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090A -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 Google Patents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090A
KR20230113090A KR1020220009572A KR20220009572A KR20230113090A KR 20230113090 A KR20230113090 A KR 20230113090A KR 1020220009572 A KR1020220009572 A KR 1020220009572A KR 20220009572 A KR20220009572 A KR 20220009572A KR 20230113090 A KR20230113090 A KR 20230113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toilet seat
washing
washing tan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우
Original Assignee
김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우 filed Critical 김덕우
Priority to KR1020220009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090A/ko
Priority to PCT/KR2023/000944 priority patent/WO2023140647A1/ko
Publication of KR2023011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6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for cleaning the feet or 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변기는, 변좌 및 변기수조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본체와 프레임의 전방 하단부에 수납되어 별도의 조작에 따라 전개 조절이 가능한 세족수조를 포함하는 발 건강관리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TOILET BOWL WITH FOOT HEALTH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에 관한 것이다.
의자에 앉는 것처럼 앉아서 용변을 보는 좌식변기는 양변기 또는 좌변기로도 불리우며 일상생활에 사용빈도가 매우 높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품 중 하나이다.
좌식변기는 앉을 수 있는 형태를 취하며 가정 내에서는 주로 욕실에 배치되므로 용변 중이 아니더라도 휴식이나 세척과 관련되어 이용될 수 있는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부 세척 등 용변과 관련된 기능 이외에는 부가 기능이 상용화되어 이용되는 예를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 한편, 일상 생활 중 욕실에서 수행되는 중요하고 빈도 높은 행위는 발 세척이다. 발은 다른 신체 부위보다 땀 분비가 3배 이상 많고 피지선이 거의 없기 때문에 건조해지거나 거칠어지기 쉽다. 발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무좀 등과 같은 각종 발 질환에 걸릴 위험성도 있다.
특히, 요즘같이 유행성 바이러스가 창궐하거나 미세먼지 등에 의해 대기오염이 심할 땐, 외출 후 반드시 발을 청결하게 유지해야 건강을 지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을 씻을 땐 허리를 굽혀 손이 발까지 닿을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손으로 발 구석구석을 닦지만, 이 동작이 어려운 허리 디스크 환자, 임산부, 혹은 균형을 잘 잡지 못하는 노약자 등은 움직임 자체가 불편하기 때문에 스스로 발 씻는 것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 문제에서도 자유롭지 못했다.
이에 종래의 발 세척 제품은 사용자가 안전하게 발을 씻을 수 있도록 의자 역할을 하는 좌식변기 주변에 놓이거나, 좌식변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배수 처리를 비롯한 여러 가지 불필요한 문제점이 상존했다.
가령, 일반적인 좌식변기는 바닥면과 밀착하여 설치되고 그 설치부위를 밀봉하여 냄새를 차단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좌식변기에 발 세척 제품을 부착할 경우 오수배관을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발 건강관리기의 설치 공간 확보를 위하여 기존 변기의 하단부에 위치했던 치마 부분을 없애고, 그 자리의 취약한 지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체(본체) 하부에 삽입 가능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좌식변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발 건강관리기가 변기 아래에 수납되기 위해서 세족수조의 후방은 가변벽체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가변벽체를 방수기능을 가지는 방수벽체와 방수벽체를 지지하는 지지벽체를 결합하여 구성하는 방법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발 건강관리기가 수납되거나 전개될 때 가변벽체 일부분을 전자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가변벽체가 세척수조에 담긴 물의 무게로 늘어지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막는 방법도 함께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변기는, 변좌 및 변기수조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본체와 프레임의 전방 하단부에 수납되어 별도의 조작에 따라 전개 조절이 가능한 세족수조를 포함하는 발 건강관리기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본체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며, 후방에 무게중심을 갖는다.
프레임은 본체의 변좌 테두리가 걸쳐지는 변좌지지부; 및 변좌지지부의 측단에 각각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벽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바닥상에 세족수조의 슬라이딩 이동구간상에 슬라이딩 레일을 구비하고, 세족수조는 슬라이딩 레일상에서 이동 가능한 캐스터를 상, 하단 일부 구간에 구비한다.
프레임의 양단에는 세족수조의 슬라이딩 이동구간을 기밀하게 보호하고, 본체의 전방을 지지하는 측면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발 건강관리기는 세족수조의 내측 공간을 향해 소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분사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세족수조의 외부에 구비되어 발 건강관리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고, 각종 기능별 버튼을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사용자 입력부의 지령에 따라 분사부와 세척수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세족수조는 변기수조와 대향하는 후방부의 벽체가 변기수조의 하단부와 맞닿게 될 시, 세족수조의 안쪽으로 접히는 가변벽체를 포함한다.
가변벽체는 세족수조의 벽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루는 지지벽체와, 지지벽체와 결합하여 세족수조를 방수하는 방수벽체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벽체는 세족수조의 상단부 후방 양단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지필러부재; 및 복수의 지지필러부재 사이에서 접히거나 펴지되, 탄성 작용에 의해 외력이 없을 시 평탄 구조를 유지하는 지지접힘판을 포함한다.
