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904B1 - 적응형 자동식 변기 - Google Patents
적응형 자동식 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6904B1 KR101906904B1 KR1020170076097A KR20170076097A KR101906904B1 KR 101906904 B1 KR101906904 B1 KR 101906904B1 KR 1020170076097 A KR1020170076097 A KR 1020170076097A KR 20170076097 A KR20170076097 A KR 20170076097A KR 101906904 B1 KR101906904 B1 KR 1019069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toilet
- seat
- cover
- length adjus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설물을 수용시키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용된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급배수수단이 내장된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 테두리에 각각 틸팅가능하게 적층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석환경을 제공하는 복수의 시트; 상기 시트의 상부에 틸팅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 상기 변기 본체에 각각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시트와 상기 덮개에 대응 연결되고,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시트와 상기 덮개의 틸팅을 조절하는 복수의 길이조절유닛; 상기 변기 본체의 하방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체중과 발 형태를 측정하는 신체감지유닛; 및 상기 변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유닛과 상기 신체감지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신체감지유닛의 측정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연령대 및 발끝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길이조절유닛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트는, 사이즈가 각각 다르게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맞춤형 용변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트는, 사이즈가 각각 다르게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맞춤형 용변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기 앞에 위치한 사용자의 체중과 발 형태를 감지하여 연령대 및 발끝방향을 분석해내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시트가 각각 틸팅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맞춤형 용변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적응형 자동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 변기는 대소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도기제의 본체와 목제 에나멜칠 또는 플라스틱제의 변좌 및 뚜껑으로 되어 있으며, 오물유출방법에 따라 사이펀제트식과 워시아웃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양식 변기는 사용자가 변기에 걸터앉아 사용하기 때문에 통상 "수세식 좌변기"로 불리는데, 이러한 수세식 좌변기는 중세의 영국에서 발명된 후, 문명적인 발달과 생활의 편의성 향상에 따라 우리나라로 전파된 후, 위생관리적 측면에서 유리하고, 용변을 편리하게 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현재는 거의 대부분의 화장실에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수세식 좌변기의 구조는 용변을 흘려보내기 위한 세척수를 저장하는 변기수조와, 속이 음푹하게 패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량의 물이 고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부에 담긴 용변을 상기 변기수조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해 트랩으로 씻어 내리는 좌변기 몸체와, 상기 좌변기 몸체의 상부에서 들거나 내릴 수 있게 설치된 변기시트와, 상기 변기시트를 덮을 수 있도록 들거나 내릴 수 있게 설치된 시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세식 좌변기는 남녀 사용자가 배변하거나, 여성 사용자가 배뇨할 경우, 시트커버를 들어올리고, 변기시트가 좌변기 상면에 위치하도록 내린 상태에서 변기시트 상부에 걸터앉아서 용변을 보기 때문에 변기시트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과 직접 닿게 되는데 이때, 변기시트가 청결하지 못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불쾌감과 더불어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비위생적인 측면의 문제는 생리적 구조상 기립자세에서 배뇨하는 대부분의 남성이 시트커버만 올린 상태에서 배뇨할 때에 소변이 변기시트에 비산하게 되면서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남성 사용자의 배뇨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기시트의 오염을 막기 위해서는 변기시트까지 올린 상태로 배뇨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남성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배뇨 때마다 일일이 허리를 숙이고 손으로 변기시트를 들어 올리는 것 자체가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남성에 의한 배뇨과정이 아니더라도, 올렸던 변기시트를 내리기 위해서는 수세식 좌변기의 구조상 세균 오염이 가장 심한 변기시트의 저면을 손으로 만져야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변기시트를 자동으로 들어 올려주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변기시트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하는 실정이나, 종래의 변기시트 올림 장치는 다양한 연령대의 사용자들에게 적합한 크기의 변기시트를 대응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시트커버가 자동으로 내려진 상태에서 사용수가 배수되도록 구성하여 배수과정에서의 오염물 비산까지 방지하는 등의 보다 위생적인 측면은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변기 앞에 위치한 사용자의 체중과 발 형태를 감지하여 연령대 및 발끝방향을 분석해내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시트가 각각 틸팅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맞춤형 용변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적응형 자동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부재상태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덮개가 내려가도록 하면서 덮개와의 접촉충격에 의해 변기 내의 사용수가 배수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위생적이고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한 적응형 자동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응형 자동식 변기는, 배설물을 수용시키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용된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급배수수단이 내장된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 테두리에 각각 틸팅가능하게 적층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석환경을 제공하는 복수의 시트; 상기 시트의 상부에 틸팅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 상기 변기 본체에 각각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시트와 상기 덮개에 대응 연결되고,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시트와 상기 덮개의 틸팅을 조절하는 복수의 길이조절유닛; 상기 변기 본체의 하방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체중과 발 형태를 측정하는 신체감지유닛; 및 상기 변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유닛과 상기 신체감지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신체감지유닛의 측정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연령대 및 발끝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길이조절유닛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시트는, 사이즈가 각각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각각의 시트와 상기 덮개가 틸팅작용하는 부분에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각각 대응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상기 변기 본체에 상기 각각의 와이어와 대응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권양하거나, 풀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변화시켜 상기 시트와 상기 덮개를 각각 틸팅시키는 전동윈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감지유닛은, 상기 변기 본체의 주변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면서 지지되는 접촉패널; 상기 