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144B1 - 효도의자 - Google Patents

효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144B1
KR101406144B1 KR1020120053975A KR20120053975A KR101406144B1 KR 101406144 B1 KR101406144 B1 KR 101406144B1 KR 1020120053975 A KR1020120053975 A KR 1020120053975A KR 20120053975 A KR20120053975 A KR 20120053975A KR 101406144 B1 KR101406144 B1 KR 101406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ame
support plate
coupled
fram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291A (ko
Inventor
이규석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삼신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to KR102012005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14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도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받침판의 상부 중앙부분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받침판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좌판; 및 상기 승하강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좌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효도의자{Filial duty chair}
본 발명은 효도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도의자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전문가들은 2020년에는 고령사회로,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예상하고 있다. 고령자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고령자를 위한 제품 개발 및 평가에 대한 필요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자의 안전한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제품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독거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일상생활에서의 고령자 자립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생활지원용 보조기기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고령친화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고령자 및 장애인 등을 위한 전동식 기립보조의자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11-0029699에서는 의자 좌면과; 전동식 구동기와; 시트가이드와; 등판과; 등판지지대와; 등판가이드를 포함하는 기립보조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기립보조의자는 의자 좌면의 상승 높이가 상당히 제한적이고, 이동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좌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도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판이 상승하면서 그 전방이 자동적으로 하방향을 향해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도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이 간편하고 깔끔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도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받침판의 상부 중앙부분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받침판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좌판; 및 상기 승하강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하부받침판과 상부받침판으로 이뤄지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상부받침판의 상부 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가이드프레임; 상기 상부받침판의 상부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과 제2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내측프레임과, 상기 하부받침판의 상부 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3가이드프레임; 상기 하부받침판의 상부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4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3가이드프레임과 제4가이드프레임의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5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외측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가이드몸체부;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전방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1롤러부재; 및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후방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2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은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양측 중앙에는 더 돌출되게 결합된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5가이드프레임이 사이에 오도록 결합된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받침판은 상기 하부받침판에 형성된 지지부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5가이드프레임은 상방향으로 갈수록 상단부가 전방을 향해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과 가이드몸체부는 나사결합함으로써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좌판의 후방에는 등받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판의 하측에는 이동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판에는 가이드프레임, 승하강부재 그리고 지지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와 회전축은 벨트, 체인, 기어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좌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좌판이 상승하면서 그 전방이 자동적으로 하방향을 향해 기울어지므로 이용자의 기립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이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효도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효도의자에서 좌판이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효도의자에서 좌판이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효도의자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효도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효도의자에서 좌판이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효도의자에서 좌판이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효도의자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효도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 도 5 그리고 도 9의 승하강부재의 연결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좌판의 앞쪽을 전방으로, 그 반대편을 후방으로 지정하며, 이는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인 효도의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효도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효도의자에서 좌판이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효도의자에서 좌판이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효도의자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효도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효도의자에서 좌판이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효도의자에서 좌판이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효도의자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효도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 도 5 그리고 도 9의 승하강부재의 연결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도의자(100)는 받침판(110); 받침판(110)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프레임; 받침판(110)의 상부 중앙부분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된 회전축(151)과, 회전축(151)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153)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150); 회전축(151)에 결합되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지지프레임(170); 받침판(110)의 전방을 향하도록 지지프레임(170)에 결합되는 좌판(190); 및 승하강부재(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판(110)은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일 예로, 받침판(110)은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받침판(110)은 하부받침판(110a)과 상부받침판(110b)으로 이뤄진다. 