방수벽체는 일반적으로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벽체는 비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수벽체와 지지벽체는 접착제로 결합되거나 방수벽체를 지지벽체에 밀착시키는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벽체는 세족수조의 내측에서 지지필러부재와 지지접힘판을 감싸 기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벽체는 지지필러부재의 내측에 접합되는 방수필러부재; 지지접힘판의 내측에 접합되는 방수접힘판; 및 방수필러부재와 방수접힘판 사이를 연결하고, 방사형으로 폴딩 동작이 가능한 폴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부재는 복수의 고무판이 접히는 폴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딩부재는 복수의 고무판이 접히는 폴딩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그 접히는 부위마다 배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한다.
이때, 폴딩부재는 세족수조가 전개될 시는 접히고, 세족수조가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될 시에는 펴지도록 자성체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세족수조는 화장실의 하수관과 연결되는 오수유입관; 오수유입관상에 배치되어, 화장실의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냄새를 차단하는 U자 형상 또는 전동밸브로 구성되는 악취차단부를 포함한다.
발 건강관리기의 세족수조에는 내측 공간에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를 세척하는 발가락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가락세척부는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발가락분사노즐과, 발가락분사노즐의 외측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에 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는 전방 하부에 위치한 수납공간에 발 건강관리기를 수납함으로써 공간상의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본체(본체)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통해 기존 변기의 치마 부분을 없애도 지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발 건강관리기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벽면부착형 좌식변기의 하단에 발 건강관리기를 위치시킴으로써 변기수조의 하부에 여유 공간이 있어서 세족수조를 보다 수월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 건강관리기가 변기 아래에 수납되기 위해서 세족수조의 후방은 가변벽체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가변벽체를 방수기능을 가지는 방수벽체와 방수벽체를 지지하는 지지벽체를 결합하여 구성하는 방법으로 제공함으로써, 가변벽체의 내구성이 크게 증가하고 방수기능도 강화되며 유지보수도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편히 앉은 자세로 좌식변기에 부가된 발 건강관리기의 세족수조에서 발가락을 세척할 수 있고, 냄새의 유입 없이 세족수조의 오수를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좌식변기에 부착된 발 건강관리기에 의하여 사용자가 발가락 사이까지 깨끗하게 세척하면서 악취 유입을 걱정할 필요 없이 오수를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어서, 매우 쾌적한 환경에서 발 세척 및 족욕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좌식변기커버를 의자 삼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편의성 및 실용성까지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인 좌식변기 내 부착된 발 건강관리기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손 사용 없이도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사이를 고르게 씻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움직임에 제약이 있는 몸이 불편한 사람도 편하게 발 세척 및 족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변기를 구성하는 본체, 프레임 및 발 건강관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변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변기에 있어서, 가변벽체의 구성을 자세히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변기에 있어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변기의 측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에 있어서, 세족수조의 내벽이 자성체를 통해 탄성 변형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 건강관리기의 작동 예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 건강관리기의 작동 예를 배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에 있어서, 기포발생부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에 있어서, 발가락분사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에 있어서, 발가락세척부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에 있어서, 발가락세척부의 작동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좌식변기(10)는 발 건강관리기(100), 본체(200) 및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좌식변기(10)의 형태를 이루는 본체(200)는 전방 하단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며, 그 수납공간공간에는 발 건강관리기(100)가 외부로 전개되거나 내부에 수납되도록 부착된다.
좌식변기(10)의 틀을 이루는 본체(200)는 전방 상단부로부터 후방 하단부에 형성되는 변기수조(220)를 갖고, 하단부에는 좌식변기 오수배관(미도시)이 설치된다.
프레임(300)은 본체(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철제로 이루어진 골격이다. 이러한 프레임(300)은 본체(200)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며, 후방에 무게중심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변좌에 앉은 상태에서도 좌식변기(10)가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체(200)의 전방을 제외한 양단 일부 구간에는 세족수조(110)의 슬라이딩 이동 구간을 기밀하게 보호하고 본체(200)을 지지하기 위한 외벽(211)이 배치될 수 있다. 외벽(211)은 세족수조(110)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본체(20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외벽(211)은 세족수조(110)의 양단을 감싸서 본체(200)의 전단부를 바닥에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좌식변기(10)에 앉을 때 본체(200)의 전단부가 받는 하중을 분산한다.
이에 따라, 외벽(211)은 좌식변기(10)의 전단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종래의 좌식변기(미도시)는 전방 하단부에 치마 부분을 두어 사용자가 변좌에 앉은 상태에서도 본체가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했지만, 치마 부분으로 인하여 발 건강관리기(100)와 같이 전방 하단부에 별도의 장치를 수납할 시에는 설치 공간상에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종래의 치마 부분을 없애는 대신, 본체를 이루는 본체(200)의 하단에 철제로 이루어진 프레임(300)을 두어 전방 수납공간에 발 건강관리기(100)의 설치 공간 확보와 더불어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구조적으로 용접 또는 별도의 브래킷(미도시) 체결을 통해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300)은 변좌지지부(310), 복수의 지지축(320) 및 바닥패널(330)을포함한다.
변좌지지부(310)는 본체(200)의 변좌 테두리가 걸쳐지는 부위이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로는 변좌지지부(310)가 제1, 2 지지부(311, 312)로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진 형태지만, 본질적으로 좌식변기(10)의 본체(20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변좌지지부(310)의 형태는 이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가령, 변좌지지부(310)는 단차진 구조가 아닌 평평하거나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져 본체(2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축(320)은 변좌지지부(310)의 측단에 각각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300)의 형태를 이루고 본체(200)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축을 이룬다.
