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019B1 - 스마트 자동 배변기 - Google Patents

스마트 자동 배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019B1
KR101272019B1 KR1020110017543A KR20110017543A KR101272019B1 KR 101272019 B1 KR101272019 B1 KR 101272019B1 KR 1020110017543 A KR1020110017543 A KR 1020110017543A KR 20110017543 A KR20110017543 A KR 20110017543A KR 101272019 B1 KR101272019 B1 KR 101272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smart
toil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950A (ko
Inventor
김규석
문무성
류제청
권칠용
정성희
정성윤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11001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0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자동 배변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흡입하여 저장가능하며, 이동가능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형성되고, 형상이 가변하는 지지부와, 외부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바디부를 사용자에게 이동시키키고, 상기 지지부의 형상을 가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자동 배변기{Smart automatic urine and feces treating equipment}
본 발명은 배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불편한 환자 또는 노약자 등은 화장실을 가기 위하여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당히 힘들어 한다. 이때, 환자 또는 노약자 등은 자신이 거주하는 공간에 별도의 이동식 기구를 사용하여 배설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거나 의료기기를 활용하여 생리적 현상을 해결하고 있다.
특히 침상에서 배변을 처리할 수 밖에 없는 사지마비 또는 거동이 불가능한 장애자를 제외하고, 개호인의 도움 또는 자가 이동이 가능하지만 단거리 이동에도 문제가 있는 초고령자 및 뇌손상 대상자의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설물을 처리한다. 그러나 종래의 용기나 의료기기는 거동인 불가능한 대상자를 위해 침상에서 배변을 처리함으로 인하여 악취문제가 수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거동이 가능한 초고령자 및 뇌손상 대상자의 경우 직접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배변 자세장치는 기립자세에서 배변자세로 전환이 가능하지만 거동이 어려운 사용자는 침상에서 화장실로 이동을 위해 개호자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거동이 불편하거나 개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도 혼자서도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흡입하여 저장가능하며, 이동 가능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형성되고, 형상이 가변하는 지지부와, 외부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바디부를 사용자에게 이동시키키고, 상기 지지부의 형상을 가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사용자의 배설물을 흡입하는 배변처리유닛과, 상기 배변처리유닛의 하측에 결합하여 흡입된 배설물을 저장하고, 온수 및 온풍을 상기 배변처리유닛에 공급하는 저장유닛과, 상기 저장유닛 및 상기 배변처리유닛이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처리유닛은, 사용자의 배설물이 모이도록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에 사용자의 배설물이 흡입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각도가 가변하도록 상기 이동유닛과 결합하는 케이스와, 상기 흡입구의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배변활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처리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어 외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처리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오목한 부분에 방사형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는 변기세척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처리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외부로 온풍을 분사하는 온풍건조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위치가 가변하도록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랙기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부와 형합하여 상기 슬라이딩부를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사용자의 배설물을 저장하는 오물탱크와, 상기 이동유닛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온수를 저장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오물탱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온풍을 생성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온풍공급수단과, 상기 배변처리유닛의 악취 또는 상기 오물탱크의 악취를 흡입하는 진공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온수탱크, 상기 진공탱크 및 상기 온풍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탱크 및 상기 온풍공급수단에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진공탱크의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펌프에 결합하여 상기 펌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방음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펌프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에 배치되는 흡기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펌프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유로에 배치되는 배기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필터는, 상기 펌프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연소시키는 악취연소부와, 상기 악취연소부로부터 방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방향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온수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온수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시키는 온수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온수탱크의 중량을 감지하는 제 1 중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오물탱크의 중량을 감지하는 제 2 중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바퀴부와, 상기 바퀴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부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다리를 안착하는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과 결합하고, 상기 바디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하는 제 1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은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 1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각 제 1 프레임과 결합하는 제 2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석부는, 중앙 부위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착석플레이트와, 상기 착석플레이트 상에 결합하는 쿠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석부는 상기 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착석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발판부,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받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디스크 타입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충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2차전지일 수 있다.