접촉패널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 및 상기 접촉패널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된 발에 대한 빛 또는 초음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사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발의 형태를 측정하는 형상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신체감지유닛에서 사용자의 체중과 발 형태가 측정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부재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덮개가 상기 변기 본체 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길이조절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 테두리 또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가 상기 변기 본체 측에 밀착될 경우,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변기 본체의 급배수수단과 상기 충격감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충격감지유닛에서 충격이 감지될 경우, 상기 급배수수단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자동식 변기는, 신체감지유닛과 컨트롤러에 의해 변기 본체 앞에 위치한 사용자의 체중과 발 형태를 감지하여 연령대 및 발끝방향을 분석해내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시트가 각각 틸팅되도록 복수의 길이조절유닛을 각각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맞춤형 용변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의 부재상태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덮개가 내려가도록 길이조절유닛을 제어하면서 덮개와의 접촉충격에 의해 변기 본체 내의 사용수가 배수되도록 급배수수단을 제어하여 보다 위생적이고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자동식 변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의 길이조절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의 시트 및 덮개와 길이조절유닛 간에 연결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가 남성의 소변 시에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6은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가 청소년 이상 남성의 대변 또는 청소년 이상 여성의 대소변 시에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7은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가 어린이의 대소변 시에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2는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의 길이조절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의 시트 및 덮개와 길이조절유닛 간에 연결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가 남성의 소변 시에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6은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가 청소년 이상 남성의 대변 또는 청소년 이상 여성의 대소변 시에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7은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가 어린이의 대소변 시에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자동식 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의 길이조절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의 시트 및 덮개와 길이조절유닛 간에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가 남성의 소변 시에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가 청소년 이상 남성의 대변 또는 청소년 이상 여성의 대소변 시에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며, 도 7은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가 어린이의 대소변 시에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자동식 변기(100)는 변기 본체(110), 시트(120), 덮개(130), 길이조절유닛(140), 신체감지유닛(150), 컨트롤러(160) 및 충격감지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변기 본체(110)는 후술될 모든 부품을 고정하고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골격으로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제작된 좌변기(양변기)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배변배뇨(대소변)와 같은 생리적 현상에 의해 신체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을 수용시키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수조형태의 수용공간(111)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기 본체(110)의 타측에는 상기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급배수수단(112)이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배수수단(112)은 물탱크, 부유체, 밸브, 스퍼드 워셔, 배관 등을 포함하여 상기 밸브의 개방 시에, 상기 물탱크의 물이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설정된 양만큼 쏟아 부어져 그 수압으로 배설물이 포함된 사용수를 배관을 통해 흘려보내도록 구성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의 개폐가 후술될 컨트롤러(160)에 의한 전기적 신호로 이루어지는 전자식 급배수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급배수수단(112)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로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시트(120)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착석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변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 테두리에 각각 일측이 틸팅가능하게 적층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시트(120)는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라 사이즈가 각각 다르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토션 스프링 등을 이용한 힌지결합구조로 상기 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트(120)를 비교적 크기가 큰 성인용 시트(120a)와, 비교적 크기가 작은 어린이용 시트(120b)로 2개 구성하고 있으나, 이는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다양한 연령대를 고려하여 다양한 개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130)는 시트(120)의 상부에 틸팅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120) 상에 덮어지면서 상기 변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덮개(130)는 시트(120)와 동일한 구조로 상기 변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 테두리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길이조절유닛(140)은 변기 본체(110)에 각각 길이조절가능하게 복수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시트(120a, 120b)와 상기 덮개(130)에 대응 연결되고,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시트(120)와 덮개(130)의 틸팅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와이어(141) 및 전동윈치(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41)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시트(120a, 120b)와 상기 덮개(130)가 틸팅작용하는 부분에 연결되는 줄로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기 본체(110)와 상기 각각의 시트(120a, 120b) 및 상기 덮개(130) 간의 힌지부에 각각 복수개로 대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동윈치(142)는 와이어(141)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변기 본체(110)에 각각의 와이어(141a, 141b, 141c)와 대응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141)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와이어(141)를 권양하거나, 풀면서 상기 와이어(141)의 장력을 변화시켜 상기 시트(120)와 덮개(130)를 각각 틸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전동윈치(142)는 와이어(141)를 휘감기 위한 원통형상의 드럼(미도시)과 전동기(미도시) 등이 구비되어야 함은 자명한 사실이며, 상기 전동윈치(142)는 드럼의 수에 따라 단동, 복동, 다동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만큼 일반적으로 게재된 공지의 기술로서,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되어 취급될 수 있다.
