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165B1 -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 Google Patents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165B1
KR101156165B1 KR1020090067124A KR20090067124A KR101156165B1 KR 101156165 B1 KR101156165 B1 KR 101156165B1 KR 1020090067124 A KR1020090067124 A KR 1020090067124A KR 20090067124 A KR20090067124 A KR 20090067124A KR 101156165 B1 KR101156165 B1 KR 101156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oilet
case
unit
til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765A (ko
Inventor
전경진
고철웅
김양수
김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67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1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환자의 경우에도 배변을 보다 쉽게 볼 수 있도록 한 배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변기케이스와, 상기 변기케이스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며, 전방을 따라 하향 또는 상향 경사지는 형태로 선택적 틸팅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시트 및 상기 변기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를 선택적으로 틸팅시키고, 상기 시트의 틸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변기케이스는 회전 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상기 시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시트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를 제공한다.
변기장치, 시트, 틸팅

Description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Chamber Pot Apparatus Having Seat Which Can Be Tilted}
본 발명은 이동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한 변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축을 받거나 자신이 걸을 수 있는 환자는 용변을 보기 위하여 화장실로 이동을 할 수 있지만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의 경우는 변기가 설치된 침대 또는 이동식 변기를 이용하여 용변을 해결할 수 밖에 없다.
이를 위해 최근 들어서는 이러한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이동식 이동식 변기장치가 다수 개발되고 있는데, 종래의 이동식 변기장치로서는 의자식으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착석하는 부분의 아래에 변기통을 두어 의자식 프레임을 이동하는 방식 등이 있었다.
한편, 배변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배에 적절하게 힘을 주어 직장을 자극시켜주어야 원활하게 배변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배변에 적합하도록 복부 내 직장의 위치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몸을 조금 앞으로 숙인 상태하에서 배변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복 부 내 직장에 배변하기에 적합한 복압이 걸리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는 이와 같은 자세를 취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종래에는 이동성 등에만 특이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원활한 배변자세를 위한 기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변기장치가 없었다.
그러므로, 복압의 유지를 보다 편하게 할 수 있는 변기장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보다 편한 방법으로 기립동작과 배변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변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있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변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면서 용변 후의 세정작업까지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식 변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변기케이스와 상기 변기케이스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며 전방을 따라 하향 또는 상향 경사지는 형태로 선택적 틸팅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시트 및 상기 변기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를 선택적으로 틸팅시키고 상기 시트의 틸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는 전방측이 상기 변기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후방측이 상기 작동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변기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일측이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피스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는 슬롯 형태의 장홈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슬롯형태의 장홈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기케이스는 회전 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상기 시트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는 시트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기케이스는 전방 하측으로 사용자의 발이 위치될 수 있도록 후방측으로 형성되는 공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기케이스는 하측으로 변기케이스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은 외관을 이루는 이동케이스와 상기 이동케이스의 하측으로 지면에 접촉하여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휠 및 상기 이동휠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휠의 회전 시 전기적 에너지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전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밧데리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기케이스는 내측 공간부에 사용자의 용변을 저장할 수 있는 배 변용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기케이스는 외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외부 신호를 감지 시 상기 작동유닛을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는 전방측 및 후방측 각각에 상기 작동유닛이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변기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일측이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피스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변기케이스와 상기 변기케이스의 상측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시트와 상기 변기케이스에 구비되며 외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신호의 감지 시에 