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369B1 -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 Google Patents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369B1
KR101803369B1 KR1020160134745A KR20160134745A KR101803369B1 KR 101803369 B1 KR101803369 B1 KR 101803369B1 KR 1020160134745 A KR1020160134745 A KR 1020160134745A KR 20160134745 A KR20160134745 A KR 20160134745A KR 101803369 B1 KR101803369 B1 KR 101803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ootrest
foot
toile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filed Critical 김성규
Priority to KR1020160134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369B1/ko
Priority to US15/528,864 priority patent/US10292549B2/en
Priority to PCT/KR2017/002419 priority patent/WO2018074676A1/ko
Priority to CN201790000060.0U priority patent/CN208259641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4Bowls of flat shape with only slightly inclined bottom ; Squat-type clos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Miscellaneous hardware, e.g. bushing, carpet fastener, caster, door closer, panel hanger, attachable or adjunct handle, hinge, window sash balance
    • Y10S16/904Handle means having sanitary characteristic, e.g. to prevent transmission of germs
    • Y10S16/905Toilet seat lif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가 구비된 양변기 본체에서, 상기 시트부의 상면은 엉덩이가 위치되는 후측보다 허벅지가 위치되는 앞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변 시 자세를 재래식 변기에 앉아서 변을 보는 자세 즉, 사용자의 상체와 허벅지의 사이의 각도가 35° ~ 50°로 유지되는 자세로 교정하여 체내에서 장과 항문 주변이 꺾여짐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변을 가능하게 하여 배변 시간을 단축시키고 배변 시 다리 저림을 방지하여 배변 시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키며, 원활한 배변을 가능하게 하고, 배변 시 장운동을 활성화시켜 변비, 치질, 과민성대장증후군, 암이나 기타 대장관련 질병을 예방한다.

Description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TOILET BOWL POSTURE CORRECTION OF BOWEL MOVEMENT}
본 발명은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허벅지가 들어올려져 무릎이 높아지는 자세로 앉게 되어 배변 시 원활한 장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배변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한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에 관한 것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사람이 앉아서 대변 또는 소변을 보는 수세식 변기로 현재 대부분의 화장실에서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양변기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양변기는 변기 몸체의 상부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이 구비되고, 좌판 상에 사용자가 앉아 대변 또는 소변을 보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좌판은 회전 가능하게 변기 몸체에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들어올려져 남자가 소변을 보기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 양변기는 좌판의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아 대변을 볼 때 등과 다리의 허벅지 간의 각도가 수직이거나 최소 70도 이상의 자세가 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배변 자세가 등과 다리의 허벅지 간의 각도가 수직이거나 최소 70도 이상의 자세는 체내에서 장과 항문 주변이 꺾여져 장운동을 방해하고, 심한 경우 장을 막게 되는 자세이다.
따라서, 종래 양변기를 사용하여 배변하는 경우 쉽게 배변이 이루어지지 않아 배에 힘을 많이 주어야 하고, 배변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있다.
이에, 종래 양변기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경직된 직각 자세로 배변함으로써 심한 경우 변비, 치질, 과민성대장증후군, 암이나 기타 대장관련 질병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15-0004731호(명칭: 이동식 변기, 2015년 1월 13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변 시 자세를 재래식 변기에 앉아서 변을 보는 자세로 교정하여 체내에서 장과 항문 주변이 꺾여짐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변을 가능하게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가 구비된 양변기 본체에서, 상기 시트부의 상면은 엉덩이가 위치되는 후측보다 허벅지가 위치되는 앞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시트부에 앉은 사용자의 상체와 허벅지의 사이의 각도가 35° ~ 50°로 유지되게 허벅지를 들어올리도록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부의 후단측은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후단측에서 등쪽으로 굴곡되는 라운드 받침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라운드 받침부의 후단부 높이는 경사진 상기 시트부의 앞단의 높이보다 보다 같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서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는 시트부가 안착되는 환형의 시트 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 받침부의 상면은 엉덩이가 위치되는 후측보다 허벅지가 위치되는 