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901B1 - 장애인용 비데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901B1
KR101958901B1 KR1020180041537A KR20180041537A KR101958901B1 KR 101958901 B1 KR101958901 B1 KR 101958901B1 KR 1020180041537 A KR1020180041537 A KR 1020180041537A KR 20180041537 A KR20180041537 A KR 20180041537A KR 101958901 B1 KR101958901 B1 KR 101958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enema
frame
nozzle body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환
황성하
Original Assignee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1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25Devices on which the patient can sit, e.g. mounted on a toilet bowl ; Devices containing liquid pumped by the patient's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6Enemata; Irrigators combined with bid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비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비데 프레임(30); 상기 비데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좌대(22); 상기 좌대(22)의 하부에 배치된 용변 수거통(40); 상기 비데 프레임(30)에 설치된 비데(20);를 포함하며, 상기 비데 프레임(30)은 상기 좌대(2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수거통 프레임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거통 프레임부에 상기 용변 수거통(40)을 걸쳐서 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비데{Bidet for the desabled}
본 발명은 장애인용 비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지 않은 장애인을 배려한 새로운 구성의 장애인용 비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에 설치되는 비데에는 물탱크가 구비되어, 이 물탱크에 내장된 히터에 의해 가열된 따뜻한 온수를 비데노즐을 통해 사용자의 항문에 분사하여 세정하도록 되어 있다. 비데는 인체의 항문과 국부를 세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용변을 본 후에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로 휴지 없이 항문을 세정하는 항문세정과, 상기의 세정수로 국부를 자동으로 세정하는 국부세정과, 세정수가 분사되는 노즐을 연속 반복적으로 전후진시켜 맛사지 효과를 얻도록 하는 맛사시세정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정상인과 달리 장애인의 경우에는 비데가 설치된 화장실까지 가기가 불편한 경우가 많아서 일반적으로 화장실에 설치되는 비데와 달리 장애인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비데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주로 침대에서 생활하는 환자나 장애인의 경우에는 변비에 잘 걸리는 경향이 있어서, 환자나 장애인이 비데를 사용하면서 관장까지 할 수 있으면 바람직할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9332호(2011년10월06일 공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5081호(2010년05월17일 공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지금까지 장애인을 배려한 비데가 거의 전무하다시피한 사정을 고려하여, 정상인이 아닌 장애인이라도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장이앤용 비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데 프레임; 상기 비데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좌대; 상기 좌대의 하부에 배치된 용변 수거통; 상기 비데 프레임에 설치된 비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비데가 제공된다.
상기 비데 프레임은 상기 좌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수거통 프레임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거통 프레임부에 상기 용변 수거통을 걸쳐서 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데 프레임에는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데 프레임의 후방에는 등받이판 프레임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판 프레임은 상기 좌대 위쪽으로 하향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데 프레임은 거치 프레임(3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데에 설치된 관장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장노즐은, 상기 비데에 결합되는 노즐 바디; 상기 노즐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노즐 바디의 기단부와 연통됨과 동시에 노즐 바디의 선단부로 연통된 세정분사로; 상기 세정분사로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노즐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노즐 바디의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연통된 관장분사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 바디의 선단부측 상면에는 상기 세정분사로와 연통된 세정 토출홀이 구비되고, 상기 세정 토출홀과 상기 관장분사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바디의 선단부측 상면으로 연통된 관장 토출홀이 상기 노즐 바디의 선단부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로 침대에서 생활하는 환자나 장애인 등을 위하여 비데를 가져다 주면 환자나 장애인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등에게 아주 유용한 장애인용 비데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관장용 노즐이 설치되어 있어서, 노즐의 구성인 노즐 바디 내부의 관장분사로를 통해 관장용 용수가 일정 압력으로 통과한 다음, 상기 관장 분사홀을 통해서 세정수가 위로 토출되고, 상기 관장 분사홀로 분사되어 나오는 관장용 용수가 배변 중에 배변자의 항문을 통해서 장속으로 들어가고, 장속으로 들어간 관장용 용수에 의해 변이 원활하게 배변되도록 촉진될 수 있는 관장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하며,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는 점을 이해해햐 할 것이며,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의 효과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용 비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애인용 비데에서 좌대와 수거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애인용 비데에서 좌대를 상향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애인용 비데에서 용변 수거통의 통커버를 들어낸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용 비데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용 비데에 설치된 관장노즐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7의 평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측단면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평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구비된 관장노즐의 변형된 실시예의 주요부의 확대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비데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배면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비데의 측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등받이 프레임을 회동시키기 위한 주요부의 분해된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등받이 프레임을 하향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비데에서 등받이 프레임을 하향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비데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팔걸이대를 벌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장애인용 비데에서 팔걸이대의 상하 회동 구조를 구비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팔걸이대의 상하 회둥 구조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5는 도 23에서 주요부인 팔걸이대를 상향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용 비데(20)는 좌대(22)와 비데(20)를 설치하기 위한 비데 프레임(30)과, 상기 비데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좌대(22)와, 상기 좌대(22)의 하부에 배치된 용변 수거통(40)과, 상기 비데 프레임(30)에 설치된 비데(20)를 구비한다.