바닥패널(330)은 복수의 지지축(3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프레임(300)의 바닥을 이룬다. 바닥패널(330)상에는 슬라이딩 레일(331)과, 배수용 홀(33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레일(331)은 세족수조(110)의 이동구간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세족수조(110)는 슬라이딩 레일(331)상에서 이동 가능한 캐스터(미도시)를 상, 하단 일부 구간에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상에는 단위 길이마다 세족수조(110)가 안정적으로 정지될 수 있도록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세족수조(110)는 본체(200) 내 구비된 전동 리니어 액추에이터(미도시)를 통해 전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수동으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예로, 세족수조(110)의 상, 하단부와 본체(200) 내부의 연결 부위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미도시)가 연결되어 서랍장에서 서랍을 열 듯이 사용자가 힘을 덜 들이면서 수동으로 세족수조(110)를 본체(200)로부터 개폐할 수도 있다. 이때, 세족수조(110)는 탄성부재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구조이지만, 사용자가 발 세척 및 족욕을 할 경우에는 세족수조(110)가 해당 위치에 고정돼야 한다.
이 경우, 슬라이딩 레일의 단위 길이마다 배치된 스토퍼가 세족수조(110)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체(200)의 상, 하단부 양단에 각각 배치된 슬라이딩 레일의 단위 길이마다 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스토퍼는 고정홀을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레일의 좌우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본체(200)의 수납공간으로부터 발 건강관리기(100)의 세족수조(110)가 반복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그 접촉 부위에 충격이 가해져 해당 부위에 마모가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본체(200)은 세족수조(110)의 후단과 접촉하는 부위에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체(200)에 형성된 변기수조(220)의 하단부는 세족수조(110)의 높이에 영향을 주게 된다.
세족수조(110)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변기수조(220)의 하단부가 세족수조(110)의 수납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세족수조(110)를 높여야 되는 경우(예컨대, 사이펀(Siphon) 방식의 변기일 때 변기수조가 아래로 처져서 세족수조를 높여야 되는 경우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세족수조(110)가 본체(200)의 전방 하단부에 수납될 시, 세족수조(110)는 변기수조(220)의 하단부에 걸릴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본체(200)가 세족수조(110)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방 공간을 더 확보하거나 세족수조(110)가 본체(200)에 다 수납되지 않고 돌출될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변벽체(112)가 필요하다.발 건강관리기(100)의 세족수조(110)는 본체(200)의 하단부에 수납될 시, 가변벽체(112)가 변기수조(220)와 맞닿는 만큼 안으로 접히기 때문에, 문제없이 본체(200)의 하단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벽체(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벽체(113)와 방수벽체(114)를 포함한다.
지지벽체(113)는 세족수조(110)의 후방부에 벽체를 이루며, 알루미늄 및/또는 강화 플러스틱과 같은 비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지지벽체(113)는 지지필러부재(113a) 및 지지접힘판(113b)을 포함한다.
지지필러부재(113a)는 세족수조(110)의 상단부 후방 양단에 각각 위치한다.
지지접힘판(113b)은 복수의 지지필러부재(113a) 사이에서 접히거나 펴지되, 탄성 작용에 의해 외력이 없을 시 평탄 구조를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지지접힘판(113b)은 힌지부재(113c), 스프링 와이어(113d) 및 고정클립(113e)이 연결될 수 있다.
가령, 지지접힘판(113b)의 하단부에 힌지부재(113c)가 위치하고, 그 사이를 스프링 와이어(113d)로 연결하여 지지접힘판(113b)이 탄성 작용에 의해 평탄 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한다.
고정클립(113e)은 스프링 와이어(113d)를 지지접힘판(113b)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방수벽체(114)는 세족수조(110)의 내측에서 지지필러부재(113a)와 지지접힘판(113b)을 감싸 기밀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며, 탄성이 가능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무재질은 천연고무와 합성고무를 포괄하며 그 중에서도 실리콘, 우레탄, 라텍스 중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라텍스는 미세한 고분자 입자가 수용액 상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의 물질이고 널리 사용되는 물질 중에 하나이므로 용도 및 환경에 따라 활용성이 더 좋을 수 있다.
방수벽체(114)는 방수필러부재(114a), 방수접힘판(114b) 및 폴딩부재(114c)를 포함한다.
방수필러부재(114a)는 지지필러부재(113a)의 내측에 접합된다.
방수접힘판(114b)은 지지접힘판(113b)의 내측에 접합된다.
폴딩부재(114c)는 방수필러부재(114a)와 방수접힘판(114b) 사이를 연결하고, 방사형으로 폴딩 동작이 가능하다.
오수유입관(미도시, U자관 전단의 수평관)은 세족수조(110)의 오수배출구에 연결되고, 본체(200)와 각각의 배수관을 갖고 벽체를 관통한다.
악취차단부(미도시)는 오수유입관과 하수관 사이에 배치되어,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로부터 유입되는 냄새를 차단한다. 즉, 악취차단부(152)는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하여 U자관이나 전용 밸브로 구현 가능하다.
하수관(미도시, U자관 후단의 수직관)은 전단이 악취차단부와 연결되고, 후단이 화장실 바닥의 오수배출구 또는 변기수조의 트랩에 연결될 수 있다.
