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738B1 - 좌변기 - Google Patents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738B1
KR100493738B1 KR10-2002-0038837A KR20020038837A KR100493738B1 KR 100493738 B1 KR100493738 B1 KR 100493738B1 KR 20020038837 A KR20020038837 A KR 20020038837A KR 100493738 B1 KR100493738 B1 KR 100493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seat
scattering prevention
hing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4801A (ko
Inventor
양회성
Original Assignee
양회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회성 filed Critical 양회성
Priority to KR10-2002-003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7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04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상단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용변물 낙하실과 용변물 배출통로가 형성된 좌변기 본체와, 상기 좌변기 본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세척수 저장통과, 상기 좌변기 본체의 후방측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단 착석부에 밀착되는 좌변기 커버와, 상기의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단 착석부를 개폐시키는 뚜껑체를 구비하고 있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본체의 상단을 선단 소변비산방지부와 중간 착석부 및 후단 지지부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중간 착석부는 선단 소변비산방지부와 후단 지지부보다 낮은 상태로 형성함과 동시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갈수록 점차로 낮아지는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선단 소변비산방지부는 사용자의 양 무릎 사이에 끼이는 상태가 되도록 중간 착석부의 좌,우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진 채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또한 중간 착석부의 선단측에서 전방을 향해 상향으로 급경사진 상태로 높게 형성되어 그 상단의 손받이부를 손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좌변기{Foilel Stool}
본 발명은 편안하고 안전하게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게 하는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본원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 제 229872 호의 좌변기를 개선하여 노약자나 하체허약자 또는 관절 및 요추환자의 경우에도 그 안정된 상태로 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용변 후 손의 힘을 빌려서 쉽게 일어설 수 있게 하는 개선된 좌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변기 본체(100)와, 세척수 저장통(200)과 힌지(300)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좌변기 커버(400)와 뚜껑체(50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변기 본체(100)의 상단 착석부(110)는 평면에서 볼 때 대체로 타원형을 이루면서 측면에서 볼 때에는 거의 수평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좌변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용변물을 받아주기 위한 웅덩이와 같은 구조로 된 용변물 낙하실(120)과 용변물을 하수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용변물 배출통로(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상단 착석부(110) 내측으로는 세척수 저장통(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용변물 낙하실(12)로 배출시키기 위한 세척수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좌변기는 용변을 보고자 하는 사용자가 마치 의자에 앉듯이 좌변기 본체(100)의 상단 착석부(110) 위에 앉은 채로 용변을 보게 되므로서 편안함을 줄 수 있는 반면에, 좌변기 본체의 상단 착석부(110)가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단 착석부(110)에 밀착된 둔부와 양측 다리의 허벅지부분이 수평을 이루게 되고 또 상단 착석부(110) 자체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둔부와 수평을 이루는 양측 다리를 약간 벌린 상태로 앉은 상태에서 용변을 보게 되는데, 이렇게 허벅지부분을 둔부와 수평을 이루게 하고 양측 다리를 약간 벌려준 상태로 용변을 보게 될 때에는 소변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즉, 남성의 경우 좌변기 본체(100)의 상단 착석부(110)에 밀착되는 둔부에 대하여 허벅지부분이 수평을 이루게 앉은 상태에서는 생식기가 상단 착석부(110)의 선단부분과 수평상으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거나 또는 그 선단부분보다 약간 높게 위치한 상태에서 양측 다리를 벌려준 상태에서 소변을 보게 되면 소변이 상단 착석부(110)의 선단 윗쪽으로 분출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때문에 남성의 경우에는 좌변기에서 용변을 볼 때 자신의 생식기를 손으로 눌러서 소변이 외부로 분출되지 않도록 해야하는 불편이 있으며, 또한 여성의 경우에 있어서도 소변물이 외부로 분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다리를 모으거나 허리를 굽여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또한 다리를 모을 때 사용자의 무릎부위가 상단 