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548Y1 -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548Y1
KR200494548Y1 KR2020210001378U KR20210001378U KR200494548Y1 KR 200494548 Y1 KR200494548 Y1 KR 200494548Y1 KR 2020210001378 U KR2020210001378 U KR 2020210001378U KR 20210001378 U KR20210001378 U KR 20210001378U KR 200494548 Y1 KR200494548 Y1 KR 200494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onnecting
toilet
footrest
toilet seat
support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현
Original Assignee
유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현 filed Critical 유재현
Priority to KR2020210001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5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2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1,2,3,4받침다리 전후면 사이에 수평연결대로서 제1,2받침다리는 수직이 유지되고, 제3,4받침다리는 경사지게 조립되어 안정되게 받쳐지 되었으며, 제1,2받침다리의 전면 사이에 마감수평연결판을 마감 조립하여 후면이 개방되게 조립하고, 제1,3받침다리 및 제2,4받침다리, 수평연결판 상부에 발받침연결대를 조립한 다음, 양변기의 외주면에 안정되게 위치시켜 발받침연결대의 미끄럼방지요홈 또는 지압돌기에 양발을 올려놓고 양변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발받침연결대에 쪼그리고 앉아 좌변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Footrest for both toilet seat and toilet seat}
본 고안은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제1,2,3,4받침다리 전후면 사이에 수평연결대로서 제1,2받침다리는 수직이 유지되고, 제3,4받침다리는 경사지게 조립되며, 제1,2받침다리의 전면 사이에 마감수평연결판을 마감 조립하여 후면이 개방되게 조립한 다음, 제1,3받침다리 및 제2,4받침다리, 수평연결판 상부에 발받침연결대를 조립하고, 양변기의 외주면에 위치시켜 발받침 및 좌변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가정이나 각종 공공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되는 물품으로서 의자와 같이 편안한 앉은 자세에서 용변을 보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양변기는 쾌변을 위하여는 바람직하지 못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종래 쪼그리고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재래식 화장실은 무릎관절에 좋지 않고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건강에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쾌변을 유도하는 데는 양변기보다 더 유리한 게 사실이다.
또한, 이러한 양변기는 대부분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되어 어린이나, 다리가 짧은 성인은 양변기를 사용하기에는 그 높이로 인하여 상당한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으로 해소하기 위한 양변기의 선행기술에는 공개특허 10-2012-0030804호(발명의 명칭 : 발 받침이 구비된 양변기), 등록실용신안 20-0487119호(고안의 명칭 : 양변기용 발 받침대) 및 등록실용신안 20-0434792호(고안의 명칭 : 양변기용 발 받침대)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발받침이 구비된 양변기는, 기존의 양변기도기 위에서도 쪼그리고 앉는 배변자세를 가장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만들어 주는 쪼그리고 앉는 양변기좌석과 발높이 조절 발받침으로 구성함으로서 배변활동시 최적의 쪼그리고 앉는 자세를 취할수 있어 치골직장근이 최대한 이완되고 항문직장각(anorectal angle)이 최대한 펴지게 되어 원활하고 완벽한 배변활동을 돕게 된다. 또한, 항문직장이 수직에 가깝게 펴짐에 따라 배변활동시 힘을 줄 때 항문주변에 가해지는 항문압력을 낮추어 주어 변비, 치질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주게 되고, 엉덩이를 좌석에 올려놓고 발은 발받침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쪼그리고 앉는 배변자세를 취하게 됨에 따라 체중이 엉덩이 주변과 발에 골고루 분산되어 허벅지, 종아리에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저리는 현상과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에 무리한 압박을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 많은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발높이 조절받침이 양변기의 전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양발을 올려놓고 양변기에 앉아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좌변기 용도로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선행기술의 양변기용 발 받침대는 의자높이를 가지며 상단에는 평평한 시트부가 마련되어 있는 상부 개방형 양변기본체의 하부에 끼워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변기 본체에 착좌한 사용자의 발이 지면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받쳐질 수 있도록 평면상 "∩"의 형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양변기본체의 전방에서 밀어 끼울 수 있는 받침대본체;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본체의 상면에 마련되고, 선단부는 손가락으로 걸어 발받침대를 잡아뺄 수 있고, 신체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디딤판을 포함하되, 상기 디딤판은 발받침대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발목이 심하게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을 향하여 5~15°의 각도(A)로 하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양변기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그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받침대가 제공되고, 양변기용 발받침대에 의해 쾌변을 유도할 수 있는 배변자세로 배변을 할 수 있게 되어 변비를 앓고 있는 사용자를 포함하여 일반 사용자도 쉽게 배변을 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발받침대가 일체로 제작 형성되어 양변기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고, 사용후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바닥면에 전체가 접촉됨에 따라 욕실의 특성상 물에 젖어 물기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을 갖는 것이다.
