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769A -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769A
KR20090048769A KR1020070114803A KR20070114803A KR20090048769A KR 20090048769 A KR20090048769 A KR 20090048769A KR 1020070114803 A KR1020070114803 A KR 1020070114803A KR 20070114803 A KR20070114803 A KR 20070114803A KR 20090048769 A KR20090048769 A KR 20090048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toilet
handle
disabled
shap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익
Original Assignee
황성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익 filed Critical 황성익
Priority to KR1020070114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8769A/ko
Publication of KR20090048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2Wall mounted grab bars or handles, with or without support on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6Armrests mounted on or around the toil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U"자형 봉상체(100)와; 상기 "U"자형 봉상체(100)의 상하 사이에 용접으로 비스듬하게 고정된 팔걸이대(110)와; 상기 "U"자형 봉상체(100)의 선단 사이에 용접으로 설치되는 결합대(120)와; 상기 결합대 내에 삽입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회전축(130)의 양단부에 너트(131)로서 체결 결합되는 판상의 "ㄷ"자형 브라켓(140) 및; 상기 "ㄷ"자형 브라켓(140) 내에 설치되어 "ㄷ"자형 브라켓(140)을 지지하는 사각 기둥상의 지지대(150)로 구성되어 장애인들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않고 혼자서 용변을 볼 수 있으면서 손잡이를 수평방향으로 접을 수 있고, 장애인들이 용변을 볼 때 수치심을 유발시키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용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인이 용변시 손만이 아닌 팔을 기대의 의지하기에 용이하다고 하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장애인용, 화장실 손잡이, 좌변기.

