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513Y1 -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 - Google Patents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513Y1
KR200232513Y1 KR2020000037173U KR20000037173U KR200232513Y1 KR 200232513 Y1 KR200232513 Y1 KR 200232513Y1 KR 2020000037173 U KR2020000037173 U KR 2020000037173U KR 20000037173 U KR20000037173 U KR 20000037173U KR 200232513 Y1 KR200232513 Y1 KR 200232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oilet
toilet seat
ch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김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민 filed Critical 김철민
Priority to KR2020000037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5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513Y1/ko

Link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징은, 의자좌판에다 별도의 변기안장을 착탈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변기안장을 구멍이 큰 화장실의 좌변기에 안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혼자서 화장실에 가서 변을 보기에는 아직 어린 어린이(유아)를 위한 의자좌판과 등받이판 및 발판을 지지측판에 고정하고 의자좌판의 저면에는 변기통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변기통을 뚜껑으로 덮을 수 있도록하여 의자와 변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여러종류의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의자좌판에다 직접 어린이의 엉덩이에 알맞게 구멍을 뚫어서 된 것이므로 성인용의 화장실 좌변기의 안장에 안치하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성인용의 화장실좌변기에 안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어린이변기안장을 별도로 구입해야 됨으로 인한 구입비의 부담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앙에 구멍(1')을 뚫은 의자좌판(1)에다 어린이의 엉덩이에 알맞는 구멍(10')을 뚫은 변기안장(10)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하여 필요에 따라 화장실좌변기(13)의 안장(14)에다 안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적인 특징은,
중앙에 구멍(1')을 뚫은 의자좌판(1)에는 돌부(101)와 볼트(1A)를 형성하고 등받이판(2)과 발판(3)에는 볼트(2A)(3A)를 형성하여 요부(401)를 형성한 지지측판(4)(4')에 캡너트(6)로 고정하고,
의자좌판(1)의 저면에는 레일(7)을 고정하여 손잡이(9)를 형성한 변기통(8)의 안내편(801)을 슬라이드시켜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하고, 변기통(8)을 덮을 수 있는 뚜껑(5)을 유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의자좌판(1)에는 요입부(1')와 여러개의 끼움구멍(102)을 형성하여 전기의 끼움구멍(102)에 끼워지는 여러개의 돌편(10A)과 구멍(10')을 형성한 변기안장(10)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CHAIR AND A CHAMBER POT FOR YOUNGSTER}
본 고안은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징은, 의자좌판에다 별도의 변기안장을 착탈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변기안장을 구멍이 큰 화장실의 좌변기에 안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혼자서 화장실에 가서 변을 보기에는 아직 어린 어린이(유아)를 위한 의자좌판과 등받이판 및 발판을 지지측판에 고정하고 의자좌판의 저면에는 변기통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변기통을 뚜껑으로 덮을 수 있도록하여 의자와 변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여러종류의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의자좌판에다 직접 어린이의 엉덩이에 알맞게 구멍을 뚫어서 된 것이므로 성인용의 화장실 좌변기의 안장에 안치하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성인용의 화장실좌변기에 안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어린이변기안장을 별도로 구입해야 됨으로 인한 구입비의 부담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앙에 구멍(1')을 뚫은 의자좌판(1)에다 어린이의 엉덩이에 알맞는 구멍(10')을 뚫은 변기안장(10)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하여 필요에 따라 화장실좌변기(13)의 안장(14)에다 안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적인 특징은,
중앙에 구멍(1')을 뚫은 의자좌판(1)에는 돌부(101)와 볼트(1A)를 형성하고 등받이판(2)과 발판(3)에는 볼트(2A)(3A)를 형성하여 요부(401)를 형성한 지지측판(4)(4')에 캡너트(6)로 고정하고,
의자좌판(1)의 저면에는 레일(7)을 고정하여 손잡이(9)를 형성한 변기통(8)의 안내편(801)을 슬라이드시켜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하고, 변기통(8)을 덮을 수 있는 뚜껑(5)을 유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의자좌판(1)에는 요입부(1')와 여러개의 끼움구멍(102)을 형성하여 전기의 끼움구멍(102)에 끼워지는 여러개의 돌편(10A)과 구멍(10')을 형성한 변기안장(10)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분리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자좌판
1' : 구멍
1' : 요입부
101 : 돌부
102 : 끼움구멍
1A : 볼트
2 : 등받이판
2A : 볼트
3 : 발판
3A : 볼트
4,4' : 지지측판
401 : 요부
5 : 뚜껑
6 : 캡너트
7 : 레일
8 : 변기통
801 : 안내편
9 : 손잡이
10 : 변기안장
10' : 구멍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요부분리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구멍(1')을 뚫은 의자좌판(1)에는 돌부(101)와 볼트(1A)를 형성하고 등받이판(2)과 발판(3)에는 볼트(2A)(3A)를 형성하여 요부(401)를 형성한 지지측판(4)(4')에 캡너트(6)로 고정하고,
의자좌판(1)의 저면에는 레일(7)을 고정하여 손잡이(9)를 형성한 변기통(8)의 안내편(801)을 슬라이드시켜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하고, 변기통(8)을 덮을 수 있는 뚜껑(5)을 유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의자좌판(1)에는 요입부(1')와 여러개의 끼움구멍(102)을 형성하여 전기의 끼움구멍(102)에 끼워지는 여러개의 돌편(10A)과 구멍(10')을 형성한 변기안장(10)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1은 오줌이 구멍(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이고
12는 휴지걸이이며
13은 화장실좌변기이고
14는 좌변기의 안장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의자좌판(1)의 돌부(101)는 지지측판(4)(4')의 요부(401)에 끼우고 의자좌판(1)과 등받이판(2)및 발판(3)의 볼트(1A)(2A)(3A)는 지지측판(4)(4')에 캡너트(6)로 고정하고,
의자좌판(1)의 저면에 고정한 레일(7)에는 변기통(8)의 안내편(801)을 슬라이드시켜 끼워 고정하여 용변을 보지 않을 시에는 변기통(8)을 뚜껑(5)으로 덮어 의자로 사용하고,
용변을 보고자 할 때는 뚜껑(5)을 열고 의자좌판(1)에 앉아 변을 본 후 의자좌판(1)에서 변기통(8)을 분리하여 변을 비우고 깨끗이 세척한 다음 변기통(8)을 의자좌판(1)의 아래에 다시 고정하고 뚜껑(5)을 덮어 의자로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이는 종래와 동일한 바, 상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의자좌판(1)에는 요입부(1')와 여러개의 끼움구멍(102)을 형성하여 구멍(10')과 여러개의 돌편(10A)을 형성한 변기좌판(10)을 분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였으므로 변기좌판(10)의 돌편(10A)을 의자좌판(1)의 끼움구멍(102)에 끼워 구멍(10')을 구멍(1')과 일치시켜 사용하다가 성인용 화장실좌변기(13)에 용변을 보게 할 경우에는 의자좌판(1)에서 변기안장(10)을 간단히 분리하여 도5와 같이 화장실좌변기(13)의 안장(14)에 안치하면 돌편(10A)은 안장(14)의 구멍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매우 안정된 자세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어린이는 어린이에게 알맞게 제조된 변기안장(10)에 앉아 편안하게 용변을 볼 수 있게 됨으로 화장실좌변기(13)용의 별도의 변기안장(10)을 구입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경제적인 부담을 덜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구멍(1')을 뚫은 의자좌판(1)에다 구멍(10')을 뚫은 별도의 변기안장(10)을 착탈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였으므로 필요에 따라 어린이를 화장실좌변기(13)에 용변을 보게 할 경우 변기안장(10)을 화장실좌변기(13)의 안장(14)에 간단히 안치하여 편안하게 용변을 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실좌변기(13)용의 변기안장을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중앙에 구멍(1')을 뚫은 의자좌판(1)에는 돌부(101)와 볼트(1A)를 형성하고 등받이판(2)과 발판(3)에는 볼트(2A)(3A)를 형성하여 요부(401)를 형성한 지지측판(4)(4')에 캡너트(6)로 고정하고,
    의자좌판(1)의 저면에는 레일(7)을 고정하여 손잡이(9)를 형성한 변기통(8)의 안내편(801)을 슬라이드시켜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하고, 변기통(8)을 덮을 수 있는 뚜껑(5)을 유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의자좌판(1)에는 요입부(1')와 여러개의 끼움구멍(102)을 형성하여 전기의 끼움구멍(102)에 끼워지는 여러개의 돌편(10A)과 구멍(10')을 형성한 변기안장(10)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
KR2020000037173U 2000-12-26 2000-12-26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 KR200232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173U KR200232513Y1 (ko) 2000-12-26 2000-12-26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173U KR200232513Y1 (ko) 2000-12-26 2000-12-26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513Y1 true KR200232513Y1 (ko) 2001-09-26

