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917B1 -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917B1
KR102080917B1 KR1020180021018A KR20180021018A KR102080917B1 KR 102080917 B1 KR102080917 B1 KR 102080917B1 KR 1020180021018 A KR1020180021018 A KR 1020180021018A KR 20180021018 A KR20180021018 A KR 20180021018A KR 102080917 B1 KR102080917 B1 KR 10208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link
backrest
shaft memb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080A (ko
Inventor
김진곤
김지건
강기묵
김진석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1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91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복수의 주행바퀴를 포함하는 주행부, 좌석프레임 및 좌석패드를 포함하는 좌석부, 좌석프레임에 연결되는 등받이프레임 및 등받이패드를 포함하는 등받이부,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승강부는, 축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제1축부재, 제1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1축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며 형성되는 제1회전방향의 나선을 가지는 제1스크루, 제1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1축부재의 타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며 형성되는 제2회전방향의 나선을 가지는 제2스크루, 제1스크루에 결합되는 제1너트, 제2스크루에 결합되는 제2너트, 일단부는 좌석프레임에 타단부는 제1너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 및 일단부는 좌석프레임에 타단부는 제2너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제1너트 및 제2너트가 제1축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축방향을 따라서 상호 이동되면,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회동되어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 이용자가 높이가 다른 침대로 이동하는 것이 수월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휠체어{ELECTRIC WHEELCHAI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하반신이 불편한 이용자가 휠체어 좌석으로부터 높이가 다른 침대 등으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좌석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wheel chair)는 기립 및 보행에 장애가 있거나 안정을 요하는 환자가 앉은 채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서, 보통 4륜의 바퀴가 달린 의자용 탈것을 말한다. 이러한 휠체어는 보조자가 뒤에서 밀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 있으며, 환자 스스로 구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타입의 휠체어는 후륜 2개가 크고 작은 차륜(캐스터) 이 앞에 형성된 형태이며, 접는 것이 가능한 것, 한 손 구동이 가능한 것, 수동체인이 달린 것, 그 밖에 목적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이러한 휠체어는 환자의 이동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나, 환자가 침대로부터 내려와 휠체어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휠체어에서 내려서 침대로 올라가는 경우에는, 침대 매트리스와 휠체어 의자 사이의 높이 차이로 인해 환자 스스로 움직이기에는 상당히 힘들고 불편할 수밖에 없고, 무리하게 이동할 경우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환자는 보호자나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서 이동하게 되는 데, 이러한 경우에도 환자를 이동시키는 과정이 매우 곤란하고 불편할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117027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좌석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환자가 휠체어로부터 침대로 이동하는 것을 수월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복수의 주행바퀴를 포함하는 주행부, 좌석프레임 및 좌석패드를 포함하는 좌석부, 좌석프레임에 연결되는 등받이프레임 및 등받이패드를 포함하는 등받이부,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승강부는, 축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제1축부재, 제1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1축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며 형성되는 제1회전방향의 나선을 가지는 제1스크루, 제1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1축부재의 타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며 형성되는 제2회전방향의 나선을 가지는 제2스크루, 제1스크루에 결합되는 제1너트, 제2스크루에 결합되는 제2너트, 일단부는 좌석프레임에 타단부는 제1너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 및 일단부는 좌석프레임에 타단부는 제2너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제1축부재는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전동 휠체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지지부재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포함하고, 제1링크의 일단부는 제1너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제1링크의 타단부는 제2링크의 일단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링크의 타단부는 좌석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제1지지부재는 2개로 구비되며 각 제1링크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축을 형성하며 전동 휠체어의 좌우방향으로 제1너트의 각 측부에 결합되고, 제2지지부재는 제3링크 및 제4링크를 포함하고, 제3링크의 일단부는 제2너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제3링크의 타단부는 제4링크의 일단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4링크의 타단부는 좌석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제2지지부재는 2개로 구비되며 각 제3링크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축을 형성하며 전동 휠체어의 좌우방향으로 상기 제2너트의 각 측부에 결합되고, 제1너트 및 제2너트가 제1축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축방향을 따라서 상호 이동되면,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회동되어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등받이조절부를 포함하며 등받이조절부는 등받이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축부재, 제2축부재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등받이프레임 및 좌석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등받이부의 기울어짐을 완충하는 탄성부재, 제2축부재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등받이부의 기울어짐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 기어의 치형부에 삽입되어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등받이부를 고정시키는 등받이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발받침프레임 및 발받침패드를 포함하는 발받침부를 포함하며, 발받침프레임은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되어 등받이부의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회동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등받이부가 지면에 가깝게 기울어짐에 따라 구동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일단부가 지면에 접촉되어 전동 휠체어가 전복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좌석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등받이 및 발받침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여 휠체어로부터 침대로 환자의 이동을 수월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조절부 및 승강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변형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동 휠체어(100)는 구동부(110), 주행부(120), 좌석부(130), 등받이부(150), 승강부(140), 발받침부(170) 및 팔걸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10)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11) 및 모터(111)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 포함할 수 있다. 모터(111)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할 주행바퀴(121)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거나, 좌석부(130)를 승강시킬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주행부(120)는 전동 휠체어(100)의 주행을 위한 부분이다. 주행부(120)는 주행바퀴(121) 및 조향바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바퀴(121)는 구동부(110)의 양 측방에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축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조향바퀴(122)는 주행바퀴(121)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전동 휠체어(100)의 조향에 따라 좌우로 회동할 수 있다.
