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863A -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 Google Patents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863A
KR20200126863A KR1020190051149A KR20190051149A KR20200126863A KR 20200126863 A KR20200126863 A KR 20200126863A KR 1020190051149 A KR1020190051149 A KR 1020190051149A KR 20190051149 A KR20190051149 A KR 20190051149A KR 20200126863 A KR20200126863 A KR 20200126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ear
guide
driving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201B1 (ko
Inventor
문홍찬
Original Assignee
문홍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홍찬 filed Critical 문홍찬
Priority to KR102019005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20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2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flexible height-adjusting means, e.g. rope, chai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47C3/285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with radially expansible clamping elements telescopically engaged in a tube or the like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가 불편한 사람들이 쉽게 앉거나 설 수 있도록 한 승강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이면서도 승강을 원활하게 한 수동타입의 승강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바퀴부재를 구비한 저판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상부판이 형성되어진 본체프레임과; 상기 저판과 상부판 사이에 축형상의 수직기어봉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직기어봉에 이를 따라 수직 작동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된 구동체인기어가 설치되어진 구동수단과; 상기 수직기어봉과 근접된 전방의 저판과 상부판 사이에 고정설치되고, 네개의 안내공이 상부 사방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 안내공의 외측방으로는 안내롤러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안내공의 하방에 고정부가 각각 설치되어진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 깊이의 수직안내홈이 사방으로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직안내홈의 각 하부 마다 수평으로 관통공이 교차되지 않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텐션와이어의 단부가 안내공으로 인출된 후 안내롤러부재를 거쳐 실린더부재의 고정부에 고정되어지는 승강피스턴부재와; 상기 승강피스턴부재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고정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등받이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저부에서 전방으로 좌판프레임이 설치되어진 좌석수단과; 상기 좌석수단의 팔걸이부 측방에 구동수단의 구동체인기어와 대응되는 주체인기어가 체인으로 상호 연결되는 핸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타입의 승강의자{Manual Type Lift Chair}
본 발명은 다리가 불편한 사람들이 쉽게 앉거나 설 수 있도록 한 승강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이면서도 승강을 원활하게 한 수동타입의 승강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학교, 사무실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는 그 사용용도나 형태에 맞게 각각 구분된 구조로 설계되는 하나의 기구로서, 기본적으로 사람이 걸터앉아 여러 가지 용무를 보거나 편하게 쉴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의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의자의 종류를 용도상으로 나눌 경우 먼저 작업목적으로 사무용의자, 학습용의자, 식사용의자 등이 있으며, 휴식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안락의자, 소파, 카우치 등이 있고, 특수용도의 것으로 이발이나 미용, 의료용 등의 전용 의자로 나눠 구분하게 된다.
나아가 의자에는 높낮이가 고정된 상태로 제작된 고정형의 의자가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지만, 최근 들어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사이즈에 맞게 착석자가 레버를 제어하여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특수한 용도에 따라 별도의 시술자가 제어하여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등 각각 의자에 높이조절 가능한 승강장치를 구비토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의자의 승강가능한 구조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124894호에는 의료용 의자에 있어서, 의자의 하부몸체에 지지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고정 형성된 안내기둥과; 상기 안내기둥의 상부에 고정되고 가이드홈이 형성된 고정블록과; 작동홈이 형성되고 레일홈에 상기 안내기둥이 삽입되어 상기 안내기둥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블록과; 하부가 상기 승강블록에 고정되고, 상향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부에 좌판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승강블록과 일체로 승강되는 승강칼럼과;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모터의 동력으로 승강블록 및 승강칼럼 결합체를 승강시키는 구동부와; 하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상부가 상기 승강블록 및 승강칼럼 결합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블록 및 승강칼럼 결합체를 상향으로 밀어 올리는 복원력을 갖는 가스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내구성과 생산성이 우수하며 모터의 역방향 자유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의료용 의자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중 전자인 특허등록공보 제616452호의 경우에는 의자의 높이를 낮출 때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로 조절가능하나 의자의 높이를 높일 때에는 의자의 좌판에서 일어나야만 하기 때문에 의자의 높이조절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다리가 불편하거나 나이가 많은 노인과 