상기 비데 프레임(30)은 메인 프레임부(32)와 등받이 프레임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부(32)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메인 프레임부(32)에는 상하부로 연통된 수거통 거치홀이 구비된다. 수거통 거치홀의 주위에는 수거통 거치 테두리부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부(32)에는 다리(33L)가 구비된다. 상기 다리(33L)는 메인 프레임부(32)에 구비된 다리 결합보스에 끼워진다. 다리 결합보스에 다리(33L)가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다리(33L)와 메인 프레임부(32)의 다리 결합보스에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다리(33L)가 메인 프레임부(32)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다리(33L)는 메인 프레임부(32)의 전후 좌우 네 군데에 구비된다. 즉, 비데 프레임(30)에 네 개의 다리(33L)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비데(20)는 메인 프레임부(32)의 후방측에 설치된다. 비데(20)에는 좌대(22)의 후방측 양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좌대(22)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비데 프레임(30)은 좌대(2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수거통 프레임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거통 프레임부에 용변 수거통(40)을 걸쳐서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대(22)의 아래쪽에 용변 수거통(40)이 배치된다. 상기 비데(20)의 일측에는 컨트롤부(24)가 설치된다. 컨트롤부(24)는 비데(20)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좌대(22)에 앉아서 용변을 볼 때에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좌대(22)를 비데 프레임(30) 쪽으로 하향 회동시키고, 상기 비데 프레임(30)에 결합된 용변 수거통(40)의 통커버(42)를 들어낼 때에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좌대(22)를 상향 회동시킨다. 그러면, 용변 수거통(40)의 통커버(42)를 들어내고 난 다음,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다시 좌대(22)를 비데 프레임(30)의 메인 프레임부(32) 쪽으로 하향 회동시켜서 좌대(22)에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부(32)에 걸쳐져 있는 용변 수거통(40)으로 용변이 받아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비데 프레임(30)에는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판(36)이 더 구비된다. 비데 프레임(30)의 후방에는 등받이 프레임부(34)가 더 구비되어, 등받이 프레임부(34)에 등받이판(36)이 설치된다. 이때, 등받이 프레임부(34)은 메인 프레임부(32)에 구비된 좌우 양쪽 프레임 결합보스(34BO)에 끼워져서 직립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부(3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보스 삽입 프레임부(34A)와, 상기 보스 삽입 프레임부(34A)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리니어 프레임부(34B)와, 상기 리니어 프레임부(34B)의 선단부에 이어지며 직립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직립 프레임부(34C)와, 상기 한 쌍의 직립 프레임부(34C)를 이어주는 연결 프레임부(34D)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보스 삽입 프레임부(34A)가 상기 비데 프레임(30)의 메인 프레임부(32)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프레임 결합보스(34BO)에 삽입되어, 상기 리니어 프레임부(34B)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직립 프레임부(34C)와 연결 프레임부(34D)는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직립 프레임부(34C)에 등받이판(36)의 양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판(36)이 용변을 보는 사람의 등 부분을 뒤에서 받쳐준다.