Family

ID=7308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173U KR200232513Y1 (ko) 2000-12-26 2000-12-26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51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814A (ko) * 2002-08-29 2004-03-06 전순연 휴대용 의자겸용 용변 처리장치
KR100493738B1 (ko) * 2002-07-05 2005-06-10 양회성 좌변기
KR100807347B1 (ko) 2005-10-31 2008-02-28 이덕삼 유아용 변기
KR200470535Y1 (ko) 2013-04-19 2013-12-23 주식회사 금보상사 배변발판을 갖춘 유아용 의자변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738B1 (ko) * 2002-07-05 2005-06-10 양회성 좌변기
KR20040019814A (ko) * 2002-08-29 2004-03-06 전순연 휴대용 의자겸용 용변 처리장치
KR100807347B1 (ko) 2005-10-31 2008-02-28 이덕삼 유아용 변기
KR200470535Y1 (ko) 2013-04-19 2013-12-23 주식회사 금보상사 배변발판을 갖춘 유아용 의자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283B1 (ko) 영유아용 비데
WO2006066316A1 (en) Toilet training, bathing and toileting devices for infants, toddlers and pre schoolers
KR200232513Y1 (ko)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
AU2008206743A1 (en) Infant toilet trainer
WO2007104101A1 (en) Toileting and toilet training devices for children
KR200495017Y1 (ko)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CN102031811A (zh) 残疾人座便器
KR200441036Y1 (ko)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
KR200306681Y1 (ko) 유아용 변기
KR200399753Y1 (ko) 휴대용 좌변기
JP3123972U (ja) 洋式の腰掛便器の踏み台
KR102539703B1 (ko) 다기능 아기목욕 의자
KR200373176Y1 (ko) 유아용 변기 보조 좌대
JPH073464U (ja) 浴 室
KR200384260Y1 (ko) 좌변기용 보조장치
KR100496701B1 (ko) 오염 방지 및 등받이 기능을 갖는 양변기 커버
KR970007146Y1 (ko) 변기가 겸비된 어린이용 의자
KR200320365Y1 (ko) 분리되는 의자식 아동변기
CN217696365U (zh) 一种儿童坐便器
KR200244104Y1 (ko) 좌대를 가진 욕조
CN217772181U (zh) 一种坐便椅
JP3002967U (ja) 浴用幼児座椅子
JP3027057U (ja) 幼児用おまる
JP4509353B2 (ja) 補高便座
KR200273928Y1 (ko) 유아 및 아동용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