상기 신체감지유닛(150)은 변기 본체(110)의 하방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체중과 발 형태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접촉패널(151), 무게측정센서(152) 및 형상측정센서(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패널(151)은 변기 본체(110)의 주변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면서 지지되는 패널로서, 본 발명의 도면과 같이 별도로 외장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바닥면에 매설될 수도 있다.
상기 무게측정센서(152)는 접촉패널(151)과 사용자의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센서로, 상기 접촉패널(151) 하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체중 측정이 가능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공지의 압력계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형상측정센서(153)는 상기 접촉된 발에 대한 빛, 초음파 등의 반사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발의 형태를 측정하는 센서로, 상기 접촉패널(151) 하부에 설치되는 광센서 또는 초음파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탭 스위치, PCB 멤브레인 스위치 등 다양한 공지의 접촉 스위치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60)는 신체감지유닛(15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발 사이즈, 발가락이 향하는 발끝방향 등을 판단하여 상기 길이조절유닛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모듈로서, 상기 변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유닛(140)과 신체감지유닛(150)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160)는 미리 입력되어 설정된 측정범위 값들을 토대로 상기 무게측정센서(152)에서 측정되는 몸무게와 상기 형상측정센서(153)에서 측정되는 발 형태에 따라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발 사이즈, 발가락이 향하는 발끝방향 등을 유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160)는 신체감지유닛(150)에서 사용자의 체중과 발 형태가 측정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부재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덮개(130)가 변기 본체(110) 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길이조절유닛(14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지유닛(170)은 덮개(130)가 상기 변기 본체(110) 측에 밀착될 경우, 그 충격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변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 테두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적어도 하나의 시트(120a, 120b)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충격감지유닛(170)은 통상적으로 게재된 다양한 공지의 압력센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60)는 변기 본체(110)의 상기 급배수수단(112)과 충격감지유닛(170)에 연결되어 상기 충격감지유닛(170)에서 충격이 감지될 경우, 상기 급배수수단(112)의 밸브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신체감지유닛(150)은 변기 본체(110) 또는 상기 덮개(130)에 주변영상 촬영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미지 센서(부호 미표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160)는 이미지 센서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검출하여 기저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의 영상인식을 통해 용변을 보고자하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시선방향, 자세 등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로서, 백터로 정의된 화소들의 이동 변위와 각도 변위 등을 통해 유사도를 검출하여 물체를 인식하거나, 물체의 경계선 또는 윤곽선 등의 에지나 물체의 윤곽에 근사하는 선분, 곡선 등을 구하여 이용하기도 하고,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모서리점, 불변인 점, 또는 회전변환이나 크기 변화 등에 대하여 불변인 특징점을 이용한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미지에 포함된 물체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기 적응형 자동식 변기(100)의 사용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남성의 소변 시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신체감지유닛(15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발 형태가 상기 컨트롤러(160)에 의해 "발끝방향이 상기 변기 본체(110) 측을 바라보는 남성"으로 판단되면, 도 5와 같이, 상기 덮개(130)와 연결된 길이조절유닛(140c)이 상기 덮개(130)를 올리도록 작동하고, 상기 어린이용 시트(120b)와 성인용 시트(120a)에 각각 연결된 길이조절유닛(140b, 140a)이 상기 어린이용 시트(120b)와 성인용 시트(120a)를 차례대로 올리도록 작동한다.