이때, 상기 등받이 프레임(34)은 힌지부를 기준으로 좌대(22) 쪽으로 하향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34)에서 한 쌍의 보스 삽입 프레임부(34A)는 베이스 봉부(34AP)와, 상기 베이스 봉부(34AP)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회동봉부(34AR)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봉부(34AR)에 상기 리니어 프레임부(34B)가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봉부(34AR)의 하단부에는 힌지 결합편(34HP)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봉부(34AP)에는 힌지 결합편(34HP)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봉부(34AP)와 회동봉부(34AR)의 힌지 결합편(34HP)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된 힌지핀(34HGP)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 결합편(34HP)과 힌지핀(34HGP)이 상기 힌지부를 구성한다. 상기 보스 삽입 프레임부(34A)가 상기 메인 프레임부(32)에 구비된 프레임 결합보스(FCB)(34BO)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 봉부(34AP)와 힌지부 및 회동봉부(34AR)가 프레임 결합보스(FCB)(34BO)에 모두 들어가서 프레임 결합보스(FCB)(34BO)가 베이스 봉부(34AP)와 회동봉부(34AR)를 잡고 있는 구조가 되어서, 상기 베이스 봉부(34AP)와 회동봉부(34AR)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결합보스(FCB)(34BO)에서 상기 베이스 봉부(34AP)는 프레임 결합보스(FCB)(34BO)에 들어가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힌지부와 회동봉부(34AR)는 프레임 결합보스(FCB)(34BO)에서 위로 나와 있는 상태가 되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봉부(34AR)를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봉부(34AR)의 하단부에 구비된 힌지 결합편(34HP)과 상기 베이스 봉부(34AP)의 일부가 프레임 결합보스(FCB)의 상단부 위쪽으로 나오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회동봉부(34AR)를 하향 회동시키면, 상기 회동봉부(34AR)에 연결된 리니어 프레임부와 직립 프레임부 및 연결 프레임부가 하향 회동된다. 즉,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상기 힌지부를 기준흐오 하향 회동된다. 즉, 상기 회동봉부(34AR)에 연결된 리니어 프레임부(34B)와 직립 프레임부(34C) 및 연결 프레임부(34D)가 좌대(22) 방향으로 하향 회동될 수 있고, 상기 직립 프레임부(34C)에 연결된 등받이판(36)도 좌대(22) 방향으로 하향 회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등받이 프레임부(34)은 좌대(22) 위쪽으로 하향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어도 적어도 침대에서 내려오거나 짐대로 올라갈 수 있는 환자나 장애인의 경우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부(34)과 등받이판(36)을 수평 방향, 다시 말해, 좌대(22) 방향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판(36)에 자신의 둔부를 얹어놓았다가 침대 밖으로 나오거나 침대 안으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침대에서 나오거나 침대로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환자나 장애인이 보다 편리하게 침대에서 나오거나 침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부(34)과 등받이판(36)이 하향 회동되어 보조 시트 기능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높인 것이라 하겠다.
또한, 상기 비데 프레임(30)은 거치 프레임(37)을 더 포함한다. 거치 프레임(37)은 등받이 프레임부(34)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메인 프레임부(32)에 지지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비데 프레임(30)에 설치된 메인 커버(33)를 들어내서 상기 거치 프레임(37)에 걸어놓을 수도 있고, 상기 용변 수거통(40)의 통커버(42)를 들어내서 거치 프레임(37)에 걸어놓을 수 있다. 메인 커버(33)나 통커버(42)를 다른 장소에 놓지 않고 거치 프레임(37)에 걸어놓으면, 용변을 본 다음에 거치 프레임(37)에서 통커버(42)를 다시 꺼내서 용변 수거통(40)을 덮을 수 있고, 메인 커버(33)를 거치 프레임(37)에서 다시 꺼내서 좌대(22)를 덮을 수도 있으므로, 사용시 편리성이 보다 높아지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비데 프레임(30)의 메인 프레임부(32)에는 한 쌍의 팔걸이대(38)가 구비되어, 팔걸이대(38)에 용변자가 양쪽 팔을 얹어놓고 편하게 용변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부(32)에는 거치 프레임(37)과 등받이 프레임(30) 사이에 배치되도록 물통 프레임(39)이 더 구비되어, 물통 프레임(39)에 비데(20) 사용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물통(WB)이 거치된다. 물통(WB)을 물통 프레임(39)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서, 물통(WB)을 갈아 끼울 때에 보다 편리하다. 물통(WB) 교체시의 편의성을 더 높여준 것이라 하겠다.
한편, 본 발명의 장애인용 비데는 관장노즐을 더 포함한다. 상기 관장노즐은 비데에 결합되는 좌변기에 설치되는 비데에 구비된 일자형 노즐 바디(10)의 내부에 분사로(112)와 관장분사로(114)를 갖도록 구성된다. 미도시된 쾌변 분사로도 노즐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노즐 바디(10)는 비데에 결합된다. 일반적인 노즐처럼 비데에서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노즐 바디(10) 내부에 구비된 분사로(112)는 기단부와 연통됨과 동시에 노즐 바디(10)의 선단부로 연통된다. 분사로(112)는 노즐 바디(10)의 기단부에서 선단부까지 길게 이어진 통로이다. 상기 분사로(112)의 내부로 일정 압력의 물이 통과한다.
