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912B1 - 배변촉진 변기시트 - Google Patents

배변촉진 변기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912B1
KR101423912B1 KR1020120073614A KR20120073614A KR101423912B1 KR 101423912 B1 KR101423912 B1 KR 101423912B1 KR 1020120073614 A KR1020120073614 A KR 1020120073614A KR 20120073614 A KR20120073614 A KR 20120073614A KR 101423912 B1 KR101423912 B1 KR 101423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user
toilet
femoral
thig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656A (ko
Inventor
유난숙
Original Assignee
유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난숙 filed Critical 유난숙
Priority to KR1020120073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91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4Buffers for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05Auxiliary or por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변촉진 변기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변촉진 변기시트는, 변기의 변좌 위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안착되는 배변촉진 변기시트에 있어서,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안착되는 본체부의 전방에 사용자의 대퇴부를 상방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변기시트로부터 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대퇴부안착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대퇴부를 상방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대퇴부안착부가 본체부의 전방에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가 웅크리고 앉는 자세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직장과 항문근육을 자극하여 배변을 촉진시킨다.

Description

배변촉진 변기시트{TOILET SEAT FOR FACILITATING DEFECATION}
본 발명은 배변촉진 변기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대퇴부를 상방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대퇴부안착부가 본체부의 전방에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가 웅크리고 앉는 자세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직장과 항문근육을 자극하여 배변을 촉진시키는 배변촉진 변기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시트는 개구부가 형성된 상태로 변기의 상부에 안착되고 변기시트의 후단부에는 시트커버가 힌지결합되어 변기시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변기시트는 차갑고 딱딱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로 쿠션패드를 장착하여 이용하거나 비데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국내 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09-0117451(공개일자; 2011.3.11) (명칭; 기능성 변기시트)호는 부드러운 쿠션소재로 이루어지고 향균, 탈취기능을 갖는 쿠션시트와 온열시트를 갖는 변기좌대를 통해 불쾌감 없이 편안하게 용변을 볼 수 있고, 에티켓벨을 통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기능성 변기시트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변기좌대는 사용자의 대퇴부를 이완시켜 사용자의 대장과 직장을 자극하는 구성요소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의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변기좌대는 일반적인 착석자세가 유지될 뿐 이상적인 배변자세(Full squatting)를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대퇴부를 상방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대퇴부안착부가 본체부의 전방에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가 웅크리고 앉는 자세가 되도록 하는 배변촉진 변기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목적은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에 물리적 자극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지압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체체중에 의해 사용자의 둔부와 대퇴부가 눌려지면서 자극되고, 대퇴부안착부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대퇴부 근육이 연장되도록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항문근육과 연관된 양쪽 허벅지 뒤쪽 근육이 연장되도록 자극하는 배변촉진 변기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빙부가 구비됨에 따라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자연스러운 요동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무리없이 좌우로 기울이는 동작이 반복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대장과 직장을 물리적인 운동으로 자극하여 복부내압을 반복적으로 변화시켜 배변을 촉진시키는 변기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이상적인 배변자세(Full squatting)에서 배변을 보다가 일반적인 착석자세로 다리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대퇴부안착부와 무빙부 사이에 형성된 다리안착부에 다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배변촉진 변기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배변촉진 변기시트는, 변기의 변좌 위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안착되는 배변촉진 변기시트에 있어서,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안착되는 본체부의 전방에 사용자의 대퇴부를 상방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변기시트로부터 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대퇴부안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대퇴부를 상방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대퇴부안착부가 본체부의 전방에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가 웅크리고 앉는 자세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직장과 항문근육을 자극하여 