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472A - 좌변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좌변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472A
KR20190081472A KR1020170184042A KR20170184042A KR20190081472A KR 20190081472 A KR20190081472 A KR 20190081472A KR 1020170184042 A KR1020170184042 A KR 1020170184042A KR 20170184042 A KR20170184042 A KR 20170184042A KR 20190081472 A KR20190081472 A KR 20190081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angle
user
heigh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463B1 (ko
Inventor
김기주
임석연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4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는, 좌변기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발판부; 상기 좌변기의 개구를 여닫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상기 좌변기의 좌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변기 커버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판을 상승시키고, 상기 각도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좌대 사이의 각도를 직각 보다 작고 수평보다는 크게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좌변 보조장치{APPARATUS FOR HAVING A BOWEL MOVEMENT}
본 발명은 좌변 보조장치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변기 주변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올바른 배변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좌변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많은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변비가 문제가 되고 있다. 변비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만성변비증이라 진단하며, 만성변비증의 원인으로, 첫째, 대장이 아닌 다른 질환이나 약물에 의한 변비, 둘째, 대장이나 직장항문의 구조적 이상이 발생하여 오는 기질적 변비, 셋째, 대장, 직장 및 항문의 기능 이상으로 오는 기능적 변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적 변비 중 하나인 직장형 변비는 배변 자세와 관련이 된다. 현대인들이 사용하는 좌변기는 서양인들이 사용하던 높이와 구조를 그대로 들여와 사용하기 때문에 서양인들 보다 키가 작고 체구도 작은 동양인들은 좌변기에 착석했을 때 변기 아주 나오기 힘든 꾸부정한 자세가 된다.
자세히, 도 1에서 좌측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드시, 일반적인 양변기좌석에서 배변활동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몸통과 다리 사이의 각도가 직각을 이루면서 치골직장근(puborectalis muscle)이 직장(rectum)을 조이는 배변자세가 되어 원할한 배변이 이루어질 수 없다.
일반적인 양변기좌석에서 올바른 배변자세를 취하기 위해서는, 도 1의 우측 그림과 같이, 사용자의 발바닥이 지면에서 올라와야 하고, 허리가 굽혀져 몸통과 다리 사이의 각이 직각보다 좁혀져야(바람직하게는 35도 내외) 치골직장근이 직장의 조임을 풀면서 원활한 배변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올바른 배변자세는, 사용자의 몸과 다리 사이의 기울기가 좁혀진 자세이며, 이러한 배변자세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먼저, 특허문헌 1(출원번호: 10-2010-0002420)은, 일반 변기의 평평한 구조를 오목하게 변경하여, 올바른 배변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1은, 기존 설치된 다수의 변기에는 적용될 수 없어 재설치를 해야하여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며 변기구조가 변경되면서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낄 수 있고 곡면구조로 인해 비위생적이며 청소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2(출원번호: 10-2012-0030804)와 특허문헌 3(10-2012-0043920)은, 기존 양변기좌석에 앉아 자연스럽게 쪼그리고 앉는 자세를 만들 수 있게 발을 들어 올려 놓을 수 있는 발높이 조절 발받침으로 구성하여, 올바른 배변 자세를 유도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와 3은, 발높이 조절 발받침을 양변기와 별도로 구비해야 하며, 별도로 구비된 발받침이 화장실에 놓이게 될 경우, 위생이 문제가 되고 화장실의 미관을 해치며 청소가 어렵고 부주의하게 이동할 경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리를 올려놓는 것만으로는, 사용자의 몸과 다리의 각도가 충분히 좁혀지지 않아 올바른 배변자세를 유도하기 어려운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기존 좌변기 주변에 설치되어 최적의 배변자세를 유도하면서도 화장실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위생적이고 청소가 용이한 좌변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는, 좌변기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발판부; 상기 좌변기의 개구를 여닫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상기 좌변기의 좌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변기 커버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판을 상승시키고, 상기 각도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좌대 사이의 각도를 직각 보다 작고 수평보다는 크게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판부는, 상기 발판을 포함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좌변기 주변의 바닥면 아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좌변기 주변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홈 내에 상기 본체를 상기 바닥면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발판을 상승시키고, 상기 본체를 상기 