상기 노즐 바디(10)의 내부에 관장분사로(114)가 구비된다. 관장분사로(114)는 분사로(112)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노즐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다. 분사로(112)의 옆쪽에 관장분사로(114)가 구비된다. 관장분사로(114)는 노즐 바디(10)의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연통된다. 관장분사로(114) 역시 노즐 바디(10)의 기단부에서 선단부까지 길게 이어진 통로이다. 상기 관장분사로(114)의 내부로 일정 압력의 관장용 물이 통과한다.
상기 노즐 바디(10)의 선단부측 상면에는 비데토출홀(112H)이 구비된다. 비데토출홀(112H)은 분사로(112)와 연통된다. 즉, 상기 비데토출홀(112H)은 분사로(112)의 앞쪽에 배치되도록 노즐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연결챔버(112CH)와 연통된다. 분사로(112)를 통과한 일정 압력의 용수가 비데토출홀(112H)을 통해 분사된다.
상기 비데토출홀(112H)과 관장분사로(114) 사이에 관장토출홀(116H)이 구비된다. 노즐 바디(10)의 선단부측에 관장토출홀(116H)이 구비된다. 상기 비데토출홀(112H)과 관장분사로(114) 사이에 배치되어 노즐 바디(10)의 선단부측 상면으로 연통된 관장토출홀(116H)이 노즐 바디(10)의 선단부측에 구비된 것이다. 이때, 상기 관장토출홀(116H)은 노즐 바디(10)의 저면에서 상면 쪽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고, 상기 관장 노즐홀과 관장분사로(114) 사이에는 관장 연결챔버(116)가 구비된다. 상기 관장 연결챔버(116)는 관장분사로(114)와 연통된 리어 관장 연결챔버(116A)와, 이러한 리어 관장 연결챔버(116A)에 연결됨과 동시에 관장토출홀(116H)과 연통된 프론트 관장 연결챔버(116B)로 구성된다. 또한, 리어 관장 연결챔버(116A)와 프론트 관장 연결챔버(116B) 사이에는 경사진 관장 가이드면이 구비된다. 상기 노즐 바디(10)에 구비된 노즐캡(12)의 내부에 관장토출홀(116H)을 구비한 관장홀 보스(116BO)가 구비되고, 상기 관장홀 보스(116BO)는 노즐캡(12)의 구성인 캡상판(12B)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관장홀 보스(116BO)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세정토출홀(116SH)이 구비된다. 세정토출홀(116SH)은 노즐캡(12)에 의해 형성된 연결챔버(112CH)와 연통되고, 연결챔버(112CH)는 분사로(112)와 연통되므로, 상기 연결챔버(112CH)를 통해서 세정토출홀(116SH)과 분사로(112)가 서로 연결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상기 비데토출홀(112H)은 노즐 바디(10)의 상면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캡바디(12A)의 구성인 캡상판(12B)에 비데토출홀(112H)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세정토출홀로 여러 갈래의 세정수가 토출된다. 이때, 상기 비데토출홀(112H)은 노즐 바디(10)의 수직 방향으로 상향 연장된다. 노즐 바디(10)의 상하면을 잇는 방향을 수직 방향이라 하면, 상기 비데토출홀(112H)이 수직 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것이다.
상기 연결챔버(112CH)의 직경은 분사로(112)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노즐 바디(10)를 기준으로 분사로(112) 앞쪽에 연결챔버(112CH)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챔버(112CH)의 직경이 분사로(112)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노즐 바디(10)의 전방에는 노즐 바디캡(1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노즐 바디캡(12)의 선단부가 노즐 바디(10)의 선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노즐 바디(10)의 선단부측 상면에 분사로(112)와 연통된 비데토출홀(112H)이 구비된다. 비데토출홀(112H)이 연결챔버(112CH)를 통해서 분사로(112)와 연결된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노즐 바디(10)에 노즐 바디캡(12)이 결합된다. 상기 노즐 바디캡(12)은 캡바디(12A)와 캡상판(12B)을 포함한다.
상기 캡바디(12A)는 노즐 바디(10)의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노즐 바디(10)의 전단부측 외주면에 돌기홈이 형성되고, 캡바디(12A)의 내주면에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돌기홈에 결합됨으로써 캡바디(12A)가 노즐 바디(10)의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캡상판(12B)은 캡바디(12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노즐 바디(10)의 선단부측 상면을 형성한다. 상기 캡바디(12A)에는 내부의 연결챔버(112CH)에서 상면으로 개방된 판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판결합홀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상기 캡상판(12B)의 저면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갭상판이 캡바디(12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캡바디(12A)가 노즐 바디(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노즐캡(12)이 노즐 바디(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가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비데 사용자가 비데 모드를 선택하면, 노즐 바디(10) 내부의 분사로(112)를 통해 비데 용수가 일정 압력으로 통과한 다음, 상기 비데토출홀(112H)을 통해서 위로 토출된다.