좌석부(130)는 전동 휠체어(100) 이용자의 착석을 위한 부분이다. 좌석부(130)는 좌석프레임(131) 및 좌석패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프레임(131)은 구동부(110)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좌석패드(132)를 지지할 수 있다. 좌석패드(132)는 좌석프레임(131)에 결합되며, 그 위에 환자가 착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승강부(140)는 좌석프레임(131)에 결합되며, 좌석부(13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승강부(140)는 제1축부재(141), 제1너트(144), 제2너트(145), 제1지지부재(146), 제2지지부재(147), 및 베이스프레임(14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48)은 구동부(110)의 상방에 배치되어, 승강부(140)의 다른 부재들을 지지할 수 있다. 제1축부재(141)는 원통형이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축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면과 평행하며, 전동 휠체어(10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축부재(141)은 베이스프레임(148)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축부재(141)의 외주면에는 제1스크루(142) 및 제2스크루(14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크루(142)는 제1축부재(141)의 일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며 형성되는 제1회전방향(d1)의 나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크루(143)는 제1축부재(141)의 일단부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1축부재(141)의 타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항하며 형성되는 제2회전방향(d2)의 나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방향(d1)과 제2회전방향(d2)은 제1축부재(141)의 축을 기준으로 상반되게 회전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축부재(14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1회전방향(d1)은 시계방향일 수 있고, 제2회전방향(d2)은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서로 상반된 회전방향을 가질 수 있다.
제1너트(144)는 내주면에 제1스크루(142)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1축부재(141)의 제1스크루(142)가 형성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너트(145)는 내주면에 제2스크루(143)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1축부재(141)의 제2스크루(143)가 형성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축부재(141)가 모터(111)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제1너트(144)와 제2너트(145)는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제1지지부재(146)는 일단부가 좌석프레임(13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너트(14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너트(144)의 움직임에 따라 좌석부(130)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일 수 있다. 제2지지부재(147)는 일단부가 좌석프레임(13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너트(14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너트(145)의 움직임에 따라 좌석부(130)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일 수 있다. 제1지지부재(146)는 제1링크(146a) 및 제2링크(146b)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링크(146a)의 일단부는 제1너트(144)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링크(146b)의 일단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링크(146b)의 타단부는 좌석프레임(13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지지부재(146)는 2개로 구비되며 각각의 제1링크(146a)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너트(144)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링크(146a)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축을 형성하며 각각 제1너트(144)의 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너트(144)가 제1축부재(141)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면, 제1링크(146a)와 제2링크(146b)가 서로 형성하는 각도가 달라지면서 좌석부(13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46)는 단일 부재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지지부재(146)의 일단부는 제1너트(144)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좌석프레임(13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지지부재(146)의 일단부는 제1너트(144)의 상부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너트(144)가 제1축부재(141)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면, 제1지지부재(146)와 제1축부재(141)가 형성하는 각도가 달라지면서 좌석부(13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46)가 단일 부재인 경우에, 제1지지부재(146)의 T형상 혹은 Y형상일 수 있다. 제1지지부재(146)의 하단부는 제1너트(144)에 결합되고, 상부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좌석프레임(13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46)가 단일 부재인 경우, 부품수가 줄어들고, 생산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제2지지부재(147)는 제3링크(147a) 및 제4링크(147b)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3링크(147a)의 일단부는 제2너트(145)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4링크(147b)의 일단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4링크(147b)의 타단부는 좌석프레임(13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지지부재(147)는 2개로 구비되며 각각의 제3링크(147a)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2너트(145)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3링크(147a)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축을 형성하며 각각 제2너트(145)의 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너트(145)가 제1축부재(141)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면, 제3링크(147a)와 제4링크(147b)가 서로 형성하는 각도가 달라지면서 좌석부(13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47)는 단일 부재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지지부재(147)의 일단부는 제2너트(145)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좌석프레임(13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지지부재(147)의 일단부는 제2너트(145)의 상부 위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너트(145)가 제1축부재(141)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면, 제2지지부재(147)와 제1축부재(141)가 형성하는 각도가 달라지면서 좌석부(13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47)가 단일 부재인 경우에, 제1지지부재(146)의 T형상 혹은 Y형상일 수 있다. 