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764A -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764A
KR20090120764A KR1020080046724A KR20080046724A KR20090120764A KR 20090120764 A KR20090120764 A KR 20090120764A KR 1020080046724 A KR1020080046724 A KR 1020080046724A KR 20080046724 A KR20080046724 A KR 20080046724A KR 20090120764 A KR20090120764 A KR 20090120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seat
toilet
infrared sensor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875B1 (ko
Inventor
조대희
Original Assignee
조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희 filed Critical 조대희
Priority to KR102008004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87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좌대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남성이 소변을 볼 경우에 발의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여 발의 위치가 감지될 때에만 자동으로 변기좌대를 개방할 수 있는 변기좌대 좌동 개폐장체에 관한 것이다.
변기, 좌대,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Description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oilet Bowl Seat}
본 발명은 변기좌대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남성이 소변을 볼 경우에 발의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여 발의 위치가 감지될 때에만 자동으로 변기좌대를 개방할 수 있는 변기좌대 좌동 개폐장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대를 구비한 변기 또는 비데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커버외에 좌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 좌대를 올려서 사용할 필요가 없으나 남성은 소변을 볼 경우에 좌대에 소변이 튀지않고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변기 좌대를 개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소변기가 따로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가정이나 변기에서 소변을 볼 경우에 항상 손으로 좌대를 올리고 내려야하므로 이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동식 좌대 개폐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식 좌대 개폐장치는 좌대를 올리고 내리기 위해 특정 스위치를 눌러야 작동가능하므로 여전히 사용상에 번거로운 문제가 남아 있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를 위해 소변을 보는 남성만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자동으로 변기 좌대를 올리고 내릴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변기 사용시 소변을 보는 남성만을 감지하여 변기 좌대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변기좌대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는 변기 하단 남성이 소변을 보기 위해 위치하는 발 부분에 적외선이 인가하도록 설치된 적외선 센서와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상기 발이 인식될 경우 변기 좌대가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변기 좌대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대변을 보는 중에 발을 움직여서 상기 적외선 센서에 감지되어 좌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대에 앉을 경우 좌대 표면 또는 내부에 무게를 감지하여 좌대가 개방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 센서는 변기 하단 남성이 소변을 보기 위해 위치하는 양 발 부분에 적외선이 인가되도록 2개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센서가 모두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센서가 인식하는 부분에 발 모양의 표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변기 좌대가 개방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감지신호가 소멸된 경우에는 상기 변기 좌대가 닫히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변기좌대의 힌지결합부에 결합된 모터 축과
상기 모터 축에 정 역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스텝 모터 또는 서보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는 소변을 보기 위한 남성만을 적외선 센서가 감지하여 변기좌대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여 손으로 좌대를 직접 올리는 불편없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소변시 변기좌대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변기좌대에 소변이 튀거나 묻는 것을 방지하여 변기좌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변기좌대에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여 적외선 센서의 오작동에 의한 구동수단이나 변기좌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럭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는 변기 하단에 위치하는 적외선 센서(10),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변기좌대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센서(10)는 소변을 보려는 남성의 발 부분에 적외선을 인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소변을 볼 때와 대변을 볼 때의 발 위치가 차이가 있으므로 적외선 센서(10)의 설치위치에 따라서 소변을 보려는 남성만을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시와 대변시의 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변을 볼 때는 발이 변기에 가깝게 위치하고 발등이 변기쪽을 향하는데 반하여, 대변을 볼 때에는 발미 변기에 멀리 위치하고 발등이 변기와 반대쪽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대변을 볼 때와 소변의 볼 때의 발의 위치가 달라지고 남성이 소변을 보기 위해 발이 위치하는 부분에 적외선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적외선 센서(10)를 설치하여 소변을 보려는 남성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센서(10)는 변기 하단 남성이 소변을 보기 위해 위치하는 양 발 부분에 적외선이 인가되도록 2개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센서가 모두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2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하여 센싱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더욱 정확한 센싱을 위해 적외선 센서(20)가 설치되는 하부 바닥면에 발모양의 표식(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식은 바닥상에 그려질 수 있으며, 별도의 재료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표식에 의해 남성의 소변시 발 위치를 상기 표식으로 유도하여 센싱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적외선 센서(1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만 변기좌대가 개방되도록 구동수단(30)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0)는 평상시(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가 없는 경우) 변기좌대를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1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예를 들어, 정회전)하여 변기좌대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센서(10)로부터 감지신호가 없는 경우 또는 감지신호 전송이 종료된 경우 상기 구동수단(30)의 작동을 제어(예를 들어, 역회전)하여 상기 변기좌대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변기좌대 상에는 변기를 개방시키거나 닫는 변기커버가 형성되고, 변기좌대와 변기커버가 힌지로 결합되어 일체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수단(30)은 변기좌대의 힌지결합부에 형성된 모터축(310)과 상기 모터축의 정 역회전에 의해 상기 변기좌대를 개폐시키는 구동모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320)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1회전 이하 단위로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스텝 모터 또는 서버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대변보는 중에 발을 움직여 적외선 센서의 감지 영역에 들어갈 경우 구동수단이 변기좌대가 개방되도록 오작동할 수 있으며 변기좌대에 앉은 상태에서 변기좌대가 개방되도록 작동할 경우 구동수단 또는 변기좌대가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변중에 적외선 센서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변기좌대의 표면 또는 내부에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가 무게를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신호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구동수단이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상기와 같은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는 무게 감지가 소멸되는 경우는 대변이 종료된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무게 감지 신호 소멸시 세척수가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시와 대변시의 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적외선 센서 20 : 제어부
30 : 구동수단 310 : 회전축
320 : 구동모터 40 : 압력센서
50 : 표식