다음으로, 청소년 이상 연령대 남성의 대변 또는 청소년 이상 연령대 여성의 대소변 시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상기 신체감지유닛(15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체중, 발 형태가 상기 컨트롤러(160)에 의해 "연령대가 비교적 높으면서 발끝방향이 상기 변기 본체(110) 측을 등지고 바라보는 청소년 이상 연령대의 남성 또는 여성"으로 판단되면, 도 6과 같이, 상기 덮개(130)에 연결된 길이조절유닛(140c)과 상기 어린이용 시트(120b)와 연결된 길이조절유닛(140b)만이 상기 덮개(130)와 어린이용 시트(120b)를 차례대로 올리도록 작동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의 대소변 시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상기 신체감지유닛(15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체중, 발 형태가 상기 컨트롤러(160)에 의해 "연령대가 비교적 낮으면서 발끝방향이 상기 변기 본체(110) 측을 등지고 바라보는 어린이 이하 연령대의 남성 또는 여성"으로 판단되면, 도 7과 같이, 상기 덮개(130)와 연결된 길이조절유닛(140c)만 상기 덮개(130)를 올리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자동식 변기(100)는, 신체감지유닛(150)과 컨트롤러(160)에 의해 변기 본체(110) 앞에 위치한 사용자의 체중과 발 형태를 감지하여 연령대 및 발끝방향을 분석해내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시트(120)가 각각 틸팅되도록 복수의 길이조절유닛(140)을 각각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맞춤형 용변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160)를 통해 사용자의 부재상태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덮개(130)가 내려가도록 길이조절유닛(140)을 제어하면서 덮개(130)와의 접촉충격에 의해 변기 본체(110) 내의 사용수가 자동 배수되도록 급배수수단(112)을 제어하여 보다 위생적이고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적응형 자동식 변기 110 : 변기 본체
111 : 수용공간 112 : 급배수수단
120 : 시트 120a : 성인용 시트
120b : 어린이용 시트 130 : 덮개
140 : 길이조절유닛 141 : 와이어
142 : 전동윈치 150 : 신체감지유닛
151 : 접촉패널 152 : 무게측정센서
153 : 형상측정센서 160 : 컨트롤러
170 : 충격감지유닛
111 : 수용공간 112 : 급배수수단
120 : 시트 120a : 성인용 시트
120b : 어린이용 시트 130 : 덮개
140 : 길이조절유닛 141 : 와이어
142 : 전동윈치 150 : 신체감지유닛
151 : 접촉패널 152 : 무게측정센서
153 : 형상측정센서 160 : 컨트롤러
170 : 충격감지유닛
Claims (6)
- 배설물을 수용시키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용된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급배수수단이 내장된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 테두리에 각각 틸팅가능하게 적층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석환경을 제공하는 복수의 시트;
상기 시트의 상부에 틸팅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
상기 변기 본체에 각각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시트와 상기 덮개에 대응 연결되고,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시트와 상기 덮개의 틸팅을 조절하는 복수의 길이조절유닛;
상기 변기 본체의 하방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체중과 발 형태를 측정하는 신체감지유닛; 및
상기 변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유닛과 상기 신체감지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신체감지유닛의 측정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연령대 및 발끝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길이조절유닛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트는,
사이즈가 각각 다르게 제작되는 성인용 시트와 어린이용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신체감지유닛은,
상기 변기 본체의 주변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면서 지지되는 접촉패널;
상기 접촉패널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 및
상기 접촉패널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된 발에 대한 빛 또는 초음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사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발의 형태를 측정하는 형상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신체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발 형태에 의해 발끝방향이 상기 변기 본체 측을 바라보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덮개, 어린이용 시트 및 성인용 시트에 각각 연결된 길이조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덮개, 어린이용 시트 및 성인용 시트를 차례대로 올리고,
상기 신체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체중 및 발 형태에 의해 연령대가 설정치 이상이면서 발끝방향이 상기 변기 본체 측을 등지고 바라보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덮개 및 어린이용 시트에 각각 연결된 길이조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덮개 및 어린이용 시트를 차례대로 올리며,
