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272Y1 - 용변 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 - Google Patents

용변 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272Y1
KR200384272Y1 KR20-2005-0005255U KR20050005255U KR200384272Y1 KR 200384272 Y1 KR200384272 Y1 KR 200384272Y1 KR 20050005255 U KR20050005255 U KR 20050005255U KR 200384272 Y1 KR200384272 Y1 KR 200384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toilet
seat cover
cushion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철
Original Assignee
심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철 filed Critical 심상철
Priority to KR20-2005-0005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2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272Y1/ko
Priority to PCT/KR2006/000697 priority patent/WO2006091058A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4Buffers for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변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좌변기 커버에 용변 보조장치를 구비하여 용변자의 용변을 용이하게 해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 커버에 요홈이 형성된 하부 받침부를 구비하고, 밑판과 상부 받침부를 스프링으로 고정한 쿠션부를 구비하여, 이 쿠션부를 하부 받침부의 요홈에 삽입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용변 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Stool Cover of the Easing Natural Support Equipped}
본 고안은 좌변기 커버의 용변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용변자가 좌변기에 착석하여 용변을 볼 때, 용변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용변보조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좌변기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 본체(10)의 상단 착석부(11)는 타원형을 이루면서 측면에서 볼 때,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변기 본체(10)에는 상단 착석부(11) 안쪽으로 웅덩이와 같이 형성된 용변물 낙하실(12)과 용변물과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배출통로(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변기 본체(10)의 후방 상단에는 세척수 탱크(20)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좌변기 본체(10)의 상단 착석부(11)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단 착석부(11)에 수평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타원형 형상으로 된 좌변기 커버(30)와 뚜껑체(40)가 힌지부(5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좌변기는 용변을 보고자 하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듯이 좌변기 본체(10)의 상단 착석부(11)위에 앉은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어 편안함을 줄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좌변기 본체(10)의 상단 착석부(11)가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둔부와 허벅지는 수평상태를 이루고 허리는 곧게 편 상태의 용변자세로 용변을 보게 되는데, 이렇게 둔부를 기준으로 하여 허벅지부분과 허리부분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용변을 보게 될 경우에는 인체구조상 항문이 제대로 열리지 않게 되어 용변처리가 시원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며, 또한, 좌변기 본체(10)의 상단 착석부(11)가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둔부와 허벅지 부분을 수평상태로 하여 용변을 보게 되는데, 변비가 있거나, 변이 딱딱한 사람은 용변을 쉽게 볼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좌변기의 기능을 개선하여 더욱 원활한 용변에 도움을 주기 위해 근래에는 도 1의 (b)와 같이, 상기 착석부(10)의 형태를 둔부가 아래에 위치하고 무릎부분이 높게 위치하도록 변형하여 착석시 사용자 둔부의 항문주위근육 및 항문괄약근을 앞뒤방향으로 자연적으로 확장시키도록 고안된 형상의 좌변기가 제안되고 있으나, 상기 도 1의 (b)에 예시 좌변기의 경우, 사용자 둔부의 항문주위근육의 앞뒤방향 확장만을 고려한 고안으로서, 용변에 가장 원활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항문주위근육과 항문괄약근의 앞뒤방향 및 좌우방향으로의 확장을 미처 수행하디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의 좌변기는 종래 좌변기에 적용하려고 해도 커버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없고, 좌변기를 전체를 교환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변자가 좌변기에 착석시에 쿠션부의 상부 받침부가 항문 주위를 자극시켜 용변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구성으로 상세하게는 좌변기 커버에 요홈이 형성된 하부 받침부를 구성하고, 밑판과 상부 받침부를 스프링으로 고정한 쿠션부를 갖추어, 쿠션부가 하부 받침부의 요홈에 삽입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용변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 좌변기 커버의 사시도로서, (a)는 분해도, (b)는 조립도이며, 도 3은 (a)는 미착석(평상시)시의 상태도, (b)는 착석시의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좌변기 커버의 하부 받침부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좌변기 커버의 쿠션부의 상세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 용변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는 좌변기 커버(2)에 하부 받침부(3)에 요홈(10)이 ∪자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 받침부(3)에는 오염물질이나 물 등이 쉽게 배출될 수 있는 배수공(8)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 받침부(3)의 상부에는 쿠션부(4)가 구비되어서 하부 받침부(3)의 요홈(10)에 삽입되는 구성인데, 쿠션부(4)는 밑판(5)과 상부 받침부(7)가 스프링(6)으로 연결 고정되고, 밑판(5)에는 하부 받침부(3)의 배수공(8)과 동일한 위치에 배수공(8)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받침부(3)의 요홈(10)에 삽입된 쿠션부(4)의 밑판(5)은 하부 받침부(3)의 바닥면의 하부 고정부(9')에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변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에 용변자가 착석하여 용변을 볼 시에는 도 3의 (b)와 같이 쿠션부(4)의 상부 받침부(7)가 좌변기 커버(2)보다 아래로 하강하게 되어 스프링(6)이 압축되고, 용변자의 항문 주위에 상부 받침부(7)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용변자가 용변을 시원스럽게 볼 수 없을 시에는 엉덩이를 상하로 조금만 움직이면 스프링(6)에 의해 압축된 상부 받침부(7)가 위로 상승하면서 항문 주위를 자극하게 되어, 용변을 쉽게 볼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도 4는 좌변기 커버(2)의 하부 받침부(3)의 평면도를 도시하였고, 도 5는 쿠션부(4)의 상세도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하부 받침부(3)와 쿠션부(4)를 고정부(9)로 고정하여 일체로 구비하고, 상부 받침부(7)의 일부가 하부 받침부(3)의 요홈(10)에 삽입되는 구성이므로, 상부 받침부(7)가 승ㆍ하강시 요홈(10)의 턱에 걸리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쿠션기능을 하는 스프링(6)은 실시 예로 적용한 것이며, 쿠션기능을 하는 구성은 얼마든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사용중에 쿠션부(4)가 고장이 나면 하부 받침부(3)의 밑면에 있는 고정부(9)의 볼트를 풀어 쿠션부(4)만 분리한 후 새로운 쿠션부(4)로 교체하면 수리가 완료되므로 쉽게 보수가 가능하며, 현재 사용중인 좌변기에는 좌변기 커버(2)만 본 고안의 장치로 교환하면 좌변기 전체를 교환하지 않더라고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용변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2)는 용변자가 좌변기에 착석시에 쿠션부(4)의 상부 받침부(7)가 용변자의 항문주위에 위치하므로, 용변시 엉덩이를 조금씩 상ㆍ하로 움직이면 스프링(6)으로 압축된 상부 받침부(7)가 상승하면서 항문 주위를 자극하므로 용변을 쉽게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으며, 본 고안의 장치는 사용중에 쿠션부(4)가 고장이 나면 좌변기 커버(2) 전체를 교환할 필요없이 쿠션부(4)만 교체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가 간단하며, 현재 사용중인 종래 좌변기의 커버(2)만 본 고안장치로 교체하면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좌변기 커버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좌변기 커버의 사시도로서,
(a)는 분해도, (b)는 조립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a)는 미착석(평상시)시의 상태도, (b)는 착석시의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좌변기 커버의 하부 받침부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 좌변기 커버의 쿠션부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변보조장치 2. 변기커버
3. 하부 받침부 4. 쿠션부
5. 밑판 6. 스프링
7. 상부 받침부 8. 배수공
9. 상부 고정부 9' 하부 고정부
10. 요홈