배변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에 물리적 자극을 수행하도록 끝이 뾰족한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지압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체체중에 의해 사용자의 둔부와 대퇴부가 눌려지면서 자극을 받게 되어 지압의 효과가 있고, 대퇴부안착부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대퇴부 근육이 연장되도록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항문근육과 연관된 양쪽 허벅지 뒤쪽 근육이 연장되도록 자극하여 안마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빙부가 구비됨에 따라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자연스러운 요동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무리없이 좌우로 기울이는 동작이 반복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대장과 직장을 물리적인 운동으로 자극하여 복부내압을 반복적으로 변화시켜 배변활동이 원활 하도록 돕는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적인 배변자세(Full squatting)에서 배변을 보다가 일반적인 착석자세로 다리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대퇴부안착부와 무빙부 사이에 형성된 다리안착부에 다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변촉진 변기시트를 좌우방향으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다리안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사용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전방"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변촉진 변기시트에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의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의미하고, 이를 기준으로 좌우측방, 후방이 결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변촉진 변기시트(100)는 본체부(110)와 대퇴부안착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안착될 수 있고, 좌변기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기본에 설치된 변기커버 위에 탈부착 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형상은 O자형이나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크기는 변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의 형상이 U자형으로 형성될 경우 후술할 대퇴부안착부(120)의 형상 또한 중앙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의 모서리부분은 둥글게 처리하여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모서리에 의해 자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재질은 통상의 변기시트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의 재질은 일례로 에틸렌초산비닐수지(Ethylene Vinyl Acetate) 가 이용할 수 있다. 에틸렌초산비닐수지(Ethylene Vinyl Acetate)는 유연성 있는 합성수지로서 부드럽고 그 자체로써 플라스틱 성질과 고무의 성질이 일부 포함되어 내부충격에 강하며, 충격 방지 및 충격 흡수에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체부(110)의 재질은 향균 또는 탈취기능을 갖는 참숯, 황토, 나노 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재질이 향균 또는 탈취기능을 가짐에 따라 배설물에 의해 발생된 악취를 중화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위생적이고 불쾌감 없이 편안하게 용변을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변촉진 변기시트(100)는 변기의 변좌 위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촉진 변기시트(100)는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안착되는 본체부(110)의 전방에 사용자의 대퇴부를 상방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본체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대퇴부안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대퇴부안착부(120)는 본체부(110)보다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본체부(110)에 앉을 경우 사용자의 대퇴부가 대퇴부안착부(120)에 위치하면서 사용자의 다리가 둔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여 이상적인 배변자세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대퇴부안착부(120)의 각도는 5 ˚ 내지 90 ˚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퇴부안착부(120)의 높이가 점점 증가되거나 증가되는 기울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대퇴부안착부(120)는 최상의 위치 즉 최고의 높이를 중심으로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대퇴부안착부(120)는 사용자의 몸이 웅크리고 앉는 자세 즉, 풀스쿼팅(Full squatting) 자세를 유지하도록 인체공학적 각도로 형성되도록 하여, 복부의 근육을 이완시켜 복부내의 장의 연동운동을 용이하게 함에 따라 배변을 촉진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착석자세에서는 사용자의 직장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95 ° 정도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된 대퇴부안착부(120)에 사용자의 대퇴부를 안착시키면, 사용자의 자세가 풀스쿼팅 자세가 되면서 사용자의 직장이 118° 정도의 각도로 변화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배변이 보다 용이해진다.
이때 본체부(110)의 상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되는 대퇴부안착부(120)를 구비하는 반면, 본체부(110)의 저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변촉진 변기시트(100)는 일반적인 양변기의 변좌 또는 비데에도 적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대퇴부안착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전방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대퇴부안착부(120)가 각각 두 개로 나눠져서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대퇴부안착부(120)가 사용자의 대퇴부와 대응하는 폭으로 이루어지고, 본체부(110)의 전방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정간격을 두고 양쪽에 배치된 두 개의 대퇴부안착부(120)에 대퇴부를 각각 올려놓았다가 대퇴부안착부(120)보다 낮게 형성된 본체부(110)의 전방에 대퇴부를 내려놓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부안착부(120)에는 사용자의 대퇴부가 밀착되는 부분에 복수의 요철(121)이 형성될 수 있다.
