커버의 신축상태의 설명도이며, (a)는 좌부유닛이 강하하여 커버가 줄어든 상태의 외관도이고, (b)는 좌부유닛이 도중까지 상승하여 커버가 도중까지 늘어나 있는 상태의 외관도이고, (c)는 좌부유닛이 상승하여 커버가 늘어난 상태의 외관도이다.
본 발명의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이하, 단순히 「착좌장치」라고 한다)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착좌장치(1)는, 좌의자(座椅子), 테이블용 의자(테이블 체어 외, 데스크 체어 등을 포함한다. 이하, 이들을 종합하여「테이블 의자」라고 한다.), 소파 등의 각종 형태의 착좌장치를 포함하는 것 이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의자를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착좌 장치(1)는 착좌자의 기립을 보조하는 기립보조기구(2)와, 착좌자가 착좌장치로부터 내릴 때 원하는 방향으로 내리기 쉽도록 착좌자의 방향을 바꾸는 방향변경기구(3, 이하, 양 기구를 포함하여 「보조기구」라고 한다.), 구동기구(30)를 구비하고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도 1a 내지 도 1c에는 일례로서 방향변경 기능(3)을 구비하지 않은 착좌장치(1)를, 도 2 내지 도 4에는 기립보조기구(2)와, 방향변경기구(3)의 쌍방을 구비한 착좌장치(1)를 나타낸다. 도 5a, 도 5b에 나타낸 착좌장치(1)는 기립보조기구(2)와 방향변경기구(3)의 쌍방을 구비한 것이지만, 방향변경기구(3)는 좌부유닛(10)의 뒤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 상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착좌장치(1)는 승강 중 또는 강하 중의 좌부유닛(10)을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우선기구(70)도 구비하고 있다. 우선기구(70)를 구비한 착좌장치(1)를 도 6 내지 도 8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착좌 장치(1)는 기립보조기구(2), 구동기구(30), 방향변경기구(3)의 외주를 피복하는 커버(80)를 구비하여, 그 커버(80)가 좌부유닛(10)의 승강에 따라 신축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커버(80)를 구비한 착좌장치를 도 6에 나타내고, 커버의 신축상태를 도 9에 나타낸다.
[동작개요]
도 1에 나타낸 착좌장치(1)의 경우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부유닛(10)을 마루나 다다미, 플로어링 등(이하, 이들을 종합하여 「설치면」이라고 한다)까지 내림으로써, 통상의 좌의자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좌부유닛(10)에 착좌하고 있는 사람이 일어서는 경우는, 기립보조기구(2)를 조작하여, 도 1b와 같이 좌부유닛(10)을 수평 상태인 채로 상승시킨다. 좌부유닛(10)이 원하는 위치까지 상승하면, 좌부유닛(10)이 도 1c와 같이 앞으로 기울어져, 착좌자의 좌부유닛(10)에서의 기립을 보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착좌장치(1)에 있어서, 기립시와는 반대로, 기립하고 있는 사람이 착좌하는 경우는, 도 1c과 같이 앞으로 기울어져 있는 좌부유닛(10)에 앉고 나서 기립보조기구(2)를 조작하여 좌부유닛(10)을 수평으로 되돌린다. 좌부유닛(10)이 수평위치까지 돌아오면 좌부유닛(10)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상태인 채로 도 1a에 나타낸 위치까지 강하하여, 착좌자의 좌부유닛(10)으로의 착좌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방향변경기구(3)를 구비한 착좌장치(1)의 경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부유닛(10)이 설치면까지 내려져 있는 상태에서 방향변경기구(3)를 조작하여 좌부유닛(10)을 포함한 착좌장치(1)를 원하는 방향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착좌장치(1)를 원하는 방향까지 회전시킨 후, 기립보조기구(2)의 조작에 의해 좌부유닛(10)을 도 1b와 같이 상승시켜, 좌부유닛(10)을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킨 단계에서 도 1c와 같이 좌부유닛(10)을 앞으로 기울일 수 있다.