착석부(110)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벗어났을 경우에는 다리를 모으는 동작을 쉽게 수행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아니할 경우 예를 들면, 양측 무릎부위가 상단 착석부(110)의 선단을 벗어나지 못하는 키를 가지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다리를 모으는 동작을 신속하게 취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좌변기는 노약자나 하체허약자 및 다리관절환자, 요추환자에게는 용변을 볼 때 안정감을 주기에 미흡하고 또 용변 후 일어서는 동작에도 도움을 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사용자 누구든지 편안하고 안정감있게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용변 후 일어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조로 개선된 좌변기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단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용변물 낙하실과 용변물 배출통로가 형성된 좌변기 본체와, 상기 좌변기 본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세척수 저장통과, 상기 좌변기 본체의 후방측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단 착석부에 밀착되는 좌변기 커버와, 상기의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단 착석부를 개폐시키는 뚜껑체를 구비하고 있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본체의 상단을 선단 소변비산방지부와 중간 착석부 및 후단 지지부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중간 착석부는 선단 소변비산방지부와 후단 지지부보다 낮은 상태로 형성함과 동시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갈수록 점차로 낮아지는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선단 소변비산방지부는 사용자의 양 무릎 사이에 끼이는 상태가 되도록 중간 착석부의 좌,우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진 채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또한 중간 착석부의 선단측에서 전방을 향해 상향으로 급경사진 상태로 높게 형성되어 그 상단의 손받이부를 손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선단 소변비산방지부의 전면 상측에는 손받이부를 붙잡아 줄 수 있도록 손가락 끝부분을 걸어줄 수 있는 손가락 걸림홈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좌변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뚜껑체의 힌지결합부는 힌지에서 멀어지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뚜껑체를 개방하였을 때 힌지결합부의 지지면이 후단 지지부의 상면에 수평상으로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좌변기 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좌변기 본체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좌변기 본체를, 2는 좌변기 커버를, 3은 뚜껑체를 나타낸다.
상기 좌변기 본체(1)는 기존의 좌변기와 마찬가지로 상단이 개구되어 있고 내부에는 세척수가 적당 수위로 저장된 채 용변물을 받아주는 용변물 낙하실과 용변 후 용변물과 세척수를 하수구로 배출시키는 용변물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가 좌변기에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용변시 소변이 외부로 분출되지 않도록 하며, 또 손을 이용하여 신체의 균형을 바로 잡고 안정된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게 하며, 나아가 용변 후 손의 힘을 빌려서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좌변기 본체(1)의 상단을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와 중간 착석부(12) 및 후단 지지부(13)로 구분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데, 상기한 중간 착석부(12)는 기존의 좌변기와 같이 위에서 볼 때 대체로 타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변을 편안하게 앉아서 볼 수 있도록 좌,우 폭이 비교적 넓게 형성된 채 상기의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 및 후단 지지부(13)에 비하여 가장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중간 착석부(12)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신체의 무게 중심이 약간 후방쪽으로 쏠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후방을 향해 대략 5∼10°정도의 각도(θ)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는 중간 착석부(12)보다 좁은 폭(예를 들어 중간 착석부의 폭이 260mm 정도라고 가정할 경우 선단 소변비산방지부의 폭은 대략 50∼60mm 정도로 좁아진 폭)을 가지면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또한 중간 착석부(12)의 선단측에서 전방을 향해 상향으로 급경사진 상태로 돌출(중간 착석부보다 100∼110mm 정도 높게)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는 적어도 사용자(남성의 경우)가 중간 착석부(12)에 앉아서 용변을 볼 때 생식기의 위치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으며, 또 그 내부는 소변이 사방으로 튀지 않고 중앙쪽으로 모이게 하는 둥근 단면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중간 착석부(12)에 비하여 좁은 폭(대략 130mm 정도)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중간 착석부(12)에 앉았을 때 양 다리를 좁게 벌린 상태로 앉을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양 무릎사이에 끼여있는 상태가 된다.