대퇴부안착부(120)에 복수의 요철(121)이 형성됨에 따라 항문근육과 연관된 양쪽 허벅지 뒤쪽 근육이 요철(121)을 따라 연장되도록 자극하여 요철(121)에 의해 보다 풀스쿼팅 자세에 가까워질 수 있다.
이러한 요철(121)에는 전동장치가 내장되어 전원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변촉진 변기시트(100)에서는 본체부(110)와 대퇴부안착부(120)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본체부(110)의 상면에 대퇴부안착부(1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촉진 변기시트(100)의 상면에는, 본체부(1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에 물리적 자극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지압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압돌기(130)의 일예로 지압돌기(130)는 끝이 뾰족한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압돌기(130)에는 요철(121)과 마찬가지로 전동장치가 내장되어 전원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지압돌기(130)는 사용자가 본체부(110)에 안착하였을 때 사용자의 상체체중에 의해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눌려지면서 이에 따라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지압의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변촉진 변기시트를 좌우방향으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촉진 변기시트(100)는, 대퇴부안착부(12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 상면에 사용자의 몸을 좌우로 기울이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유체가 충전되거나 유동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쿠션 또는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판으로 이루어지는 무빙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쿠션은 예를 들어, 내부에 파라핀이 충전된 튜브나, 또는 실리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실리콘을 합성수지제의 본체부(110)와 이중사출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무빙부(140)는 사용자가 본체부(110)에 착석 시에 사용자의 허리를 무리없이 좌우로 구부리는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자의 대장과 직장이 물리적인 운동으로 자극받음으로써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돕는다.
즉 사용자의 몸은 앞뒤로 구부리는 동작에 적응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착석 자세에서 몸을 앞뒤로 움직이는 것은 사용자의 대장이나 직장에 큰 자극을 주지 않는다. 반면 무빙부(140)는 사용자의 몸을 좌우로 구부리게 함에 따라 수직으로 배열된 사용자의 대장이나 직장에 자극을 주어 대장이나 직장이 좌우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은 경우 복부내압의 변동폭이 커짐에 따라 사용자의 대장이나 직장에 충분한 자극을 줄 수 있다.
무빙부(140)는 본체부(1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변기시트(100)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무빙부(140)가 내부에 유체가 충전된 한 쌍의 쿠션으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가 착석 시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내부에 유체가 유동됨에 따라 사용자는 배변과 병행하여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무빙부(140)가 회동하는 한 쌍의 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부(140)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본체부(110)에 고정되는 회전축(140')이 장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한 쌍의 판을 포함하는 무빙부(140)가 각각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무빙부(140)가 장착되는 본체부(110)의 상면은 무빙부(140)가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무빙부(140)의 회동범위만큼 무빙부(14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 무빙부(140)가 안착되는 부분은 무빙부(140)의 회동범위가 확보되도록 좌우측이 각각 부채꼴모양으로 하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이때 무빙부(140)가 본체부(110)의 상면에 장착되면 무빙부(140)는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부(140)가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좌우로 유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하복부 좌우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직장에 외부의 움직임 동작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다리안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촉진 변기시트(100)는 대퇴부안착부(120)와 무빙부(140) 사이에 본체부(110)로부터 하방으로 요입되어 각각 형성되는 다리안착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안착부(150)는 사용자의 다리가 안착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자가 대퇴부안착부(120)에 다리를 지지하고 용변을 보고 있다가 사용자가 다리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다리를 본체부(110)에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가 편안하고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리안착부(150)는 일반적인 사용자의 평균적인 다리사이즈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변촉진 변기시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촉진 변기시트(100)에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안착됨에 따라 사용자의 대퇴부가 대퇴부안착부(120)에 의해 형성된 기울기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가 복부를 향하여 웅크릴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허리는 양다리 앞으로 다소 기울인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쪼그려 앉는 자세를 만들어 주어 직장의 배변통로가 구부려지지 않게 하고 항문 주변의 근육을 대퇴부 쪽으로 당겨 항문이 열리기 쉽게 하며, 복부의 근육을 이완시켜 복부내의 장의 연동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쾌변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고통을 줄이고 국민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배변촉진 변기시트 110: 본체부
120: 대퇴부안착부 130: 지압돌기
140: 무빙부 150: 다리안착부