따라서, 분사로(112)에서 분사되는 용수가 비데 사용자의 항문에 분사하기 때문에, 비데 사용자의 항문을 씻어낸다.
한편, 비데 사용자가 관장모드를 선택하면, 노즐 바디(10) 내부의 관장분사로(114)를 통해 관장용 용수가 일정 압력으로 통과한 다음, 상기 관장토출홀(116H)을 통해서 관장 용수가 위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관장토출홀(116SH)로 분사되어 나오는 관장용 용수가 배변 중에 배변자의 항문을 통해서 장속으로 들어가고, 장속으로 들어간 관장용 용수에 의해 변이 원활하게 배변되도록 촉진될 수 있는 관장 기능을 하게 되므로, 변비에 걸린 사람이 사용하면 변비 해소에도 도움이 되고 기타 다른 질병에 의해 변이 잘 안나오는 사람도 관장 기능에 의해 변을 잘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관장토출홀(116H)이 내부에 형성된 관장홀 보스(116BO)의 일부가 노즐 바디(10)의 상면(정확하게는 캡상판(12B)의 상면)보다 더 위로 돌출된 보스 돌출부(116BOP)가 형성되어 있어서, 관장용 용수가 더 길게 일정 압력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배변 중에 배변자의 장속으로 관장용 용수가 더 잘 들어가게 된다. 관장이 더 촉진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장홀 보스(116BO)의 주위에는 세정토출홀(116SH)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세정토출홀(116SH)을 통해서 분수처럼 토출되어 나오는 세정수에 의해 배변자의 항문 주위를 세정 및 맛사지하는 효과도 있으며, 배변중에 배변자의 항문 주위를 맛사지함으로 인하여 더 편한한 배변감을 느낄 수 있으면서도 맛사지로 인하여 항문 주위의 근육이 이완된 상태가 되어서 관장용 용수가 항문을 통하여 장속으로 더 잘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맛사지 효과와 더불어 관장 효율을 더 높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바디(10) 내부의 관장 연결챔버(116)는 리어 관장 연결챔버(116A)와 프론트 관장 연결챔버(116)로 구성되는데, 리어 관장 연결챔버(116A)의 내경이 관장분사로(114)의 내경보다 더 크고, 프론트 관장 연결챔버(116B)의 내경은 리어 관장 연결챔버(116A)의 내경보다 더 작아서, 상기 관장분사로(114)에서 일정 압력으로 흐르는 관장용 용수가 리어 관장 연결챔버(116A)로 들어와서 압력이 낮춰졌다가 다시 프론트 관장 연결챔버(116B)로 들어와서 다시 압력이 높아지는 추력을 받게 되므로, 상기 관장토출홀(116SH)을 통해서 토출되어 나오는 관장용 용수의 압력이 배변중에 배변자의 장속으로 충분히 도달할 수 있을 정도로 높아지게 되므로, 관장용 용수가 장속으로 들어가서 관장 기능을 발휘하는데 더 확실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리어 관장 연결챔버(116A)와 프론트 관장 연결챔버(116B) 사이에는 관장토출홀(116H) 쪽으로 경사진 관장 가이드면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리어 관장 연결챔버(116A)에서 프론트 관장 연결챔버(116B)로 관장용 용수가 넘어갈 때에 충돌로 인한 와류 현상을 방지하여 관장용 용수의 압력이 낮아지거나 관장용 용수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관장 가이드면도 관장토출홀(116H)을 통해서 충분한 관장 압력으로 관장용 용수가 토출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관장 가이드면(EF)은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장 가이드편(EF)이 곡면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리어 관장 연결챔버(116A)에서 넘어 들어오는 관장용 용수가 곡면 형태의 관장 가이드면(EF)을 타고 더 부드럽게 프론트 관장 연결챔버(116B)로 넘어와서 충돌에 의한 관장용 용수의 와류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므로, 와류에 의한 관장용 용수의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프론트 관장 연결챔버(116B)로 들어와 있던 관장용 용수의 일부가 프론트 관장 연결챔버(116B)의 선단부에 부딪혔다가 회귀될 때에 생긴 압력이 상기 리어 관장 연결챔버(116B)로 들어오는 관장용 용수의 압력과 합쳐져서 압력이 더 높아지게 되고, 이러한 더 높아진 압력의 관장용 용수가 관장토출홀 쪽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관장을 위한 용수가 더 높은 압력으로 토출되면서 배변자의 장 속으로 더 확실하게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배변자의 관장 효과를 더 높여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리(33L)에 휘일35)이 달려있다. 휘일(35)이 달려 있어서, 본 발명의 장애인용 비데를 원하는 장소에 더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팔걸이대(38)가 좌우 회동 및 상하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팔걸이대(38)의 하부에는 회동 연결편(138)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 연결편(138)에는 스톱핑면(138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비데 프레임(32)에는 베이스 회동 지지편(148)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회동 지지편(148)에는 콘택트 스톱핑면(148A)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 연결편(138)의 하단부에는 로테이션 샤프트(138SR)가 