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323A - 침대 겸용 샤워실 - Google Patents

침대 겸용 샤워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323A
KR20020073323A KR1020020051735A KR20020051735A KR20020073323A KR 20020073323 A KR20020073323 A KR 20020073323A KR 1020020051735 A KR1020020051735 A KR 1020020051735A KR 20020051735 A KR20020051735 A KR 20020051735A KR 20020073323 A KR20020073323 A KR 20020073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ed
person
bath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수곤
Original Assignee
백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수곤 filed Critical 백수곤
Priority to KR102002005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3323A/ko
Publication of KR2002007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3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8Curtain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62Table beds; Billiard table beds, or lik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combined with douches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 목욕을 하고자 할 경우 비좁은 욕조의 크기 때문에 누워서 할 수가 없고 서 있거나 쭈그린 상태에서만이 가능하여 누워있는 상태에서 쉬면서 목욕을 하고자 할 경우 이동용 침대와 욕실을 혼합 사용하도록 하면 편리할 것이다. 특히, 힘이 없는 노약자들의 경우 거실의 누워있는 침대에서 곧바로 목욕을 하게 하면 사람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이들이 배설한 대소변을 직접 보호자가 만지지 않아도 되어 청결과 사람의 비위를 상하지 않으면서도 목욕이 가능한 방법과 장치를 개발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침대 겸용 샤워실 {Shower chamber and bed}
본 발명은 타인의 도움이 없이도 혼자서 목욕과 때밀이 및 샤워를 할 수 있는 침대 겸용 이동 자동 목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 목욕과 침대를 겸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이 없이 샤워, 침대, 욕조등 단편적으로 제작 판매되고 있었다.
거실의 누워있는 침대에서 곧바로 목욕을 하게 하면 사람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이들이 배설한 대소변을 직접 보호자가 만지지 않아도 되어 청결과 사람의 비위를 상하지 않으면서도 목욕이 가능한 방법과 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침대에 물이 분사되어도 곧바로 배출되는 침대 바닥 탈수 방법과 쾌적한 온도 유지, 신선한 공기의 공급 및 제어, 지동 떼밀이, 침대 바닥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수중에 들어가 있거나 밖에서 목욕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등 이들 각자의 기술과 이 단위 기술들의 조합을 통한 종합적인 자동 목욕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욕조 겸용 샤워실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욕조 겸용 샤워실 내부의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욕조 겸용 샤워실 상부판의 일 실시예에 대한 견양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욕조 겸용 샤워실 상하부판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목욕시 상하부판 배치에 대한 일 실시예
10 : 상부판 20 : 하부판 30 : 침대몸체 50 : 노즐 60 : 샤워커튼
본 발명은 타인의 도움이 없이도 혼자서 목욕과 때밀이 및 샤워를 할 수 있는 자동 목욕 시스템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때는 침대 바닥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욕조의 수면 밑으로 내려 사람이 누운채로 물속에서 목욕을 하거나 수면위로 올려 목욕을 하는 상부판 각도 및 높이 조절단계와
상부판 사이사이에 맞물려 있는 사각 톱니형상으로서 수직하방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위로 올리면 상부판의 윗 평면과 일치하여 빈 공간이 없는 침대바닥을 구성하고, 아래로 내리면 상부판에 틈새를 내어 이 틈사이로 공기나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하부판 높이 조절단계 단계와
평상시에는 침대의 몸체를 구성하고 샤워시에는 욕조 물받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욕조 기능변경 단계와
상부판의 아래에 있는 하부노즐에 공기나 물을 분사시키면서 누워 있는 사람의 피부에 새로운 공기나 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사람의 상부에 있는 상부노즐에 물을 분사시키면서 샤워하는 단계와
상하부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샤워커튼을 구획으로 침대몸체의 외부로 튀어 나가지 못하도록 목욕중인 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단계와
사람의 피부에 있는 때를 자동으로 밀어내어 씻는 단계와
사람과 접촉하는 상하부판의 온도를 가장 적절한 온도로 제어하는 상하부 판 온도제어단계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침대로 사용하고, 목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욕실로 개조 사용할 수 있는 침대겸용 샤워실을 만드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할 때는 침대 바닥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욕조의 수면 밑으로 내려 사람이 누운채로 물속에서 목욕을 하거나 수면위로 올려 목욕을 하는 상부판 각도 및 높이 조절단계는 다음과 같다.