발 건강관리기(도 1 100)는 주기적으로 맑은 물을 방류하여 악취차단부에 물을 채운다. 이는 U자 형상의 악취차단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환이기도 하다. 따라서 악취차단부의 주변은 밀봉되어야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세족수조(110)의 내벽이 자성체를 통해 탄성 변형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세족수조(110)의 세부구성(후술되는 도면을 통해 도시)을 도시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9는 세족수조(110)의 가변벽체(112)가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해하기 쉽게 도시한 도면일 뿐이며, 도시된 형태로 인해 세족수조(110)의 형상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가변벽체(1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벽체(도 4의 113)와 방수벽체(114)가 결합된 구조이다. 방수벽체(114)는 예를 들면 라텍스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방수벽체(114)가 연결된 부위는 사용자가 세족수조(110)를 이용하여 발 세척 및 족욕을 할 경우에도 물이 새지 않도록 기밀하게 처리된다.
이를 위하여 방수벽체(114)의 방수필러부재(114a)와 방수접힘판(114b) 사이에는 폴딩부재(114c)가 구비된다. 폴딩부재(114c)는 복수의 고무판이 접히는 폴딩 방식으로 이루어져, 지지필러부재(113a)와 지지접힘판(113b) 내측에 접합되는 방수필러부재(114a)와 방수접힘판(114b) 사이를 기밀하게 연결한다.
여기서 복수의 고무판은, 제1 고무판(114c_1), 제2 고무판(114c_2) 및 제3 고무판(114c_3)을 포괄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폴딩부재(114c)는 제1, 2, 3 고무판(114c_1, 114c_2, 114c_3)이 상호 연결된 형태이지만, 이는 하나의 일례일 뿐, 폴딩부재(114c)는 제1, 2, 3고무판(114c_1, 114c_2, 114c_3)보다 더 많은 고무판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복수의 고무판이 상호 중첩되는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 2, 3 고무판(114c_1, 114c_2, 114c_3)으로 특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폴딩부재(114c)는 제1, 2, 3 고무판(114c_1, 114c_2, 114c_3)에 내장되는 자성체(115)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115)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때만 자성을 띠는 전자석 일 수 있다. 자성체(115)는 제1, 2, 3 고무판(114c_1, 114c_2, 114c_3)에 내장되어 각각의 고무판(114c_1, 114c_2, 114c_3)이 대향되는 영역마다 인력 및/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세족수조(110)가 완전하게 전개된 후에 제어부(140)가 전원공급부(180) 전원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좌식변기는 세족수조의 전개와 수납을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서의 자성체(115)는 전원공급부(18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인력이 작용하는 형태로서만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제1, 2, 3고무판(114c_1, 114c_2, 114c_3) 각각에 내장된 자성체(115)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마다 인력이 작용하도록 N극과 S극이 맞닿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 도 8에서의 자성체(115)는 방수벽체(114)의 수직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제1, 2, 3 고무판(114c_1, 114c_2, 114c_3)에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11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에서 방수벽체(114)의 맨 위에서부터 1행, 그 다음 아래 줄은 2행, 그 다음 아래 줄은 3행과 같은 식으로 설명한다.
자성체(115)는 가령, 방수벽체(114)의 수직 길이 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전후 방향으로 교번되어, 사용자 입력부(130)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1, 3행의 자성체(115)만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2, 4 행의 자성체(115)만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세족수조(110)가 전개 또는 수납될 시 선택적으로 해당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세족수조(110)가 전개될 경우에는 방수벽체(114)가 세족수조(110)의 후단 벽으로서 밀폐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폴딩부재(114c)는 방수벽체(114)가 제1, 2, 3 고무판(114c_1, 114c_2, 114c_3)에 내장된 자성체(115)의 인력 작용에 의해 단단한 형태의 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세족수조(110)가 본체(도 1의 200)의 전방 수납공간에 수납될 시에는, 폴딩부재(114c)는 자성체(115)의 척력 작용에 의해 방수벽체(114)가 변기수조(220) 하단부의 형상에 맞게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세족수조(110)의 수납을 용이하게 한다.
도 9에서의 자성체(115')는 방수벽체(114)의 상단 수직 일부 구간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제1, 2, 3 고무판(114c_1, 114c_2, 114c_3) 간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세족수조(110)의 후방 하단부는 세족수조(110)가 수납되거나 전개될 시 가변벽체(112)가 내부 공간 안쪽으로 회동하여 기울어지도록, 세족수조(110)의 후단 벽 하단 일부 구간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세족수조(110)의 후방 하단부는 사용자가 세족수조(110)를 사용하며 발 세척 또는 족욕을 할 때 외부로 물이 새지 않도록 밀폐 구조를 갖는다.
결국 가변벽체(112)는 세족수조(110)가 좌식변기(도 1의 10)의 전방 하단부에 삽입될 때 높이가 낮아지도록 조절되어야 하고, 사용자가 발 건강관리기(도 1의 100)를 사용하기 위해 좌식변기(도 1의 10)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켰을 땐, 가변벽체(112)의 위치는 높이가 높아지도록 조절돼야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의 작동 예를 정면 및 배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세족수조(110)는 발 건강관리기(100)를 구동할 수 있는 전자회로기판과 관련 부품을 기밀하게 내장할 수 있는데, 각종 케이블이나 센서, 액추에이터, 스위치, LED 등의 부품들도 포함되고, 이에 연결되는 각종 부품을 포괄한다.
이러한 세족수조(110)는 내부에 사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구조를 가지며, 바닥판에는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세척판(111)이 구비된다.