같은 노약자분들이 의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좌판에서 일어날 때 무릎관절은 물론 다리에 큰 힘이 가해져 상당히 불편하고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 중 후자인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124894호의 경우에는 모터와 같은 동력원이 필요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반드시 에너지원이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특수한 용도의 의자에만 한정하여 적용가능 할 뿐 일반적인 의자에 적용하여 대중화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착석하중에 의한 힘을 저장한 후 좌석수단의 승강 수직운동에 필요한 동력을 보조하는 수단을 구성하므로 노약자의 의자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편리하게 사용하고, 별도의 동력원이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다양한 용도별 의자에 적용할 수 있는 무동력 승강장치가 구비된 수동타입의 승강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퀴부재를 구비한 저판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상부판이 형성되어진 본체프레임과; 상기 저판과 상부판 사이에 축형상의 수직기어봉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직기어봉에 이를 따라 수직 작동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된 구동체인기어가 설치되어진 구동수단과; 상기 수직기어봉과 근접된 전방의 저판과 상부판 사이에 고정설치되고, 네개의 안내공이 상부 사방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 안내공의 외측방으로는 안내롤러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안내공의 하방에 고정부가 각각 설치되어진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 깊이의 수직안내홈이 사방으로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직안내홈의 각 하부 마다 수평으로 관통공이 교차되지 않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텐션와이어의 단부가 안내공으로 인출된 후 안내롤러부재를 거쳐 실린더부재의 고정부에 고정되어지는 승강피스턴부재와; 상기 승강피스턴부재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고정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등받이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저부에서 전방으로 좌판프레임이 설치되어진 좌석수단과; 상기 좌석수단의 팔걸이부 측방에 구동수단의 구동체인기어와 대응되는 주체인기어가 체인으로 상호 연결되는 핸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후방에 실린더부재를 따라 수직으로 대응되는 지지안내롤러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등받이프레임의 승강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인체의 하증에 의해 휨이나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좌석수단에 핸들부재와 함께 설치되는 팔걸이부는 오른쪽이나 왼쪽 어느 한쪽만 설치되어 다리가 불편한 이용자의 일어섬과 활동반경을 용이하게 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좌석수단 일측의 핸들부재를 회전시켜 구동수단이 수직기어봉을 따라 동작되게 함으로서 좌석수단을 승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에서 승강피스턴부재와 연결된 텐션와이어에 의해 승강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노약자의 의자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편리하게 사용하고, 별도의 동력원이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다양한 용도별 의자에 적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승강된 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3는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하강된 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승강된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하승강된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측면도,
도 7은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승강된 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이며, 도 3는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하강된 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승강된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하승강된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발명에 따른 승강의자의 사시도이다.
먼저, 승강의자(100)의 본체프레임(미도시)은 바닥면과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저판(110)이 구성되고, 상기 저판(110)의 하부 네모서리부에 바퀴부재(111)가 설치되며, 상기 저판(110)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의 지지프레임(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상부판(미도시)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구동수단(172)이 설치되는데, 상기 구동수단(172)은 저판(110)과 상부판 사이에 축형상의 수직기어봉(174)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직기어봉(174)에 이를 따라 수직 작동하는 구동기어(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기어축에는 구동체인기어(173)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판(110)과 상부판 사이에 실린더부재(1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실린더부재(120)는 도 1과 같이 그 상부 사방으로 네개의 안내공(121)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 안내공(121)의 외측 하방으로는 안내롤러부재(123)가 각각 설치되어진 브라켓(122)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부재(120)의 각 안내공의 하방에는 고정부(124)가 각각 설치되어진다.
상기 실린더부재(120)의 내부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피스턴부재(130)는 일정 깊이의 수직안내홈(131)이 사방으로 각각 대향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직안내홈(131)의 각 하부 마다 수평으로 관통공(132)이 교차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32)에는 고무재질인 강력한 두개의 텐션와이어(140)가 관통되며, 이때 관통공(132)을 관통한 텐션와이어(140)는 그 양측 단부가 도 2 및 도 3과 같이 실린더부재(120)의 마주한 안내공(121)으로 인출된 후 안내롤러부재(123)를 거쳐 실린더부재(120)의 고정부(124)에 각각 고정된다.