또 상기한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 상단의 손받이부(14)는 용변을 보는 사용자의 양 무릎사이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용변을 보기 위해 앉을 때 손으로 지지하면서 앉거나 또는 용변시에는 손으로 붙잡을 수 있으며, 용변 후에는 손바닥을 지지한 상태에서 손과 팔의 힘을 이용하여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역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의 전면으로서 손받이부(14) 바로 밑에는 손가락의 끝을 걸어줄 수 있는 손가락 걸림홈(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의 손가락 걸림홈(15)은 용변시 손받이부(14)를 손으로 붙잡아 줄 때 손가락 끝이 걸리도록 하므로서 온몸으로 항문에 힘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용변 후 일어서고자 할 때에도 손의 힘으로 상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역활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좌변기 본체(1)의 후단 지지부(13)에 부착되어 있는 힌지(5)에는 좌변기 커버(2)와 뚜껑체(3)가 기존의 좌변기와 같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변기 본체(1)의 후방에는 세척수 저장통(4)이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후단 지지부(13)에 세척수 저장통(4)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원피스형 구조)로 된 것을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좌변기 본체(1)와 세척수 저장통(4)이 일체로 성형되는 원피스형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좌변기 본체와 세척수 저장통이 따로따로 성형되어 조립되는 투피스형 구조에도 적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좌변기 커버(2)는 좌변기 본체(1)의 선단 소변비산방지(11)와 중간 착석부(12)에 밀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체(3)는 좌변기 본체(1)의 개구된 상단을 덮어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좌변기 본체(1)의 상단을 형성하는 중간 착석부(12)는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는 급경사상으로 높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를 덮어주기 위해서는 상기 뚜껑체(3)의 양측 날개(31)는 좌,우 양측에서 중간 착석부(12)를 향해 곡면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선단부(32)는 내면은 좌변기 본체(1)의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를 향해 좁은 폭으로 돌출되어 손받이부(14)를 밀착상태로 덮어줄 수 있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체(3)의 내면에 형성된 등받이부(33)는 양측 날개(31)보다는 안쪽에 형성된 채 인체의 등부위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는 곡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등받이(33)의 중심에는 척추를 보호하기 위한 요홈(3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용변을 보는 사용자가 뚜껑체(3)의 등받이부(33)에 등을 기댈 때 등부위의 중심에 돌출된 척추부위를 요홈(34)에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척추부위의 양측 근육부위로만 등받이부(33)에 기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척추를 보호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또한 용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 본체(1)에 앉은 상태에서 뚜껑체(3)의 등받이부(33)에 등을 기대게 되면 양측 날개(31)가 사용자의 양측 허리부분을 감싸주는 상태가 되어 사용자의 착석상태는 더욱 안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체(3)는 힌지(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35)를 힌지에서 멀어진 상태로 돌출되게 형성하였는데, 이는 뚜껑체(3)를 개방시켰을 때 힌지결합부(35)의 지지면(36)이 힌지(5)를 벗어나 좌변기 본체(1)의 후단 지지부(13) 상면에 수평상으로 지지되게 하므로서 사용자가 뚜껑체(3)의 등받이부(33)에 기댄 채 후방으로 힘을 가하게 되더라도 뚜껑체(3)가 더 이상 후방을 향해 회전되지(밀려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심하고 뚜껑체(3)에 등을 기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좌변기 본체(1)의 중간 착석부(12)가 후방을 향해 5∼10°의 완만한 각도(θ)로 하향 경사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중간 착석부(12)에 앉았을 때 신체의 중심이 전방을 향하지 않고 완만하게 경사진 후방을 향하게 되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중심을 중간 착석부(12)에 실어준 상태의 편안한 자세로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는 양측 무릎으로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를 감싸주는 상태로 중간 착석부(12)에 앉게 되는데, 이와 같이 앉았을 때에는 양측 무릎으로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을 붙잡고 있는 상태가 되어 사용자는 용변자세에 안정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신체가 허약한 노약자나 하체허약자의 경우 자신의 양측 무릎을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 양측에 밀착시키고 하체를 고정시키게 되면 용변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양측 무릎 사이에 끼인 상태로 돌출된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의 상단에 형성된 손받이부(14)에 손을 얹어 놓고 손가락 끝을 손가락 걸림홈(15)에 걸어주는 수단으로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의 손받이부(14)를 붙잡고 있게 되면 용변 자세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선단 소변비산방지(14)의 손받이부(14)를 붙잡은 상태에서는 용변시 항문에 힘을 주기가 용이해진다.