공개특허 10-2012-0030804호(2012.03.29.) 등록실용신안 20-0487119호(2018.08.01.)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1,2,3,4받침다리 전후면 사이에 수평연결대로서 제1,2받침다리는 수직이 유지되고, 제3,4받침다리는 경사지게 조립되며, 제1,2받침다리의 전면 사이에 마감수평연결판을 마감 조립하여 후면이 개방되게 조립하고, 제1,3받침다리 및 제2,4받침다리, 수평연결판 상부에 발받침연결대를 조립한 다음, 양변기의 외주면에 위치시켜 발받침연결대에 양발을 올려놓고 양변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발받침연결대에 쪼그리고 앉아 좌변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마감수평연결판의 중앙을 절단하여 분리 형성되는 제1,2마감수평제연결판의 전면 사이에 힌지부재를 설치하여, 제1,2마감수평연결판을 외측으로 접고 펼치도록 구성함에 따라 양변기 외주면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은 직사각의 제1,2,3,4받침다리 전후면 상부와 제1,2받침다리 좌우측면에 대응되게 관통 형성되는 상,하부조립공과; 전면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후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수평연결대와, 수평연결대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2받침다리의 상부조립공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전면수직돌부와, 후면의 경사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3,4받침다리의 상부조립공에 조립되는 후면경사돌부로 이루어진 수평연결부재와; 상기 제1,2받침다리의 하부조립공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돌부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 영역에 만곡요홈이 형성되며, 만곡요홈 양단에 걸림단이 형성되는 마감수평연결판과; 상기 제1,3받침다리 및 제2,4받침다리, 수평연결부재, 마감수평연결판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받침연결대로 이루어지고, 후면 영역이 개방되어 양변기의 외주면에 위치시켜 발받침 및 좌변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1,2,3,4받침다리 전후면 사이에 수평연결대로서 제1,2받침다리는 수직이 유지되고, 제3,4받침다리는 경사지게 조립되어 안정되게 받쳐지 게 되었으며, 제1,2받침다리의 전면 사이에 마감수평연결판을 마감 조립하여 후면이 개방되게 조립하고, 제1,3받침다리 및 제2,4받침다리, 수평연결판 상부에 발받침연결대를 조립한 다음, 양변기의 외주면에 안정되게 위치시켜 발받침연결대의 미끄럼방지요홈 또는 지압돌기에 양발을 올려놓고 양변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발받침연결대에 쪼그리고 앉아 좌변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게 되었으며, 또한 마감수평연결판의 중앙을 절단하여 제1,2마감수평제연결판으로 분리 형성한 다음, 제1,2마감수평연결판 전면 사이에 힌지부재를 설치하여, 제1,2마감수평연결판을 외측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양변기 외주면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효과와 전체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사용후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의 사용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는 직사각을 유지하여 동일 길이 및 크기로 이루어진 제1,2,3,4받침다리(1)(2)(3)(4)와; 제1,2,3,4받침다리(1)(2)(3)(4) 전후면 상부에 대응되게 관통 형성되고, 제1,2받침다리(1)(2) 좌우측면에 대응되게 관통 형성되는 상부조립공(5a) 및 하부조립공(5b)과; 제1,2,3,4받침다리(1)(2)(3)(4)의 상부조립공(5a)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수평연결부재(10)와; 제1,2받침다리(1)(2)의 하부조립공(5b)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마감수평연결판(20)과; 제1,3받침다리(1)(3) 및 제2,4받침다리(2)(4), 수평연결부재(10), 마감수평연결판(20)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받침연결대(30)로 이루어지고, 후면 영역이 개방되어 양변기(40)의 외주면에 위치시켜 발받침 및 좌변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연결부재(10)는 전면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후면에 경사면(13a)이 형성되는 수평연결대(11)(12)와; 수평연결대(11)(12)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2받침다리(1)(2)의 상부조립공(5a)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전면수직돌부(14)와; 후면의 경사면(13a)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3,4받침다리(3)(4)의 상부조립공(5a)에 조립되는 후면경사돌부(15)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3,4받침다리(3)(4)는 수평연결대(11)(12) 후면의 경사면(13a) 각도만큼 경사지게 조립되어 안정되게 받치게 된다.