바닥면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발판을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가 기본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발판의 상면은 상기 홈 주변의 상기 바닥면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상기 발판의 상면 둘레에 배치되며 탄성소재로 형성된 밀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와 상기 발판은 힌지를 통해 결합하여, 상기 발판이 상승할 때 상기 발판의 상면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발판이 상기 바닥면과 수평일 때에는 상기 발판의 상면은, 상기 본체의 상면과 수평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좌변기의 좌대 상의 시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착석 정보를 감지하는 좌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대 센서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착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높이 조절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석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무게가 작을수록 상기 발판의 상승 높이가 커지도록 조절하고, 상기 몸무게가 클수록 상기 커버와 상기 좌대 사이의 각도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발판 높이 조절입력과, 상기 커버와 좌대 사이의 각도 조절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높이 조절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조절된 상기 발판 높이와, 커버 각도를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정보 감지시, 상기 착성 정보 내에 몸무게와 매칭되는 상기 발판 높이와 상기 커버 각도를 저장부에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상기 발판 높이와 상기 커버 각도에 따라서 상기 높이 조절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상 착석함을 감지하면, 상기 높이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판의 높이를 상승시키고, 상기 각도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좌대 사이의 각도를 좁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는, 좌변기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을 바닥 보다 높이고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도록 유도하여 사용자의 다리와 몸을 밀착시킴으로써, 일반 좌변기에서도 사용자가 올바른 배변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여 원활하고 쾌적한 배변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는, 발판부가 필요 상황에 맞게 상기 사용자의 발을 들여올려주어 올바른 배변자세를 안내하며, 상기 발판부는, 평소에 화장실 바닥 내측으로 장입되어 화장실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위생적이며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는, 발판부의 높이 조절과 동시에 상기 커버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도록 안내하여 사용자의 다리와 몸을 좀더 밀착시킴으로써, 최적의 배변자세를 유지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는, 사용자가 좌변기에 착석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한 착석 정보에 따라 발판의 높이와 커버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특성에 적합한 배변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는 사용자의 착성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본체의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적정 배변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그릇된 배변자세와 올바른 배변자세를 비교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가 작동되지 않은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가 발판의 높이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가 배변모드로 동작한 최종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가 배변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촉센서가 실장된 시트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접촉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발판의 높이가 제어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는, 좌변기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을 바닥 보다 높이고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도록 유도하여 사용자의 다리와 몸을 밀착시킴으로써, 일반적으로 설치된 기존 좌변기에서도 사용자가 올바른 배변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여 원활하고 쾌적한 배변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좌변 보조장치는, 입력부(110), 저장부(120), 좌대 센서(130), 제어부(140), 변기커버부(200) 및 발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부(300)>