한편, 좌변기 본체(1)에 앉은 사용자가 뚜껑체(3)의 등받이부(33)에 등을 기대었을 때에는 양측 날개(31)가 양측 허리부분을 감싸주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서 이 또한 사용자의 용변자세에 안정감을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좌변기 본체(1)에 편안하고 안정되게 앉아서 용변을 볼 때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중간 착석부(12)의 전방에 돌출된 선단 소변비산방지(11)는 사용자의 생식기보다 더 높게 돌출된 상태에서 소변을 받아주게 되므로 소변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심하고 용변을 보게 된다. 즉, 남성의 경우에는 용변시 자신의 생식기를 손으로 눌러주지 않더라도 소변이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에 의해 외부로 분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안정된 용변자세로 용변을 마친 후 일어서고자 할 때 건강한 사용자는 기존의 좌변기를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다리힘을 이용하여 일어설 수 있지만 노약자나 하체허약자 또는 관절 및 요추(디스크)환자로서 다리와 허리 힘만으로 일어서기가 쉽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양측 무릎 사이에 돌출되어 있는 선단 소변비산방지부(11) 상단의 손받이부(14)에 손을 받쳐놓고 손의 힘을 이용하는 동작으로 상체를 일으켜 세울 수 있으므로 용변 후의 뒷처리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 스스로 일어서기가 매우 용이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좌변기에 안정되게 앉을 수 있게 하며, 또한 용변을 볼 때 양측 무릎으로 선단 소변비산방지부를 붙잡아줄 수 있게 하므로서 보다 안정된 자세로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용변시 선단 소변비산방지부의 손받이부를 손으로 붙잡고 용변을 볼 수 있으므로서 용변을 시원하게 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선단 소변비산방지부의 손받이부를 붙잡고 있는 손의 힘을 이용하여 상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용변 후 뒷처리 및 일어서는 동작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좌변기 본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좌변기 본체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변기 본체 2 : 좌변기 커버
3 : 뚜껑체 4 : 세척수 저장통
5 : 힌지 11 : 선단 소변비산방지부
12 : 중간 착석부 13 : 후단 지지부
14 : 손받이부 15 : 손가락 걸림홈
31 : 양측 날개 32 : 선단부
33 : 등받이부 34 : 여홈
35 : 힌지결합부 36 : 지지면

Claims (3)

  1. 상단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용변물 낙하실과 용변물 배출통로가 형성된 좌변기 본체와, 상기 좌변기 본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세척수 저장통과, 상기 좌변기 본체의 후방측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단 착석부에 밀착되는 좌변기 커버와, 상기의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단 착석부를 개폐시키는 뚜껑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좌변기 본체의 상단을 선단 소변비산방지부와 중간 착석부 및 후단 지지부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중간 착석부는 선단 소변비산방지부와 후단 지지부보다 낮은 상태로 형성함과 동시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갈수록 점차로 낮아지는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돤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선단 소변비산방지부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한되, 사용자의 양 무릎 사이에 끼이는 상태가 되도록 중간 착석부의 좌,우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진 채 중간 착석부의 선단측에서 전방을 향해 상향으로 급경사진 상태로 높게 형성되어 그 상단의 손받이부를 손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단 소변비산방지부의 전면 상측에는 손잡이부를 붙잡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손가락을 걸어줄 수 있는 손가락 걸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뚜껑체의 힌지결합부는 힌지에서 멀어지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뚜껑체를 개방하였을 때 힌지결합부의 지지면이 후단 지지부의 상면에 수평상으로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KR10-2002-0038837A 2002-07-05 2002-07-05 좌변기 KR100493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837A KR100493738B1 (ko) 2002-07-05 2002-07-05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837A KR100493738B1 (ko) 2002-07-05 2002-07-05 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801A KR20040004801A (ko) 2004-01-16