상기 신체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체중 및 발 형태에 의해 연령대가 설정치 미만이면서 발끝방향이 상기 변기 본체 측을 등지고 바라보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덮개에 연결된 길이조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덮개를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자동식 변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각각의 시트와 상기 덮개가 틸팅작용하는 부분에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각각 대응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상기 변기 본체에 상기 각각의 와이어와 대응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권양하거나, 풀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변화시켜 상기 시트와 상기 덮개를 각각 틸팅시키는 전동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자동식 변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신체감지유닛에서 사용자의 체중과 발 형태가 측정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부재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덮개가 상기 변기 본체 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길이조절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자동식 변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 테두리 또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가 상기 변기 본체 측에 밀착될 경우,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변기 본체의 급배수수단과 상기 충격감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충격감지유닛에서 충격이 감지될 경우, 상기 급배수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자동식 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097A KR101906904B1 (ko) | 2017-06-15 | 2017-06-15 | 적응형 자동식 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097A KR101906904B1 (ko) | 2017-06-15 | 2017-06-15 | 적응형 자동식 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6904B1 true KR101906904B1 (ko) | 2018-10-11 |
Family
ID=6386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6097A KR101906904B1 (ko) | 2017-06-15 | 2017-06-15 | 적응형 자동식 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690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8305A (ko) * | 2019-09-30 | 2021-04-07 | 김계환 | 소변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데 장치 |
KR102342132B1 (ko) * | 2020-12-02 | 2021-12-28 | 주식회사 퍼스트솔루션 | 스마트 변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WO2022032369A1 (pt) * | 2021-05-14 | 2022-02-17 | Fernandes Godoy Almeida Gustavo | Dispositivo eletro-eletrônico para automação de tampa de vaso sanitári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7390Y1 (ko) * | 2002-09-17 | 2002-12-11 | 안해리 | 좌변기 시트의 자동 열림 장치 |
KR100891927B1 (ko) * | 2007-10-18 | 2009-04-08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자동개폐시트를 갖는 양변기 |
-
2017
- 2017-06-15 KR KR1020170076097A patent/KR1019069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7390Y1 (ko) * | 2002-09-17 | 2002-12-11 | 안해리 | 좌변기 시트의 자동 열림 장치 |
KR100891927B1 (ko) * | 2007-10-18 | 2009-04-08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자동개폐시트를 갖는 양변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8305A (ko) * | 2019-09-30 | 2021-04-07 | 김계환 | 소변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데 장치 |
KR102458815B1 (ko) * | 2019-09-30 | 2022-10-26 | 김계환 | 소변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데 장치 |
KR102342132B1 (ko) * | 2020-12-02 | 2021-12-28 | 주식회사 퍼스트솔루션 | 스마트 변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WO2022032369A1 (pt) * | 2021-05-14 | 2022-02-17 | Fernandes Godoy Almeida Gustavo | Dispositivo eletro-eletrônico para automação de tampa de vaso sanitário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27588B2 (en) | Health seat for toilets and bidets | |
KR101906904B1 (ko) | 적응형 자동식 변기 | |
KR102145998B1 (ko) | 양변기용 살균장치 | |
US2011004768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ygienic Toilet Seat | |
KR20190081472A (ko) | 좌변 보조장치 | |
JP2005168719A (ja) | トイレ装置 | |
KR101545861B1 (ko) | 양변기 커버 및 시트의 자동 개폐 장치 | |
KR100891927B1 (ko) | 자동개폐시트를 갖는 양변기 | |
KR20090120764A (ko) |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 |
KR102303284B1 (ko) | 좌변기용 물 내림 장치 | |
KR102111230B1 (ko) | 화장실 양변기 물내림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 | |
JP2006112163A (ja) | トイレ装置 | |
JP4118532B2 (ja) | 便器洗浄装置 | |
KR20230094629A (ko) | 입식 소변기의 소변 흘림 방지 구조 | |
KR20150078798A (ko) | 장애인 화장실의 좌변기용 등받이 | |
KR101971126B1 (ko) |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 |
JP2022011026A (ja) | 洋風便器装置および便座装置 | |
JP4857868B2 (ja) | 生体情報測定便器 | |
JP2006200149A (ja) | 便器装置 | |
KR101000025B1 (ko) |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 |
JP2021146172A (ja) | 多目的小便器 オシッコキット | |
JPH10328249A (ja) | 介護ベッド用水洗便器 | |
KR20160069103A (ko) | 사람을 감지하고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절수 소변기 | |
JP7449725B2 (ja) | 便器装置 | |
KR102451292B1 (ko) |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좌변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