먼저,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300)는, 필요 상황에 사용자의 발을 들여 올려주어 올바른 배변자세를 안내하며, 평소에는 화장실 바닥 내측으로 장입되어 화장실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위생적이며 청소가 용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발판부(300)는, 좌변기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310)과, 상기 발판(310)과 연결된 본체(320)와, 상기 본체(320)를 통해 상기 발판(310)을 승강시키는 높이 조절부(350)와, 상기 높이 조절부(350)를 지지하는 지지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발판부(300)는,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하지 않는 일반 상황에서는 기본 모드로 동작하여, 발판부(300)의 본체(320)는 화장실 바닥면(f)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화장실 바닥면(f)에는 수직하게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내에 발판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상기 발판(310)의 상면과 상기 발판부(300) 주변의 바닥면(f)은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발판(310)의 상면과 화장실 바닥면(f)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화장실 내에서 배출된 물이 흘러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발판부(300)는, 발판(310)의 상면 둘레에 배치되며 탄성소재로 형성된 밀폐부(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밀폐부(311)는, 발판부(300)의 상면의 둘레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탄성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311)는, 본체(320)가 바닥면(f) 아래 위치하였을 때, 발판(310)의 상면과 화장실 바닥면(f) 의 공간을 밀폐시켜, 이물질이 바닥면(f)의 홈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높이 조절부(350)는, 지지대(330)로부터 상기 본체(32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발판(310)을 상승시키고, 본체(32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발판(31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부(350)는, 유압 실린더 타입나, 피니언 기어 타입으로, 상기 본체(3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부(350)는, 정확한 높이제어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강한 힘을 주기 적합한 유압 실린더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히, 도 4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350)의 피스톤 로드가 유압을 받아 길이가 연장되어 본체(320)를 홈 밖으로 밀어내면, 본체(320) 상의 발판(310)이 화장실 바닥면(f)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높아져, 사용자의 발을 바닥면(f) 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발이 들어올려질 때, 발판(310)이 지면과 수평하다면 발과 종아리 사이의 각도가 벌어져 발목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320)와 발판(310)은 힌지(315)를 통해 결합하여, 발판(310)이 상승할 때 발판(310)의 상면은, 본체(320)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소정의 높이 이상으로 발판(310)이 상승하면, 발판(310)의 일부와 본체(320)가 분리되면서 힌지(315)를 중심으로 발판(310)이 회전하게 되어, 발판(310)의 상면은 지면에 대한 경사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를 가지는 발판(310)은, 발이 들어올려진 자세를 취하고 있는 사용자의 발목에 부담을 경감시켜, 사용자의 좌변 보조장치 사용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발판(310)의 승강과 높이 제어는, 제어부(140)의 상기 높이 조절부(350) 제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배변활동을 감지하면 상기 높이 조절부(350)를 제어하여 발판(310)을 상승시켜 올바른 배변자세를 유도하고, 배변활동이 종료되면 상기 높이 조절부(350)를 제어하여 발판(310)을 하강시켜 발판부(300)를 바닥면(f) 내로 장입시킴으로써, 화장실의 위생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기커버부(200)>
또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는, 발판부(300)의 높이 조절과 동시에 상기 커버(220)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도록 안내하여 사용자의 다리와 몸을 좀더 밀착시킴으로써, 최적의 배변자세를 유지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상기 높이 조절부(350)를 제어함과 동시에 변기커버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도 5를 참조하면, 변기커버부(200)는, 좌변기의 좌대 상에 배치된 시트(210)와, 상기 시트(210)와 힌지 결합하며 좌변기의 개구부를 여닫는 커버(220)와, 상기 힌지를 통해 상기 커버(220)를 회전시키는 각도 조절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발판(310)을 올려 사용자의 발을 지면 위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커버(220)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허리에 압력을 주어 사용자가 허리를 숙여 배와 허벅지가 좀더 밀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각도 조절부(250)를 제어하여 커버(220)와 좌대 사이의 각도를 직각 보다 작고 수평보다는 크게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40)는, 들여올려진 다리(예컨대, 허벅지)의 연장방향과, 숙여진 몸의 연장방향 사이의 각도가 30도에서 40도 내가 형성되도록 상기 커버(220)와 좌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커버(220)의 회전에 따라 몸을 숙이면 커버(220)를 다시 회전시켜 좌대에 대해 직각 위치로 이동시켜 사용자에게 가해진 압력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갑작스럽게 몸을 필 경우 커버(220)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에 따른 각도 조절부(25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커버(220)의 압력으로 인한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배변활동이 끝난 후에는 자동으로 커버(220)가 좌변기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수평한 위치에 이동시켜, 화장실의 위생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좌변 보조장치의 구동방법>