상기 변기케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보다 편한 방법으로 용변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시트가 용변 시에는 복압이 증가되도록 틸팅되어 용변을 보다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며, 용변을 마친 후에는 적은 힘으로 일어설 수 있도록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게 기립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본 발명 변기장치는 구동유닛 및 발전기를 구비하여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힘들이지 않고서도 변기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동 중에 충전이 가능하므로 잦은 충전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리모콘의 신호 또는 칩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리모콘 또는 소정의 칩이 내장된 카드를 소지하는 경우에는 이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변기장치가 사용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사용자 별로 고유의 주파수를 가지는 칩을 구비토록 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변기장치를 이용 각각의 사용자에게 이동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 별로 적합한 틸팅 각도로 배변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100)는 변기케이스(101)와 시트(110) 및 상기 시트(110)에 연결된 작동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기케이스(101)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상기 시트(110)는 상기 변기케이스(101)의 상측에 틸팅(tilting)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시트(110)의 중앙부위에는 사용자의 배변이 관통 가능하도록 하는 관통부(1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변기케이스(101) 내부의 공간부에는 사용자의 용변을 저장할 수 있는 배변용기(190)가 구비되며,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배변용기(190)는 상기 변기케이스(101)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 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110)는 인체압박을 최소화하며 변좌 형상에 적합한 재질 및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시트(110)의 재질은 수지 뿐만 아니라 목재 등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시트(110)는 전방측이 상기 변기케이스(101)에 회전 가능하게 힌 지(115)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시트(110)의 후방측은 상기 변기케이스(101)에 구비된 작동유닛(14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닛(140)은 상기 변기케이스(101)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110)를 틸팅 시킴과 동시에 일정한 틸팅각도를 유지하며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유닛(140)은 상기 변기케이스(101) 내측으로 설치되는 실린더부(141) 및 상기 실린더부(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측단부가 상기 시트(110)에 연결되는 피스톤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141)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일반적인 유압실린더의 구성을 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트(110)와 상기 피스톤부(142)가 연결되는 위치로 상기 시트(110)는 슬롯 형태의 장홈(112)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부(142)는 상기 슬롯형태의 장홈(112)에 삽입되어 상기 장홈(1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돌기부(143)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피스톤부(142)의 상승 및 하강 동작 시에 상기 돌기부(143)가 상기 장홈(112)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결국 상기 시트(110)가 일정각도로 틸팅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변기케이스(101)는 회전 가능하게 힌지(135)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시트(110)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는 시트커버(130)를 구비한다. 첨부된 도 2에서는 대략 절반 정도로 폴딩이 가능한 시트커버(130)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장치(100)는 사용자가 배변 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비데유닛(133)이 별도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비데유닛(133)은 냉/온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비데유닛(133)은 공지된 여러 가지 형태의 비대유닛 중 하나가 채택 가능하며, 이와 같은 비데유닛은 이미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나와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변기케이스(101)의 전방측은 배변을 하는 사용자의 하체 부분 즉, 다리 부분이 후방측으로 향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변기케이스(101)는 변기케이스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유닛(25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유닛(250)은 외관을 이루는 이동케이스(200)와 상기 이동케이스(200)의 하측으로 지면에 접촉하여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휠(202) 및 상기 이동휠(202)을 회전시키도록 기어장치(미도시) 및 구동모터(미도시)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케이스(200)의 전방측은 사용자의 다리 부분이 후방측을 향한 상태로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지지부(2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휠(202)의 회전 시, 전기적 에너지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전유닛(170)이 구비되고,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작동유닛(140) 및 구동유닛(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밧데리유닛(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변기케이스(201)는 외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128) 및 상기 감지센서(128)에 의하여 외부 신호를 감지 시 상기 작동유닛(140) 및 구동유닛(160)을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128)는 별도의 리모콘 신호를 감지하거나 또는 RFID와 같은 칩으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변기케이스(101)에는 등받이부(120) 및 팔걸이부(14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팔걸이부(144)는 상기 등받이부(12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변 시의 자세는 배에 적절하게 힘을 주어 직장을 자극시켜 원활한 배변을 하기 위해서도, 또 배변에 적합한 복부 내 직장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 시에는 원활한 배변 활동을 위해 직장 항문각이 형성되므로, 배변할 때는 몸을 조금 앞으로 숙여 배에 힘을 주면 항문이 열리고 복압과 