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997B1 -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997B1
KR101088997B1 KR1020090102640A KR20090102640A KR101088997B1 KR 101088997 B1 KR101088997 B1 KR 101088997B1 KR 1020090102640 A KR1020090102640 A KR 1020090102640A KR 20090102640 A KR20090102640 A KR 20090102640A KR 101088997 B1 KR101088997 B1 KR 101088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air bubble
injection
bubble generator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894A (ko
Inventor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이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화 filed Critical 이상화
Priority to KR102009010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9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는 양변기의 세척수 내에 공기방울을 공급하여 세척수와 섞이게 함으로써 소변시 튐을 방지하여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양변기의 몸체 수용실내 세척수의 수면 아래 구비되는 분사노즐에 공기방울 발생기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분사노즐은 다수 분사공으로 형성되며, 몸체의 수용실 내벽에 밀착되는 형상의 합성수지재 사출물로 구성된다.
공기방울, 양변기

Description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Air bubble feeder for toilet stool}
본 발명은 양변기에 공기방울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변기의 세척수 자체에 공기방울이 공급되어 섞이도록 함으로써 세척수 자체에 밀도를 낮춰서 소변시 물줄기의 반발력이 생기지 않고 흡수되도록 하여 소변이나 세척수의 튐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청결한 양변기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가정이나 공공 장소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양변기 내에 일정량의 물이 항상 담수되어 있는 상태에서 용변을 본 후 레버 또는 버튼의 작동에 의해 물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통 내의 물이 양변기 내로 흘러 들어가 양변기 내에 담수되어 있는 용변물과 함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양변기(혹은 좌변기)는 사용자의 용변(특히 소변)시 양변기 내에 담수되어 있는 세척수와 소변 물줄기가 부딪혀 반발력이 생기면서 소변과 세척수가 섞인 혼합물이 양변기의 벽체내 또는 반발력이 심할 경우 양변기 몸체 외측으로까지 튀어 화장실 바닥을 더럽히거나 사용자의 옷이나 피부에 묻는 등 비위생 적인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화장실에 악취가 지속적으로 나게 되어 다음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화장실 내부 자체가 불결해지게 되고, 사용자 또한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양변기 내 세척수에 공기방울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용변(특히 소변)시 물줄기의 반발력이 생기지 않고 흡수되도록 하여 소변이나 세척수의 튐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청결한 양변기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변기의 몸체 수용실내 세척수의 수면 아래 구비되는 분사노즐에 공기방울 발생기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분사노즐은 다수 분사공으로 형성되며, 몸체의 수용실 내벽에 밀착되는 형상의 합성수지재 사출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는 양변기의 세척수 자체에 공기방울이 공급되어 섞이도록 함으로써 세척수 자체에 밀도를 낮춰서 소변시 물줄기의 반발력이 생기지 않고 흡수되도록 하여 소변이나 세척수의 튐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청결한 양변기 및 화장실 사용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기존의 양변기에 설치가능하기 때문에 제작,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설치비용 부담이 줄며, 청소 및 고장으로 인한 수리나 교체시에도 불편함이 없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는 양변기 몸체(10)내 세척수(11)의 수면 아래에 분사노즐(30)이 구비되고, 분사노즐(30)에 공기방울(21)을 공급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방울 발생기(20)가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공기방울 발생기(20)는 공기방울(21)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공기방울 발생기(20)가 사용되며, 특히 발생되는 공기방울(21)을 분사노즐(30)까지 이동시켜 세척수(11)내로 뿜어내야 하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공기방울 발생기(20)가 사용된다.
또한 공기방울 발생기(20)는 일정 부피가 있기 때문에 몸체(10)의 외측에 설치되어야 하나, 고압축소형을 사용하거나 양변기 몸체(10)의 일부를 절단개조하여 그 내부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공기방울 발생기(20)에 연결되는 분사노즐(30)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전방의 다수 분사공(31)에 의해 형성되어 몸체(10)내 세척수(11)의 수면 아래 설치되고, 몸체(10) 내벽에 밀착되게 구성하여 공기 발생시 최대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완전밀착을 위해 분사노즐(30)을 양변기 몸체(10) 내벽에 접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청소나 고장 등과 같은 분리가 필요할 시 쉽게 떼어내야 하 므로 접합 없이 분사노즐(30)의 후면이 몸체(10) 내벽에 일치되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사노즐(30)에 형성되는 분사공(31)은 분사노즐(30)의 전방측 뿐만 아니라 상,하부면에도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분사공(31)이 크면 발생되는 공기방울 또한 커지게 되어 소변이 세척수(11)에 흡수되는 효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분사공(31)의 직경은 0.5㎜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2∼0.5㎜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직경을 통과한 공기방울(21)은 세척수(11)와 섞이면서 일정 거품이 발생하게 되고 전체 밀도를 낮춰줌으로써 떨어지는 소변이 세척수(11)에 흡수되면서 반발력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분사노즐(30)은 합성수지재 사출물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전방으로 형성된 다수 분사공(31)에 연통되는 다수 유동로(33)가 형성된다.
상기 분사노즐(30)과 공기방울 발생기(20) 사이에는 공기방울(21)이 유동되는 연결관(40)이 구비 설치된다.
연결관(40)은 도 4에서와 같이 길이방향 양단부가 연통되게 다수 유동로(43)가 형성되고 유동로(43)의 양단부에는 마주하는 공기방울 발생기(20)의 연결호스(23) 및 분사노즐(30)의 유동로(33)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통공(44)이 형성된 연결구(45)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40)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양변기 몸체(10)의 외측벽을 따라 밀착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다수 유동로(43) 사이에 유동로(43)를 따라 철사(47)를 삽입형성하여 양변기 몸체(10)의 외 벽 형상에 맞게 구부리기 용이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소변이 주로 양변기 몸체(10)의 후방측에 집중되므로 분사노즐(3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양변기 몸체(10)의 전방측에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에 따라 연결관(40)도 양변기 몸체(10)의 전방측 외벽을 따라 설치되어야 한다.
도 5에서와 같이 분사노즐(30)을 통해 세척수(11) 내에서 발생되는 공기방울(21)은 그 잔존시간이 비교적 짧아 공기방울 발생기(20)의 작동이 멈추면 금새 사라져버리므로 용변시 동안 계속 작동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상기 작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공기방울 발생기(20)에 작동수단을 연결 구비한다.
작동수단은 공기방울 발생기(20)에 버튼 스위치(미도시됨) 또는 인체감지센서(미도시됨)에 연결되어 공기방울 발생기(2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미도시됨)로 구성되며, 타이머로 작동을 원할시 타이머의 적절한 작동시간은 통상의 소변시간을 고려하여 볼때 10∼40초 정도로 설정해 두는 것이 좋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 단면 구성도이다.
공기방울 발생기(70)를 양변기 몸체(10) 외부에 설치하지 않고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데, 그 일예로 공기방울 발생기(70)를 물탱크(2)의 뚜껑 형상으로 제작사용하고, 물탱크(2)의 배수로에 통공(76)을 갖는 끼움구(75)를 구비하여 공기방울 발생기(70)에 연결된 연결호스(71)를 끼움구(75)의 통공(76)을 통해 물탱크(2) 외부로 노출시켜 분사노즐(30)과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서 미설명 부호(72)는 세척수임.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의 결합구성을 알 수 있는 사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물탱크 10 : 몸체
11 : 세척수 12 : 수용실
20 : 공기방울 발생기 21 : 공기방울
30 : 분사노즐 31 : 분사공
33,43 : 유동로 40 : 연결관
44 : 통공 45 : 연결구
47 : 철사