하부받침판(110a)의 하측에는 이동수단(1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수단(113)은 바퀴로 이뤄질 수 있다. 한편, 하부받침판(110a)의 하부 양측에는 전후방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지지대(112)가 더 결합되고, 이동수단(113)은 연장지지대(112)의 전후방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지지대(112)의 전후방 하부에 이동수단(113)을 결합함으로써 이동수단(113)이 하부받침판(110a)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승하강부재(150)는 받침판(110)의 상부 중앙부분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된 회전축(151)과, 회전축(151)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회전축(151)은 상부받침판(110b)의 중앙에 베어링(110c)을 매개로 결합된다. 회전축(151)은 원통 형상의 바(bar)로 구비되며, 회전축(15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구동부재(153)는 회전축(151)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구동부재(153)는 모터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153)와 회전축(151)은 벨트(101)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구동부재(153)와 회전축(151)은 체인, 기어 등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은 받침판(110)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가이드프레임은 상부받침판(110b)의 상부 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가이드프레임(131); 상부받침판(110b)의 상부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가이드프레임(133); 및 제1가이드프레임(131)과 제2가이드프레임(133)의 상단에 결합되고, 회전축(15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판(135)을 포함하는 내측프레임과, 하부받침판(110a)의 상부 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3가이드프레임(141); 하부받침판(110a)의 상부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4가이드프레임(143); 및 제3가이드프레임(141)과 제4가이드프레임(143)의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5가이드프레임(145)을 포함하는 외측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측프레임은 상부받침판(110b)의 상부에 결합된다. 내측프레임은 제1가이드프레임(131), 제2가이드프레임(133) 그리고 연결판(135)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프레임(131)은 상부받침판(110b)의 상부 전방 양측 꼭짓점 부근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가이드프레임(133)은 상부받침판(110b)의 상부 후방 양측 꼭짓점 부근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된다. 제1가이드프레임(131)과 제2가이드프레임(133)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연결판(135)은 제1가이드프레임(131)과 제2가이드프레임(133)의 상단에 결합된다. 연결판(135)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뤄진다. 연결판(135)의 중앙에는 회전축(15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예로, 회전축(151)은 베어링을 매개로 연결판(13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외측프레임은 하부받침판(110a)의 상부에 결합된다. 외측프레임은 제3가이드프레임(141), 제4가이드프레임(143) 그리고 제5가이드프레임(145)를 포함한다. 제3가이드프레임(141)은 하부받침판(110a)의 상부 전방 양측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된다. 제4가이드프레임(143)은 하부받침판(110a)의 상부 후방 양측 꼭짓점 부근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된다. 제3가이드프레임(141)과 제4가이드프레임(143)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제5가이드프레임(145)은 제3가이드프레임(141)과 제4가이드프레임(143)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제5가이드프레임(145)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면들에서는 제5가이드프레임(145)이 하부받침판(110a)의 상부에 구비된 보강대(144)에 결합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제5가이드프레임(145)은 하부받침판(110a)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프레임(170)은 회전축(151)에 결합되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170)은 회전축(151)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가이드몸체부(171); 가이드몸체부(171)의 전방 양측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프레임(131)을 따라 이동하는 제1롤러부재(173); 및 가이드몸체부(171)의 후방 양측에 결합되어 제2가이드프레임(133)을 따라 이동하는 제2롤러부재(175)를 포함한다.
가이드몸체부(171)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이뤄진다. 가이드몸체부(171)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며, 이 홀을 관통하여 회전축(151)이 체결된다. 한편, 회전축(151)과 가이드몸체부(171)는 나사결합함으로써 회전축(151)의 회전방향에 따라 지지프레임(170)이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제1롤러부재(173)는 가이드몸체부(171)의 전방 양측에 결합된다. 제1롤러부재(173)는 내측프레임의 제1가이드프레임(131)을 따라 이동한다. 제2롤러부재(175)는 가이드몸체부(171)의 후방 양측에 결합된다. 제2롤러부재(175)는 내측프레임의 제2가이드프레임(133)을 따라 이동한다.
한편, 가이드몸체부(171)의 양측 중앙에는 더 돌출되게 결합된 연결부재(177)가 구비되고, 연결부재(177)에는 제5가이드프레임(145)이 사이에 오도록 결합된 가이드롤러(179)가 구비된다. 연결부재(177)는 'T' 형상으로 이뤄지며, 제5가이드프레임(145)은 가이드롤러(179) 사이에 위치하여, 가이드롤러(179)가 제5가이드프레임(145)의 양측면과 접촉하며 이동하게 한다.
좌판(190)은 받침판(110)의 전방을 향하도록 지지프레임(170)에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좌판(190)은 지지프레임(170)의 가이드몸체부(171)에 전방을 향해 연장형성된 좌판결합대(199)에 결합된다. 좌판(190)은 전방부의 상하 폭이 후방부의 상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좌판(190)의 전방부의 상하 폭이 후방부의 상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좌판(190)에 앉았을 때 안락하고 편안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좌판(190)의 후방에는 등받이부(193)가 더 구비된다. 등받이부(193)는 좌판결합대(199)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바(195)에 결합되며, 등받이부(193)는 연결바(195)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승하강부재(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좀 더 구제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승하강부재(150)의 구동부재(153)를 제어하여 회전축(151)의 회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지지프레임(170)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어한다.