세척판(111)은 평면을 기본으로 하나, 상방으로 돌출된 중앙부(발의 족궁이 위치하는 부분)를 구비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세척판(111)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111a)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돌기(111a)는 효과적으로 발바닥 세척을 돕고 바닥 또는 바닥에 형성된 노즐(상향분사노즐: 124)과 발과의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111a)는 발바닥에 닿을 때 까칠한 촉감을 느끼게 하여 지압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발을 문질러서 닦을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돌기(111a)는 발이 놓이는 부위가 탄성 변형되거나 하부로 함몰되어 발의 모양을 잡아 주는 틀 역할을 함으로써 발이 세척판(111)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세척판(111)은 세족수조(110)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세족수조(110)의 바닥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발이 놓이는 영역, 즉 세족수조(110) 바닥면의 일부 또는 전부인 영역일 수 있다.
세족수조의 커버(미도시)는 세족수조(110)의 상면 일부 구간(앞부분)을 덮어 물이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며, 후술할 하향분사노즐(122)이 설치되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세족수조의 커버는 세족수조(110)와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족수조(110)의 전단부 일측에 힌지 축(미도시)이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분사부(120)는 세족수조(110)의 내측 공간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세척수는 기본적으로 물이 되지만, 세정액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120)는 측면분사노즐(123) 및 상향분사노즐(124)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세족수조 커버의 저면에 형성되는 하향분사노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분사노즐(123)은 세족수조(110)의 내측 둘레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측방으로 물을 분사한다. 이러한 측면분사노즐(123)은 세족수조(110)의 내벽에 설치된 위치에서 수평 방향보다 하향된 위치로 물을 분사한다.
세척수가 세족수조(110)의 내측 좌우에서 분사되니, 발목을 비틀어서 발바닥을 닦을 수도 있다.
한편, 세족수조(110)의 바닥 전단부는 후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발가락 쪽으로 향하는 측면분사노즐(123)의 위치를 더 높게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분사되는 세척수의 방향이 보다 수직에 가깝게 되어 발등 및 발가락 세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상향분사노즐(124)은 세척판(111)의 바닥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방으로 물을 분사하여 발바닥을 세척한다.
이때, 상향분사노즐(124)의 분사압은 세척수가 세족수조(110)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사된 세척수의 높이가 세족수조(110)의 높이 이내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발바닥 세척 시에는 상향분사노즐(124)의 분사압을 강하게 하고, 세척판(111)에서 발을 떼는 것을 감지하면 곧바로 분사압을 약하게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향분사노즐(122)은 세족수조의 커버 내측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하향분사노즐(122)을 추가로 구비할 경우 발등과 발가락의 세척에 효과적이다.
분사부(120)에는 외부에 위치한 별도의 세척수 공급부(도 13의 160) 및/또는 세정액 공급부(미도시)가 연결된다. 세척수의 공급은 외부의 급수관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분사압 조절을 위하여 세족수조(110) 내부에 세척수를 저장하는 수조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급수관 수압이 필요이상으로 크면 수조부가 버퍼 역할을 하여 적정 분사압을 유지하고, 세척수 분사압을 급수관 수압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수조부에 연결된 피스톤(미도시)이 작동하여 분사압을 높인다.
세정액 공급부는 외부의 세정액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세정액을 공급받거나, 카트리지 교체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정액 공급부는 세정액 노즐(125)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세정액 공급부가 분사부(120)의 각 노즐에 모두 연결되어 분사부(120)의 각 노즐이 세척수와 번갈아서 세정액을 분사하거나 세척수와 혼입하여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하향분사노즐(122), 측면분사노즐(123), 상향분사노즐(124)과 세정액 노즐(125)이 하나의 관으로 연결되고, 분기된 부위마다 분사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세척수 및/또는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구조 편의상 하향분사노즐(122)과 세정액 노즐(125)만 하나의 관으로 연결되고, 그 사이에 분사 밸브가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세척수 및/또는 세정액을 분사할 수도 있다.
분사부(120)의 동작은 사용자 입력부(도 6 내지 도 8, 도 12의 1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제어 로직에 따라 제어부(도 6 내지 도 8, 도 12의 140)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때, 세족수조(110)의 외부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사부(120)는 세족수조(110)의 내부에 배치된 기 설정된 일정 양의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일정 양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세족수조(110) 내부의 세척수가 채워지는 높이로 측량할 수 있으며, 이는 환경에 따라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분사부(120)에 의해서 분사되는 세척수 및/또는 세정액의 분사압과 분사패턴, 분사각도는 다양하게 조합되거나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분사부(120)는 사용자 입력부(도 6 내지 도 8, 도 12의 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엘이디(미도시)에 의해 전원의 온(ON)/오프(OFF)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가 부착된 벽면부착형 좌식변기에 있어서, 기포발생부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발 건강관리기(도 9 및 도 10의 100)는 세족수조(도 9 및 도 10의 110)의 바닥(세척판 저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향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포 발생 중에 해당 구간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면 물의 저항이 약해져서 세척력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용자가 기포로 인한 청량감을 느낄 수 있다.
기포발생부(190)는 고체, 액체에 가스를 접촉시켜 흡수나 반응시킬 때 최적의 접촉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불어넣는 가스의 유속 및 기포 모양을 조정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가 부착된 벽면부착형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가락분사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발 건강관리기에는 발가락분사노즐(171)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세척판(도 10 및 도 11의111)에 길이 방향으로 안착되는 발의 발가락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척판(11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발가락 사이를 향해 물을 분사한다.