상기 마감수평연결판(20)은 양단에 제1,2받침다리(1)(2)의 하부조립공(5b)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돌부(22)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 영역에 만곡요홈(23)이 형성되며, 만곡요홈(23) 양단에 걸림단(24)이 형성된다.
상기 발받침연결대(30)는 하부에 제1,3받침다리(1)(3) 및 제2,4받침다리(2)(4), 수평연결판(11)(12)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직선조립요홈(32a)이 형성되는 직선마감부(32)와; 직선마감부(32)의 전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마감수평연결판(20)의 안착단(24)에 걸려 안착되는 곡면돌출부(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직선마감부(32)와 곡면돌출부(34) 상부에는 반원형을 유지하여 미끄럼방지요홈(36)이 형성되고,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지압돌기(37)가 돌출 형성되어 지압 효과를 갖도록 하였다.
또한, 수평연결대(11)(12) 및 마감수평연결판(20) 사이의 전면 모서리에 삼각보강대(50)가 체결 고정되어 강도가 보강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의 마감수평연결판(20)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감수평연결판(20)은 만곡요홈(23)의 중앙 영역을 절단하여 제1,2마감수평연결판(60)(61)으로 분리 형성한 다음, 제1,2마감수평연결판(60)(61) 전면에 사각요홈(62)을 대응되게 각각 형성하고, 사각요홈(62)에 사이에 힌지부재(63)를 설치하여, 힌지부재(63)를 중심으로 제1,2마감수평연결판(60)(61)을 외측으로 접고 펼쳐 양변기(40) 외주면에 안착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의 조립 및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서와 같이, 직사각을 유지하여 동일 길이 및 크기로 제1,2,3,4받침다리(1)(2)(3)(4)를 각각 제작한 다음, 제1,2받침다리(1)(2) 전면의 상부조립공(5a)에 수평연결대(11)(12)의 전면수직돌부(14)를 조립하고, 수평연결대(11)(12) 후면의 경사면(13a)에 형성되는 후면경사돌부(15)를 제3,4받침다리(3)(4)의 상부조립공(5a) 사이에 조립하게 된다.
그러면, 도 4에서와 같이 제1,2받침다리(1)(2)는 수평연결대(11)(12)의 전면에 수직으로 조립되고, 제3,4받침다리(3)(4)는 수평연결대(11)(12) 후면의 경사면(13a) 각도만큼 경사지게 조립된다.
그 다음으로 제1,2받침다리(1)(2) 사이의 하부조립공(5b)에 마감수평연판(20) 양단의 조립돌부(22)를 결합시켜 제1,2받침다리(1)(2)의 전면을 마감하게 되어 후면이 개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3받침다리(1)(3) 및 제2,4받침다리(2)(4), 수평연결대(11)(12) 상부에 발받침연결대(30)를 구성하는 직선마감부(32) 하부의 직선조립요홈(32a)을 조립하면, 직선마감부(32)의 전면 양측의 곡면돌출부(34) 하부가 마감수평연결판(20)의 안착단(24)에 걸려 안착된다.