또한,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에 근접하여 사용자가 안착하여 배설물을 해결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동 배변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변처리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저장유닛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자동 배변기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자동 배변기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배변처리유닛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배변처리유닛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저장유닛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저장유닛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저장유닛의 제 3 작동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저장유닛의 제 4 작동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자동 배변기의 제 3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자동 배변기의 제 4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자동 배변기의 제 5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사용자의 배설물을 흡입하여 저장 가능한 바디부(100)를 포함한다. 바디부(100)는 외관을 형성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바디부(100)와 결합하는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지지부(200)는 사용자가가 착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되도록 형상이 가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외부신호를 전송받아 바디부(100)를 사용자에게 이동시키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제어부(300)는 지지부(200)의 형상을 가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0)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바디부(100)와 지지부(200)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바디부(100)에 배치되어 제어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400)는 제어부(300) 뿐만 아니라 후술할 펌프(124) 또는 지지부(20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00)는 충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400)는 충전 가능하도록 2차전지일 수 있다.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외부에 배치되는 충전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모듈(600)은 전원공급부(400)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전원공급부(4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바디부(100)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수신모듈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송수신모듈은 일반적인 무선전화기 등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외부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모듈은 적외선을 통하여 상기 외부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디부(100), 지지부(200) 및 제어부(3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디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를 참고하면, 바디부(100)는 사용자의 배설물을 흡입하는 배변처리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변처리유닛(110)은 지지부(200)의 일부 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변처리유닛(110)은 사용자에게 온수 및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변처리유닛(110)은 표면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배변처리유닛(110)은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00)는 배변처리유닛(110)의 하측에 결합하여 흡입된 배설물을 저장하는 저장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장유닛(120)은 온수 및 온풍을 배변처리유닛(110)에 공급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저장유닛(111) 및 배변처리유닛(112)이 탑재되는 이동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닛()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변처리유닛(110), 저장유닛(120) 및 이동유닛(1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변처리유닛(11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배변처리유닛(110)은 사용자의 배설물이 모이도록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케이스(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앙 부분에는 사용자의 배설물이 흡입되는 흡입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11)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배설물을 방출할 때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악취흡입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악취흡입홀(112)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케이스(111)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1)는 각도가 가변하도록 이동유닛(130)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11)의 외면에는 슬라이딩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118)는 케이스(11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18)는 케이스(111)의 외면의 형상과 유사하게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118)는 렉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18)가 렉기어로 형성되는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하여 케이스(111)가 슬라이딩부(118)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배변처리유닛(110)은 흡입구(113)의 주변에 배치되는 감지센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부(114)는 사용자의 배변활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부(114)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센서부(114)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부(114)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통하여 배설물이 있는지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배변처리유닛(110)은 케이스(111)에 배치되어 외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116)은 후술할 저장유닛(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사용자에게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사용자의 피부에 흡착된 배설물 또는 이물질을 온수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배변처리유닛(110)은 케이스(111)의 오목한 부분에 방사형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케이스(111)에 결합하는 변기세척노즐(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변기세척노즐(115)은 분사노즐(116)과 유사하게 저장유닛(12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케이스(111)의 오목한 부분에 분사할 수 있다.
변기세척노즐(115)은 분사노즐(116)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변기세척노즐(115)은 분사노즐(116)의 측면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변기세척노즐(115)은 물을 방사형으로 분사하여 케이스(111)의 표면에 흡착한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배변처리유닛(110)은 케이스(111)에 형성되는 온풍건조노즐(1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온풍건조노즐(117)은 분사노즐(116) 및 변기세척노즐(115)과 근접한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온풍건조노즐(117)은 외부로 온풍을 분사하여 사용자가 용변을 해결한 후 사용자의 피부에 흡착한 수분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저장유닛(111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저장유닛(120)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저장유닛(120)은 이동유닛(130)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오물탱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물탱크(121)는 사용자의 배설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유닛(120)은 오물탱크(121)의 일측에 배치되는 온수탱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온수탱크(122)는 오물탱크(121)와 유사하게 이동유닛(1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저장유닛(120)은 온수탱크(122)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수히터(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온수히터(122a)는 온수탱크(122)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저장유닛(120)은 오물탱크(121)의 일측에 배치되는 온풍공급수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온풍공급수단(123)은 온풍을 생성하여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온풍공급수단(123)은 생성된 온풍을 상술한 온풍건조노즐(117)로 공급할 수 있다.