상기 방향변경기구(3)를 구비한 착좌장치(1)에 있어서, 기립시와는 반대로, 기립하고 있는 사람이 착좌하는 경우는, 도 1c와 같이 앞으로 기울어져 있는 좌부유닛(10)에 앉고 나서 기립보조기구(2)를 조작하여 좌부유닛(10)을 수평으로 되돌린다. 그 후,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부유닛(10)을 수평 상태인 채로 마루까지 강하시킨다. 그 후, 방향변경기구(3)의 조작에 의해 착좌장치(1)를 회전시키면 착좌자가 원하는 방향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기립보조기구(2)의 조작은 컨트롤러(54)(도 5a, 도 5b)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지만, 착좌장치(1)가 콘솔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그 콘솔의 조작에 의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은 높이도 회전 각도도, 착좌자가 임의로 조작하는 경우이지만, 가능하다면 리모콘 혹은 콘솔을 한 번 조작하면, 좌부유닛(10)의 승강, 전경(前傾), 후경(後傾, 복귀)이나 착좌장치(1)의 회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좌부유닛(10)의 상승 중 또는 강하 중에, 상기 우선기구(70)를 조작함으로써, 좌부유닛(10)을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우선기구(70)는 강하 중에만 기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좌부유닛(10)의 상승 또는 강하에 따라, 기립보조기구(2), 구동기구(30), 방향변경기구(3)의 외주를 피복하는 상기 커버(80)가 신축하여, 좌부유닛(10)의 승강에 저해되지 않는다.
[기구설명]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착좌장치(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0)와, 좌부유닛(10)과 베이스(20)와 좌부유닛(10)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좌부유닛(10)을 승강시키는 기립보조기구(2)와, 기립보조기구(2) 하부에 형성되어 착좌장치(1)를 회전시키는 방향변경기구(3)와, 기립보조기구(2)의 배면에 형성되어 기립보조기구(2)의 승강, 전경, 되돌림을 실시하는 구동기구(30)와, 구동기구(30)의 동력원(모터, M)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지지 다리(21a,21b)와, 이들 지지 다리(21a, 21b)의 후방측을 연결하는 다리연결재(22)로 전방이 개구된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연결재(22)의 중앙부근에는 2개의 한 쌍인 모터 발판(23a, 23b)이 세워 설치되고, 다리연결재(22)의 길이 방향 양단측에는 아암발판(24)이 세워 설치되고 있고, 그 아암발판(24)은 2개의 아암홀드편(24a, 24b)이 대향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아암발판(24)의 아암홀드편(24a, 24b)의 사이에는 도 2에 나타낸 사이드프레임(31)의 후단부(31c)가 배치되어 지지축(미도시)에 의해 축지지되어, 그 축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양 아암발판(24)의 배면측에는 상부 방향에 돌출되어 등측을 지탱하는 배용 프레임(25)이 형성되어, 착좌장치(1)의 배면측을 지지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ㄷ자형의 배면지지체(26)(도 5a, 도 5b)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배면지지체(26)의 배면측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세로로 긴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가 커버(2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커버(27)는 하단측이 구동기구(30)의 동력원(모터, M)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나사축(62) 및 케이스(63)의 후경에 따라 뒤로 기울어지도록 되어 있다.
배면지지체(26)의 안쪽(전면측)에는 평판형상의 배면재(28)가 형성되고, 그 상단측에는 착좌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헤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 연결재(2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캐스터 부착 브래킷(44a, 44b)이 돌출 설치되고, 거기에 이동용의 캐스터(44)가 형성되어 있다. 캐스터(44)는 스토퍼 부착인 것이어도, 스토퍼가 없는 것이어도 된다. 캐스터(44)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좌부유닛]
좌부유닛(10)은 자리프레임(11)과 자리프레임(11)의 상면에 부착된 좌체(座體, 12)와로 구성되어있다. 좌체(12)는 통상의 좌의자용의 자리와 동일하게 착좌부(12a)와 의자 등부(12b)를 구비하고 있고, 표피 안에 쿠션재가 내장되어있다. 좌체(12)는 자리프레임(11) 위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자리프레임(11)은 좌부유닛(10)의 바닥면 후방측에 나사로 고정되는 후방고정부(13)와, 좌부유닛(10)의 바닥면 전방측에 나사로 고정되는 전방고정부(14)와, 후방고정부(13)와 전방고정부(14)의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연결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후방고정부(13)의 폭방향 양단에는 세로아암(16)이 향상되어 ㄷ자형으로 돌출 설치되어있다. 2개의 세로아암(16)의 간격은 좌부유닛(10)의 폭보다 넓게 하여 양 세로아암(16) 사이에 좌부유닛(10)을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2개의 세로아암(16)이 좌부유닛(10)의 폭방향 양 외측에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양 세로아암(16)의 상단에는 플레이트(17)가 연결 축에 의해 그 축 둘레로 회전가능(튀어 오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17)에 팔걸이(18, 도 3)를 부착함으로써, 팔걸이(18, 도 4)가 화살표 A방향으로 튀어 오르는 것도, 화살표 B방향으로 되돌리는 것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팔걸이(18)는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전방고정부(14)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ㄷ자형의 안내홈(19)이 형성되어 있다.