구비되고,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138SR)는 베이스 회동 지지편(148)에 형성된 샤프트 결합홀(148SH)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 연결편(138)이 베이스 회동 지지편(14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팔걸이대(38)가 베이스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기 회동 연결편(138)의 스톱핑면(138A)은 로테이션 샤프트(138SR)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스톱핑면(138AF)과 제2스톱핑면(138AS)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회동 지지편(148)의 콘택트 스톱핑면(148A)은 샤프트 결합홀(148SH)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콘택트 스톱핑면(148AF)과 제2콘택트 스톱핑면(148AS)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 연결편(138)의 스톱핑면(138A)과 베이스 회동 지지편(148)의 콘택트 스톱핑면(148A) 사이에는 일정 각도 벌어진 회동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상기 로테이션 사프트와 샤프트 결합홀(148SH)을 기준으로 회동 연결편(138)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제2스톱핑면(138AS)과 제2콘택트 스톱핑면(148AS) 사이에 일정 각도 벌어진 회동 스페이스가 확보되는 한편, 상기 제1스톱핑면(138AF)과 제1콘택트 스톱핑면(148AF)은 서로 접촉되어 걸려진 상태가 되고, 상기 로테이션 사프트와 샤프트 결합홀(148SH)을 기준으로 회동 연결편(138)이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제1스톱핑면(138AF)과 제1콘택트 스톱핑면(148AF) 사이에 일정 각도 벌어진 회동 스페이스가 확보되는 한편, 상기 제2스톱핑면(138AS)과 제2콘택트 스톱핑면(148AS)은 서로 접촉되어 걸려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회동 연결편(138)이 베이스 회동 지지편(148)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회동 연결편(138)과 베이스 회동 지지편(148)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힌지홀에 힌지핀(134HGP)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 연결편(138)과 베이스 회동 지지편(148)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힌지부를 형성한다. 상기 힌지부를 매개로 팔걸이대(38)가 비데 프레임(32)에 연결된 구조가 된다.
따라서, 상기 팔걸이대(38)를 비데 프레임(32)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하 방향으로도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비데 프레임(32)에 구비된 좌대에 사람이 앉아서 용변을 볼 때에는 상기 팔걸이대(38)를 비데 프레임(32)의 전후단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는 용변자가 자신의 팔을 팔걸이대(38) 위에 올려놓게 되는 한편, 상기 팔걸이대(38)의 하부에 구비된 회동 연결편(138)의 제2스톱핑면(138AS)과 제2콘택트 스톱핑면(148AS) 사이에 일정 각도 벌어진 회동 스페이스가 확보됨과 동시에 상기 제1스톱핑면(138AF)과 제1콘택트 스톱핑면(148AF)은 서로 접촉되어 걸려진 상태가 된다. 상기 팔걸이대(38)가 용변 도중에 비데 프레임(3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양쪽 팔걸이대(38)가 비대 프레임의 좌우측단부에서 안쪽으로 너무 과도하게 수평 회동되는 경우가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용변자가 좌대에 앉아서 용변을 다 본 다음에는 상기 양쪽 팔걸이대(38)를 벌어지도록 수평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팔걸이대(38)가 용변 도중에 비데 프레임(3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용변자가 양쪽 팔걸이대(38)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면,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138SR)와 샤프트 결합홀(148SH)을 기준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팔걸이대(38)의 하부에 구비된 회동 연결편(138)이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제1스톱핑면(138AF)과 제1콘택트 스톱핑면(148AF) 사이에 일정 각도 벌어진 회동 스페이스가 확보되는 한편, 상기 제2스톱핑면(138AS)과 제2콘택트 스톱핑면(148AS)은 서로 접촉되어 걸려진 상태가 되므로, 상기 양쪽 팔걸이대(38)가 비데 프레임(32)의 전후단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일정 각도 더 벌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용변을 다 본 사람이 좌대에서 일어날 때에 팔걸이대(38)에 걸리는 경우가 없어서 용변을 보기가 더 편리하고, 한편으로 좌우 양쪽의 팔걸이대(38)들이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 용변자가 양쪽의 벌어진 팔걸이대(38)에 걸리는 일이 없어 양쪽 벌어진 팔걸이대(38) 사이로 진입하여 좌대에 앉을 수 있으므로, 용변을 보기 위해 좌대에 앉을 때에도 더 편리하다.