제2지지부재(147)의 하단부는 제1너트(144)에 결합되고, 상부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좌석프레임(13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47)가 단일 부재인 경우, 부품수가 줄어들고, 생산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제1너트(144)는 제1축부재(141)의 중심부와 일단부 사이를 왕복운동 할 수 있다. 제2너트(145)는 제1축부재(141)의 중심부와 타단부 사이를 왕복운동 할 수 있다. 제1너트(144)와 제2너트(145)가 제1축부재(141)를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상호이동 됨으로써, 좌석부(130)가 수평을 맞추어 높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너트(144)와 제2너트(145)가 제1축부재(141)를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멀어지면, 제1너트(144)에 결합된 제1지지부재(146)과 제2너트(145)에 결합된 제2지지부재(147)의 좌석프레임(131)에 결합된 단부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좌석부(130)의 높이가 상승될 수 있다. 제1너트(144)와 제2너트(145)가 제1축부재(141)를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가까워지면, 제1너트(144)에 결합된 제1지지부재(146)과 제2너트(145)에 결합된 제2지지부재(147)의 좌석프레임(131)에 결합된 각각의 단부가 하방으로 회동되어 좌석부(130)의 높이가 상승될 수 있다.
등받이부(150)는 이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등받이부(150)는 등받이프레임(151), 등받이패드(152)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프레임(151)은 등받이부(150)의 골격을 형성하며, 좌석프레임(131)에 힌지 결합되어 서로 회동할 수 있다. 등받이패드(152)는 등받이프레임(151)에 결합되며, 이용자의 등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일 수 있다.
발받침부(170)는 이용자의 다리 및 발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발받침부(170)는 발받침프레임(171)과, 발받침패드(172)를 포함할 수 있다. 발받침프레임(171)은 발받침부(170)의 골격을 형성하며, 좌석프레임(131)에 힌지 결합되어 서로 회동할 수 있다. 발받침패드(172)는 발받침프레임(171)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이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부분이다.
팔걸이부(180)는 팔걸이프레임(181), 팔걸이패드(182) 및 전동 휠체어(100)를 조종하는 조종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팔걸이프레임(181)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등받이프레임(151)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다. 팔걸이패드(182)는 팔걸이프레임(181)에 결합되며, 이용자의 팔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일 수 있다. 팔걸이부(180)의 일단에는 전동 휠체어(100)의 운전 및 좌석부(130)의 높낮이와 등받이부(150)의 기울기를 조종할 수 있는 조종부(183)가 배치될 수 있다. 팔걸이부(180)는 등받이부(150)에 힌지 결합되므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후방으로 젖혀짐으로써, 이용자가 전동 휠체어(100)의 측방으로 이탈할 때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조절부 및 승강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변형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전동 휠체어(100)는 등받이조절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조절부(160)는 등받이부(15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부분이다. 등받이조절부(160)는 제2축부재(161), 탄성부재(162), 기어(163) 및 등받이고정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축부재(161)는 등받이부(150)가 기울어질 수 있게 회전축 역할을 하는 부재일 수 있다. 제2축부재(161)는 등받이프레임(151)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축이 등받이패드(152)의 가로 폭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62)는 제2축부재(161)의 외주면을 감싸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62)의 일단부는 고리가 형성되어 등받이프레임(151)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162)의 타단부는 고리가 형성되어 좌석프레임(13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등받이프레임(151)과 좌석프레임(131)이 탄성부재(162)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등받이프레임(151)이 지면을 향하여 급작스럽게 기울어지는 것을 탄성부재(162)의 복원력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다. 기어(163)는 제2축부재(16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등받이부(150)가 기울어짐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등받이고정부(164)는 일단부가 기어(163)의 치형부의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되며, 기어(163)의 치형부에 삽입되어 기어(163)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등받이부(1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등받이고정부(164)는 기어(163)가 위치한 부분과 근접한 좌석프레임(13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발받침부(170)는 좌석프레임(131)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등받이프레임(151)에 연결되어 등받이프레임(151)이 지면에 가깝게 기울어짐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되어 상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받침부(170)는 등받이프레임(151)에 링크(L1, L2)를 통하여 연결되어 등받이프레임(151)의 회전운동에 회동할 수 있다. 등받이프레임(151)이 지면에 가깝게 기울어지고, 발받침부(170)가 지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 상승 됨에 따라 휠체어(100) 이용자가 앉아있는 모습보다 누워있는 모습에 가깝게 되어 침대로의 이동이 수월해질 수 있다.