앞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서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서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시트부가 안착되는 환형의 시트 받침부가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시트 받침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면이 후측에서 앞측으로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시트 안착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일 실시예는, 상기 양변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앞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을 받치는 발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부재의 상면에는 발바닥이 안착되는 발안착면이 구비된 발지지부가 한쌍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발지지부의 발안착면은 앞측이 뒷측보다 높아 사용자의 발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변기 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발판부재의 전, 후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홈이 구비되고, 상기 발판부재의 양 측에는 상기 이동 안내홈에 삽입되어 전, 후 이동하는 이동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 안내홈에는 스토퍼 삽입홈부 또는 스토퍼 돌기부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 돌기부에는 상기 스토퍼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스토퍼 돌기부 또는 상기 스토퍼 돌기부가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서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는 시트부가 안착되는 환형의 시트 받침부가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시트부의 힌지축과 동일한 힌지축으로 회전되는 시트 지지패널부재, 상기 시트 지지패널부재와 상기 시트 받침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 지지패널부재의 앞측을 들어올려 상기 시트 지지패널부재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시트 각도조절기기, 상기 양변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발판부재를 전, 후 이동시키는 발받침 이동기기 및 상기 시트 각도조절기기와 발받침 이동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부재에는 후단부 측에 구비되는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 발바닥이 안착되며 발판부가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일 실시예는, 상기 발판부의 앞측을 들어올리거나 내려 발판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발판 각도조절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상기 시트 각도조절기기와 상기 발판 각도조절기기를 연동시켜 상기 시트부와 상기 발판부가 동일한 각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 각도조절기기는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시트 받침부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시트 지지패널부재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제1유압실린더이고, 상기 발판 각도조절기기는 상기 발판부의 앞측에서 하부면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발판부재의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되는 제2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부재는 상기 발받침 이동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발받침 이동기기에 의해 전후진 이동하는 발받침 본체부, 상기 발받침 본체부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발판부와 상기 발판 각도조절기기가 내장되는 승하강 발받침부, 상기 발받침 본체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 발받침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발받침 높이조절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온오프버튼, 상기 시트 각도조절기기의 각도를 높이는 제1승강버튼과 상기 시트 각도조절기기의 각도를 낮추는 제1하강버튼, 상기 발받침 높이조절기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승하강 발받침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2승강버튼과 상기 승하강 발받침부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하강버튼, 각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시트부의 각도, 상기 발판부의 각도, 상기 발받침 본체부의 높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저장된 각 사용자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시트부의 각도, 상기 발판부의 각도, 상기 발받침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게 하는 복수의 사용자 선택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변 시 자세를 재래식 변기에 앉아서 변을 보는 자세 즉, 사용자의 상체와 허벅지의 사이의 각도가 35° ~ 50°로 유지되는 자세로 교정하여 체내에서 장과 항문 주변이 꺾여짐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변을 가능하게 하여 배변 시간을 단축시키고 배변 시 다리 저림을 방지하여 배변 시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활한 배변을 가능하게 하고, 배변 시 장운동을 활성화시켜 변비, 치질, 과민성대장증후군, 암이나 기타 대장관련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양변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에서 발받침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발판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일 실시예는 양변기 본체(100)를 포함하며, 양변기 본체(100)는 내부에 소변 또는 대변을 받을 수 있고, 물이 일부분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부분 채워진 물과 소변 또는 대변을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다.