좌부유닛(10)의 바닥면에 고정된 자리프레임(11)은, 도 2의 자리부착용 브래킷(37) 위에 배치되어 나사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안내홈(19)에 도 2에 나타낸 자리수납바(42)가 끼워 넣어 진다.
[기립보조기구]
기립보조기구(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 연결된 상부프레임(31a)과 하부프레임(31b)의 전단측이 연결편(32)으로 연결된 사이드프레임(31)이, 좌부유닛(10)의 폭 방향 좌우로 한 쌍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사이드프레임(31)의 연결편(32)이 연결바(33)로 연결되어 양 사이드프레임(31)의 상부프레임(31a)의 선단측이 자리수납바(42)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바(33)의 후방이며 사이드프레임(31)의 안쪽에는, 2개의 레일(34)이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다. 2개의 레일(34)의 후단측은 후방연결바(43)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후방연결바(43)의 상부 방향에는 2개의 모터행거(35)가 세워져 있다. 모터행거(35)의 상부가 후방으로 L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양 모터행거(35)의 하단측으로부터 전방에 2개의 가동아암(36)이 돌출 설치되어 양 가동아암(36)의 선단 사이가 하부를 향한 ㄷ자형의 자리 부착용 브래킷(37)으로 연결되어 있다.
양 가동아암(36)의 외면(측면)에는 가동아암(36)보다 짧은 링크(38)의 선단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그 반대측 단부에는 롤러(39)가 지지축(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롤러(39)는 레일(34) 위에 배치되어, 그 위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각각의 롤러(39)의 외측에는 틸트용 풀로드(41)의 상단부가 배치되어 상기 지지축(40)에 연결되어 있다. 이 틸트용 풀로드(41)의 하단부는 그 외측의 하측 프레임(31b)에 축지지 되어 있다.
[구동기구]
도 2의 구동기구(30)는, 모터(M)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액추에이터(61)와, 액추에이터(61)로 회전되어지는 나사축(볼나사, 62)과, 나사축(62)의 회전에 의해 나사축(62)을 따라 상승하고 나사축(62)의 역회전에 의해 나사축(62)을 따라 강하하는 이동체(64)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축(62)은 측면이 개구된 사각 형상의 케이스(63)로 커버되어 있다.
구동기구(30, 액추에이터(61), 나사축(62), 케이스(63), 이동체(64))는 모터(M)를 구동시키면 모터발판(23)을 회전축으로 하여 뒤로 기울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기구(30)의 배면측에 형성된 배면지지체(26)에는 세로로 긴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그 개구부는 커버(2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커버(27)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발판(23)에 후경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구동기구(30)가 뒤로 기울어도, 구동기구(30)가 커버(27)에 접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액추에이터(61)는 일례이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이면 이것 이의 것, 예를 들면 피니언랙 이라든지, 그 외의 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61)는 모터발판(23a, 23b)의 사이에 배치되어 핀(미도시)에 의해 모터발판(23a, 23b)에 부착되고, 해당 핀 회전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동체(64)는 도 2의 2개의 모터행거(35) 사이에 배치되어 나사 고정되고, 이동체(64)의 승강에 따라 모터행거(35)가 승강하도록 하고 있다.