Description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A right and left rotary handle for the handicapped}
본 발명은 장애인용 화장실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약자나 장애인들이 혼자서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자신의 몸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용 좌변기에 사용되는 좌우회전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적당한 높이를 갖는 본체가 바닥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에 좌대가 설치되며, 이 좌대의 후단은 힌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상부로 절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대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덮개가 구비되어 용변구를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본체의 후방에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좌변기는 앉아서 용변을 보기에는 좋으나 하체에 힘이 없는 노약자나 장애인의 경우에는 용변을 본 후 앉은 상태에서 일어서기까지의 행동에서 매우 힘겨움을 느끼고 있다. 즉, 자신의 몸을 스스로 가눌 수 없는 노약자나 환자들이 용변을 볼 때 스스로 변기에 앉거나 일어날 수 없어서 용변을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른 사람의 부축을 받아야만 하였다.
이러한 실정을 고려하여 근래에는 장애인에 대한 대우가 많이 개선되어 그들 스스로가 자립할 수 있는 시설이 많이 확충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에 따라 장애인들이 용무를 볼 때 타인의 도움없이 혼자의 힘으로 스스로 용무를 볼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들의 행동에 제약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화장실의 세면대 및 양변기주위에 보조 손잡이가 설치된다.
즉, 주로 공공건물 및 병원 등의 화장실에는 장애인 및 노약자 등을 위한 화장실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장실에는 다양한 형상을 가진 보조 횡간이 장애인용 보조 손잡이로서 좌변기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어 장애인(또는 노약자)은 상기 보조 횡간을 손으로 잡고 좌대에 앉거나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애인들의 거동에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보조시설이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보조 시설(특히, 장애인용 보조 손잡이)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보조 시설이 요구되어 본 발명을 발명하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용 보조 손잡이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의 위해 이동통로 및 화장실 등의 벽면 소정위치에 주로 설치되어 신체의 활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수 있도록 보조 역할을 한다.
종래 장애인용 화장실 보조 손잡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손잡이(1)를 변기(2)의 주변에 나사 등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보조 손잡이(1)는 일단 벽에 고정시키면 이동시킬 수가 없어 공간이 좁은 화장실의 경우에는 오히려 사용상의 불편함을 가져온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보조 손잡이를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20-1999-0025636호로서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장애인용 보조 손잡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실의 변기 주변에 보조 손잡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고정구(70)의 상측에 보조 손잡이(10)의 상측 지지대(20) 끝단을 힌지(30) 결합하여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상측 지지대(20)와 일체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하측지지대(40)의 끝단에는 고무패킹(41)을 설치하며, 상기 상하측 지지대(20)(40)를 지탱하는 보조 지지대(50)에는 이 보조 지지대(50)와 직각 방향으로 걸림턱(61)을 가진 휴지걸이(60)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장애인용 보조 손잡이에 있어서, 보조 손잡이를 전체적으로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평상시에는 수직으로 세워 변기쪽으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다가 변기에 앉거나 설때에 간단히 보조 손잡이를 밑으로 내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장애인용 보조 손잡이는 장애인이 다지지 손만으로 잡아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일 뿐 손 이외의 팔을 기대의 지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장애인용 화장실 손잡이가 갖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은 장애인들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않고 혼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용 좌변기에 사용되는 접을 수 있는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애인들이 용변을 볼 때 수치심을 유발시키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애인이 용변시 손만이 아닌 팔을 기대의 의지하기에 용이한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는 "U"자형 봉상체와; 상기 "U"자형 봉상체의 상하 사이에 용접으로 비스듬하게 고정된 팔걸이대와; 상기 "U"자형 봉상체의 선단 사이에 용접으로 설치되는 결합대와; 상기 결합대 내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너트로서 체결 결합되는 판상의 "ㄷ"자형 브라켓 및; 상기 "ㄷ"자형 브라켓 내에 설치되어 "ㄷ"자형 브라켓을 지지하는 사각 기둥상의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애인들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않고 혼자서 용변을 볼 수 있으면서 손잡이를 수평방향으로 접을 수 있고, 장애인들이 용변을 볼 때 수치심을 유발시키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용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인이 용변시 손만이 아닌 팔을 기대의 의지하기에 용이하다고 하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의 사용 상태도로서, 본 발명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는 "U"자형 봉상체(100)와; 상기 "U"자형 봉상체(100)의 상하 사이에 용접으로 비스듬하게 고정된 팔걸이대(110)와; 상기 "U"자형 봉상체(100)의 선단 사이에 용접으로 설치되는 결합대(120)와; 상기 결합대 내에 삽입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회전축(130)의 양단부에 너트(131)로서 체결 결합되는 판상의 "ㄷ"자형 브라켓(140) 및; 상기 "ㄷ"자형 브라켓(140) 내에 설치되어 "ㄷ"자형 브라켓(140)을 지지하는 사각 기둥상의 지지대(1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U"자형 봉상체(100)의 상하 사이에 용접으로 비스듬하게 팔걸이대(110)가 고정되어 있는데 팔걸이대(110)의 앞 부분이 "U"자형 봉상체(100)의 위쪽에 고정되고, 팔걸이대(110)의 뒤 부분이 "U"자형 봉상체(100)의 아래쪽에 고정되어 팔걸이대(110)의 앞부분을 손으로 잡고, 팔걸이대(110)에 팔을 얹어 의지하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U"자형 봉상체(100)의 선단 사이에는 용접으로 결합대(1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대(120) 내에는 회전축(130)이 양단이 돌출되게 삽입되어 돌출부에 "ㄷ"자형 브라켓(140)의 양단부가 끼워져 너트(131)의 체결로 "ㄷ"자형 브라켓(140)에 결합대(120)가 고정되어 회전축(130)을 통해 "U"자형 봉상체(1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ㄷ"자형 브라켓(140)의 양단 사이에는 사각 기둥상의 지지대(150)가 설치되어 "ㄷ"자형 브라켓(1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ㄷ"자형 브라켓(140)에는 벽에 볼트로서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공(140a)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의 설치 및 사용에 대하여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는 결합대(120) 내에는 회전축(130)을 삽입한후 회전축(130)의 양단에 "ㄷ"자형 브라켓(140)의 단부를 끼워 너트(131)를 체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는 "ㄷ"자형 브라켓(14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볼트공(140a)에 볼트를 체결하여 벽에 설치하게 된다.
도 6에서 변기의 좌측에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변기의 우측에 설치할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와 변기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화장실 손잡이를 설치하면 된다.
이러한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화장실 손잡이는 사용자가 팔걸이대(110)의 앞부분을 손으로 잡고 용변을 보고, 일어설 때에는 팔걸이대(110)의 앞부분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팔을 팔걸이대(110)에 얹어 의지하면서 일어나면 장애인이 힘들이지 않고 일어설 수 있게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사용이 필요하지 않을 때는 본 발명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를 도 6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어두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장애인용 화장실 손잡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장애인용 화장실 손잡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장애인용 화장실 손잡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애인용 화장실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장애인용 화장실 손잡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장애인용 화장실 손잡이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U"자형 봉상체 110 : 팔걸이대
120 : 결합대 130 : 회전축
131 : 너트 140 : "ㄷ"자형 브라켓
140a : 볼트공 150 : 지지대