양변기 본체(100)는 내부에 소변 또는 대변을 받을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양변기 본체(100)에는 내부로 공급되는 후측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저장부(100b)가 구비될 수 있고, 물저장부(100b)는 통상의 양변기에서 공지된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양변기 본체(100)는 상부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110)가 구비되며, 시트부(110)는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 시트부(110)는 양변기 본체(100)와 별도로 제조되어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시트부(110)가 안착되는 환형의 시트 받침부(100a)가 구비되며, 시트부(110)는 시트 받침부(100a)에 안착되며 중앙에 소변 또는 대변이 통과할 수 있는 중공부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일 실시예는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시트부(110)의 상면을 덮어 중공부를 커버하는 시트 커버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커버부재(200)는 중앙부가 높고, 중앙부의 주변에 경사면이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청소 시 사용되는 물이 경사면을 타고 흘러 제거됨으로써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도록 하고, 청결 유지에 유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가장 큰 특징은 시트부(110)의 상면이 후측보다 앞측의 높이가 더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더 상세하게 시트부(110)는 엉덩이가 위치되는 후측보다 허벅지가 위치되는 앞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상면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았을 때 허벅지를 들어올려지게 하여 사용자의 상체와 허벅지의 사이의 각도가 35° ~ 50°가 유지될 수 있도록 10° ~ 50°사이로 경사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는 재래식 변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쪼그려 앉아서 변을 보는 자세로 교정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상체와 허벅지의 사이의 각도가 35° ~ 50°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배변 시 체내에서 장과 항문 주변이 꺾여짐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변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는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시트부(110)가 안착되는 환형의 시트 받침부(100a)의 형상을 후측에서 앞측으로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이 후측에서 앞측으로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시트부(110)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트 받침부(100a)는 후측에서 앞측으로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평면의 시트부(110)를 안착시킬 때 시트부(110)의 상면이 엉덩이가 위치되는 후측보다 허벅지가 위치되는 앞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는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에 시트부(110)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구비되어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이 후측에서 앞측으로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부(110)와 시트 받침부(100a)의 사이에는 탄성받침부(12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시트부(110)에 앉을 때 쿠션을 제공하여 착좌감을 향상시키고, 시트부(110)가 시트 받침부(100a)에 안착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받침부(120)는 시트부(110)의 하부면과 시트 받침부(100a)의 상부면 중 어느 한 측에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시트부(110)의 후단측은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후단측에서 등쪽으로 굴곡되는 라운드 받침부(111)가 구비되어 엉덩이의 뒷부분에서 등으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엉덩이의 뒷부분을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라운드 받침부(111)는 사용자의 엉덩이의 뒤쪽 끝에서 등쪽으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곡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뒷부분을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을 때 착좌감을 형상시키고, 허벅지를 들어올리는 자세에서 편안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라운드 받침부(111)의 후단부 측 높이는 경사진 시트부(110)의 앞단의 높이보다 보다 같거나 낮게 형성되어 체중이 집중되는 엉덩이부분에서의 안정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허벅지가 들어올려진 자세에서 자세의 편안함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는 양변기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앞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을 받치는 발판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발판부재(300)의 상면에는 발바닥이 안착되는 발안착면이 구비된 발지지부(310)가 돌출되어 구비되며, 발지지부(310)의 발안착면은 발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발지지부(310)는 사용자의 두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부재의 상면에 이격되게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발판부재(300)는 발지지부(310)를 통해 발을 들어올려진 상태로 지지하여 허벅지가 들어올려진 상태로 사용자가 시트부(110)에 편하게 앉을 수 있게 하고, 시트부(110)에 앉았을 때의 불편함을 최소화한다.
발판부재(300)는 양변기 본체(100)에 전, 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만 앞측으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양변기 본체(100)의 양측면에는 발판부재(300)의 전, 후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홈(130)이 구비되고, 발판부재(300)의 양 측에는 이동 안내홈(130)에 삽입되어 전, 후 이동하는 이동 돌기부(320)가 구비된다.
또한, 이동 안내홈(130)에는 스토퍼 삽입홈부(131) 또는 스토퍼 돌기부(321)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동 돌기부(320)에는 스토퍼 삽입홈부(131)에 삽입되는 스토퍼 돌기부(321) 또는 스토퍼 돌기부(321)가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홈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 안내홈(130)에 배치되는 스토퍼 삽입홈부(131) 또는 스토퍼 돌기부(321)는 발판부재(300)가 최대로 인출된 위치와 최대로 삽입된 위치에서 각각 이동 돌기부(320)에 구비된 스토퍼 돌기부(321) 또는 스토퍼 삽입홈부(131)와 대응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스토퍼 돌기부(321)는 스토퍼 삽입홈부(131)에 삽입되어 기설정된 힘 이상을 가해야 이탈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스토퍼 돌기부(321)와 스토퍼 삽입홈부(131)는 기설정된 힘 이상을 가해 발판부재(300)를 이동시킬 때 스토퍼 돌기부(321)가 스토퍼 삽입홈부(131)에서 이탈되어 이동 가능하고, 기설정된 힘 이하에서 발판부재(3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공지의 어떠한 형상으로도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서 이동 안내홈(130)에는 스토퍼 삽입홈부(131)가 이격되게 구비되고, 이동 돌기부(320)에는 스토퍼 삽입홈부(131)에 삽입되는 스토퍼 돌기부(321)가 구비되고, 스토퍼 돌기부(321)와 스토퍼 삽입홈부(131)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반원형 돌기와 반원형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발판부재(300)는 최대로 인출된 상태와 최대로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 스토퍼 삽입홈부(131)에 삽입되는 스토퍼 돌기부(321)에 의해 걸려 지지되어 이동이 제한되고, 스토퍼 돌기부(321)가 삽입홈부에서 이탈되는 힘 이상으로 잡아 당기거나 밀어 사용 위치로 인출하여 사용하거나 미사용 시 앞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안쪽으로 삽입하여 보관된다.