또한, 상기 회동 연결편(138)의 상단부에는 팔걸이대 연장부(138EXT)가 구비되고, 상기 팔걸이대 연장부에는 팔걸이대 연결편 결합홈(138CPG)이 구비되고, 팔걸이대 중에서 회동 팔걸이부(138HOR)의 기단부에는 팔걸이대 연결편(138CPP)이 구비되어, 상기 팔걸이대 연결편(138CPP)가 팔걸이대 연결편 결합홈(138CPG)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팔걸이대 연결편(138CPP)과 팔걸이대 연결편 결합홈(138CPG)에 동시에 형성된 힌지홀을 힌지핀(138HPP)이 결합된다.
상기 힌지홀과 힌지핀(138HPP)이 팔걸이대(38)와 회동 연결편(138)을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가 된다. 즉, 상기 힌지홀과 힌지핀(138HPP)이 팔걸이대(38)의 수평 팔걸이부와 회동 연결편(138)의 팔걸이대 연장부(138EXT)를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팔걸이대(38)를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는 팔걸이대 연결편(138CPP)이 회동 연결편(138)의 팔걸이대 연결편 결합홈(138CPG)에 구비된 수평 걸림부에 걸리게 되어서 팔걸이대(38)가 수평 방향으로 하향 회동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상기 양쪽 걸이대에 용변자가 양팔을 올려놓고 용변을 볼 수 있고, 상기 팔걸이대(38)를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용변자가 좌대에 앉을 수 있어서 용변을 보기 위해 좌대에 앉을 때에 보다 편리한 효과가 있다. 물론, 상기 좌대에 용변자가 앉은 다음에는 위로 회동되어 있는 양쪽 팔걸이대(38)를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켜서 양쪽 팔걸이대(38)에 양판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노즐 바디 20. 비데
22. 좌대 24. 컨트롤부
30. 비데 프레임 32. 메인 프레임부
33. 메인 커버 33L. 다리
34. 등받이 프레임부 34A. 보스 삽입 프레임부
34B. 리니어 프레임부 34C. 직립 프레임부
34D. 연결 프레임부 36. 등받이판
37. 거치 프레임 38. 팔걸이대
39. 물통 프레임 40. 용변 수거통
42. 통커버 10. 노즐 바디
12. 노즐캡 112. 세정분사로
112H. 세정 토출홀 114. 관장분사로
114H. 관장 토출홀

Claims (10)

  1. 비데 프레임(30);
    상기 비데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좌대(22);
    상기 좌대(22)의 하부에 배치된 용변 수거통(40);
    상기 비데 프레임(30)에 설치된 비데(20);
    상기 비데(20)에 결합된 노즐 바디(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노즐 바디(10)의 내부에 세정분사로(112)와 관장분사로(114)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 바디(10)에 구비된 노즐캡(12)의 내부에 관장토출홀(116H)을 구비한 관장홀 보스(116BO)가 구비되고, 상기 관장홀 보스(116BO)는 상기 노즐캡(12)을 구성하는 캡상판(12B)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되어 보스 돌출부(116BOP)가 형성되고,
    상기 관장토출홀(116H)은 상기 노즐 바디(10)의 저면에서 상면 쪽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고,
    상기 관장홀 보스(116BO)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세정토출홀(116SH)이 구비되고, 상기 세정토출홀(116SH)은 상기 노즐캡(12)에 의해 형성된 연결챔버(112CH)와 연통되고, 상기 연결챔버(112CH)는 상기 세정분사로(112)와 연통되어, 상기 연결챔버(112CH)를 통해서 상기 세정토출홀(116SH)과 상기 세정분사로(112)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비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데 프레임(30)은 상기 좌대(2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수거통 프레임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거통 프레임부에 상기 용변 수거통(40)을 걸쳐서 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비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데 프레임(30)에는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판(3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비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10)의 선단부측 상면에는 상기 세정분사로(112)와 연통된 세정 토출홀(112H)이 구비되고, 상기 세정 토출홀(112H)과 상기 관장분사로(11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바디(10)의 선단부측 상면으로 연통된 관장 토출홀(116H)이 상기 노즐 바디(10)의 선단부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비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10)의 전방에는 노즐 바디캡(1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노즐 바디캡(12)의 선단부가 상기 노즐 바디(10)의 선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노즐 바디(10)의 선단부측 상면에 상기 세정분사로(112)와 연통된 세정 토출홀(112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비데.