전동 휠체어(100)는 지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90)는 구동부(11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90)의 일단부는 지면에 접촉되어 전동 휠체어(100)가 전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90)는 도어스토퍼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으며, 지면에 접촉되는 일단부의 반대편 타단부가 구동부(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90)는 제2축부재(161) 또는 등받이부(150)와 연결되어, 등받이부(150)가 지면에 가깝게 기울어짐에 따라 연동되어 구동부(11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10)의 일측에 하방으로 연장된 링크(L3)가 연결되며, 링크(L3)의 일단부가 지지부(190)의 일측과 결합되어, 등받이부(150)가 하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지지부(190)가 구동부(110)로부터 돌출되어 지지부(190)의 일단부가 지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90)는 이용자의 조종부(183)를 통한 조종에 따라 돌출될 수도 있다. 지지부(190)는 전동 휠체어(100)의 주행중에는 브레이크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전동 휠체어 110: 구동부
111: 모터 120: 주행부
121: 주행바퀴 122: 조향바퀴
130: 좌석부 131: 좌석프레임
132: 좌석패드 140: 승강부
141: 제1축부재 142: 제1스크루
143: 제2스크루 144: 제1너트
145: 제2너트 146: 제1지지부재
147: 제2지지부재 148: 베이스프레임
150: 등받이부 151: 등받이프레임
152: 등받이패드 160: 등받이조절부
161: 제2축부재 162: 탄성부재
163: 기어 164: 등받이고정부
170: 발받침부 171: 발받침프레임
172: 발받침패드 180: 팔걸이부
181: 팔걸이프레임 182: 팔걸이패드
183: 조종부 190: 지지부
d1: 제1회전방향 d2: 제2회전방향

Claims (4)

  1.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복수의 주행바퀴를 포함하는 주행부;
    좌석프레임 및 좌석패드를 포함하는 좌석부;
    상기 좌석프레임에 연결되는 등받이프레임 및 등받이패드를 포함하는 등받이부;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및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승강부는,
    축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제1축부재;
    상기 제1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축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며 형성되는 제1회전방향의 나선을 가지는, 제1스크루;
    상기 제1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축부재의 타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며 형성되는 제2회전방향의 나선을 가지는, 제2스크루;
    상기 제1스크루에 결합되는 제1너트;
    상기 제2스크루에 결합되는 제2너트;
    일단부는 상기 좌석프레임에 타단부는 상기 제1너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좌석프레임에 타단부는 상기 제2너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축부재는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전동 휠체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의 일단부는 상기 제1너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의 타단부는 상기 제2링크의 일단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의 타단부는 상기 좌석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는 2개로 구비되며 각 제1링크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축을 형성하며 상기 전동 휠체어의 좌우방향으로 상기 제1너트의 각 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제3링크 및 제4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3링크의 일단부는 상기 제2너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3링크의 타단부는 상기 제4링크의 일단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4링크의 타단부는 상기 좌석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지지부재는 2개로 구비되며 각 제3링크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축을 형성하며 상기 전동 휠체어의 좌우방향으로 상기 제2너트의 각 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너트 및 상기 제2너트가 상기 제1축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축방향을 따라서 상호 이동되면,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등받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조절부는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축부재;
    상기 제2축부재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 및 상기 좌석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어짐을 완충하는 탄성부재;
    상기 제2축부재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어짐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
    상기 기어의 치형부에 삽입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등받이부를 고정시키는 등받이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3. 제1항에 있어서,