발판부재(300)는 양변기 본체(100)에서 분리 가능하여 다른 양변기에도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두며 종래 양변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시트부(110)는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시트부(110)의 상면은 엉덩이가 위치되는 후측보다 허벅지가 위치되는 앞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단측에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후단측에서 등쪽으로 굴곡되는 라운드 받침부(111)가 구비되며, 양변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분리되어 다른 양변기에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는 상면이 후측에서 앞측으로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시트 받침부(100a)에 결합되는 시트 안착 지지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안착지지부재(400)는 시트 받침부(100a)에 대응되는 환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 시트 받침부(100a)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시트 받침부(100a)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시트 안착지지부재(400)는 시트 받침부(100a)에 대응되는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시트 안착지지부재(400)는 평면의 시트부(110)를 안착시킬 때 시트부(110)의 상면이 엉덩이가 위치되는 후측보다 허벅지가 위치되는 앞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시트 안착지지부재(400)는 합성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제조되며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여 사용자의 엉덩이가 위치되는 후측보다 허벅지가 위치되는 앞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며, 약간의 탄성을 가져 사용자가 앉을 때의 충격을 일부 흡수하고 착좌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트 안착지지부재(400)는 기존에 설치된 양변기에서 시트 받침부(100a)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어 기설치된 양변기를 교체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배변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발판부재(300)의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는 시트부(1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시트부(110)의 하부를 지지하며 시트부(110)의 힌지축과 동일한 힌지축으로 회전되는 시트 지지패널부재(500); 및 시트 지지패널부재(500)와 시트 받침부(100a)의 사이에 장착되어 시트 지지패널부재(500)의 앞측을 들어올려 시트 지지패널부재(5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시트 각도조절기기(600); 양변기 본체(100)의 하부에서 발판부재(300)를 전, 후 이동시키는 발받침 이동기기(700); 시트 각도조절기기(600)와 발받침 이동기기(7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 각도조절기기(600)는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시트 받침부(100a)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시트 지지패널부재(500)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제1유압실린더(610)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제1유압실린더(610)는 실린더의 일단부가 시트 받침부(100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직선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시트부(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유압실린더(610)의 양 단부는 볼조인트로 시트부(110)의 하부면과 시트 받침부(100a)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제1유압실린더(610)는 직선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의 작동에 의해 시트 받침부(100a)의 앞측을 들어올리거나 내려 시트부(11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한다.
또한, 발판부재(300)에는 후단부 측에 구비되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 발바닥이 안착되는 발판부(330)가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는 발판부(330)의 앞측을 들어올리거나 내려 발판부(330)의 각도를 조절하는 발판 각도조절기기(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판 각도조절기기(900)는 발판부(330)의 앞측에서 하부면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가 발판부재(300)의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되는 제2유압실린더(910)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발판부(330)는 후단부에 발판부재(3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부가 구비되고, 앞측의 하부면에 발판 각도조절기기(900) 즉, 제2유압실린더(910)의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제2유압실린더(910)는 실린더의 일단부가 발판부재(300)의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되고, 직선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발판부(3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시트 각도조절기기(600)와 발판 각도조절기기(900)는 유압라인을 통해 작동이 제어되는 제1유압실린더(610)와 제2유압실린더(910)로 구성되어 전기배선을 최소화함으로써 물과 습기가 많은 욕실이나 화장실에 배치되는 양변기에서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발판 각도조절기기(900)는 작동 제어부(800)에 연결되어 작동 제어부(8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발판부(330)는 앞측이 들어올려지면서 발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시트부(110)의 각도와 동일하게 경사지게 위치되어 허벅지가 들어올려질 때 발도 함께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사용자가 시트부(110)에 앉은 상태에서의 안정감을 극대화하고, 사용자가 시트부(110)에 앉을 때 편안함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작동 제어부(800)는 온오프버튼(810), 시트 각도조절기기(600)의 각도를 높이는 제1승강버튼(820)과 시트 각도조절기기(600)의 각도를 낮추는 제1하강버튼(830)을 포함하며, 시트 각도조절기기(600)의 작동 시 발판 각도조절기기(900)도 함께 작동되어 시트 각도조절기기(600)로 조절되는 시트부(110)의 경사각도와 발판 각도조절기기(900)로 조절되는 발판부(330)의 경사각도가 동일하게 제어된다.