한편,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는, 사용자가 좌변기에 착석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한 착석 정보에 따라 발판(310)의 높이와 커버(220)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특성에 적합한 배변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 보조장치가 배변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40)는, 좌대 센서(130)를 통해 사용자의 착석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좌대 센서(130)는, 좌변기의 좌대 상의 시트(210) 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착석 정보를 감지하고, 제어부(140)는, 좌대 센서(13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착석 정보를 기초로 높이 조절부(350)와 각도 조절부(25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좌대 센서(130)는, 무게 센서로, 시트(21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착석 시점을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앉은 무게를 측정하여 몸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활성화되어 배변 모드가 실행될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S102)
자세히, 사용자는, 시트(210) 주변에 배치된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배변 모드를 실행하거나,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도 착석할 경우 사용자가 배변활동을 하려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배변 모드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발판(310) 높이 조절입력과, 커버(220)와 좌대 사이의 각도 조절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배변활동이 아니면, 높이 조절부(350)와 각도 조절부(250)를 제어하지 않아 발판(310)과 커버(220)를 원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배변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높이 조절부(350)를 제어하여 상기 발판(310)의 높이를 바닥면(f) 보다 높게 상승시킬 수 있다. (S103, S104) 이때, 발판(310)의 높이가 상승됨에 따라서, 발판(310) 상면의 경사 또한 조절될 수 있다. (S105)
또한, 제어부(140)는, 발판(310) 상승에 대응하여 커버(220)와 좌대 사이의 각도도 변경할 수 있다. (S106)
이때, 제어부(140)는, 착석한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발판(310)의 높이와 커버(220)와 좌대 사이의 각도(이하, 커버(220)의 각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몸무게가 작을수록 발판(310)의 상승 높이가 커지도록 조절하고, 몸무게가 클수록 커버(220)와 좌대 사이의 각도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대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인일수록 발판(310)의 높이를 더 높이고 커버(220)의 각도를 더 좁혀, 소인 또한 몸과 다리 사이의 각도가 30도 내지 40도를 이루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추어진 발판(310) 높이와 커버(220) 각도가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입력부(110)를 통해 발판(310) 높이와 커버(220)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조절된 발판(310) 높이와, 커버(220) 각도를 사용자의 몸무게와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착석 정보 감지시, 착성 정보 내에 몸무게와 매칭되는 발판(310) 높이와 커버(220) 각도를 저장부(120)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발판(310) 높이와 커버(220) 각도에 따라서 높이 조절부(350)와 각도 조절부(25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불필요한 재조정 입력이 필요없이 자신에게 맞춤화된 위치로 발판(310)과 커버(220)가 이동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상 착석함을 감지하면, 높이 조절부(350)를 제어하여 발판(310)의 높이를 상승시키고, 각도 조절부(250)를 제어하여 커버(220)와 좌대 사이의 각도를 좁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7, S108)
즉, 제어부(140)는, 소정의 시간 동안에도 원활한 배변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몸과 다리 사이의 각도를 다시 재조정하여 치골직장근을 통해 직장에 자극을 주어, 좀더 원활한 배변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40)는, 배변활동이 종료되면, 각도 조절부(250)를 제어하여 커버(220)가 좌변기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커버(220)를 이동시키고, 발판(310)을 내려 발판(310)의 상면이 다시 바닥면(f)과 수평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S109)
자세히, 제어부(140)는, 좌대 센서(130)를 통해 사용자의 기립을 감지하면, 발판(310)을 원 위치시키고, 커버(220)로 개구부를 폐쇄시켜 물 내림시 물이 좌변기 밖으로 튀는 것을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촉센서가 실장된 시트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접촉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발판의 높이가 제어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시트(210)에는 접촉 센서(211)가 설치될 수 있다. 접촉 센서(211)는 시트(210)를 따라 시트(210)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접촉 센서(211)는 시트(210)와 시트(210)에 착석한 사용자의 피부와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 센서(211)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시트(210)의 상부면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시트(210)의 형상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접촉 센서(211)들 각각은 시트(210)에 착석한 사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배변 스타일에 따라서, 도 8과 같이 시트(210)에 걸터 앉은 상태로 배변을 볼 수 있고, 도 9과 같이 등을 최대한 커버(220) 쪽으로 밀착 시킨 상태에서 시트(210)에 앉아 배변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시트(210)에 앉은 위치에 따라서 본체(320)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복수의 접촉 센서(211)들 각각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앉은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피부와의 접촉되는 접촉 센서(211)의 개수에 기초하여 본체(3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접촉 센서(211)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도 8과 같이 착석한 것으로 인식하면 본체(320)의 제1 높이로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도 7과 같이 착석한 것으로 인식하면 본체(320)를 제2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높다. 