Claims (4)

  1. "U"자형 봉상체(100)와; 상기 "U"자형 봉상체(100)의 상하 사이에 용접으로 비스듬하게 고정된 팔걸이대(110)와; 상기 "U"자형 봉상체(100)의 선단 사이에 용접으로 설치되는 결합대(120)와; 상기 결합대 내에 삽입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회전축(130)의 양단부에 너트(131)로서 체결 결합되는 판상의 "ㄷ"자형 브라켓(140) 및; 상기 "ㄷ"자형 브라켓(140) 내에 설치되어 "ㄷ"자형 브라켓(140)을 지지하는 사각 기둥상의 지지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
  2. 상기 "U"자형 봉상체(100)의 상하 사이에 용접으로 비스듬하게 팔걸이대(110)를 고정하되 팔걸이대(110)의 앞 부분이 "U"자형 봉상체(100)의 위쪽에 고정되고, 팔걸이대(110)의 뒤 부분이 "U"자형 봉상체(100)의 아래쪽에 고정되어 팔걸이대(110)의 앞부분을 손으로 잡고, 팔걸이대(110)에 팔을 얹어 의지하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봉상체(100)의 선단 사이에는 용접으로 결합대(1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대(120) 내에는 회전축(130)이 양단이 돌출되게 삽입되어 돌출부에 "ㄷ"자형 브라켓(140)의 양단부가 끼워져 너트(131)의 체결로 "ㄷ"자형 브라켓(140)에 결합대(120)가 고정되어 회전축(130)을 통해 "U"자형 봉상체(1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브라켓(140)의 양단 사이에는 사각 기둥상의 지지대(150)가 설치되어 "ㄷ"자형 브라켓(1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ㄷ"자형 브라켓(140)에는 벽에 볼트로서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공(14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
KR1020070114803A 2007-11-12 2007-11-12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 KR20090048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803A KR20090048769A (ko) 2007-11-12 2007-11-12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803A KR20090048769A (ko) 2007-11-12 2007-11-12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769A true KR20090048769A (ko) 2009-05-15

Family

ID=4085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803A KR20090048769A (ko) 2007-11-12 2007-11-12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87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3482A (zh) * 2016-08-25 2016-12-07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一种活动扶手
WO2020139659A1 (en) * 2018-12-28 2020-07-02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Grab bar for support in various environments
USD908457S1 (en) 2018-12-28 2021-01-26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Grab bar for providing suppor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3482A (zh) * 2016-08-25 2016-12-07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一种活动扶手
WO2020139659A1 (en) * 2018-12-28 2020-07-02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Grab bar for support in various environments
USD908457S1 (en) 2018-12-28 2021-01-26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Grab bar for providing support
US11589715B2 (en) 2018-12-28 2023-02-28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Grab bar for support in various environ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0100B2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US20110187067A1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KR101908213B1 (ko)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US20160184164A1 (en) Physical Therapy and Patient Movement System
US6857138B2 (en) Ergonomic raised toilet seat assembly
KR20170094525A (ko) 화장실용 안전 보조 장치
KR20090048769A (ko)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
US10335822B1 (en) Showerhead directional control apparatus
DK2448462T3 (en) toilet system
US9694370B1 (en) Shower control
WO2008107752A2 (en) Universal seat for shower and bathtub with adjustable-height
KR200425324Y1 (ko) 욕실 부착형 접이식 의자
KR20100029804A (ko) 양변기용 안전장치
CA2868010A1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JP7461657B2 (ja) 傾倒防止具
AU2020327867B2 (en) A support device for showering or toileting
KR200420409Y1 (ko) 좌변기용 팔 받침대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US20240156659A1 (en) Portable lift chair device
KR100379717B1 (ko) 소변기 보조구
CN107361673A (zh) 一种淋浴椅
JP3625151B2 (ja) 浴用椅子
JP3496435B2 (ja) 衛生設備
JP2023062852A (ja) 補助手摺
JPH02111367A (ja) 便器用椅子及び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