온오프버튼(810)은 작동 제어부(800)의 ON과 OFF 상태를 전환하는 것으로, 작동 제어부(800)는 온오프버튼(810)을 눌러 작동 제어부(800)의 전원이 온상태가 됨과 동시에 발받침 이동기기(700)를 작동시켜 발판부재(300)를 전진 이동시켜 사용자의 발을 오프온상태로 전환하며 온상태에서 자동으로 전진 작동하면서 발판부재(300)를 사용자의 발을 받쳐 사용될 수 있는 위치로 위치시킨다.
작동 제어부(800)는 온상태에서 온오프버튼(810)이 눌려져 오프 상태가 되기 전 발받침부재(300)를 후진 작동시켜 발판부재(300)가 양변기 본체(100)의 앞으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로 다시 원위치시킨 후 전원이 오프된다.
즉, 시트 각도조절기기(600)와 발판 각도조절기기(900)는 작동 제어부(800)에 의해 연동되어 함께 각도 조절되며 시트부(110)와 발판부(330)가 동일한 각도를 가지도록 연동된다.
발판부재(300)는 발받침 이동기기(700)에 연결되어 발받침 이동기기(700)에 의해 전후진 이동하는 발받침 본체부(301), 발받침 본체부(301)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발판부(330)와 발판 각도조절기기(900)가 내장되는 승하강 발받침부(302), 발받침 본체부(301) 내에 장착되어 승하강 발받침부(302)를 상, 하 이동시키는 발받침 높이조절기기(303)를 포함할 수 있다.
발받침 높이조절기기(303)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일 예로 하며, 작동 제어부(800)에 연결되어 작동 제어부(8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작동 제어부(800)는 발받침 높이조절기기(303)의 작동을 제어하여 승하강 발받침부(302)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2승강버튼(840)과 승하강 발받침부(302)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하강버튼(8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받침 높이조절기기(303)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발받침 본체부(30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앉을 때 발이 발판부(330) 상에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동 제어부(800)는 각 사용자에 적합한 시트부(110)의 각도, 발판부(330)의 각도, 발받침 본체부(301)의 높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되고, 저장부에서 저장된 각 사용자의 데이터에 따라 시트부(110)의 각도, 발판부(330)의 각도, 발받침 본체부(301)의 높이를 조절하게 하는 복수의 사용자 선택스위치(8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에게 적합한 시트부(110)의 각도, 발판부(330)의 각도, 발받침 본체부(301)의 높이를 조절한 후 복수의 사용자 선택스위치(860) 중 어느 하나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눌러 해당 사용자 선택스위치(860)에 본인에게 적합한 시트부(110)의 각도, 발판부(330)의 각도, 발받침 본체부(301)의 높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사용자 선택스위치(860)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기설정된 시간보다 짧게 눌려지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에 맞게 시트부(110)의 각도, 발판부(330)의 각도, 발받침 본체부(301)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그리고, 추후 사용자는 본인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 사용자 선택스위치(860)를 누르면 작동 제어부(800)는 시트 각도조절기기(600), 발판 각도조절기기(900), 발받침 높이조절기기(303)를 작동시켜 저장된 해당 데이터에 맞도록 시트부(110)의 각도, 발판부(330)의 각도, 발받침 본체부(301)의 높이를 조절한다.