상부판(10)은 사람이 누워 있는 자세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상을 보조할 수 있도록 몇 개의 상부 블록 판(11A,11B,11C)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상부 블록판은 수개의 상부 노즐봉(14)과 헤더(15)로 구성된다. 각 상부 블록판간의 연결은 각도 조절자(12)에 의하여 상호 인접한 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전체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높이 조절자(13)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부판을 욕조의 수면 아래로 내리거나 수면위로 올려 사용한다. 각도 조절자(12)와 높이 조절자(13)는 일반적으로 알려진상업적 조절 시스템을 이용한다. 상부 노즐봉(14)와 상부 노즐봉(14)은 배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배관 커플링(CP)으로 연결되어 있어 사람의 체형과 피부 윤곽선에 따라 곡선으로 상부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배관 커플링(CP)은 재래의 유체 배관에 사용하는 가변 커플링을 사용한다. 각 상부 블록판에 물이나 공기를 공급하는 배관은 플라스틱이나 고무호스등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여 가볍고 휨에 대한 특성이 좋아야 하며, 헤더(15)와 공급 배관(FS)의 연결부는 배관의 회전 실링시스템을 사용함으로서 상부 블록판의 각도가 변화하여도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노즐봉(14)의 윗면(BO)에는 수개의 노즐(N)이 있으며 상부 노즐봉과 상부 노즐봉 사이에는 하부판 노즐봉이 삽입되어 빈 틈이 없이 평판과 같은 바닥을 구성하게 된다.
상부 노즐봉 내부(F)에는 공기나 물의 통로가 되도록 비어 있으며 벽체(WA)와 상부 노즐봉 윗면(BO)은 적절한 접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본 상부 노즐봉 상부(BO) 내부에는 열선(H)을 삽입하여 온도제어 시스템과 연결, 상부판(11)의 온도를 사람이 느끼기에 적절한 온도로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상부판(10)은 사람의 체형에 따라 곡선을 유지할 수도 있고 자세에 따라 각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시에는 사람의 상체와 다리부분은 일반적인 평판을 사용하고, 중간부위의 상부 블록판(11B)만을 본 특허와 같이 제작하여 환자등 지체가 부자유 스러운 사람이 평소에는 침대로 쓰다가 대소변을 보았을 경우에는 해당 부위만 세척하도록 한다.
본 상부판과 하부판의 노즐(N)은 평상시에는 공기를 간헐적으로 공급하여 누워있는 사람의 등에 공기가 순환하도록 함으로서 건강한 사람은 상쾌한 기분을 느끼고, 환자에게는 장기간 한 방향으로 누워있음으로 인하여 바닥과 접촉하는 피부에 염증이 생기는 등 건강이 악화되는 것을 막고, 항상 적절한 습도의 환경을 유지시켜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부판 사이사이에 맞물려 있는 사각 톱니형상으로서 수직하방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위로 올리면 상부판의 윗 평면과 일치하여 빈 공간이 없는 침대바닥을 구성하고, 아래로 내리면 상부판에 틈새를 내어 이 틈사이로 공기나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하부판 높이 조절단계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하부판(20)은 상부판(1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단지 상부판 노즐봉과 하부판 노즐봉이 교차로 배열되어 있는 점만이 다르고, 목욕을 할 때는 상부판 위에 사람이 누워있고 하부판(20)은 상부판(10)의 아래로 내려와 노즐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사람에게 물을 뿌리면서 세척을 하고 하부판이 있던 공간을 통하여 이물질과 세척에 사용된 물이 흘러 내리도록 한 구조이다.