온풍공급수단(123)은 외관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저장하는 온풍탱크(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풍공급수단(123)은 상기 온풍탱크의 내측에 배치되어 저장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온풍가열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120)은 배변처리유닛(110)의 악취를 흡입하는 진공탱크(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공탱크(125)는 오물탱크(121)의 악취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저장유닛(120)은 온수탱크(122), 진공탱크(125) 및 온풍공급수단(123)과 연결되는 펌프(124)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124)는 온수탱크(122) 및 온풍공급수단(123)에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펌프(124)는 진공탱크(125)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때, 펌프(124)는 전술한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거나 공급할 수 있다.
저장유닛(120)은 펌프(124)에 결합하는 방음필터(12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음필터(124a)는 펌프(124)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저장유닛(120)은 펌프(124)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에 배치되는 흡기필터(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흡기필터(126)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기필터(126)는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기필터(126)는 다공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유닛(120)은 펌프(124)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유로에 배치되는 배기필터(1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기필터(128)는 상기에서 설명한 흡기필터(126)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배기필터(128)는 펌프(124)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연소시키는 악취연소부(128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배기필터(128)는 악취연소부(128a)로부터 방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방향필터(128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120)은 온수탱크(122)의 중량을 감지하는 제 1 중량센서(12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유닛(120)은 오물탱크(121)의 중량을 감지하는 제 2 중량센서(1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중량센서(127) 및 제 2 중량센서(128)는 각각 온수탱크(122) 및 오물탱크(121)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 1 중량센서(127) 및 제 2 중량센서(128)는 각각 온수탱크(122) 및 오물탱크(12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유닛(13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유닛(13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동유닛(130)은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31)는 하우징(132)과 하우징(132)에 결합하는 하부프레임(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32)과 하부프레임(133)은 플라스틱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2)과 하부플레임(133)은 금속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32)에는 상술한 오물탱크(121) 또는 온수탱크(122) 등을 인출하도록 개구부(13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32)에는 개구부(132a)를 개폐하도록 덮개(137)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2)에는 상술한 슬라이딩부(118)와 형합하여 슬라이딩부(118)를 이동시키는 작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부는 슬라이딩부(118)를 이동시켜 상술한 케이스(111)의 위치를 가변 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유닛(130)은 플레임부(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바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퀴부(134)는 프레임부(131)와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35)과 지지프레임(135)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바퀴(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퀴(136)는 지면에 닿는 면에 소정각도로 형성되는 돌출부(미표기)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돌출부는 바퀴(136)의 폭 방향과 45˚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가 표면에 이물질 있는 지역이나 표면이 미끄러운 물질 등으로 형성된 지역을 이동할 때,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동유닛(130)은 바퀴(136)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바퀴(136)뿐만 아니라 지지프레임(135)의 길이를 가변시키도록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지부(2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부(2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6을 참고하면, 지지부(200)는 바디부(100)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다리를 안착하는 발판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판부(210)는 바디부(100)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발판부(210)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하는 발판(2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판부(210)는 발판(211)과 결합하고, 바디부(100)에 삽입되는 제 1 프레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레임(212)은 바디부(100)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프레임(212)의 일면에는 랙기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프레임(212)은 지지부(2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위치로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제 1 프레임(212)은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 1 프레임(212)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 1 프레임(212) 사이에는 제 2 프레임(213)이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프레임(213)은 복수개의 제 1 프레임(212)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지지부(200)는 발판부(210)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착석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착석부(230)는 중앙에 홀(미표기)이 형성되고, 발판부(210)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착석플레이트(23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착석부(230)는 착석플레이트(231) 상에 결합하는 쿠션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착석부(230)는 상기 홀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커버(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260)는 착석플레이트(23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착석부(230)와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받침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받침부(250)는 상술한 커버(260)가 회전하여 안착하도록 일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커버안착홈(250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00)는 발판부(210), 착석부(230) 및 받침부(250)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모터(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개의 모터는 발판부(210)와 착석부(230)를 결합시키는 제 1 모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모터는 착석부(230)와 받침부(250)를 결합시키는 제 2 모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모터(220) 및 제 2 모터(240)는 디스크 타입 모터일 수 있다.