또한, 하부받침판(110a)에는 가이드프레임, 승하강부재(150) 그리고 지지프레임(170)을 감싸는 커버부재(18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커버부재(180)에는 손잡이(181)가 더 구비되어 커버부재(18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착탈가능한 커버부재(180)를 구비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내부에 쌓이는 것을 줄일 수 있어 본 발명을 깨끗하고 깔끔하게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효도의자(200)는 도 1 내지 도 4의 효도의자(100)와 하부받침판(110a)에 대한 상부받침판(110b)의 결합 구조 및 제5가이드프레임(245)의 형상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부받침판(110b)은 하부받침판(110a)에 형성된 지지부재(210)에 힌지결합된다.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지지부재(210)가 하부받침판(110a) 상에 결합된 지지바(220)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지지부재(210)는 하부받침판(110a)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5가이드프레임(245)은 상방향으로 갈수록 상단부가 전방을 향해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상부받침판(110b)을 하부받침판(110a)에 힌지결합하고, 제5가이드프레임(245)을 상방향으로 갈수록 상단부가 전방을 향해 만곡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좌판(19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좌판(190)의 전방부가 하방향을 향해 기울어지게 되어 좌판(190)에 앉아있던 사람이 쉽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효도의자(300)는 도 5 내지 도 8의 효도의자(200)와 내측프레임, 외측프레임, 제1 및 제2롤러부재(373,375)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측프레임은 제1가이드프레임(331), 제2가이드프레임(333) 그리고 연결판(335)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프레임(331)과 제2가이드프레임(333)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뤄진다. 연결판(335)은 제1가이드프레임(331)과 제2가이드프레임(333)의 상단에 결합된다.
외측프레임은 제3가이드프레임(345)과 제4가이드프레임(347)을 포함한다. 제3가이드프레임(345)은 하부받침판(110a)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상단부가 전방을 향해 만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형성된다. 제4가이드프레임(347)은 제3가이드프레임(345)의 상단을 연결한다. 제3가이드프레임(345)과 제4가이드프레임(347)은 모두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롤러부재(373)는 가이드몸체부(171)의 전방 양측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프레임(331)을 따라 이동한다. 제2롤러부재(375)는 가이드몸체부(171)의 후방 양측에 결합되어 제2가이드프레임(333)을 따라 이동한다. 제1롤러부재(373)와 제2롤러부재(375)는 일 예로 LM베어링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효도의자(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지지프레임(170)이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후, 좌판(190)에 앉는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구동부재(153)를 작동시킴으로써 회전축(15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이와 같이 회전축(15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151)에 나사결합된 지지프레임(170)이 내측프레임을 따라 승강하게 되어 좌판(190)에 앉아있던 사람이 쉽게 일어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효도의자(2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지지프레임(170)이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후, 좌판(190)에 앉는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구동부재(153)를 작동시킴으로써 회전축(15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이와 같이 회전축(15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151)에 나사결합된 지지프레임(170)이 내측프레임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이 때, 승강하는 지지프레임(170)이 제5가이드프레임(245)의 만곡된 상단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하부받침판(110a)이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소정 간격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좌판(190)의 전방부가 하방향을 향해 기울어지게 되어 좌판(190)에 앉아있던 사람이 쉽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좌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좌판이 상승하면서 그 전방이 자동적으로 하방향을 향해 기울어지므로 이용자의 기립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동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200,300 : 효도의자 101 : 벨트
110 : 받침판 110a : 하부받침판
110b : 상부받침판 112 : 연장지지대
113 : 이동수단 131,331 : 제1가이드프레임
133,333 : 제2가이드프레임 135,335 : 연결판
141 : 제3가이드프레임 143 : 제4가이드프레임
145,245 : 제5가이드프레임 150 : 승하강부재
151 : 회전축 153 : 구동부재
170 : 지지프레임 171 : 가이드몸체부
173,373 : 제1롤러부재 175,375 : 제2롤러부재
177 : 연결부재 179 : 가이드롤러
180 : 커버부재 181 : 손잡이
190 : 좌판 193 : 등받이부
195 : 연결바 199 : 좌판결합대
250 : 힌지축

Claims (13)

  1.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받침판의 상부 중앙부분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받침판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좌판; 및
    상기 승하강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판은 하부받침판과 상부받침판으로 이뤄지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상부받침판의 상부 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가이드프레임;
    상기 상부받침판의 상부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과 제2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내측프레임과,
    상기 하부받침판의 상부 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3가이드프레임;
    상기 하부받침판의 상부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4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3가이드프레임과 제4가이드프레임의 사이에서 상기 하부받침판의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5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외측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가이드몸체부;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전방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1롤러부재; 및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후방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2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은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양측 중앙에는 더 돌출되게 결합된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5가이드프레임이 사이에 오도록 결합된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판은 상기 하부받침판에 형성된 지지부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5가이드프레임은 상방향으로 갈수록 상단부가 전방을 향해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가이드몸체부는 나사결합함으로써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7.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받침판의 상부 중앙부분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받침판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좌판; 및
    상기 승하강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판은 하부받침판과, 상기 하부받침판에 형성된 지지부재에 힌지결합되는 상부받침판으로 이뤄지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상부받침판의 상부 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가이드프레임;
    상기 상부받침판의 상부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과 제2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내측프레임과,
    상기 하부받침판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상단부가 전방을 향해 만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형성된 제3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3가이드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4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외측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가이드몸체부;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전방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1롤러부재; 및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후방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2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은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9. 삭제
  10.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후방에는 등받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11.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판의 하측에는 이동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12.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판에는 가이드프레임, 승하강부재 그리고 지지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13.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와 회전축은 벨트, 체인, 기어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도의자.