즉,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커버(320) 쪽으로 더 들어가서 앉은 경우에는 본체(320)의 높이는 증가한다. 이는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커버(320)쪽으로 엉덩이를 더 밀어넣으면서 시트(310)에 착석한 경우 사용자의 허벅지와 종아리가 이루는 예각(x)은 점점 커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함께 들여올려진 다리(예컨대, 허벅지)의 연장방향과, 숙여진 몸의 연장방향 사이의 각도 또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접촉 센서(211)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각도(x)를 추정하고 각도(x)에 비례하여 발판(320)의 상승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들여올려진 다리(예컨대, 허벅지)의 연장방향과, 숙여진 몸의 연장방향 사이의 적정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입력부(110)
저장부(120)
좌대 센서(130)
제어부(140)
변기커버부(200)
시트(210)
접촉센서(211)
커버(220)
각도 조절부(250)
발판부(300)
높이 조절부(350)

Claims (11)

  1. 좌변기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발판부;
    상기 좌변기의 개구를 여닫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상기 좌변기의 좌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변기 커버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판을 상승시키고, 상기 각도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좌대 사이의 각도를 직각 보다 작고 수평보다는 크게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좌변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발판을 포함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좌변기 주변의 바닥면 아래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 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좌변기 주변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홈 내에 상기 본체를 상기 바닥면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발판을 상승시키고, 상기 본체를 상기 바닥면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발판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 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기본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발판의 상면은 상기 홈 주변의 상기 바닥면과 수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 보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발판의 상면 둘레에 배치되며 탄성소재로 형성된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 보조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발판은 힌지를 통해 결합하여,
    상기 발판이 상승할 때 상기 발판의 상면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발판이 상기 바닥면과 수평일 때에는 상기 발판의 상면은, 상기 본체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 보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좌대 상의 시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착석 정보를 감지하는 좌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대 센서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착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높이 조절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 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무게가 작을수록 상기 발판의 상승 높이가 커지도록 조절하고,
    상기 몸무게가 클수록 상기 커버와 상기 좌대 사이의 각도가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 보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발판 높이 조절입력과, 상기 커버와 좌대 사이의 각도 조절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높이 조절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 보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조절된 상기 발판 높이와, 커버 각도를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정보 감지시, 상기 착성 정보 내에 몸무게와 매칭되는 상기 발판 높이와 상기 커버 각도를 저장부에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상기 발판 높이와 상기 커버 각도에 따라서 상기 높이 조절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 보조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상 착석함을 감지하면, 상기 높이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판의 높이를 상승시키고, 상기 각도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좌대 사이의 각도를 좁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 보조장치.