[방향변경기구]
상기 방향변경기구(3)에는 도 2에 나타낸 회전체(50)가 사용되고 있다. 이 회전체(50)에는 예를 들면 베어링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2에 나타낸 베어링 플레이트는 범용인 것으로, 대향하는 상부가동부(51)와 하부가동부(52)의 사이에서 양판의 중심부의 외주에 다수개의 전동체(53, 도4)가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 되어있고, 상부가동부(51)와 하부가동부(52)가 따로 따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있다. 회전체(50)에는 스토퍼(미도시)를 형성하여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도 있다. 이 회전체(50)의 상부가동부(51)가 2개의 레일(34)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 베어링 플레이트는 일례이며, 이것과 동일 작용 효과를 갖는 것이라면 이것 이외의 구조의 베어링이라든지, 다른 회전 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전원]
본 발명의 착좌장치(1)는, 상용 전원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도, 배터리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좌장치(1)의 배면측으로부터 전원코드(C)를 꺼내 둔다. 이 경우 전원코드(C)의 근원부분에 코일스프링(S)을 형성하여, 전원코드(C)가 끼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를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리튬 이온 배터리 등의 2차 전지를 착좌장치(1)의 임의 스페이스에 실장하여, 필요에 따라 충전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기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우선기구(70)는 도 7에 나타낸 수동조작부(71)와 수동조작부(71)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우선구동부(예를 들면, 도 8의 케이스(74) 안에 형성한 리미트스위치, 그 외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기구의 수동조작부]
수동조작부(71)에는 3개의 바(71a, 71b, 71c)가 사용되어 정면바(71a)가 좌체(12)의 앞 바닥면에, 왼쪽바(71b)가 좌체(12)의 왼쪽 바닥면에, 오른쪽바(71c)가 좌체(12)의 오른쪽 바닥면에 각각 회동(回動)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체(12)의 앞 바닥면에 2개의 앞지지구(72a, 72b, 도8)가 고정되고, 정면바(71a)의 선단부가 L자형의 두 개의 앞 브래킷(73a, 73b)에 고정되고(예를 들면 용접으로), 앞 브래킷(73a, 73b)에 왼쪽바(71b)와 오른쪽바(71c)가 관통 고정되고(예를 들면 용접으로), 이들 바(71b, 71c)의 선단부가 앞지지구(72a, 72b)를 회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좌체(12)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는 케이스(74) 안에 삽입되어 좌우 바(71b, 71c)의 후단부가 좌체(12)의 바닥면 후부에 고정되어 있는 뒤지지구(75a, 75b, 도 7, 도 8)에 핀(75, 도 8)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우선기구의 우선구동부]
우선구동부(72)는 구동기구(30, 도 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에 접속되어, 우선구동부(상기 스위치)가 작동(ON)하면 구동기구(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OFF)으로 하여 구동기구(30)에 의해 승강되는 좌부유닛(10)의 상승 또는 강하를 정지시키는 회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케이스(74) 안에는 복귀구(예를 들면, 스프링)도 내장되어 있다. 이 스프링은 상기 어느 하나의 바(71a, 71b, 71c)가 들어올려 지면 압축 또는 축경하도록 감겨져 복원력이 축세(蓄勢)되고, 이들 바의 들어올림이 개방되면 상기 복원력에 의해 들어 올려지기 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우선기구의 동작]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좌체(12)에 착좌하고 있는 사람이, 앞바(71a), 왼쪽바(71b), 오른쪽바(71c)의 어느 하나를 상부 방향(좌체(12) 측)으로 들어올리면, 2개의 앞 브래킷(73a, 73b)에 지지되어 있는 3개의 바(71a, 71b, 71c)가 동시에 회전하고, 2개의 앞 브래킷(73a, 73b)에 지지되는 동시에 회동된다. 이 때 케이스(74)안에 삽입되어 있는 좌우 바(71b, 71c)의 선단부가 케이스(74) 안의 우선구동부(72,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키고(온(ON)으로 하고), 구동기구(3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좌부유닛(10)의 상승 또는 강하가 즉시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3개의 바(71a, 71b, 71c)의 어느 하나의 바의 들어올림을 개방하면, 이들 바(71a, 71b, 71c)는 케이스 안에 형성되어 있는 복귀구(예를 들면, 스프링)에서, 당기기 전 상태로 되돌려져서(복귀하여), 이 복귀에 의해 우선구동부의 스위치가 오프(OFF)가 된다. 이 경우, 구동기구(30)로의 전원공급이 자동적으로 재개되어 구동기구(30)가 작동하고, 이로써 좌부유닛(10)이 상승 또는 강하를 재개하도록 해도 되고, 우선구동부의 스위치가 오프(OFF)가 되는 것만으로는 구동기구(30)로의 전원공급이 재개되지 않아, 컨트롤러(54, 도5, a, b)의 상승버튼(54a, 도 5a, 도 5b) 또는 강하버튼(54b, 도 5a, 도5b)을 조작하여 비로소 구동기구가 작동하여 좌부유닛(10)이 상승 또는 강하를 재개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우선기구는 안전레버(73a, 73b, 73c)의 어느 하나를 당기면 기립보조기구(2)가 상승 중이거나 강하 중이어도 정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가능하면, 강하 중에 만 강하가 정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커버]
본 발명의 착좌장치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8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80)는 적어도, 도 2에 나타낸 기립보조기구(2), 구동기구(30), 방향변경기구(3)의 외주를 피복하도록 좌체(12)의 바닥면에서 베이스(20)까지 형성되어있다. 커버(80)로는 천, 합성피혁, 천연피혁 등의 유연한(flexible) 재료가 사용되고, 기립보조기구(2)가 상승하면 그것에 따라 연장되고 기립보조기구(2)가 강하하면 그것에 따라 줄어들어, 기립보조기구(2)의 승강에 저해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조작]
좌부유닛(10)의 승강, 전경(前傾), 후경(後傾, 복귀)라고 하는 각 동작은, 도 5a, 도 5b에 나타낸 유선의 컨트롤러(54)나, 무선의 리모콘(미도시) 등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착좌장치에 콘솔 등의 조작수단을 탑재하여, 그 콘솔 등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동작 상세]
이하, 본 발명의 착좌장치(1)의 동작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좌부유닛(10)의 상승과 전경, 좌부유닛(10)의 후경(복귀)과 강하, 착좌 장치(1)의 회전과 고정의 순서로 설명한다.