침대로 사용할 때는 상부판(10)과 같은 높이에 있어 평평한 바닥을 형성한 상태에서 간헐 적으로 공기를 노즐(N)에 공급하여 누워 있는 사람에게 신선함을 제공하고, 목욕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부판을 아래로 내려 노즐을 통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시킴으로서 상부판(10)에 끼워져 있던 하부판(20) 자리의 빈 공간(14AE)을 통하여 고압수가 누워 있는 사람의 피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평상시에는 침대의 몸체를 구성하고 샤워시에는 욕조 물받이로 사용할 수 있는욕조 기능변경 단계는 상부판과 하부판을 지지하면서 바닥의 외주를 벽으로 만들어 욕조를 구성하고, 바닥의 한편에는 세척에 사용된 물이 흘려 내려갈 하부배관을 구축한다. 본 침대몸체는 욕조와 같이 물을 저장하고 배수 할 수 있는 것으로 욕조바닥판(31)의 외곽선을 따라 욕조벽(32)이 사방으로 설치되고, 욕조 바닥하부에는 욕조받침(33)과 하수입구(34) 및 하수배관(35)이 있다. 욕조로 물을 저장할 때는 하수입구(34)를 막고 물을 소요의 높이까지 저장하여 사용하고, 사용한 물을 빼고자 할 때는 하수입구(34)를 열어 물을 배수하게 된다. 본 침대몸체(30)는 외부에서 보면 침대의 형상을 하여야 하므로 욕조벽(32)을 외부에서 보면 침대형상을 하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상부판(10)의 아래에 있는 하부노즐(N)에 공기나 물을 분사시키면서 누워 있는 사람의 피부에 새로운 공기나 물을 공급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하부 노즐(N)은 하부판(20)의 하부 블록판(24A)에 있는 노즐로서 평상시에는 이 노즐에 공기를 공급하고, 목욕시에는 이 노즐에 물을 고압분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노즐에 공급하는 헤더(25A)부 공급배관(FS)에는 공기와 물의 공급원과 이들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 밸브가 있어 필요한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사람의 상부에 있는 상부노즐에 물을 분사시키면서 샤워하는 단계는 사람이 상부에 있는 노즐(50)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목욕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면에는 기술되지 않았지만 하나의 배관에서 분기하여 다수의 노즐에 고압수를 공급하거나 하나의노즐을 유연성이 많은 배관에 설치하여 노즐을 움직이면서 몸을 향하여 샤워를 할 수 있다.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데 필요한 차단장치나 압력 제어기능등은 통상의 샤워 노즐 시스템을 응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설명하지는 아니한다.
상하부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샤워커튼을 구획으로 침대몸체의 외부로 튀어 나가지 못하도록 목욕중인 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단계는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침대몸체의 적절한 곳에 원형 파이프나 사각 파이프등 일자형 기둥을 조합하여 욕조벽(32)과 같은 둘레로 커튼을 칠 수 있도록 하고, 커튼의 아랫부분은 욕조벽(32)에서 사람이 있는 안쪽으로 집어넣어 샤워시 비산되는 물방울이 밖으로 튀어 방이나 밖으로 튀지 않도록 한다.
사람의 피부에 있는 때를 자동으로 밀어내어 씻는 단계는 자동 때밀이를 목욕하는 사람이 손에 들고 직접 자신의 몸을 닦거나 승용차의 세차시설에 있는 것처럼 간 원통형 브러쉬를 사람의 전신에 대하여 이동시키면서 때를 밀어 내는 것이다.
사람과 접촉하는 상하부판의 온도를 가장 적절한 온도로 제어하는 상하부 판 온도제어단계는 상부판(10)과 하부판(20)의 윗부분을 장판과 같은 재질로 하여 방에 누워있는 듯한 느낌을 갖도록 하고, 그 하부에 열선(H)을 두어 필요한 온도로 제어하는 것이다. 온도 제어를 위하여 상하부판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이 온도에 따라 전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전기 제어방식이나 노즐(N)에 공급되는 공기나 물의 온도를 제어하여 침대 바닥의 온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각 시스템별 온도 제어방식은 통상의 온도 제어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장에서는 설명하지 않은다.