발가락분사노즐(171)은 발가락 사이에 위치하며, 도 15에 도시된 발가락을 기준으로 좌우로 폭이 조절되거나 상하로 길이가 조절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 복수의 분사구(171a)를 갖는다.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세척수 공급부(160)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기능을 가진다. 세척수 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는 복수의 분사구(171a)를 통해 외부(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로 분사된다.
도시된 바로는 발가락분사노즐(171)이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상단 일부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이루어져, 발가락 삽입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상, 하로 승강 조절될 수 있고,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100)를 이용하는 사람마다 발가락의 형태와 크기가 다르므로, 발가락분사노즐(171)은 불특정 다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의 발가락 모양에 따라 세척판(111)의 폭(및/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설치 간격)만큼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이용자별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위치 이동은 기억장치(미도시)에 저장되어, 추후 사용자 입력부(도 6 내지 도 8 및 도 12의 130)의 간단한 조작으로 이용자 별로 저장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령, 서로 다른 발가락 크기와 모양을 가진 A, B 두 사람이 발 건강관리기(100)를 이용할 경우, A가 사용자 입력부를 조작하여(예컨대, 1번 버튼 누름) 발가락분사노즐(171)이 자동으로 A의 발가락에 맞는 위치로 이동하고, B가 사용자 입력부를 조작하여(예컨대, 2번 버튼 누름) 발가락분사노즐(171)이 자동으로 B의 발가락에 맞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예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도 1, 도 4 및 도 5 및 도 10 내지 도 11의 100)의 동작 및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분사부(120), 세정액 노즐(125), 사용자 입력부(도 6 내지 도 8 및 도 12의 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100)의 제반 전기/전자적 장치의 동작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서 통제된다.
우선, 분사압 및 분사 동작 제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100)는 각 분사노즐의 분사압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각 분사노즐이 순차적으로 분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상향분사노즐(124) - 측면분사노즐(123) -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순서로 동작시켜 일정 수준 이상의 분사압을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필요에 따라 분사압을 높이는 가압펌프(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적정 분사압의 유지가 가능한 상태면 둘 이상의 노즐에서 동시에 분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세척 및 마사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각 노즐에서는 시간에 따라 가변하는 분사압으로 분사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세척수 및 세정액의 분사방식은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예컨대, 분사부(120)에 의한 세척수의 분사 시, 물과 세정액이 같은 노즐에서 교대로 또는 소정 분사 패턴에 따라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물과 세정액이 혼입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고, 물만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세정액은 전용 노즐(세정액 노즐; 125)에서만 분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세척 효과 및 마사지 효과의 증대를 위하여 분사부(120)의 각 노즐은 좌/우 또는 상/하로 분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측면분사노즐(123) 및 상향분사노즐(124)는 세족수조(110)의 외부로 물이 튀지 않도록 분사 각도가 소정 범위에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압, 분사방식, 분사 각도의 제어는 사용자 입력부(도 6 내지 도 8 및 도 12의 130)를 통한 사용자 조작 또는 기 설정된 제어 로직에 따라 제어부(도 6 내지 도 8 및 도 12의 140)에 의하여 수행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가 부착된 벽면부착형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가락세척부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발가락세척부(170)는 발가락분사노즐(171), 세척부재(172) 및 회전편(173)을 포함한다.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상부에는 세척부재(17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세척부재(172)는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회전편(173)은 세척부재(172)의 상단에 위치하여 세척부재(172)와 동축 회전이 가능하다.
발가락세척부(170)는 회전편(173)과 결합된 세척부재(172)가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상단 일부분을 덮어 축 방향으로 회전하며 발가락 사이를 세척한다. 즉, 세척부재(172)는 회전편(173)이 분사부(12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할 시, 회전편(173)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세척부재(172)는 발가락 사이에서 각종 각질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이기에 천연고무의 원액을 발포시켜 만든 라버형이거나, 합성수지로 만든 우레탄형으로 이루어진 경질의 스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세척부재(172)의 외주면은 복수의 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세척부재(172)의 내측 둘레면과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외주면 사이에는 세척부재(172)의 회전을 보조하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건강관리가 부착된 벽면부착형 좌식변기에 있어서, 발가락세척부의 작동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세척부재(172')는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다만, 도 15 내지 도 18에서의 세척부재(172')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회전 방식을 갖는다.
이 회전 방식을 설명하에 앞서 발가락분사노즐(171')과 세척부재(172')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세척부재(172')의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발가락분사노즐(171')은 세척수 안내홈(171b')과, 분사구(171a') 및 회전축(171c')을 갖는다. 세척수 안내홈(171b')은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외측 둘레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된다. 분사구(171a')는 세척수 안내홈(171b') 상에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다. 회전축(171c')은 세척부재(172')의 내측면에 형성된 회전축 연결홈(172b')과 연결된다.
세척부재(172')는 발가락분사노즐(171')의 분사구(171a')와 연통하는 복수의 분사구(172a)를 갖는다.