본 발명은 배변 시 자세를 재래식 변기에 앉아서 변을 보는 자세로 교정하여 체내에서 장과 항문 주변이 꺾여짐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변을 가능하게 하여 배변 시간을 단축시키고 배변 시 다리 저림을 방지하여 배변 시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원활한 배변을 가능하게 하고, 배변 시 장운동을 활성화시켜 변비, 치질, 과민성대장증후군, 암이나 기타 대장관련 질병을 예방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양변기 본체 100a : 시트 받침부
100b : 물저장부 110 : 시트부
111 : 라운드 받침부 120 : 탄성받침부
130 : 이동 안내홈 131 : 스토퍼 삽입홈부
200 : 시트 커버부재 300 : 발판부(330)재
301 : 발받침 본체부 302 : 승하강 발받침부
303 : 발받침 높이조절기기 310 : 발지지부
320 : 이동 돌기부 321 : 스토퍼 돌기부
330 : 발판부 400 : 시트 안착 지지부
500 : 시트 지지패널부재 600 : 시트 각도조절기기
610 : 제1유압실린더 700 : 발받침 이동기기
800: 작동 제어부 810 : 온오프버튼
820 : 제1승강버튼 830 : 제1하강버튼
840 : 제2승강버튼 850 : 제2하강버튼
860 : 사용자 선택스위치 900 : 발판 각도조절기기
910 : 제2유압실린더

Claims (16)

  1.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가 구비된 양변기 본체에서, 상기 시트부의 상면은 엉덩이가 위치되는 후측보다 허벅지가 위치되는 앞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양변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앞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을 받치는 발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재의 상면에는 발바닥이 안착되는 발안착면이 구비된 발지지부가 한쌍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발지지부의 발안착면은 앞측이 뒷측보다 높아 사용자의 발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변기 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발판부재의 전, 후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홈이 구비되고, 상기 발판부재의 양 측에는 상기 이동 안내홈에 삽입되어 전, 후 이동하는 이동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 안내홈에는 스토퍼 삽입홈부 또는 스토퍼 돌기부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 돌기부에는 상기 스토퍼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스토퍼 돌기부 또는 상기 스토퍼 돌기부가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시트부에 앉은 사용자의 상체와 허벅지의 사이의 각도가 35° ~ 50°로 유지되게 허벅지를 들어올리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후단측은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후단측에서 등쪽으로 굴곡되는 라운드 받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받침부의 후단부 높이는 경사진 상기 시트부의 앞단의 높이보다 보다 같거나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서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는 시트부가 안착되는 환형의 시트 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 받침부의 상면은 엉덩이가 위치되는 후측보다 허벅지가 위치되는 앞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서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서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시트부가 안착되는 환형의 시트 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 받침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면이 후측에서 앞측으로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시트 안착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가 구비된 양변기 본체에서, 상기 시트부의 상면은 엉덩이가 위치되는 후측보다 허벅지가 위치되는 앞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양변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앞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을 받치는 발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는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서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는 시트부가 안착되는 환형의 시트 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시트부의 힌지축과 동일한 힌지축으로 회전되는 시트 지지패널부재;
    상기 시트 지지패널부재와 상기 시트 받침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 지지패널부재의 앞측을 들어올려 상기 시트 지지패널부재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시트 각도조절기기;
    상기 양변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발판부재를 전, 후 이동시키는 발받침 이동기기; 및
    상기 시트 각도조절기기와 발받침 이동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에는 후단부 측에 구비되는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 발바닥이 안착되며 발판부가 구비되고,
    상기 발판부의 앞측을 들어올리거나 내려 발판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발판 각도조절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상기 시트 각도조절기기와 상기 발판 각도조절기기를 연동시켜 상기 시트부와 상기 발판부가 동일한 각도를 가지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시트 각도조절기기는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시트 받침부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시트 지지패널부재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제1유압실린더이고,
    상기 발판 각도조절기기는 상기 발판부의 앞측에서 하부면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발판부재의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되는 제2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는 상기 발받침 이동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발받침 이동기기에 의해 전후진 이동하는 발받침 본체부;