그 다음으로 수평연결대(11)(12) 및 마감수평연결판(20) 사이의 전면 모서리에 삼각보강대(50)를 스크류로서 체결 고정하면 후방이 개방된 좌변기 및 발받침대에 대한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후방이 개방된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양변기(40)의 전면으로부터 개방된 좌변기 및 발받침대의 후방을 서서 밀어 넣으면서 내부에, 양변기의 하부 외주면을 서서히 밀착시키면 양변기의 외주면에 좌변기 및 발받침대가 위치되어, 제1,2받침다리(1)(2) 및 제3,4받침다리(3)(4)에 의해 높이가 유지된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가 양변기에 앉아 볼일을 보면서 양발을 마감수평연결대(30)의 직선마감부(32)와 곡면돌출부(34) 상부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요홈(36)에 올려 놓고 웅크린 자세를 유지하여 쾌변의 기쁨을 누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마감수평연결대(30)의 직선마감부(32)와 곡면돌출부(34) 상부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요홈(36)에 양발을 직접 올려놓고 스퀘트 자세로 쭈그려 앉아 쾌변을 볼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어린이일 경우에는 양변기(40) 상부에 어린이용 변기 패드를 올려놓고 어린이가 양발을 미끄럼방지요홈(36)에 편안하게 받치고 용변을 볼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직선마감부(32)와 곡면돌출부(34)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지압돌기(37)에 의해 사용자의 발바닥(용천혈)을 자극하면 몇배의 효과를 얻을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의 마감수평연결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마감수평연결편(20)을 제1,2마감수평연결편(60)(61)으로 분리 형성한 다음, 제1,2마감수평연결편(60)(61)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사각요홈(62)에, 힌지부재(63)를 설치하여, 힌지부재(63)를 중심으로 제1,2마감수평연결편(60)(61)을 외측으로 접고 펼칠 수 있어 펼쳐 양변기(40) 외주면에 안착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분리 작업 및 보관이 용이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2,3,4 : 제1,2,3,4받침다리 5a,5b : 상,하부조립공
10 : 수평연결부재 11,12 : 수평연결대
13a : 경사면 14 : 전면수직돌부
15 : 후면경사돌부 20 : 마감수평연결판
22 : 조립돌부 23 : 만곡요홈
24 : 걸림단 30 : 발받침연결대
32 : 직선마감부 32a : 직선조립요홈
34 : 곡면돌출부 36 : 미끄럼방지요홈
37 : 지압돌기 40 : 양변기
50 : 삼각보강대 60,61 : 제1,2마감수평연결판
62 : 사각요홈 63 : 힌지부재

Claims (6)

  1. 직사각의 제1,2,3,4받침다리(1)(2)(3)(4) 전후면 상부와 제1,2받침다리(1)(2) 좌우측면에 대응되게 관통 형성되는 상,하부조립공(5a)(5b)과;
    전면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후면에 경사면(13a)이 형성되는 수평연결대(11)(12)와, 수평연결대(11)(12)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2받침다리(1)(2)의 상부조립공(5a)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전면수직돌부(14)와, 후면의 경사면(13a)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3,4받침다리(3)(4)의 상부조립공(5a)에 조립되는 후면경사돌부(15)로 이루어진 수평연결부재(10)와;
    상기 제1,2받침다리(1)(2)의 하부조립공(5b)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돌부(22)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 영역에 만곡요홈(23)이 형성되며, 만곡요홈(23) 양단에 걸림단(24)이 형성되는 마감수평연결판(20)과;
    상기 제1,3받침다리(1)(3) 및 제2,4받침다리(2)(4), 수평연결부재(10), 마감수평연결판(20)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받침연결대(30)로 이루어지고,
    후면 영역이 개방되어 양변기(40)의 외주면에 위치시켜 발받침 및 좌변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4받침다리(3)(4)는 상기 수평연결대(11)(12) 후면의 경사면(13a) 각도만큼 경사지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받침연결대(30)는
    하부에 상기 제1,3받침다리(1)(3) 및 제2,4받침다리(2)(4), 수평연결대(11)(12)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직선조립요홈(32a)이 형성되는 직선마감부(32)와;