KR1020120053975A 2012-05-22 2012-05-22 효도의자 KR101406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975A KR101406144B1 (ko) 2012-05-22 2012-05-22 효도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975A KR101406144B1 (ko) 2012-05-22 2012-05-22 효도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291A KR20130130291A (ko) 2013-12-02
KR101406144B1 true KR101406144B1 (ko) 2014-06-12

Family

ID=4997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975A KR101406144B1 (ko) 2012-05-22 2012-05-22 효도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863A (ko) * 2019-04-30 2020-11-09 문홍찬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9052A (zh) * 2017-03-17 2017-06-20 徐州工程学院 扇形旋转置物架
IT201700100741A1 (it) * 2017-09-08 2019-03-08 Leonardo Srl Dispositivo guida utensile adatto ad essere usato in fase di montaggio e regolazione di mobili o articoli da arredamento
CN112454320A (zh) * 2020-11-24 2021-03-09 湖南智能云科技有限公司 一种老人锻炼运动陪伴的多功能智能机器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591U (ja) * 1992-09-19 1994-04-12 株式会社コムラ製作所 椅 子
JP2003061775A (ja) * 2001-08-24 2003-03-04 Komura Seisakusho:Kk 昇降椅子
JP2006110270A (ja) * 2004-10-10 2006-04-27 Shikoku:Kk 昇降椅子
KR20090001302A (ko) * 2007-06-29 2009-01-08 (주)대경산업 안마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591U (ja) * 1992-09-19 1994-04-12 株式会社コムラ製作所 椅 子
JP2003061775A (ja) * 2001-08-24 2003-03-04 Komura Seisakusho:Kk 昇降椅子
JP2006110270A (ja) * 2004-10-10 2006-04-27 Shikoku:Kk 昇降椅子
KR20090001302A (ko) * 2007-06-29 2009-01-08 (주)대경산업 안마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863A (ko) * 2019-04-30 2020-11-09 문홍찬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KR102224201B1 (ko) 2019-04-30 2021-03-05 문홍찬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291A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4731B2 (en) Vehicle seat
KR101437374B1 (ko) 가변형 휠체어
US20240099917A1 (en) Reclining armchair with lifting seat and extending footrest
JP2014520604A5 (ko)
CN202858410U (zh) 附带辅助机构的坐具及坐具的支撑结构
KR101406144B1 (ko) 효도의자
US11406190B2 (en) Recliner with extending stabilizer arms
JP2013508011A (ja) 昇降駆動モジュールがヒンジ結合された昇降椅子
US20150202102A1 (en) Wheelchair with Automatic Seat Lift Mechanism
KR102080917B1 (ko) 전동 휠체어
KR102150594B1 (ko) 휠체어
KR20200021388A (ko) 일어나는 것을 돕는 의자
JP2004321630A (ja) 電動車椅子
EP3641594B1 (en) Motorised zero gravity chair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CN214906257U (zh) 一种适用于衰弱老人使用的洗澡椅
JP2001057919A (ja) 昇降椅子
US20110248471A1 (en) Wheelchair With Seat Lift Mechanism
JP4521059B1 (ja) 着座部構造
JP4512847B2 (ja) 昇降椅子
KR20120102889A (ko) 전동 휠체어
KR101637251B1 (ko) 책상 높이조절장치
US6611975B1 (en) Motorized bed assembly
JP2003079668A (ja) 起立補助座椅子
KR102581667B1 (ko)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