장의 힘으로 대변이 나오게 되며 이때 직장 항문각이 형성되어 원활한 배변활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반대 자세를 취하는 경우 복압은 직장이 아니라 복벽 부위에서 발생하게 되어 직장 항문각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배변 활동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이나 고령자의 경우에는 원활한 배변활동을 위하여 적절한 직장 항문각의 형성을 지원해주는 기능이 포함된 복지용구(이동식 변기 등)의 사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변기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트(110)에 착석을 하게 되면, 상기 시트(110)의 후방 측이 작동유닛(140)에 의하여 하향 틸팅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작동유닛(140)의 피스톤부(142)가 실린더부(141)를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돌기부(143)가 상기 시트(110)의 장홈(112)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110)의 후방측이 하향 틸팅되면, 자동적으로 사용자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은 복압이 상승하는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다리는 또한 상기 변기케이스(101)를 기준으로 후방측으로 지지하며 앉아 있을 수 있게 되므로, 배변을 위한 힘을 주기에 보다 유리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배변을 모두 마친 후에는 스위치버튼(148) 등을 통하여 상기 비데유닛(133)을 작동시킴으로써 배변 후의 항문 등을 세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변이 모두 종료된 후에는 상기 피스톤부(142)가 다시 반대로 작동하여, 즉 상기 시트(110)의 후방측을 상승 틸팅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일부 기립된 자체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와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되면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기립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시트(110) 후방측의 상향 틸팅 동작은 상기 비데유닛(133)의 작 동이 완료되고 수초 후에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틸팅각도를 사용자마다 달리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마다 고유의 주파수를 가지는 RFID 칩이 수용된 카드를 주는 경우에는 상기 감지센서(128) 및 제어부(150)를 통하여 사용자 별로 틸팅 각도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 변기장치(100)의 경우는 사용자가 별도의 리모콘 또는 RFID 칩 등을 이용하여 변기장치(100)가 사용자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RFID 칩이 내장된 리모콘을 작동시키면,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감지센서(128)가 RFID 칩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제어부(150)가 구동유닛(160)을 통하여 상기 이동휠(202)을 제어함으로써 변기장치가 사용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장치의 경우는 상기 구동유닛(160)의 이동휠(202)이 회전 중에 상기 발전유닛(170)을 이용 발전이 이루어지고, 또한 발전된 전력이 곧바로 상기 밧데리유닛(180)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별도로 충전하는 작업을 하는 수고를 덜 수 있게 된다.
또한, 한대의 변기장치를 리모콘 또는 고유 주파수를 가진 RFID 칩을 구비한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는 상기 시트(310)의 전방 및 후방측에 모두 작동유닛(140)이 연결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작동유닛(140)은 상기 변기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실린더부(141) 및 상기 실린더부(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일측이 상기 시트(310)에 연결되는 피스톤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시트(310)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140)의 피스톤부(142)가 연결되는 일측부위에는 슬롯 형태의 장홈(312)이 구비되며, 상기 장홈(312)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부(142)의 상단에는 돌기부(14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시트(310)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140)의 피스톤부(142)가 연결되는 타측부위에는 회전홀(313)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홀(313)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부(142)에는 돌기부(14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장치의 경우에도 시트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구비된 작동유닛의 동작에 의하여 시트를 틸팅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장치의 경우에는 양측 피스톤부(142)의 상향 및 하향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트(310)의 높이 조 절도 가능하게 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시트(310)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변기케이스도 상기 이동케이스로부터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외 감지센서, 구동유닛, 발전유닛, 밧데리유닛 등의 구성요소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장치에도 마찬가지로 구비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이미 제1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배변이 용이한 용변을 위하여 복압을 증대시킬 수 있는 사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사용자가 착석한 후에 시트의 후방측이 하향 틸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사용자가 배변을 모두 마친 후에 시트의 후방측이 상향 틸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변기장치 101: 변기케이스
110: 시트 112: 장홈
115,135: 힌지 118: 관통부
120: 등받이부 128: 감지센서
133: 비데유닛 140: 작동유닛
141: 실린더부 142: 피스톤부
150: 제어부 160: 구동유닛
170: 발전유닛 180: 밧데리유닛
200: 이동케이스 202: 이동휠

Claims (15)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변기케이스와, 상기 변기케이스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며, 전방을 따라 하향 또는 상향 경사지는 형태로 선택적 틸팅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시트 및 상기 변기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를 선택적으로 틸팅시키고, 상기 시트의 틸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변기케이스는 회전 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상기 시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시트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전방측이 상기 변기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후방측이 상기 작동유닛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변기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하여 일측이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피스톤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슬롯 형태의 장홈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슬롯형태의 장홈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케이스는,