(좌부유닛의 상승과 전경)
(1) 컨트롤러(54)의 상승 버튼(54a)을 온(ON)으로 하여 모터(M)를 동작시켜, 그 구동력에 의해 액추에이터(61)를 구동시킨다. 액추에이터(61)의 구동에 의해 나사축(62)이 회전하고, 이동체(64)가 나사축(62)을 따라 상승한다.
(2) 이동체(64)의 상승에 의해, 이것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행거(35)가 상승하고, 이 모터행거(35)에 연결되어 있는 레일(34)과 그 레일(34)에 연결된 연결바(33)가 상승한다.
(3) 연결바(33)의 양단에는 사이드프레임(31)의 전방측을 고정시키는(hold) 연결편(32)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바(33)의 상승에 맞추어 사이드프레임(31)의 전방측이 상승한다. 사이드프레임(31)은 그 후단부(31c)가 아암발판(24)에 축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그 아암발판(24)의 부착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원을 그리듯이 상승한다.
(4) 사이드프레임(31)이 원을 그리듯이 상승하면, 모터행거(35) 및 가동아암(36)이 후방으로 밀리고, 그것에 따라 롤러(39)가 레일(34) 위를 굴러 전방으로 이동한다.
(5) 롤러(39)의 이동에 따라, 링크(38)가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면에 대해서 수직 또는 대략 수직으로 기립되어, 링크(38)에 연결된 자리 부착용 브래킷(37)을 밀어 올리게 된다.
(6) 자리 부착용 브래킷(37)을 밀어 올리게 되면 이것에 장착된 자리 프레임(11)의 후방고정부(13)가 들어 올려지고, 좌부유닛(10)이 미리 설정된 각도까지 앞으로 기울어진다(도 4).
본 발명의 좌부유닛(10)은, 그 상승 중 또는 상승 전에 앞으로 기울도록 할 수도 있지만, 안전성의 관점에서 최상부까지 상승한 후에 앞으로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부유닛의 후경(복귀)과 강하)
(1) 컨트롤러(54)의 강하버튼(54b)을 온(ON)으로 하여 모터(M)를 동작시켜, 액추에이터(61)를 구동시킨다. 액추에이터(61)의 구동에 의해 나사축(62)이 상승의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체(64)가 나사축(62)을 따라서 강하한다.
(2) 이동체(64)가 강하하기 시작하면, 롤러(39)가 레일(34) 위를 후방으로 이동하여, 자리 부착용 브래킷(37)이 되돌려지고, 좌부유닛(10)이 원래의 위치(도 1b에 나타낸 수평위치)까지 복귀한다.
(3) 좌부유닛(10)이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하면, 모터행거(35)에 연결된 레일(34)과 그 레일(34)에 연결된 연결바(33)가 강하하기 시작한다.
(4) 연결바(33)가 강하하기 시작하면, 연결바(33)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편(32)에 홀드된 사이드프레임(31)의 전방측이 강하한다. 사이드프레임(31)은 그 일단측이 아암발판(24)에 축지지 되어 있기 때문에, 아암발판(24)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원을 그리듯이 강하한다.
(5) 이것에 따라, 좌부유닛(1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강하한다. 좌부유닛(10)은 베이스(20) 또는 회전체(50)가 설치면에 접지할 때까지 강하시킬 수 있다.