이상과 같이 평상시에는 침대로 사용하고, 목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욕실로 개조 사용할 수 있는 침대겸용 샤워실을 만드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힘이 없는 노약자들의 경우 거실의 누워있는 침대에서 곧바로 목욕을 하게 하면 사람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이들이 배설한 대소변을 직접 보호자가 만지지 않아도 되어 청결과 사람의 비위를 상하지 않으면서도 목욕이 가능한 방법과 장치를 개발하였다.

Claims (2)

  1. 타인의 도움이 없이도 혼자서 목욕과 때밀이 및 샤워를 할 수 있는 자동 목욕 시스템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때는 침대 바닥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욕조의 수면 밑으로 내려 사람이 누운채로 물속에서 목욕을 하거나 수면위로 올려 목욕을 하는 상부판 각도 및 높이 조절단계와
    상부판 사이사이에 맞물려 있는 사각 톱니형상으로서 수직하방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위로 올리면 상부판의 윗 평면과 일치하여 빈 공간이 없는 침대바닥을 구성하고, 아래로 내리면 상부판에 틈새를 내어 이 틈사이로 공기나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하부판 높이 조절단계 단계와
    평상시에는 침대의 몸체를 구성하고 샤워시에는 욕조 물받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욕조 기능변경 단계와
    상부판의 아래에 있는 하부노즐에 공기나 물을 분사시키면서 누워 있는 사람의 피부에 새로운 공기나 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사람의 상부에 있는 상부노즐에 물을 분사시키면서 샤워하는 단계와
    상하부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샤워커튼을 구획으로 침대몸체의 외부로 튀어 나가지 못하도록 목욕중인 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단계와
    사람의 피부에 있는 때를 자동으로 밀어내어 씻는 단계와
    사람과 접촉하는 상하부판의 온도를 가장 적절한 온도로 제어하는 상하부 판 온도제어단계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침대로 사용하고, 목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욕실로 개조 사용할 수 있는 침대겸용 샤워실을 만드는 방법
  2. 타인의 도움이 없이도 혼자서 목욕과 때밀이 및 샤워를 할 수 있는 자동 목욕 시스템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때는 침대 바닥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욕조의 수면 밑으로 내려 사람이 누운채로 물속에서 목욕을 하거나 수면위로 올려 목욕을 하는 상부판 각도 및 높이 조절장치와
    상부판 사이사이에 맞물려 있는 사각 톱니형상으로서 수직하방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위로 올리면 상부판의 윗 평면과 일치하여 빈 공간이 없는 침대바닥을 구성하고, 아래로 내리면 상부판에 틈새를 내어 이 틈사이로 공기나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하부판 높이 조절 장치와
    평상시에는 침대의 몸체를 구성하고 샤워시에는 욕조 물받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욕조 기능변경 장치와
    상부판의 아래에 있는 하부노즐에 공기나 물을 분사시키면서 누워 있는 사람의 피부에 새로운 공기나 물을 공급하는 장치와
    사람의 상부에 있는 상부노즐에 물을 분사시키면서 샤워하는 장치와
    상하부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샤워커튼을 구획으로 침대몸체의 외부로 튀어 나가지 못하도록 목욕중인 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장치와
    사람의 피부에 있는 때를 자동으로 밀어내어 씻는 장치와
    사람과 접촉하는 상하부판의 온도를 가장 적절한 온도로 제어하는 상하부 판 온도제어 장치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침대로 사용하고, 목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욕실로 개조 사용할 수 있는 침대겸용 샤워실을 만드는 장치
KR1020020051735A 2002-08-30 2002-08-30 침대 겸용 샤워실 KR20020073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735A KR20020073323A (ko) 2002-08-30 2002-08-30 침대 겸용 샤워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735A KR20020073323A (ko) 2002-08-30 2002-08-30 침대 겸용 샤워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323A true KR20020073323A (ko) 2002-09-23