    전방 하측으로 사용자의 발이 후방측을 향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케이스는,
    하측으로 변기케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외관을 이루는 이동케이스;
    상기 이동케이스의 하측으로 지면에 접촉하여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휠; 및
    상기 이동휠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휠의 회전 시, 전기적 에너지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전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밧데리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케이스는,
    내측 공간부에 사용자의 용변을 저장할 수 있는 배변용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케이스는,
    외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외부 신호를 감지 시 상기 작동유닛을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전방측 및 후방측 각각에 상기 작동유닛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변기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일측이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피 스톤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15.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변기케이스;
    상기 변기케이스의 상측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시트;
    상기 변기케이스에 구비되며 외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 및
    상기 변기케이스의 하측에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신호의 감지 시에 상기 변기케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KR1020090067124A 2009-07-23 2009-07-23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KR101156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124A KR101156165B1 (ko) 2009-07-23 2009-07-23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124A KR101156165B1 (ko) 2009-07-23 2009-07-23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65A KR20110009765A (ko) 2011-01-31
KR101156165B1 true KR101156165B1 (ko) 2012-06-18

Family

ID=43615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124A KR101156165B1 (ko) 2009-07-23 2009-07-23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1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041B1 (ko) * 2012-11-15 2014-06-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변좌 보조 장치
CN106562712A (zh) * 2016-10-28 2017-04-19 东莞市北扬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气缸式老人用辅助坐便器
CN106562719A (zh) * 2016-10-28 2017-04-19 东莞市北扬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老人用辅助坐便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11B1 (ko) * 2011-06-30 2013-10-14 주식회사 유멘토스 좌변기 시트 어셈블리
KR101291882B1 (ko) * 2011-08-05 2013-07-31 주식회사 청완 평슬라브 층상배관용 좌변기
CN108832840B (zh) * 2018-05-30 2019-12-03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压电材料的供电汽车加热座椅
CN109077648A (zh) * 2018-09-25 2018-12-25 吉林大学 一种智能化可调节坐蹲位便器装置
CN111387972B (zh) * 2020-04-20 2023-10-31 广州易风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弱电信号采集电路及具有该采集电路的座圈及马桶盖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187A (ja) * 1994-06-29 1996-01-16 Japan Steel Works Ltd:The 洋式便器
US20060042005A1 (en) * 2004-09-02 2006-03-02 Johnson Dan C Power lifting toilet chair
JP2007255175A (ja) * 2006-03-23 2007-10-04 Suetaro Noda 新型トイ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187A (ja) * 1994-06-29 1996-01-16 Japan Steel Works Ltd:The 洋式便器
US20060042005A1 (en) * 2004-09-02 2006-03-02 Johnson Dan C Power lifting toilet chair
JP2007255175A (ja) * 2006-03-23 2007-10-04 Suetaro Noda 新型トイ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041B1 (ko) * 2012-11-15 2014-06-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변좌 보조 장치
CN106562712A (zh) * 2016-10-28 2017-04-19 东莞市北扬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气缸式老人用辅助坐便器
CN106562719A (zh) * 2016-10-28 2017-04-19 东莞市北扬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老人用辅助坐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65A (ko) 201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165B1 (ko)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US8510873B2 (en) Upper body support apparatus for toilets
KR20120078531A (ko) 환자용 기능성 침대
KR20000058591A (ko) 환자용 침대
KR20130095080A (ko) 간병용 침대
JP4552730B2 (ja) 便器装置
US7194772B2 (en) Reverse sitting commode
KR20190052370A (ko) 침대 및 욕조 기능을 갖는 휠체어
KR101931262B1 (ko)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US7454801B1 (en) Commodes with user&#39;s upper-body support
JPH10137294A (ja) 介護装置
KR101556408B1 (ko) 상하 위치조절형 좌대
KR101980659B1 (ko) 양변기용 좌대
JP4240585B2 (ja) 座部昇降手段を備えたマッサージ椅子
KR101932280B1 (ko) 양변기용 좌대의 경사조절장치
JPH09273203A (ja) 局部洗滌送水装置付き洋式便器
JP3787937B2 (ja) シャワー装置
JP2004033503A (ja) 立ち上がり補助機構付きチェア
KR200313187Y1 (ko) 환자용 침대
JP2020075084A (ja) 肢体不自由者用の用便介助トイレ
US5603130A (en) Sanitary seat
JP2003175084A (ja) 介護用ベッド
JPH03126417A (ja) 便器ユニット
JP3612979B2 (ja) 昇降便器装置
KR101272019B1 (ko) 스마트 자동 배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