즉, 상기 승강피스턴부재(130)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4와 같이 관통공(132)과 안내공(121)이 수평을 이루게 되며, 상기 승강피스턴부재(130)에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진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실린더부재(120)의 내측 하방으로 승강피스턴부재(130)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관통공(132)이 하강하면서 텐션와이어(140)가 인장됨과 동시에 텐션와이어(140)는 승강피스턴부재(130)의 수직안내홈(131)으로 함입되어 실린더부재(120)와 승강피스턴부재(130)의 승강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인장된 텐션와이어(140)는 안내공(121)의 외측의 안내롤러부재(123)의 유도를 받아 실린더부재(120) 하부의 고정부(124)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피스턴부재(130)가 하강할수록 더 큰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와이어(140)의 탄성력은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조절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과 같이 상기 승강피스턴부재(130)과 결합되는 좌석수단(미도시)은 승강피스턴부재(130)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고정브라켓(153)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53)의 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등받이프레임(151)이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151)의 저부에서 전방으로 좌판프레임(150)이 설치되어진다.
이때, 상기 등받이프레임(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실린더부재(120)를 따라 수직으로 대응되는 지지안내롤러(152)(154)가 설치되어 등받이프레임(151)의 승강을 용이하게 유도함은 물론 인체의 하증에 의해 등받이프레임(151)의 휨이나 비틀림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등받이프레임(151)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 수직 승강이 용이하도록 그 후방과 구동수단(172)과의 사이에 고정브라켓(170)(171)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석수단의 등받이프레임(151)과 좌판프레임(150)의 일측에 상호 연결되는 팔걸이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팔걸이부는 오른쪽이나 왼쪽 어느 한쪽만 설치되어 다리가 불편한 이용자의 일어섬과 활동반경이 용이해진다.
상기 팔걸이부에는 손잡이(163)를 구비한 핸들부재(162)가 설치되는데, 상기 핸들부재(162) 중앙의 회전축(160)에는 주체인기어(161)가 설치되며, 상기 주체인 기어(161)과 후방의 구동체인기어(173)는 체인(163)으로 상호 연결된다.
즉, 핸들부재(162)를 일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게 되면, 주체인기어(161)과 구동체인기어(173)와 연결된 체인(163)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구동수단(172)의 구동기어가 동작하여 이와 연결된 수직기어봉(174)을 따라 수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의자는 도 7과 같이 보호카바(180)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보호카바(180)의 후방에는 안내공(181)이 형성되어 있어 승강하는 등받이프레임(151)과 좌판프레임(150)에 간섭을 주지 않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발명인 승강의자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의자(100)의 좌판프레임(150)에 이용자가 앉게되면 그 하중에 의해 등받이프레임(151)과 연결된 승강피스턴부재(130)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도 3및 도 5와 같이 텐션와이어(140)가 인장됨과 동시에 텐션와이어(140)는 승강피스턴부재(130)의 수직안내홈(131)으로 함입되어 실린더부재(120)와 승강피스턴부재(130)의 승강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승강피스턴부재(130)가 하강할수록 텐션와이어(140)의 인장력이 증가하므로 승강의자(100)의 좌판프레임(150)이 서서히 하강하게된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의 하강을 더 빨리 진행시키고자 하면, 핸들부재(162)를 일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게 되는데, 이때 주체인기어(161)과 구동체인기어(173)와 연결된 체인(163)이 회전하면서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는 구동수단(172)을 수직기어봉(174)을 따라 서서히 하강시키면 된다.
이와 반대로, 승강의자(100)의 좌판프레임(150)에 이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판프레임(150)을 상승시키고자 하면, 핸들부재(162)를 종전과 반대로 회전시키면 되는데, 이때 주체인기어(161)과 구동체인기어(173)와 연결된 체인(163)이 회전하면서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는 구동수단(172)을 수직기어봉(174)을 따라 서서히 상승시키면 된다.
이와 동시에, 도 5와 같이 탄압된 상태의 승강피스턴부재(130)가 도 4의 도면과 같이 텐션와이어(14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승을 도움으로서 핸들부재(162)에 강한 힘을 주지 않더라도 승강의자(100)의 상승이 매우 수월해진다.
한편, 상기 승강의자(100)에는 팔걸이부가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용자가 좌판프레임(150)에 앉은 상태에서 몸을 틀어 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어나는데 간섭을 주지 않게 된다.