도 17의 (a)는 도 15의 B-B'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a)에서 세척부재커버(174')를 추가한 예이다. 도 17의 (a) 및 (b)를 참조하면, 분사구(172a')는 세척부재(172')의 축심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세척부재(172')의 분사구(172a')는 발가락분사노즐(171')의 세척수 안내홈(171b')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세척수 안내홈(171b')은 물이 흐르는 공간으로서, 발가락분사노즐(171')을 거쳐 세척부재(172')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외부로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분사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 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발가락분사노즐(171')의 분사구(171a')을 거쳐 분사구(172a')로 분사되면 분사구(172a')는 그 분사압에 의하여 세척부재(172')의 회전을 유도한다.
세척부재(172')는 세척수가 분사구(172a')를 통해 분출되는 힘으로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질로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에서 자칫 회전이 안 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부재(172')는 회전이 가능한 범위에서의 경질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는 세척 보조를 위하여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세척부재커버(174')는 세척부재(17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형태로 교체가 가능하다. 즉, 세척부재커버(174')는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시 접촉면이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청결 유지를 위하여 교체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세척부재커버(174')의 커버홀(174a')은 분사구(172a')와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가락세척부(170')는 발가락세척노즐(171')이 연직상방으로 뻗어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마다 하나 이상 배치되어, 회전을 통해 발가락 사이를 세척하며 마사지한다.
발가락세척노즐(171')을 감싸는 세척부재(172')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두어 세척력 및 마사지효과를 증대하는 것이 좋고, 세척부재(172')의 몸체 자체는 경질이지만 돌기는 연질인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 건강관리기(100)의 자동 세척 작동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자동세척기능은 발놓임 감지단계, 세정액 분사단계, 발세척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놓임 감지단계는 발이 세척판(111)에 놓이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세정액 분사단계는 발 감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발의 위치 정보값을 제어부가 수신하여, 분사부(120)의 세정액 노즐(125)을 구동시킴으로써 세정액을 분사하는 단계이다. 발세척단계는 세정액이 분사된 후 제1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물 분사 노즐부에서 물을 분사하여 발을 세척하는 단계이다.
선택적으로, 발 감지 센서가 발이 세척판(111)에서 떨어진 것을 감지하는 발이탈 감지단계와, 제2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세족수조(110)의 내부 공간을 세척하기 위하여 분사부(120)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내부세척단계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2 대기시간은 해당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의미하며, 사용자에 의해 해당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도 6 내지 도 8 및 도 12의 130)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사전 설정을 할 수 있다. 분사부(120)의 분사압이나 자동세척기능의 제1대기시간 제2대기시간, 세정액분사량 등의 기본적인 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발놓임 감지단계는, 발 감지 센서에 의하여 진행된다.
발 감지 센서는 수광부(미도시)와 발광부(미도시)를 세족수조(110)의 좌우측 내벽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거나, 세척판(111) 바닥에 압력 센서를 두어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발 감지 센서는 발이 세척판(111)에 근접하는 위치 또는 안착된 압력값을 감지한 정보값을 제어부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발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된 정보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연산하여 그 결과값이 기준값에 부합하면 분사부(120)를 구동 제어한다.
발 세척 단계에서, 제어부는 세족수조(110)의 내측 수용 공간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자동 세척되도록 분사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각종 데이터로 축적된 통계값을 근거로 하여 산정된 시간으로서, 각 기능에 따라 초기 설정값이 다를 수 있고 그 설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발 세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세척수와 세정액의 분사 방식, 분사압, 분사각도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미리 설정된 로직에 따라 자동으로 가변하면서 진행될 수 있다.
내부세척단계는, 발 세척을 마친 사용자가 발을 빼면 진행된다. 세척판(111)에서 발이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면 분사부(120)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중단되고, 제어부는 자동세척기능을 이용하여 세족수조(110)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분사부(120)를 통제한다.
발 건강관리기(100)의 내부 세척을 위하여 제어부는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기 설정된 시간동안 세척판(111)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설정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오염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세척판의 세척 정도를 감지하여 적정 수준의 세척이 될 때까지 세척판의 세척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내부세척단계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발 세척 시의 세척수보다 강력한 세척력을 가진 세정액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정액 저장부는 발세척용 세정액과 구분하여 세척판 세척용 세정액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몇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았다. 본 발명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손 사용 없이도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사이를 고르게 씻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움직임에 제약이 있는 몸이 불편한 사람도 편하게 발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발 건강관리기는 발 세척 및 족욕을 한 이후에 자동으로 기기를 세척하는 기능을 탑재하여 종래의 관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발 세척 및 족욕이 이루어진 발 건강관리기는 몸체부의 커버 내측에 자외선 램프(미도시)나 드라이 장치(미도시)를 구성하여 세균을 박멸하거나 물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좌식변기 100: 발 건강관리기
110: 세족수조 111: 세척판
111a: 돌기 112: 가변벽체
113: 지지벽체 113a: 지지필러부재
113b: 지지접힘판 113c: 힌지부재
113d: 스프링 와이어 113e: 고정클립
114: 방수벽체 114a: 방수필러부재
114b: 방수접힘판 114c: 폴딩부재
114c_1: 제1 고무판 114c_2: 제2 고무판
114c_3: 제3 고무판 115, 115': 자성체
116: 배선 덕트 120: 분사부
122: 하향분사노즐 123: 측면분사노즐
124: 상향분사노즐 125: 세정액 노즐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제어부