Family

ID=2772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735A KR20020073323A (ko) 2002-08-30 2002-08-30 침대 겸용 샤워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33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931A (ko) 2014-06-12 2015-12-23 주식회사백상 목욕 겸용 침대
KR102107333B1 (ko) 2019-03-20 2020-05-07 손영길 자동 샤워 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181U (ko) * 1978-07-20 1980-02-01
JPS6142926U (ja) * 1984-08-24 1986-03-20 勝次郎 原田 浴槽
JPS6332530U (ko) * 1986-08-18 1988-03-02
JPS6332529U (ko) * 1986-08-18 1988-03-02
JPH0415055A (ja) * 1990-05-10 1992-01-20 Setsu Jufuku 昇降型入浴装置
KR950005286A (ko) * 1993-08-17 1995-03-20 가즈오 후쿠모토 욕조 겸용가능 간호용 침대
JPH087116Y2 (ja) * 1990-11-07 1996-02-28 シャープ株式会社 圧縮機
JPH1024083A (ja) * 1996-07-10 1998-01-27 Kozo Kawasaki 介護用ベッド
JPH10305075A (ja) * 1997-05-07 1998-11-17 Tadao Totsuka 看護用バス
JP2001087336A (ja) * 1999-09-20 2001-04-03 Nihon Niyaku:Kk 介護用浴槽
KR200276897Y1 (ko) * 2002-02-06 2002-05-27 전철균 욕조 겸용 침대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181U (ko) * 1978-07-20 1980-02-01
JPS6142926U (ja) * 1984-08-24 1986-03-20 勝次郎 原田 浴槽
JPS6332530U (ko) * 1986-08-18 1988-03-02
JPS6332529U (ko) * 1986-08-18 1988-03-02
JPH0415055A (ja) * 1990-05-10 1992-01-20 Setsu Jufuku 昇降型入浴装置
JPH087116Y2 (ja) * 1990-11-07 1996-02-28 シャープ株式会社 圧縮機
KR950005286A (ko) * 1993-08-17 1995-03-20 가즈오 후쿠모토 욕조 겸용가능 간호용 침대
JPH1024083A (ja) * 1996-07-10 1998-01-27 Kozo Kawasaki 介護用ベッド
JPH10305075A (ja) * 1997-05-07 1998-11-17 Tadao Totsuka 看護用バス
JP2001087336A (ja) * 1999-09-20 2001-04-03 Nihon Niyaku:Kk 介護用浴槽
KR200276897Y1 (ko) * 2002-02-06 2002-05-27 전철균 욕조 겸용 침대 매트리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931A (ko) 2014-06-12 2015-12-23 주식회사백상 목욕 겸용 침대
KR102107333B1 (ko) 2019-03-20 2020-05-07 손영길 자동 샤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57376A1 (en) Bath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US20040060107A1 (en) Individually adjustable, automated, whole-body washing apparatus
JP2023540117A (ja) 足健康管理器付き洋式便器
CN200984356Y (zh) 腔道冲洗器
KR102379764B1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KR20020073323A (ko) 침대 겸용 샤워실
JP4201102B2 (ja) 浴室内設備
JP3118539B2 (ja) 身体洗浄装置
US3614792A (en) Baths
JP6358714B2 (ja) ミストシャワー入浴装置
JPH0585947U (ja) 浴 室
JP3741988B2 (ja) 介護用浴槽装置
KR200250538Y1 (ko) 거동이 불편한 자를 위한 간이 욕조
CN212679495U (zh) 一种卧床病人的洗头装置
KR200331696Y1 (ko) 좌욕 겸용 샤워캐비넷용 샤워컬럼
JPH06125854A (ja) 浴槽シャワー装置
KR101849004B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230113091A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벽면부착형 좌식변기
KR20230113090A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JPH044627Y2 (ko)
KR101624414B1 (ko) 욕조겸용침대
RU2093061C1 (ru) Бытовая ванна
KR20160008765A (ko) 목욕 장치
JPH061032Y2 (ja) 防水パン装置
WO2022192985A1 (en) Add-on bidet module for a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