지지부(200)는 받침부(250)에 결합되는 팔걸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팔걸이부(270)는 받침부(250)와 소정각도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팔걸이부(270)는 받침부(250)와 예각을 형성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팔걸이부(270)는 받침부(250)와 수직으로 결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팔걸이부(270)에 자신의 팔을 거치하여 지지부(200)의 형상이 가변 할 때,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7을 참고하면,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를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외부단말기(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외부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단말기는 핸드폰 또는 P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신호가 입력되면,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다양한 위치에 있다가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각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들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가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인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침상 또는 의자 등에서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로 이동하여 안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에 안착하는 경우, 지지부(200)는 사용자가 안착하도록 형태가 가변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판(211)은 지면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레임(212)은 바디부(100)를 슬라이딩하여 하강할 수 있다.
발판(211)이 상기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착석부(230)는 제 1 프레임(212)과 소정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모터(220)는 착석부(230)와 제 1 프레임(212)가 소정각도를 형성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는 커버(260)를 회전시켜 커버안착홈(250a)에 커버(26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260)가 회전하여 상기 홀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바디부(100)의 상면과 거의 유사하게 배치되는 착석부(230)에 착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원격 제어에 의하여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사용자와 근접한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배변처리유닛(110)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배변처리유닛(110)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안착한 후 사용자가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면, 슬라이딩부(118)가 이동하여 케이스(111)의 위치를 가변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 케이스(111)는 도 9와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스(111)의 상면은 하우징(132)의 상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케이스(11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배변활동을 시작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여 슬라이딩부(118)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딩부(118)는 이동하면서 케이스(1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부(118)의 작동에 의하여 발판(211)과 인접한 케이스(111) 부분이 하우징(132)으로부터 약간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250)와 인접한 케이스(111)의 부분은 하우징(132)의 내부로 약간 인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프레임(212)은 하우징(132)을 통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212)이 상승하는 동안, 제 1 모터(230)는 구동하여 착석부(230)를 소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착석부(230)는 사용자의 무릎 부분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 1 모터(220)가 구동되는 경우, 제 2 모터(240)는 소정정도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제 2 모터(240)는 착석부(230)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편안하게 착석부(230)에 안착할 수 있도록 받침부(2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착석부(230)에 안착하여 배변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저장유닛(120)은 사용자의 배변활동에 따라 배설물을 흡입하거나, 온수 또는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배변활동을 하는 경우 저장유닛(12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저장유닛(120)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1을 살펴보면,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배변활동을 시작하면, 감지센서부(114)에서 케이스(111)에 배설물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부(114)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양한 수단으로 배설물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부(114)에서 배설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신호를 근거로 펌프(124)를 가동시킬 수 있다. 이때, 펌프(124)가 작동하면, 악취흡입홀(112)을 통하여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악취흡입홀(112)에서 흡입된 악취는 펌프(124)의 작동에 의하여 진공탱크(125)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한 악취는 펌프(124)의 작동에 따라 악취연소부(128a)를 거쳐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악취연소부(128a)를 통과한 공기는 방향필터(128b)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사용자의 배변활동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배변활동으로 생성되는 배설물의 처리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저장유닛(120)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도 11의 과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배설물 흡입에 관한 신호를 입력하면, 오물탱크(121)는 배설물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배설물은 흡입구(113)를 통하여 오물탱크(121)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진공탱크(125)에서는 음압을 발생시켜 오물탱크(121)의 내부에 음압을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음압에 의하여 배설물은 흡입구(113)를 통하여 오물탱크(121)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진공탱크(123)는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오물탱크(121) 내부에 포함된 악취를 일부 흡입할 수 있다. 흡입된 악취는 상기 도 1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악취를 흡입할 때 같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2 중량센서(126)는 계속해서 오물탱크(121)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중량은 제어부(300)로 전송되고, 제어부(300)는 기 설정된 중량과 비교하여 오물탱크(121)의 교체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조작하여 배변활동으로 생성된 배설물을 신속하게 케이스(11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변활동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피부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저장유닛(120)의 제 3 작동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고하면, 사용자의 배변활동이 종료된 후 사용자는 피부에 남아 있는 이물질 및 배설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하여 피부에 남아 있는 이물질 및 배설물을 물로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300)는 펌프(124)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펌프(124)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온수탱크(122)로 유동시킬 수 있다.