Claims (2)

  1. 좌변기 커버에 있어서,
    좌변기 커버(2)에 요홈(10)을 구비한 하부 받침부(3)와, 밑판(5)과 상부 받침부(7)를 스프링(6)으로 고정한 쿠션부(4)를 구비하여,
    상기 쿠션부(4)가 하부 받침부(3)의 요홈에 삽입되어 고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받침부(3)와 밑판(5)에 배수공(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
KR20-2005-0005255U 2005-02-28 2005-02-28 용변 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 KR200384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255U KR200384272Y1 (ko) 2005-02-28 2005-02-28 용변 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
PCT/KR2006/000697 WO2006091058A2 (en) 2005-02-28 2006-02-28 Stool cover of the easing natural support equipp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255U KR200384272Y1 (ko) 2005-02-28 2005-02-28 용변 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272Y1 true KR200384272Y1 (ko) 2005-05-12

Family

ID=3692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255U KR200384272Y1 (ko) 2005-02-28 2005-02-28 용변 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84272Y1 (ko)
WO (1) WO200609105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76Y1 (ko) * 2012-08-24 2014-05-15 장화성 배수되는 양변기용 변기시트
KR102326434B1 (ko) 2020-12-09 2021-11-15 전해황 항문주변 지압용 좌변기용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A32325B1 (fr) * 2009-07-22 2011-06-01 Anas Belabbes Installation sanitaire pour position accroupie controlab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1617A (en) * 1992-04-16 1994-05-17 Ammatelli Francis J Physiologic toilet attachment
GB2300008B (en) * 1995-04-19 1999-04-14 Nippon Cable System Inc Seat-lifting device for a stool
JPH11299690A (ja) * 1998-04-17 1999-11-02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洋式便器における便座や便蓋の開閉装置
KR20030083413A (ko) * 2002-04-22 2003-10-30 박종만 자동 벌어짐 변기 커버의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76Y1 (ko) * 2012-08-24 2014-05-15 장화성 배수되는 양변기용 변기시트
KR102326434B1 (ko) 2020-12-09 2021-11-15 전해황 항문주변 지압용 좌변기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91058A2 (en) 2006-08-31
WO2006091058A3 (en)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4272Y1 (ko) 용변 보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커버
JP6404765B2 (ja) オストメイト及び健常者共用の洗浄機能付き便座
KR101917245B1 (ko) 원활한 배변 유도를 위한 좌변기
KR200486616Y1 (ko) 변좌
KR20180110945A (ko)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KR20130005838U (ko) 양변기
KR102043975B1 (ko) 쾌변 유도 구조를 갖는 변기시트
KR200364709Y1 (ko) 좌변기 좌대 및 덮개
CN201250444Y (zh) 一种壁挂式座便器
KR200384260Y1 (ko) 좌변기용 보조장치
KR200259559Y1 (ko) 좌변기커버
KR100580328B1 (ko) 비데기의 변좌 스톱퍼 구조
KR101252293B1 (ko) 듀얼 지지형의 변기용 시트
JP2007330533A (ja) 便器用腰掛台及び部屋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JP3118889U (ja) 指圧機能を備えた洋式トイレ
CN212248561U (zh) 一种消毒马桶
KR102648109B1 (ko) 장애인용 이동식 화장실 겸용 헤어 샴핑 장치
CN201175306Y (zh) 中老年人用多功能椅
CN217232116U (zh) 一种自动冲水的蹲坐两用马桶
JP2019058359A (ja) 浴室内介助用チェア
CN212715208U (zh) 一种坐面及坐便器
KR200320368Y1 (ko) 좌변기
KR100496701B1 (ko) 오염 방지 및 등받이 기능을 갖는 양변기 커버
KR200254689Y1 (ko) 편안한 배변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안된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