    상기 발받침 본체부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발판부와 상기 발판 각도조절기기가 내장되는 승하강 발받침부;
    상기 발받침 본체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 발받침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발받침 높이조절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온오프버튼, 상기 시트 각도조절기기의 각도를 높이는 제1승강버튼과 상기 시트 각도조절기기의 각도를 낮추는 제1하강버튼, 상기 발받침 높이조절기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승하강 발받침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2승강버튼과 상기 승하강 발받침부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하강버튼, 각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시트부의 각도, 상기 발판부의 각도, 상기 발받침 본체부의 높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저장된 각 사용자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시트부의 각도, 상기 발판부의 각도, 상기 발받침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게 하는 복수의 사용자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KR1020160134745A 2016-10-18 2016-10-18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KR101803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745A KR101803369B1 (ko) 2016-10-18 2016-10-18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US15/528,864 US10292549B2 (en) 2016-10-18 2017-03-07 Flush toilet capable of correcting defecation posture
PCT/KR2017/002419 WO2018074676A1 (ko) 2016-10-18 2017-03-07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CN201790000060.0U CN208259641U (zh) 2016-10-18 2017-03-07 可矫正排便姿势的坐便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745A KR101803369B1 (ko) 2016-10-18 2016-10-18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369B1 true KR101803369B1 (ko) 2017-11-30

Family

ID=6081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745A KR101803369B1 (ko) 2016-10-18 2016-10-18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92549B2 (ko)
KR (1) KR101803369B1 (ko)
CN (1) CN208259641U (ko)
WO (1) WO201807467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684B1 (ko) * 2017-12-29 2019-03-1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변 공간용 발판
KR20190081472A (ko) * 2017-12-29 2019-07-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좌변 보조장치
WO2019171372A1 (en) * 2018-03-05 2019-09-12 Sebton Aviv A toilet seat with an adjustable inclination
KR20200059095A (ko) 2018-11-20 2020-05-28 유승열 쾌변용 발 받침대
KR102186305B1 (ko) * 2019-09-27 2020-12-03 이형우 변을 자유롭게 나오게 하는 쾌변 페가수스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3848B1 (en) * 2017-05-05 2020-04-28 Albert R. Luper Toilet for facilitating bowel movements
USD885537S1 (en) * 2018-03-05 2020-05-26 Seong Gyu KIM Toilet bowl
CN112384114B (zh) * 2018-05-11 2022-10-04 科勒公司 马桶的脚架结构
TR201820358A2 (tr) * 2018-12-25 2020-07-21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Ergonomi̇k bi̇r serami̇k sağlik gereci̇
CZ308699B6 (cs) * 2019-03-14 2021-03-03 Magdaléna MgA. Fousová Závěsný klozet
US20220265101A1 (en) * 2019-07-25 2022-08-25 Stephen John THOMSON Improvements relating to toilet module
US11278170B2 (en) * 2019-09-16 2022-03-22 Andrew Trebino Adjustable toilet seat
CN110754987B (zh) * 2019-11-01 2021-06-15 吉林大学 一种中老年人便秘患者排便用蹲便辅助装置
US10914059B1 (en) * 2019-11-13 2021-02-09 Raymond S. Payne Urinal raised footplate assembly
CN111119305B (zh) * 2019-12-23 2021-04-09 浙江健仕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节水型一体式马桶结构
CN111139910A (zh) * 2020-01-22 2020-05-12 广东南芯医疗科技有限公司 一体式马桶
US11559178B1 (en) * 2020-02-14 2023-01-24 Lisa Goldfine Defecation postural modification devices
WO2021225543A1 (en) * 2020-05-04 2021-11-11 Ayvaz Arge Proje Danişmanlik Enerji̇ Tarim Sanayi̇ Ti̇caret İthalat Ve İhracat Li̇mi̇ted Şi̇rketi̇ Next-generation toilet construction
CN111926895B (zh) * 2020-07-14 2021-08-27 义乌市巨界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蹲式马桶防尿液喷溅装置
US11617480B2 (en) 2020-09-29 2023-04-04 Harrell Edward Wimberly Ergonomic toilet seat apparatus and assembly
US20220240735A1 (en) * 2021-02-03 2022-08-04 Joseph Richard Hardwick, JR. System and method for a body positioning system on the toilet
USD1017001S1 (en) 2021-07-22 2024-03-05 Harrell Edward Wimberly Ergonomic toilet seat and lid
IL294711A (en) * 2022-07-12 2024-02-01 Alon David Toile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482B1 (ko) * 2012-04-26 2012-11-01 조현언 쾌변을 위한 변기시트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885A (en) * 1914-05-26 1915-10-05 Bob Catchings Water-closet bowl.