좌부유닛(10)은, 그 강하 중에 또는 최저 위치까지 강하하고 나서 뒤로 기울(원래의 위치에 복귀)도록 하는 것도 가능 하지만, 안전성의 관점에서 강하 개시 전에 뒤로 기울이게 하여(원래의 위치에 복귀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좌장치(1)는, 좌부유닛(10)의 높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좌의자로서 사용할 수도, 테이블 의자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좌부유닛(10)을 최저 위치 혹은 그것에 가까운 위치까지 내리면 좌의자로서 사용할 수 있고 좌부유닛(10)을 중간 위치 혹은 그것에 가까운 위치로 하여 테이블 의자로써도 사용할 수 있다.
(착좌장치의 회전과 고정)
(1) 본 발명의 착좌장치는, 좌부유닛(10)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 밑(최저 위치)까지 내렸을 때에, 베이스(20)가 설치면에서 분리되어 회전체(50)의 하부가동부(52)가 설치면에 접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체(50)의 상부가동부(51)의 회전이 가능해져, 착좌장치(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2) 본 발명의 착좌장치는, 좌부유닛(10)을 상승시켜, 최저 위치를 벗어난 상태로 하면, 회전체(50)의 하부가동부(52)가 설치면에서 분리되어 베이스(20)가 설치면에 접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착좌장치(1)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좌체의 원하는 위치에서의 정지)
상기 기립보조기구(2)의 상승 중 또는 강하 중에, 좌체(12)에 착좌하고 있는 사람이, 좌체(12)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는 우선기구(70, 도 7, 도 8)의 바(71a, 71b, 71c)의 어느 하나를 상부방향(좌체(12)측)으로 들어올리면, 우선구동부(스위치)가 온(ON)이 되어 작동하고, 모터(M, 도 2)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승 중 또는 강하 중의 좌부유닛(10)의 상승 또는 강하가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이 정지에 의해, 리모콘의 코드나 착좌자의 의류 등이 좌부유닛(10)의 하부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들어올린 어느 하나의 바로부터 손을 떼면(들어올림이 개방된다), 바(71a, 71b, 71c)가 상기 케이스 안의 누름구에서 자동적으로 되돌려져서, 당겨지기 전 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로 되어 우선기구(70)의 우선 구동이 해제된다. 이 경우, 좌부유닛(10)의 상승 또는 강하가 자동적으로 복귀하거나, 자동적으로는 복귀되지 않아 재차 컨트롤러(54)를 조작함으로써 상승이나 강하가 재개된다.
상기 좌부유닛(10)이 승강하면, 그 외주의 커버(80)가 도 9a 내지 도 9c와 같이 신축한다. 커버(80)가 있기 때문에, 기립보조기구(2), 구동기구(30)로의 착좌자의 옷의 끝단자락, 무릎 담요 등이 물려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구조는 일례이며, 좌부유닛의 승강이나 착좌장치의 회전과 고정이 가능한 한, 다른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동작 설명은 착좌장치를 상기 구조로 한 경우의 일례이며, 상기 이외의 순서로 동작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착좌장치나 그 지지구조(방향변경기구)는, 각종 착좌장치를 지지하는 구조로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구조를 구비한 착좌장치는,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좌의자를 비롯하여 병원(치과 의원이나 안과 의원 등도 포함)이나 간병시설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착좌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1 :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착좌장치)
2 : 기립보조기구 3 : 방향변경기구
10 : 좌부유닛 11 : 좌프레임
12 : 좌체 12a : 착좌부
12b : 의자 등부 13 : 후방고정부
14 : 전방고정부 15 : 연결부
16 : 세로아암 17 : 플레이트
18 : 팔걸이 19 : 안내홈
20 : 베이스 21a,21b : 지지다리
22 : 다리연결재 23, 23a, 23b : 모터발판
24 : 아암발판 24a, 24b : 아암홀드편
25 : 배용프레임 26 : 배면지지체
27 : 커버 28 : 배면재
29 : 헤드부 30 : 구동기구
31 :사이드프레임 31a : 상부프레임
31b : 하부프레임 31c : 후단부
32 : 연결편 33 : 연결바
34 : 레일 35 : 모터행거
36 : 가동아암 37 : 자리 부착용 브래킷
38 : 링크 39 : 롤러
40 : 지지축 41 : 틸트용 풀로드
42 : 자리수납바 43 : 후방연결바
44 : 캐스터 44a, 44b : 캐스터 부착 브래킷
50 : 회전체 51 : 상부가동부
52 : 하부가동부   53 : 전동체
54 : 컨트롤러   54a : 상승버튼
54b : 강하버튼   61 : 액추에이터
62 : 나사축   63 : 케이스
64 : 이동체   70: 우선기구
71 : 수동조작부 71a : 정면바
71b : 왼쪽바 71c : 오른쪽바
72a, 72b: 앞지지구 73a,73b : 앞브래킷
74 : 케이스 75 : 핀
75a, 75b : 뒤지지구 80 : 커버
C : 전원코드   M : 동력원(모터)
S : 코일스프링

Claims (5)

  1. 착좌자가 착좌 가능한 좌부유닛을 구비한 착좌장치에 있어서,