KR100493738B1 true KR100493738B1 (ko) 2005-06-10

Family

ID=3731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837A KR100493738B1 (ko) 2002-07-05 2002-07-05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0829A1 (zh) * 2015-10-27 2017-05-04 王伟燊 马桶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7319B (en) * 2016-12-06 2020-06-24 Project No 2 Ltd Toilet for use while squatting, components thereof, and processes for its manufacture
KR200485641Y1 (ko) * 2017-05-10 2018-02-28 박훈근 양변기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6945U (ko) * 1978-04-24 1979-10-31
KR920007565Y1 (ko) * 1987-12-29 1992-10-16 대우전자 주식회사 진공소제기의 보조소켓
JPH07286353A (ja) * 1994-04-19 1995-10-31 Masahide Nagahama 洋式便器
KR960013323U (ko) * 1994-10-17 1996-05-17 이태영 등받이가 설치된 양변기
KR19980015317U (ko) * 1996-09-09 1998-06-25 양경석 인체 공학적 좌변기
KR19980034633U (ko) * 1996-12-11 1998-09-15 조광연 좌변기
US6085365A (en) * 1999-06-15 2000-07-11 Chiang; Feng-I Structurally improved toilet
KR200229872Y1 (ko) * 1998-08-27 2001-09-17 양회성 좌변기
KR200232513Y1 (ko) * 2000-12-26 2001-09-26 김철민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
KR200259559Y1 (ko) * 2001-09-25 2002-01-05 신명철 좌변기커버
KR200262726Y1 (ko) * 2001-09-28 2002-03-20 함정호 소변 튐 방지 턱과 홈이 있는 양변기
KR200284724Y1 (ko) * 2002-04-09 2002-08-10 박금순 유선형 등받이를 갖는 좌변기커버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6945U (ko) * 1978-04-24 1979-10-31
KR920007565Y1 (ko) * 1987-12-29 1992-10-16 대우전자 주식회사 진공소제기의 보조소켓
JPH07286353A (ja) * 1994-04-19 1995-10-31 Masahide Nagahama 洋式便器
KR960013323U (ko) * 1994-10-17 1996-05-17 이태영 등받이가 설치된 양변기
KR19980015317U (ko) * 1996-09-09 1998-06-25 양경석 인체 공학적 좌변기
KR19980034633U (ko) * 1996-12-11 1998-09-15 조광연 좌변기
KR200229872Y1 (ko) * 1998-08-27 2001-09-17 양회성 좌변기
US6085365A (en) * 1999-06-15 2000-07-11 Chiang; Feng-I Structurally improved toilet
KR200232513Y1 (ko) * 2000-12-26 2001-09-26 김철민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
KR200259559Y1 (ko) * 2001-09-25 2002-01-05 신명철 좌변기커버
KR200262726Y1 (ko) * 2001-09-28 2002-03-20 함정호 소변 튐 방지 턱과 홈이 있는 양변기
KR200284724Y1 (ko) * 2002-04-09 2002-08-10 박금순 유선형 등받이를 갖는 좌변기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0829A1 (zh) * 2015-10-27 2017-05-04 王伟燊 马桶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801A (ko) 200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75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ecation and urination
US94025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ecation and urination
KR101958901B1 (ko) 장애인용 비데
US6418571B1 (en) Chair with toilet sink
KR100493738B1 (ko) 좌변기
KR200487119Y1 (ko) 양변기용 발받침대
JP7004287B2 (ja) オストメイト及び健常者共用の便座
KR101493875B1 (ko) 좌변기
JP2022046596A (ja) オストメイト及び健常者共用便座
KR101753760B1 (ko) 환자용 변기 조립체
KR101402516B1 (ko) 쾌변용 발 거치대
JP3080133B2 (ja) 便 器
JP2004313512A (ja) 簡易便器
KR200450255Y1 (ko) 등받이 겸용 커버가 구비된 양변기
KR200320368Y1 (ko) 좌변기
US5860169A (en) Stay-dry toilet seat with adjustable hinged support pads
JP4392648B2 (ja) シャワー用車椅子
CN210493934U (zh) 一种多用途马桶脚凳
TWM547359U (zh) 傾斜式馬桶蓋
AU2010358605A1 (en) Anococcygeal support
WO2019156871A1 (en) Apparatus for assisting individuals taking showers
KR200229872Y1 (ko) 좌변기
JP2006043374A (ja) 立ち上り抑制椅子
JP2002282167A (ja) 便 座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