    상기 직선마감부(32)의 전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마감수평연결판(20)의 안착단(24)에 걸려 안착되는 곡면돌출부(34)와;
    상기 직선마감부(32)와 곡면돌출부(34) 상부에 반원형의 미끄럼방지요홈(36)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마감부(32)와 곡면돌출부(34) 상부에 반원형의 지압돌기(37)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대(11)(12) 및 마감수평연결판(20) 사이의 전면 모서리에 삼각보강대(50)가 체결 고정되어 강도가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수평연결판(20)은
    상기 만곡요홈(23)의 중앙 영역을 절단하여 제1,2마감수평연결판(60)(61)으로 분리 형성하고,
    상기 제1,2마감수평연결판(60)(61) 전면 사이에 대응되게 사각요홈(62)을 형성하며,
    상기 사각요홈(62)에 힌지부재(63)를 설치하여, 힌지부재(63)를 중심으로 상기 제1,2마감수평연결판(60)(61)을 외측으로 접고 펼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KR2020210001378U 2021-04-30 2021-04-30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KR200494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78U KR200494548Y1 (ko) 2021-04-30 2021-04-30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78U KR200494548Y1 (ko) 2021-04-30 2021-04-30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548Y1 true KR200494548Y1 (ko) 2021-11-02

Family

ID=7852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378U KR200494548Y1 (ko) 2021-04-30 2021-04-30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54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972U (ja) * 2006-05-22 2006-08-03 株式会社大國屋園藝場 洋式の腰掛便器の踏み台
KR20070104714A (ko) * 2006-04-24 2007-10-29 강성구 휴대용 조립식 의자
KR20120030804A (ko) 2010-09-20 2012-03-29 브이아이지 주식회사 발받침이 구비된 양변기
KR200487119Y1 (ko) 2018-01-16 2018-08-07 윤현수 양변기용 발받침대
JP2019107076A (ja) * 2017-12-15 2019-07-04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トイレ用踏み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714A (ko) * 2006-04-24 2007-10-29 강성구 휴대용 조립식 의자
JP3123972U (ja) * 2006-05-22 2006-08-03 株式会社大國屋園藝場 洋式の腰掛便器の踏み台
KR20120030804A (ko) 2010-09-20 2012-03-29 브이아이지 주식회사 발받침이 구비된 양변기
JP2019107076A (ja) * 2017-12-15 2019-07-04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トイレ用踏み台
KR200487119Y1 (ko) 2018-01-16 2018-08-07 윤현수 양변기용 발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3846A (en) Foot rest for toilet
JPH0121966B2 (ko)
US8317268B2 (en) Portable footrest for use when sitting on a toilet
KR200494548Y1 (ko)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KR200487119Y1 (ko) 양변기용 발받침대
KR102147041B1 (ko) 목욕겸용 안전 휠체어
JP2007510500A (ja) 健康的に着座するための椅子
JP2006289035A (ja) 和、洋式便器
CN106923728B (zh) 蹲坐两用式马桶
KR200355599Y1 (ko) 좌변기용 발판
KR200490345Y1 (ko)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JP3219190U (ja) 和式トイレ用補助取手
KR19980019256U (ko) 좌변기용 발판
TWM567038U (zh) Foot block group
CN212816058U (zh) 多功能坐便椅
CN211673983U (zh) 一种可调节坐便凳
KR102518356B1 (ko) 접이식 목욕의자
JP3231499U (ja) 持ち運びができる便器
KR200320368Y1 (ko) 좌변기
JP3144540B2 (ja) ポ−タブルトイレ用安全フレ−ム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CN2910087Y (zh) 坐式大便器
JP3237202U (ja) 高さ調整可能な椅子
CN220109634U (zh) 一种凹式马桶座圈及马桶
CN210493934U (zh) 一种多用途马桶脚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