160: 세척수 공급부 170, 170': 발가락세척부
171, 171': 발가락분사노즐 171a, 171a': 분사구
171b': 세척수 안내홈 171c': 회전축
172, 172': 세척부재 172a, 172a': 분사구
172b': 회전축 연결홈 173: 회전편
174': 세척부재커버 174a': 커버홀
180: 전원공급부 190: 기포발생부
200: 본체 211: 측면커버
220: 변기수조 230: 좌식변기시트
240: 좌식변기커버 310: 변좌지지부
311: 제1 지지부 312: 제2 지지부
320: 지지축 330: 바닥패널
331: 슬라이딩 레일 332: 배수용 홀

Claims (12)

  1. 전방 하단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좌식변기로서,
    변좌 및 변기수조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본체와 프레임의 전방 하단부에 수납되어 별도의 조작에 따라 전개 조절이 가능한 세족수조를 포함하는 발 건강관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며, 후방에 무게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변좌 테두리가 걸쳐지는 변좌지지부; 및
    상기 변좌지지부의 측단에 각각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바닥상에 상기 세족수조의 슬라이딩 이동구간상에 슬라이딩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세족수조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상에서 이동 가능한 캐스터를 상, 하단 일부 구간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세족수조의 슬라이딩 이동구간을 기밀하게 보호하고, 상기 본체의 전방을 지지하는 측면커버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건강관리기는
    상기 세족수조의 내측 공간을 향해 소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세족수조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 건강관리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고, 각종 기능별 버튼을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분사부와 세척수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족수조는
    상기 변기수조와 대향하는 후방부의 벽체가 상기 변기수조의 하단부와 맞닿게 될 시, 상기 세족수조의 안쪽으로 접히는 가변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벽체는
    상기 세족수조의 벽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루는 지지벽체와,
    상기 지지벽체와 결합하여 상기 세족수조를 방수하는 방수벽체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체는
    상기 세족수조의 상단부 후방 양단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지필러부재; 및
    상기 복수의 지지필러부재 사이에서 접히거나 펴지되, 탄성 작용에 의해 외력이 없을 시 평탄 구조를 유지하는 지지접힘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벽체는
    상기 세족수조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필러부재와 지지접힘판을 감싸 기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벽체는
    상기 지지필러부재의 내측에 접합되는 방수필러부재;
    상기 지지접힘판의 내측에 접합되는 방수접힘판; 및
    상기 방수필러부재와 방수접힘판 사이를 연결하고, 방사형으로 폴딩 동작이 가능한 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재는
    복수의 고무판이 접히는 폴딩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재는
    복수의 고무판이 접히는 폴딩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그 접히는 부위마다 배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세족수조가 전개될 시는 접히고, 상기 세족수조가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될 시에는 펴지도록 상기 자성체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11. 제1항에 있어서,
    악취차단부상기 세족수조는
    화장실의 하수관과 연결되는 오수유입관;
    상기 오수유입관상에 배치되어, 화장실의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냄새를 차단하는 U자 형상의 악취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건강관리기의 세족수조에는
    내측 공간에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를 세척하는 발가락세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가락세척부는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발가락분사노즐과,
    상기 발가락분사노즐의 외측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에 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변기.
KR1020220009572A 2022-01-21 2022-01-21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KR20230113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572A KR20230113090A (ko) 2022-01-21 2022-01-21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PCT/KR2023/000944 WO2023140647A1 (ko) 2022-01-21 2023-01-19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572A KR20230113090A (ko) 2022-01-21 2022-01-21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090A true KR20230113090A (ko) 2023-07-28

Family

ID=8734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572A KR20230113090A (ko) 2022-01-21 2022-01-21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3090A (ko)
WO (1) WO20231406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2279A (ja) * 2006-02-22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洋風便器
KR101180364B1 (ko) * 2010-03-12 2012-09-10 이호관 세족기
KR101847784B1 (ko) * 2017-09-08 2018-04-11 고유삼 이동식 좌욕온수세정기
KR102416611B1 (ko) * 2020-06-18 2022-07-04 김덕우 좌식변기 부착형 발 세척 장치
KR102345519B1 (ko) * 2020-09-02 2021-12-31 김덕우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647A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611B1 (ko) 좌식변기 부착형 발 세척 장치
JP2008540019A (ja) 入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230329490A1 (en) Sitting toilet having foot health care device attached thereto
KR102456314B1 (ko) 살균수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100846191B1 (ko) 자동샤워 장치
KR102379764B1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JPH1119003A (ja) 局部洗浄装置と手洗器
KR20230113090A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KR20230113091A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벽면부착형 좌식변기
US4974268A (en) Chair bathtub
KR200385533Y1 (ko) 위생 세정기
KR102072936B1 (ko) 좌변기용 시트 세척 장치
KR20110087852A (ko) 전동휠체어의 자동 세척장치
KR101088997B1 (ko)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JP3118539B2 (ja) 身体洗浄装置
KR102338403B1 (ko) 발 세척 장치 및 방법
KR20110045504A (ko) 위생 좌변기 및 이를 이용한 좌변기 위생관리방법
KR200369228Y1 (ko) 위생세정기
KR20020073323A (ko) 침대 겸용 샤워실
CN220608191U (zh) 一体式智能化老年人无障碍淋浴椅
KR101181525B1 (ko) 좌변기
KR200331696Y1 (ko) 좌욕 겸용 샤워캐비넷용 샤워컬럼
KR101848743B1 (ko) 발 세척장치를 구비한 세면대
KR20010084453A (ko) 자동 세족기
KR200250538Y1 (ko) 거동이 불편한 자를 위한 간이 욕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