온수탱크(122)의 내부로 유동된 공기는 온수탱크(122)에 저장된 물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온수탱크(122)의 물은 상기 압력에 의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온수히터(122a)는 물을 가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압력에 의하여 외부로 방출된 온수는 유로를 통하여 온수분사노즐(116)로 이동할 수 있다. 온수분사노즐(116)은 이물질 및 배설물이 흡착된 사용자의 피부에 온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한편, 온수탱크(122)에 부착된 제 1 중량센서(111k)는 온수의 양을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감지된 온수의 양과 기 설정된 온수 양을 비교하여 온수탱크(122)의 교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는 휴지 등과 같이 별도의 재료를 통하여 이물질 및 배설물을 제거하지 않고도 온수를 통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물질 및 배설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과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피부에 흡착된 온수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저장유닛(120)의 제 4 작동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의 과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는 온수가 존재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0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펌프(12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흡입된 공기는 유로를 통하여 펌프(124)로부터 온풍공급수단(12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온풍공급수단(123)에 공급된 공기는 가열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외부로 방출되는 공기는 유로를 통하여 온풍건조노즐(117)로 이동할 수 있다. 온풍건조노즐(117)은 상기 온풍을 사용자의 피부에 공급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는 별도의 장치 없이도 배설물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기립하는 경우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의 제 3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배변활동을 종료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의 이동이 완료되면,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의 기립을 보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300)는 제 1 모터(220) 및 제 2 모터(2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여 케이스(111)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 1 프레임(212)을 하강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00)는 제 1 모터(2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 1 모터(220)가 구동하면서 착석부(230)가 회전하여 하우징(132)의 상면과 소정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발이 하강하도록 제 1 프레임(212)을 하강시킬 수 있다.
제 1 프레임(212)이 하강하면서 제 1 모터(220) 외부가 하우징(132)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모터(220)의 외부는 곡선을 그리면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어부(300)는 제 2 모터(2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 2 모터(240)가 구동하는 경우, 받침부(350)는 착석부(230)와의 각도가 가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받침부(250)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사용자의 등 등을 받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00)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기립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를 통하여 기립한 후 개호자의 도움없이 침상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과정이 완료된 후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의 충전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의 제 4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의 제 5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6 및 17을 참고하면,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경우나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는 경우 충전모듈(600)에 결합하여 전원공급부(400)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충전모듈(600)을 자동을 인지하여 결합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충전모듈(600)과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가 충전모듈(600)을 감지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충전모듈(600)의 인접한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의 이동이 완료되면,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충전모듈(60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부(400)의 일부는 충전모듈(600)과 접촉하여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충전모듈(600)은 전원공급부(400)에 전기를 공급하여 전원공급부(4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개호자는 오물탱크(121) 및 온수탱크(122)를 교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물탱크(121) 및 온수탱크(12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유닛(13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동유닛(1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 1 중량센서(127) 및 제 2 중량센서(126)에서 감지된 값을 근거로 제어부(300)는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함으로써 교체시기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외부에 음향 또는 화면신호를 통하여 외부의 개호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개호자는 상기의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덮개(137)를 개방하여 오물탱크(121) 및 온수탱크(122)를 이동유닛(13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교체하고, 오물탱크(121) 및 온수탱크(122) 내부의 내용물을 교체함으로써 간편하게 오물탱크(121) 및 온수탱크(122)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개호자의 도움없이도 배변활동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자동 배변기(1000)는 개호자의 도움없이 사용자가 기립하거나 안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 스마트 자동 배변기
100 : 바디부
111 : 배변처리유닛
112 : 저장유닛
113 : 이동유닛
200 : 지지부
300 : 제어부
400 : 전원공급부
500 : 송수신모듈
600 : 충전모듈

Claims (31)

  1. 사용자의 배설물을 흡입하여 저장가능하며, 이동가능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형성되고, 형상이 가변하는 지지부와,
    외부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바디부를 사용자에게 이동시키키고, 상기 지지부의 형상을 가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지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사용자의 배설물을 흡입하는 배변처리유닛과,
    상기 배변처리유닛의 하측에 결합하여 흡입된 배설물을 저장하고, 온수 및 온풍을 상기 배변처리유닛에 공급하는 저장유닛과,
    상기 저장유닛 및 상기 배변처리유닛이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변처리유닛은,
    사용자의 배설물이 모이도록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에 사용자의 배설물이 흡입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각도가 가변하도록 상기 이동유닛과 결합하는 케이스와,