    발받침프레임 및 발받침패드를 포함하는 발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받침프레임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회동가능한, 전동 휠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가 지면에 가깝게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일단부가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전동 휠체어가 전복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KR1020180021018A 2018-02-22 2018-02-22 전동 휠체어 KR10208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018A KR102080917B1 (ko) 2018-02-22 2018-02-22 전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018A KR102080917B1 (ko) 2018-02-22 2018-02-22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80A KR20190101080A (ko) 2019-08-30
KR102080917B1 true KR102080917B1 (ko) 2020-02-24

Family

ID=6777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018A KR102080917B1 (ko) 2018-02-22 2018-02-22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9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82991A1 (en) * 2020-03-16 2021-09-16 Honda Motor Co., Ltd. Vehicle provided with lift unit for seat
KR20230063473A (ko) * 2021-11-02 2023-05-09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신체 약자용 이송 로봇용 좌판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061B1 (ko) 2020-01-23 2021-09-15 김주태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KR102636313B1 (ko) * 2021-08-18 2024-02-14 주식회사 힐스로보틱스 자율 주행 전동 휠체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197Y1 (ko) 2003-08-29 2003-11-21 추배호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상판 각도조절장치
JP2004097273A (ja) 2002-09-05 2004-04-02 Autech Japan Inc 電動車椅子用昇降装置
KR200351767Y1 (ko) 2004-03-02 2004-06-02 추배호 높이조절이 가능한 걸상
JP2007090020A (ja) * 2005-09-27 2007-04-12 Kazuo Miyagi 自力乗り移り車椅子
KR101686952B1 (ko) 2015-05-08 2016-12-19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663B1 (ko) 2011-04-14 2013-03-1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KR20170124398A (ko) * 2016-05-02 2017-11-10 임윤택 베드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273A (ja) 2002-09-05 2004-04-02 Autech Japan Inc 電動車椅子用昇降装置
KR200334197Y1 (ko) 2003-08-29 2003-11-21 추배호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상판 각도조절장치
KR200351767Y1 (ko) 2004-03-02 2004-06-02 추배호 높이조절이 가능한 걸상
JP2007090020A (ja) * 2005-09-27 2007-04-12 Kazuo Miyagi 自力乗り移り車椅子
KR101686952B1 (ko) 2015-05-08 2016-12-19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82991A1 (en) * 2020-03-16 2021-09-16 Honda Motor Co., Ltd. Vehicle provided with lift unit for seat
US11534354B2 (en) * 2020-03-16 2022-12-27 Honda Motor Co., Ltd. Vehicle provided with lift unit for seat
KR20230063473A (ko) * 2021-11-02 2023-05-09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신체 약자용 이송 로봇용 좌판 어셈블리
KR102627288B1 (ko) 2021-11-02 2024-01-19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신체 약자용 이송 로봇용 좌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80A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917B1 (ko) 전동 휠체어
JP5944059B2 (ja) 患者介護用移乗ロボット
JP6726874B2 (ja) 車椅子
JP4919633B2 (ja) 車椅子
JP2005502443A (ja) 起立補助車椅子
JP2018023752A (ja) 介護用椅子
KR102150594B1 (ko) 휠체어
KR102461127B1 (ko) 전동휠체어
TWI756698B (zh) 可變姿勢移動載具
KR100849268B1 (ko) 휠체어용 풋레스트 어셈블리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KR102393823B1 (ko)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EP3641594B1 (en) Motorised zero gravity chair
JP3709522B2 (ja) 介助機能付車椅子
KR200336152Y1 (ko) 휠체어
JP2004016370A (ja) 介護用ベッド
JP4521059B1 (ja) 着座部構造
JP2002078746A (ja) リクライニング式車椅子
JP4140934B2 (ja) 車椅子
JP2003079668A (ja) 起立補助座椅子
JP3219802U (ja) 車椅子
KR102403944B1 (ko) 전동 이승강 기기
JP2010235229A (ja) 階段昇降装置
JP2000308543A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
JPH1014999A (ja) 点滴・人工透析用椅子の足乗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