    좌부유닛에 착좌자의 기립을 보조하는 기립보조기구와, 기립보조기구를 승강 구동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좌부유닛을 회전시켜 해당 좌부유닛에 착좌하고 있는 착좌자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방향변경기구와, 착좌장치의 설치면에 설치 가능한 베이스와 기립보조기구의 상승 중 또는 강하 중에 그 상승 또는 강하를 정지시키는 우선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립보조기구는 좌부유닛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구는 기립보조기구의 배면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구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해당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립보조기구는 몇 개의 링크를 구비하여 이들 링크중의 일부의 링크의 선단측이 상기 좌부유닛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의 링크의 후단측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의 링크의 후단측이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고, 해당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상승하면 상기 좌부유닛에 연결된 몇 개의 링크의 선단측이 상승하여 상기 좌부유닛을 상승시키고,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강하하면 상기 좌부유닛에 연결된 몇 개의 링크의 선단측이 강하하여 상기 좌부유닛을 강하시킬 수 있고,
    상기 방향변경기구는 회전 가능한 회전체이며, 회전체는 기립보조기구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어, 해당 기립보조기구의 승강에 따라 승강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설치면에 접지하고 있는 상태로, 상기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기립보조기구를 강하시켜 상기 회전체를 상기 설치면에 접지시키면 설치면에서 분리되고 상기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기립보조기구를 상승시켜 상기 회전체를 상기 설치면에서 분리되면 설치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설치면에 접지하여 상기 베이스가 설치면에서 분리되면 좌부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가 설치면에 접지하면 상기 설치면에서 분리되어 좌부유닛이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우선기구는, 조작부와 우선구동부를 구비하여 조작부를 조작하면 우선구동부가 작동하여 상승 중 또는 강하 중의 기립보조기구의 상승 또는 강하를 정지시킬 수 있고, 조작부는 착좌유닛에 착좌자가 조작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구 부착 착좌 장치.
  2. 착좌자가 착좌 가능한 좌부유닛을 구비한 착좌장치에 있어서,
    좌부유닛에 착좌자의 기립을 보조하는 기립보조기구와 기립보조기구를 승강구동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좌부유닛을 회전시켜 해당 좌부유닛에 착좌하고 있는 착좌자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방향변경기구와 착좌장치의 설치면에 설치 가능한 베이스와 상기 기립보조기구, 구동기구, 방향변경기구의 외주를 피복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기립보조기구는 좌부유닛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구는 기립보조기구의 배면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구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해당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립보조기구는 몇 개의 링크를 구비하고, 이들 링크중의 일부의 링크의 선단측이 상기 좌부유닛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의 링크의 후단측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의 링크의 후단측이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고, 해당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상승하면 상기 좌부유닛에 연결된 몇 개의 링크의 선단측이 상승하여 상기 좌부유닛을 상승시키고,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강하하면 상기 좌부유닛에 연결된 몇 개의 링크의 선단측이 강하하여 상기 좌부유닛을 강하시킬 수 있고,
    상기 방향변경기구는 회전 가능한 회전체이며, 회전체는 기립보조기구의 하부방향에 돌출하고 있어 해당 기립보조기구의 승강에 따라 승강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설치면에 접지하고 있는 상태로, 상기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기립보조기구를 강하시켜 상기 회전체를 상기 설치면에 접지시키면 설치면에서 분리되고 상기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기립보조기구를 상승시켜 상기 회전체를 상기 설치면에서 분리되면 설치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설치면에 접지하여 상기 베이스가 설치면에서 분리되면 좌부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가 설치면에 접지하면 상기 설치면에서 분리되어 좌부유닛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있고, 상기 커버는 기립보조기구 및 좌부유닛의 승강에 따라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구 부착 착좌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가 상기 기립보조기구를 앞으로 기울게 하여 상기 기립보조기구에 연결되어 있는 좌부유닛을 앞으로 기울게 할 수 있고, 상기 기립보조기구를 뒤로 기울게 하여 상기 좌부유닛을 뒤로 기울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그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구 부착 착좌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그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구 부착 착좌 장치.