    상기 흡입구의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배변활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구비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변처리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어 외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변처리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오목한 부분에 방사형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는 변기세척노즐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변처리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외부로 온풍을 분사하는 온풍건조노즐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위치가 가변하도록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랙기어인 스마트 자동 배변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부와 형합하여 상기 슬라이딩부를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사용자의 배설물을 저장하는 오물탱크와,
    상기 이동유닛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온수를 저장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오물탱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온풍을 생성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온풍공급수단과,
    상기 배변처리유닛의 악취 또는 상기 오물탱크의 악취를 흡입하는 진공탱크를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온수탱크, 상기 진공탱크 및 상기 온풍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탱크 및 상기 온풍공급수단에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진공탱크의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펌프에 결합하여 상기 펌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방음필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펌프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에 배치되는 흡기필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펌프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유로에 배치되는 배기필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기필터는,
    상기 펌프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연소시키는 악취연소부와,
    상기 악취연소부로부터 방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방향필터를 구비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온수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온수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시키는 온수히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온수탱크의 중량을 감지하는 제 1 중량센서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오물탱크의 중량을 감지하는 제 2 중량센서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바퀴부와,
    상기 바퀴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부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다리를 안착하는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과 결합하고, 상기 바디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하는 제 1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 1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각 제 1 프레임과 결합하는 제 2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는,
    중앙 부위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착석플레이트와,
    상기 착석플레이트 상에 결합하는 쿠션부를 구비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는 상기 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착석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25.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발판부,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받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디스크 타입 모터인 스마트 자동 배변기.
  27.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28. 삭제
  2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충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2차전지인 스마트 자동 배변기.
  30.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3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배변기.
KR1020110017543A 2011-02-28 2011-02-28 스마트 자동 배변기 KR101272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43A KR101272019B1 (ko) 2011-02-28 2011-02-28 스마트 자동 배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43A KR101272019B1 (ko) 2011-02-28 2011-02-28 스마트 자동 배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950A KR20120097950A (ko) 2012-09-05
KR101272019B1 true KR101272019B1 (ko) 2013-06-07

Family

ID=4710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543A KR101272019B1 (ko) 2011-02-28 2011-02-28 스마트 자동 배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8160A (zh) * 2018-06-19 2018-11-27 潍坊学院 一种可驱动型医用智能辅助排便机械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296A (ko) * 1999-10-23 2001-05-15 정호 환자 이송용 탑승장치
KR200348639Y1 (ko) * 2003-10-14 2004-04-30 이응재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JP2007301331A (ja) 2006-05-11 2007-11-22 Shozaburo Sato 病人用排便処理装置と排便可能な車椅子
JP2010017248A (ja) * 2008-07-08 2010-01-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可動式便器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296A (ko) * 1999-10-23 2001-05-15 정호 환자 이송용 탑승장치
KR200348639Y1 (ko) * 2003-10-14 2004-04-30 이응재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JP2007301331A (ja) 2006-05-11 2007-11-22 Shozaburo Sato 病人用排便処理装置と排便可能な車椅子
JP2010017248A (ja) * 2008-07-08 2010-01-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可動式便器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8160A (zh) * 2018-06-19 2018-11-27 潍坊学院 一种可驱动型医用智能辅助排便机械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950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751B1 (ko)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KR10129918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2016523170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406500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1015717B1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JP2007537791A (ja) 患者用寝台
JP2008540019A (ja) 入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5338942A (zh) 尿液自动采集装置
KR101579889B1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컵유닛 분사노즐
JP4537436B2 (ja) 病臥患者用自動排泄物処理装置
JP4643523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KR101156165B1 (ko)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KR20120040881A (ko) 세정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KR20090039120A (ko) 자동배설물 처리장치 및 자동배설물 처리방법
KR20070006303A (ko) 배변기를 구비하는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US20070032765A1 (en)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KR101272019B1 (ko) 스마트 자동 배변기
KR20120139242A (ko) 배변 처리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1052024B1 (ko) 대소변 배출기
KR100953957B1 (ko) 스윙 구조를 갖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JP2007301331A (ja) 病人用排便処理装置と排便可能な車椅子
KR20120091682A (ko) 배설물 처리장치
KR20050006639A (ko) 위생변기 일체형 이동식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