Claims (7)

  1. 변기의 변좌 위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안착되는 배변촉진 변기시트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의 전방에 사용자의 대퇴부를 상방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변기시트로부터 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대퇴부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퇴부안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대퇴부 근육이 연장되도록 상기 대퇴부안착부의 연장방향과 수직하게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변기시트는,
    상기 대퇴부안착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 상면에, 내부에 유체가 충전되거나 유동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쿠션 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판 중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빙부를 더 포함하는, 배변촉진 변기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의 상면에는,
    상기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에 물리적 자극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배변촉진 변기시트.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는,
    상기 대퇴부안착부와 상기 무빙부 사이에, 각각 상기 변기시트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배변촉진 변기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안착부는,
    상기 변기시트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변기시트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배변촉진 변기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의 저면은,
    평평하게 이루어지는, 배변촉진 변기시트.
KR1020120073614A 2012-07-06 2012-07-06 배변촉진 변기시트 KR101423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614A KR101423912B1 (ko) 2012-07-06 2012-07-06 배변촉진 변기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614A KR101423912B1 (ko) 2012-07-06 2012-07-06 배변촉진 변기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56A KR20140005656A (ko) 2014-01-15
KR101423912B1 true KR101423912B1 (ko) 2014-07-28

Family

ID=5014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614A KR101423912B1 (ko) 2012-07-06 2012-07-06 배변촉진 변기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9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444A (ko) 2017-03-10 2018-09-19 노현길 용변처리장치
KR102242792B1 (ko) * 2019-11-20 2021-04-20 한미연 유아용 변기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780Y1 (ko) * 2016-01-26 2016-11-08 윤성현 지압용 좌식 시트
KR101803369B1 (ko) * 2016-10-18 2017-11-30 김성규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KR102043975B1 (ko) 2018-12-11 2019-11-12 이영근 쾌변 유도 구조를 갖는 변기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267Y1 (ko) * 2000-10-12 2001-04-16 황순의 양변기용 좌판
KR200364709Y1 (ko) * 2004-06-21 2004-10-12 전철균 좌변기 좌대 및 덮개
JP2011156279A (ja) 2010-02-03 2011-08-18 Toto Ltd 腰掛便座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267Y1 (ko) * 2000-10-12 2001-04-16 황순의 양변기용 좌판
KR200364709Y1 (ko) * 2004-06-21 2004-10-12 전철균 좌변기 좌대 및 덮개
JP2011156279A (ja) 2010-02-03 2011-08-18 Toto Ltd 腰掛便座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444A (ko) 2017-03-10 2018-09-19 노현길 용변처리장치
KR102242792B1 (ko) * 2019-11-20 2021-04-20 한미연 유아용 변기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56A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9634B2 (en) Device for strengthening pelvic floor mus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23912B1 (ko) 배변촉진 변기시트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KR200438341Y1 (ko) 운동기능을 갖춘 발받침대
US8998832B2 (en) Body therapy device
KR101376989B1 (ko) 복식호흡 및 괄약근 운동이 가능한 걸상형 의료기기
KR20090081976A (ko) 의자 착탈용 마사지 등받이
US7377889B2 (en) Chair providing dynamic thrust to exercise lumbar area of spine
US20200222273A1 (en) Topical massage device, and chair and mat provided with topical massage device
JP2006095262A (ja) クッション
KR101909562B1 (ko)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KR20110130796A (ko) 자세교정용 의자
KR200385453Y1 (ko) 개량된 구조를 가진 스트레칭 기구
KR101196482B1 (ko) 쾌변을 위한 변기시트
KR20120080706A (ko) 스트레칭 기구
JP2020130198A (ja) 腰痛対策用のクッション及び携帯クッション
KR200377430Y1 (ko) 건강 증진용 의자
JP3241135U (ja) 腰痛対策用のクッション及び携帯クッション
JP7449616B1 (ja) 排便補助機能を有する便座
JP3229703U (ja) 洋式便器用運動器具
KR102357586B1 (ko) 요가 자세 교정용 의자형 운동기구
KR200345288Y1 (ko) 경혈 지압과 자극을 겸하는 시트용 진동장치
KR200325555Y1 (ko) 다기능 벨트 맛사지기
CN210728155U (zh) 一种人体模型按摩床
KR200300578Y1 (ko) 이동식 복부강화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