100: 승강의자 110:저판
111:바퀴부재 120:실린더부재
121:안내공 123:안내롤러부재
124:고정부 130:승강피스턴부재
131:수직안내홈 132:관통공
140:텐션와이어 150:좌판프레임
151:등받이프레임 152:지지안내롤러
153:고정브라켓 154:지지안내롤러
161:주체인기어 162:주체인기어
163:체인 170:고정브라켓
172:구동수단 180:보호카바

Claims (3)

  1. 바퀴부재를 구비한 저판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상부판이 형성되어진 본체프레임과;
    상기 저판과 상부판 사이에 축형상의 수직기어봉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직기어봉에 이를 따라 수직 작동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된 구동체인기어가 설치되어진 구동수단과;
    상기 수직기어봉과 근접된 전방의 저판과 상부판 사이에 고정설치되고, 네개의 안내공이 상부 사방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 안내공의 외측방으로는 안내롤러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안내공의 하방에 고정부가 각각 설치되어진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 깊이의 수직안내홈이 사방으로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직안내홈의 각 하부 마다 수평으로 관통공이 교차되지 않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텐션와이어의 단부가 안내공으로 인출된 후 안내롤러부재를 거쳐 실린더부재의 고정부에 고정되어지는 승강피스턴부재와;
    상기 승강피스턴부재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고정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등받이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저부에서 전방으로 좌판프레임이 설치되어진 좌석수단과;
    상기 좌석수단의 팔걸이부 측방에 구동수단의 구동체인기어와 대응되는 주체인기어가 체인으로 상호 연결되는 핸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후방에 실린더부재를 따라 수직으로 대응되는 지지안내롤러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등받이프레임의 승강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인체의 하증에 의해 휨이나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수단에 핸들부재와 함께 설치되는 팔걸이부는 오른쪽이나 왼쪽 어느 한쪽만 설치되어 다리가 불편한 이용자의 일어섬과 활동반경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KR1020190051149A 2019-04-30 2019-04-30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KR102224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49A KR102224201B1 (ko) 2019-04-30 2019-04-30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49A KR102224201B1 (ko) 2019-04-30 2019-04-30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863A true KR20200126863A (ko) 2020-11-09
KR102224201B1 KR102224201B1 (ko) 2021-03-05

Family

ID=7342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149A KR102224201B1 (ko) 2019-04-30 2019-04-30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2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906U (ko) * 1984-06-09 1986-02-15 김승진 수위에 의한 에너지변화 측정용 교습장치
JPH0631539U (ja) * 1992-09-30 1994-04-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流し台
KR20130083615A (ko) * 2012-01-13 2013-07-23 박선호 승강식 의자
KR101406144B1 (ko) * 2012-05-22 2014-06-12 유한회사 삼신기업 효도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906U (ko) * 1984-06-09 1986-02-15 김승진 수위에 의한 에너지변화 측정용 교습장치
JPH0631539U (ja) * 1992-09-30 1994-04-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流し台
KR20130083615A (ko) * 2012-01-13 2013-07-23 박선호 승강식 의자
KR101406144B1 (ko) * 2012-05-22 2014-06-12 유한회사 삼신기업 효도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201B1 (ko)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1003A1 (en) Chair lift
US20110260513A1 (en) Horizontal oscillating device providing postural adjustment
US9775757B1 (en) Lift chair and seat
KR102128494B1 (ko) 일어나는 것을 돕는 의자
JP2013508011A (ja) 昇降駆動モジュールがヒンジ結合された昇降椅子
JP5166592B1 (ja) 補助機構付き着座具
CN110680107A (zh) 一种高安全性坐站工作椅
JP6923982B2 (ja) 起立補助椅子及び車椅子
KR102224201B1 (ko)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KR102306638B1 (ko) 기립보조의자
CN211092824U (zh) 椅具单元及椅具
KR20180038423A (ko) 기립 보조 의자
KR10148517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
WO2023061066A1 (zh) 一种座椅
WO2008001093A1 (en) Chair
EP2419069B1 (en) Seating furniture facilitating rising
KR101485007B1 (ko) 무동력 승강장치가 구비된 노약자용 의자
KR20130083615A (ko) 승강식 의자
KR20090002049U (ko) 전동 승강 의자
KR20180038176A (ko) 기립 보조 의자
KR101209274B1 (ko) 의자의 팔걸이
CN216875711U (zh) 一种坐深可调节的沙发
CN110664151A (zh) 一种坐站椅的座面形态变化控制装置
CN110693219A (zh) 一种椅具单元及椅具
KR102590653B1 (ko) 장애인용 전동 기립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