KR1020120135128A 2011-11-30 2012-11-27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 KR101965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2398 2011-11-30
JP2011262398A JP5166592B1 (ja) 2011-11-30 2011-11-30 補助機構付き着座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072A KR20130061072A (ko) 2013-06-10
KR101965161B1 true KR101965161B1 (ko) 2019-04-03

Family

ID=4802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128A KR101965161B1 (ko) 2011-11-30 2012-11-27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66592B1 (ko)
KR (1) KR101965161B1 (ko)
CN (1) CN20285841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6670B2 (ja) * 2013-04-09 2015-02-12 株式会社馬場家具 補助機構付きチェアー
DE102015214298A1 (de) * 2015-05-04 2016-11-10 Stabilus Gmbh Ferngesteuerte elektronische Betätigung einer Auslösevorrichtung für eine blockierbare Gasfeder
WO2017156220A1 (en) * 2016-03-11 2017-09-14 Stephen Latham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eat lifting
CN105686425A (zh) * 2016-03-14 2016-06-22 中国石油大学(华东) 电动起卧椅
JP6870952B2 (ja) * 2016-10-18 2021-05-12 株式会社日吉技術産業 昇降式座椅子
CN111328276B (zh) * 2018-03-30 2022-12-09 株式会社熊谷组 行走辅助装置
CN114271632A (zh) * 2021-12-22 2022-04-05 中铭谷智能机器人(广东)有限公司 一种半隐藏式的快捷搬运辅助轮结构
JP7253859B1 (ja) * 2022-12-27 2023-04-07 株式会社コムラ製作所 電動昇降椅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639A (ja) 2003-11-07 2005-06-02 Amami:Kk 起立補助椅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922U (ja) * 1983-08-12 1985-03-06 株式会社 福岡製作所 身体障害者等用の座椅子における昇降機構
JPH0319375Y2 (ko) * 1984-10-31 1991-04-24
JP3660863B2 (ja) * 2000-09-05 2005-06-15 エヌアイシ・オートテック株式会社 立上がり支援装置
JP2003019055A (ja) 2001-07-11 2003-01-21 Komura Seisakusho:Kk 昇降椅子
JP2003061775A (ja) 2001-08-24 2003-03-04 Komura Seisakusho:Kk 昇降椅子
JP3104562U (ja) * 2004-04-12 2004-09-30 知司 小林 座椅子
JP2008188271A (ja) * 2007-02-06 2008-08-21 Michiko Minamino 介護用座椅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639A (ja) 2003-11-07 2005-06-02 Amami:Kk 起立補助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858410U (zh) 2013-04-10
KR20130061072A (ko) 2013-06-10
JP2013111387A (ja) 2013-06-10
JP5166592B1 (ja)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161B1 (ko)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
US4453766A (en) Lift chair for disabled person
JP6733906B2 (ja) 入浴介護装置
KR101891685B1 (ko) 침대 가변형 휠체어
KR101437374B1 (ko) 가변형 휠체어
JP2003019055A (ja) 昇降椅子
JP2011172898A (ja) 介護用リフト
KR101661346B1 (ko) 의료용 의자의 등받이 슬라이딩 구조
JP2015532155A (ja) 横臥者を立ち上がらせるための装置
US20170347845A1 (en) Variable height lift seat
KR20120000199U (ko)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KR102150594B1 (ko) 휠체어
JP5666670B2 (ja) 補助機構付きチェアー
JP2009072243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KR101406144B1 (ko) 효도의자
KR20160129986A (ko) 기립 보조장치
KR101838105B1 (ko) 기립 보조기
JP2021094356A (ja) 介護用補助装置
JP4512847B2 (ja) 昇降椅子
JP2016036366A (ja) 起立着座支援装置
JP2006204451A (ja) 介護浴槽
JP3730213B2 (ja) 起立補助装置および起立補助装置の使用方法
JP5671667B2 (ja) 車椅子の乗降支援装置
KR20100136264A (ko) 실내 이동용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