Claims (7)

  1. 변기 하단 남성이 소변을 보기 위해 위치하는 발 부분에 적외선이 인가하도록 설치된 적외선 센서와;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상기 발이 인식될 경우 변기 좌대가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변기 좌대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대변을 보는 중에 발을 움직여서 상기 적외선 센서에 감지되어 좌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대에 앉을 경우 좌대 표면 또는 내부에 무게를 감지하여 좌대가 개방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는
    변기 하단 남성이 소변을 보기 위해 위치하는 양 발 부분에 적외선이 인가되 도록 2개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센서가 모두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가 인식하는 부분에 발 모양의 표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변기 좌대가 개방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감지신호가 소멸된 경우에는 상기 변기 좌대가 닫히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변기좌대의 힌지결합부에 결합된 모터 축과
    상기 모터 축에 정 역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스텝 모터 또는 서보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KR1020080046724A 2008-05-20 2008-05-20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KR100996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24A KR100996875B1 (ko) 2008-05-20 2008-05-20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24A KR100996875B1 (ko) 2008-05-20 2008-05-20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64A true KR20090120764A (ko) 2009-11-25
KR100996875B1 KR100996875B1 (ko) 2010-11-26

Family

ID=4160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724A KR100996875B1 (ko) 2008-05-20 2008-05-20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8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291A (zh) * 2016-08-02 2017-01-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座便器
CN108385799A (zh) * 2018-03-02 2018-08-10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智能马桶和相关的用户意图识别方法、控制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07B1 (ko) * 2014-10-02 2015-03-06 (주)대영폴리머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KR200483572Y1 (ko) 2016-04-25 2017-05-30 리우인더스 주식회사 좌변기용 자동 개폐장치
US11607090B2 (en) 2019-10-21 2023-03-21 John Gwinn Stikes, III Toilet lid and urinal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668Y1 (ko) 2002-07-19 2002-12-12 한상필 무인 전자동 화장실
JP2008075405A (ja) 2006-09-25 2008-04-03 Toto Ltd 衛生洗浄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291A (zh) * 2016-08-02 2017-01-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座便器
CN106264291B (zh) * 2016-08-02 2019-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座便器
US10617267B2 (en) 2016-08-02 2020-04-1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oilet
CN108385799A (zh) * 2018-03-02 2018-08-10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智能马桶和相关的用户意图识别方法、控制方法及装置
CN108385799B (zh) * 2018-03-02 2020-09-29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智能马桶和相关的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875B1 (ko) 201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875B1 (ko) 변기좌대 자동 개폐 장치
KR102145998B1 (ko) 양변기용 살균장치
US7051381B2 (en) Sanitary cleansing device
CN101082227A (zh) 卫生洗净装置及冲厕装置
KR20140060704A (ko) 비데의 동작제어방법
KR100804307B1 (ko) 변기 커버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물 내림 시스템 및 물내림 방법
JP2011050586A (ja) 便座装置
KR100891927B1 (ko) 자동개폐시트를 갖는 양변기
KR101545861B1 (ko) 양변기 커버 및 시트의 자동 개폐 장치
KR200483572Y1 (ko) 좌변기용 자동 개폐장치
KR102303284B1 (ko) 좌변기용 물 내림 장치
JP2006112163A (ja) トイレ装置
KR20150123083A (ko) 좌변기용 자동 개폐장치
JP2018062774A (ja) 衛生設備機器
KR101849083B1 (ko)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JP4411973B2 (ja) 人体検知装置
JP7369429B2 (ja) 大小便兼用トイレ設備
KR101932477B1 (ko) 가정용 좌식 양변기 커버 및 시트 자동개폐 제어방법
KR101909714B1 (ko) 자동 변기 시스템
KR100919249B1 (ko) 소변시 자동으로 열리는 좌변기 시트
KR20090025466A (ko) 소변기 덮개 자동개폐장치
KR101221835B1 (ko)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160069103A (ko) 사람을 감지하고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절수 소변기
JP2580968Y2 (ja) 大便器自動洗浄装置
KR101000025B1 (ko)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