KR1020170184042A 2017-12-29 2017-12-29 좌변 보조장치 KR102001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042A KR102001463B1 (ko) 2017-12-29 2017-12-29 좌변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042A KR102001463B1 (ko) 2017-12-29 2017-12-29 좌변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472A true KR20190081472A (ko) 2019-07-09
KR102001463B1 KR102001463B1 (ko) 2019-07-18

Family

ID=6726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042A KR102001463B1 (ko) 2017-12-29 2017-12-29 좌변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46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6637A (zh) * 2019-07-26 2019-10-08 张祚新 一种带脚踏台的马桶
CN111387972A (zh) * 2020-04-20 2020-07-10 广州易风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弱电信号采集电路及具有该采集电路的座圈及马桶盖
CN111636536A (zh) * 2020-06-15 2020-09-08 上海菲恒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适应多年龄段人群的马桶
CN113349671A (zh) * 2021-05-31 2021-09-07 吴昊洋 一种带有脚踏装置的坐便器
KR20220081609A (ko) * 2020-12-09 2022-06-16 양우현 쾌변 유도용 발판
IL294711A (en) * 2022-07-12 2024-02-01 Alon David Toile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1384A (ja) * 1995-11-07 1997-05-20 Inax Corp トイレ用マツサージ装置
JP2004353211A (ja) * 2003-05-27 2004-1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トイレ用床下収納装置
KR20160002543U (ko) * 2015-01-12 2016-07-20 채기석 자동 등받이와 전동커버를 구비한 양변기
KR101803369B1 (ko) * 2016-10-18 2017-11-30 김성규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1384A (ja) * 1995-11-07 1997-05-20 Inax Corp トイレ用マツサージ装置
JP2004353211A (ja) * 2003-05-27 2004-1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トイレ用床下収納装置
KR20160002543U (ko) * 2015-01-12 2016-07-20 채기석 자동 등받이와 전동커버를 구비한 양변기
KR101803369B1 (ko) * 2016-10-18 2017-11-30 김성규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6637A (zh) * 2019-07-26 2019-10-08 张祚新 一种带脚踏台的马桶
CN111387972A (zh) * 2020-04-20 2020-07-10 广州易风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弱电信号采集电路及具有该采集电路的座圈及马桶盖
CN111387972B (zh) * 2020-04-20 2023-10-31 广州易风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弱电信号采集电路及具有该采集电路的座圈及马桶盖
CN111636536A (zh) * 2020-06-15 2020-09-08 上海菲恒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适应多年龄段人群的马桶
KR20220081609A (ko) * 2020-12-09 2022-06-16 양우현 쾌변 유도용 발판
CN113349671A (zh) * 2021-05-31 2021-09-07 吴昊洋 一种带有脚踏装置的坐便器
IL294711A (en) * 2022-07-12 2024-02-01 Alon David Toile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463B1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463B1 (ko) 좌변 보조장치
US10588471B2 (en) Stool for use with a toilet
EP1898763B1 (en) Multi-position support apparatus featuring a motorized foot support
US6117094A (en) Mass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ame
US8566984B2 (en) Multi-position support apparatus featuring a movable foot support
JP4166763B2 (ja) 開閉式浴槽
KR101849220B1 (ko) 좌변기의 배변장치
WO2010120274A1 (en) Device for a person to reduce straining during expulsion of fecal matter into a toilet
KR101156165B1 (ko)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JP2007325712A (ja) マッサージ機
KR101906904B1 (ko) 적응형 자동식 변기
JP4517938B2 (ja) 運動補助装置
KR101843014B1 (ko) 쾌변 유도 좌변장치
JP6504777B2 (ja) 移動式トイレ装置
KR101931238B1 (ko) 쾌변 유도 변기발판
JP4647711B1 (ja) 排便補助機器
JP6628463B1 (ja) 洋式便器用の排便支援装置
TWI641344B (zh) 輔助座椅及其操作方法
KR200384272Y1 (ko) 용변 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
KR102043975B1 (ko) 쾌변 유도 구조를 갖는 변기시트
JPH04367638A (ja) 体重測定機能を備えた便器
KR20060122069A (ko) 골반저근 근력강화장치 및 방법
CN108999257A (zh) 可助力伤/病/老人起立、下蹲的冲水马桶及其使用方法
KR20140065885A (ko) 좌변기
TWM445948U (zh) 智慧型馬桶座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