US2099118A (en) * 1936-11-28 1937-11-16 Kennedy George Winter Toilet assembly
US2243264A (en) * 1940-08-14 1941-05-27 Perry F Stromblad Lavatory bowl
US2954566A (en) * 1957-03-19 1960-10-04 Trea Boye Corp Toilet structure
US3520005A (en) * 1967-12-14 1970-07-14 John Malcolm Downes Toilet seat structure
US4175294A (en) * 1978-09-08 1979-11-27 Boyd John A Toilet construction
US4254514A (en) * 1980-02-06 1981-03-10 Minoru Sakamoto Attachable toilet bowl seat and footrest
US5311617A (en) * 1992-04-16 1994-05-17 Ammatelli Francis J Physiologic toilet attachment
US5553334A (en) * 1994-09-28 1996-09-10 Hillman; Betty R. Toilet designed to facilitate bowel movements
EP0750875A1 (de) * 1995-06-26 1997-01-02 Affolter, Daniel Klosett mit Fussstützen
US20090019629A1 (en) * 2007-07-18 2009-01-22 Grigoriy Bakmadzhyan Toilet apparatus providing a user with a physiologically natural position during bowel movement
KR200460173Y1 (ko) * 2009-01-23 2012-05-03 김재용 쾌변을 위한 좌변기용 발판
AU2010358605A1 (en) * 2010-08-05 2013-03-21 Mecha-Medic Solutions Sdn Bhd Anococcygeal support
US9307879B2 (en) * 2012-01-10 2016-04-12 Fagre Enterprises, Llc Body positioning systems
KR101423912B1 (ko) * 2012-07-06 2014-07-28 유난숙 배변촉진 변기시트
KR101932280B1 (ko) * 2012-11-20 2018-12-24 최미선 양변기용 좌대의 경사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482B1 (ko) * 2012-04-26 2012-11-01 조현언 쾌변을 위한 변기시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684B1 (ko) * 2017-12-29 2019-03-1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변 공간용 발판
KR20190081472A (ko) * 2017-12-29 2019-07-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좌변 보조장치
KR102001463B1 (ko) * 2017-12-29 2019-07-1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좌변 보조장치
WO2019171372A1 (en) * 2018-03-05 2019-09-12 Sebton Aviv A toilet seat with an adjustable inclination
KR20200059095A (ko) 2018-11-20 2020-05-28 유승열 쾌변용 발 받침대
KR102186305B1 (ko) * 2019-09-27 2020-12-03 이형우 변을 자유롭게 나오게 하는 쾌변 페가수스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25337A1 (en) 2018-11-15
CN208259641U (zh) 2018-12-21
WO2018074676A1 (ko) 2018-04-26
US10292549B2 (en)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369B1 (ko)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US20110121625A1 (en) Lift chair
KR102167841B1 (ko) 분리형 전동휠체어를 포함하는 침대장치
KR20200068846A (ko) 다중의 자세모드 변경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JP4410845B2 (ja) ポ−タブルトイレ用フレ−ム
KR102038996B1 (ko) 목욕용 의자
KR102306638B1 (ko) 기립보조의자
KR101953467B1 (ko)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CN111134475A (zh) 一种带有腋下支撑装置的助力椅
KR102304234B1 (ko) 발받침대가 구비된 변기좌판
KR200487119Y1 (ko) 양변기용 발받침대
KR200491817Y1 (ko)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이동식 배변유도 변기
KR101980659B1 (ko) 양변기용 좌대
KR101932280B1 (ko) 양변기용 좌대의 경사조절장치
KR101310611B1 (ko) 좌변기 시트 어셈블리
CN211533479U (zh) 一种带有腋下支撑装置的助力椅
CN210961755U (zh) 助力坐便装置
JPH08196477A (ja) トイレ装置
DK179620B1 (en) TOILET FIKURUR
KR20180114761A (ko) 원활한 배변 유도를 위한 좌변기
KR102043975B1 (ko) 쾌변 유도 구조를 갖는 변기시트
KR20090002049U (ko) 전동 승강 의자
US5603130A (en) Sanitary seat
CN214484377U (zh) 一种可调节式坐便辅助装置
JPH11256661A (ja) 多機能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