Claims (5)

  1. 양변기의 몸체(10) 수용실(12)내 세척수(11)의 수면 아래 구비되는 분사노즐(30)에 공기방울 발생기(20)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분사노즐(30)은 다수 분사공(31)으로 형성되며, 몸체(10)의 수용실(12) 내벽에 밀착되는 형상의 합성수지재 사출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30)과 공기방울 발생기(20)는 상기 몸체(10)의 외벽을 따라 밀착구비되는 연결관(40)에 의해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방울 발생기(20)에 버튼 스위치 또는 인체감지센서에 연결되어 공기방울 발생기(2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작동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30)에 형성되는 분사공(31)의 직경은 0.2∼0.5㎜ 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KR1020090102640A 2009-10-28 2009-10-28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KR101088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40A KR101088997B1 (ko) 2009-10-28 2009-10-28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40A KR101088997B1 (ko) 2009-10-28 2009-10-28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894A KR20110045894A (ko) 2011-05-04
KR101088997B1 true KR101088997B1 (ko) 2011-12-01

Family

ID=4424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640A KR101088997B1 (ko) 2009-10-28 2009-10-28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619A (ko) 2015-06-09 2016-12-19 박정치 압축공기를 이용한 절수형 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3107A (zh) * 2014-04-22 2014-07-30 袁金文 一种大便器
CN106836425B (zh) * 2017-02-21 2022-07-05 臧铁钢 一种双门微声微水量螺旋激流封闭式排污卫生抽水马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798Y1 (ko) 2004-03-15 2004-05-28 황승용 물 튀김 방지용 수세식 좌변기
KR200430599Y1 (ko) 2006-06-09 2006-11-13 주식회사 한강 좌변기의 냄새 제거 장치
KR100766789B1 (ko) 2006-11-23 2007-10-17 정재덕 수세식 좌변기의 물 튀김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798Y1 (ko) 2004-03-15 2004-05-28 황승용 물 튀김 방지용 수세식 좌변기
KR200430599Y1 (ko) 2006-06-09 2006-11-13 주식회사 한강 좌변기의 냄새 제거 장치
KR100766789B1 (ko) 2006-11-23 2007-10-17 정재덕 수세식 좌변기의 물 튀김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619A (ko) 2015-06-09 2016-12-19 박정치 압축공기를 이용한 절수형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894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3215U (ja) 泡洗浄装置を具えた衛生器具
KR102068142B1 (ko) 좌변기용 버블공급장치
KR20130109918A (ko) 버블공급기구를 구비한 도기세정장치 및 도기세정장치의 세정방법
KR101088997B1 (ko)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KR101103765B1 (ko) 물 비산 방지수단이 구비된 변기뚜껑
KR101321907B1 (ko) 화장실 방향제분사장치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JP6537597B2 (ja) 大腸洗浄機
KR200486073Y1 (ko) 좌변기용 거품을 이용한 물튀김 방지장치
JP2003253727A (ja) 防臭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水洗便器
KR20090098184A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비데시트
JP3709763B2 (ja) バキュームブレーカ
KR20170037204A (ko) 세정수 분사용 압축기를 구비한 착탈식 핸드비데
JP2008111296A (ja) 薬液吐出装置
TW201322947A (zh) 自動沖洗馬桶蓋組
KR200369228Y1 (ko) 위생세정기
CN211973721U (zh) 一种防臭大便器
CN210887478U (zh) 马桶泡泡机
KR100822893B1 (ko) 남성용 비데
KR200316313Y1 (ko) 비데용 노즐구조
KR101629281B1 (ko) 휴대용 여성 청결 및 변비 치료기
DE202005000084U1 (de) An ein WC angebaute oder anbaubare Dusche für die Intimhygiene
KR20100003858U (ko) 파지형 수동식 간이 비데
JP6175595B2 (ja) 洗浄機能付き便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