KR1020180041537A 2018-04-10 2018-04-10 장애인용 비데 KR101958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537A KR101958901B1 (ko) 2018-04-10 2018-04-10 장애인용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537A KR101958901B1 (ko) 2018-04-10 2018-04-10 장애인용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901B1 true KR101958901B1 (ko) 2019-07-02

Family

ID=6725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537A KR101958901B1 (ko) 2018-04-10 2018-04-10 장애인용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9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5365A (zh) * 2020-01-19 2020-05-12 黄灿 一种用于妇科护理的冲洗装置
CN111359044A (zh) * 2020-03-16 2020-07-03 吉林大学 对患者病灶部位冲洗的泌尿外科护理用冲洗装置
CN111395481A (zh) * 2020-04-24 2020-07-10 李美臻 机械手伺卫程控式全自动高级坐便椅
KR102372559B1 (ko) 2021-11-01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화장실 대변기용 스마트 덮개 개폐장치
KR102372562B1 (ko) 2021-11-01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화장실 대변기 커버 개폐를 위한 스마트 등받이
CN117205395A (zh) * 2023-11-07 2023-12-12 山东威阳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清肠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081U (ko) 2008-11-07 2010-05-17 김덕모 비데 및 변기
KR20110003446U (ko) * 2009-09-30 2011-04-06 박경숙 비데를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KR20110109332A (ko) 2010-03-31 2011-10-06 심재우 여성과 장애인을 위한 커버 안전장치가 구비된 비데
KR20120120839A (ko) * 2011-04-25 2012-11-02 (주) 아이젠 비데의 노즐몸체에 형성된 관장유로의 와류방지구조
KR101643368B1 (ko) * 2015-12-21 2016-07-28 (주) 아이젠 비데의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081U (ko) 2008-11-07 2010-05-17 김덕모 비데 및 변기
KR20110003446U (ko) * 2009-09-30 2011-04-06 박경숙 비데를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KR20110109332A (ko) 2010-03-31 2011-10-06 심재우 여성과 장애인을 위한 커버 안전장치가 구비된 비데
KR20120120839A (ko) * 2011-04-25 2012-11-02 (주) 아이젠 비데의 노즐몸체에 형성된 관장유로의 와류방지구조
KR101643368B1 (ko) * 2015-12-21 2016-07-28 (주) 아이젠 비데의 분사노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5365A (zh) * 2020-01-19 2020-05-12 黄灿 一种用于妇科护理的冲洗装置
CN111359044A (zh) * 2020-03-16 2020-07-03 吉林大学 对患者病灶部位冲洗的泌尿外科护理用冲洗装置
CN111395481A (zh) * 2020-04-24 2020-07-10 李美臻 机械手伺卫程控式全自动高级坐便椅
KR102372559B1 (ko) 2021-11-01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화장실 대변기용 스마트 덮개 개폐장치
KR102372562B1 (ko) 2021-11-01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화장실 대변기 커버 개폐를 위한 스마트 등받이
CN117205395A (zh) * 2023-11-07 2023-12-12 山东威阳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清肠器
CN117205395B (zh) * 2023-11-07 2024-01-26 山东威阳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清肠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901B1 (ko) 장애인용 비데
KR101908213B1 (ko)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KR20070032763A (ko)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CA3045100C (en) Toilet having a bidet shower
KR101750065B1 (ko) 실내에서 노약자 및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
JP6898788B2 (ja) シャワー機能付き椅子およびシャワー設備
US7454801B1 (en) Commodes with user's upper-body support
JP4606914B2 (ja) フットバス用椅子
JP3670352B2 (ja) 浴用椅子
CN210055860U (zh) 一种用于马桶的扶手
KR200491817Y1 (ko)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이동식 배변유도 변기
KR102307381B1 (ko) 유아용 샴푸 의자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200425324Y1 (ko) 욕실 부착형 접이식 의자
KR20100003781U (ko)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KR200494548Y1 (ko)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KR102518356B1 (ko) 접이식 목욕의자
KR200362686Y1 (ko) 좌변기용 의자
CN217219532U (zh) 一种痔疮术后护理用保温坐浴椅子
CN213250665U (zh) 一种用于具有排便功能生活用床的托框上的便桶
JP2022038521A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20110009274U (ko) 유아용 다용도 욕조
KR200306659Y1 (ko) 좌변기용 보조의자
KR101939344B1 (ko) 환자용 휠체어
CN106923728B (zh) 蹲坐两用式马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